KR102099398B1 -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 Google Patents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398B1
KR102099398B1 KR1020190107272A KR20190107272A KR102099398B1 KR 102099398 B1 KR102099398 B1 KR 102099398B1 KR 1020190107272 A KR1020190107272 A KR 1020190107272A KR 20190107272 A KR20190107272 A KR 20190107272A KR 102099398 B1 KR102099398 B1 KR 102099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contents
discharge port
communication means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대기
박효상
Original Assignee
홍대기
박효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대기, 박효상 filed Critical 홍대기
Priority to KR1020190107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02Internal fittings
    • B65D25/04Partitions
    • B65D25/08Partitions with provisions for removing or destroying, e.g. to facilitate mix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5/00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 B65D35/24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 B65D35/247Pliable tubular containers adapted to be permanently or temporarily deformed to expel contents, e.g. collapsible tubes for toothpaste or other plastic or semi-liquid material; Holders therefor with auxiliary devices the tubular container being provided on its internal surfaces with press buttons or the like for maintaining the container in compressed st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종의 내용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각각의 용기와 함께 이종의 내용물을 혼입하여 사용하기가 용이한 형태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내부에는 제1내용물이 수용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제1박막(20)으로 상기 토출구(11)가 커버되는 제1용기(10) 및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일단부에는 연통 수단(40)이 형성되며, 제2박막(50)으로 상기 내용물 연통 수단(40)의 삽입구(41)가 커버되며, 타단부에는 혼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31)가 형성되는 제2용기(30)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 수단(40)은 상기 제1용기(10)의 토출구(11)와 결합되며 상기 제1내용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삽입구(41) 및 상기 삽입구(41)의 내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박막(20)을 파열하는 파열 돌기(4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VESSEL FOR MIXING DIFFERENT KINDS OF CONTENTS}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결합되어 각각이 수용하는 이종 내용물의 혼합이 가능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식별항목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식별항목에 기재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통 제품들은 하나의 용기에 하나의 내용물을 담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요즈음 화장품 및 식품, 건강보조제품에서 두 가지 이상의 내용물을 혼입하여 새로운 효과를 내는 제품들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많은 제품은 다양한 이종 내용물을 하나의 용기에 분리하여 포장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은 지정된 구성물로 포장이 되어 선택적 조합 방법이 마땅치 않다.
그리고 이종 내용물의 혼합 과정을 위한 구조가 굉장히 복잡한 경우가 많고 그것을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재료를 필요로 한다. 이는 생산 비용의 증가를 가지고 오며 동시에 소비자에게 불필요한 구매 비용의 증가를 발생시킨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기술을 조사하였다.
특허문헌 1(등록특허 10-0530202)은 1이상의 화장품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이다. 모발 염색 분야에 사용되는 조성물, 특히 화장품 조성물을 형성하기 위해서 2 이상의 제품을 순간적으로 혼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품의 안정성을 위해 이 2가지의 제품은 염색 조성물을 사용하는 순간까지 서로 떨어져 유지되도록 한다.
특허문헌 2(등록특허 10-1373949)는 화장품 이액용기를 화장품 용기내에 수용하여 두 종류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장품 이액용기에 관한 것이다. 하나의 화장품 용기 내에 두 종류의 화장품을 함께 수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별도의 혼합용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도록 제작되었다.
그러나 두 선행기술 모두 이미 구성된 조합물의 혼합만 가능하며 이종 소재의 사용, 복잡한 구조로 생산에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종의 내용물이 서로 섞이지 않도록 각각의 용기와 함께 이종의 내용물을 혼입하여 사용하기가 용이한 형태의 용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개시된 내용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내부에는 제1내용물이 수용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1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제1박막(20)으로 상기 토출구(11)가 커버되는 제1용기(10) 및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일단부에는 연통 수단(40)이 형성되며, 제2박막(50)으로 상기 내용물 연통 수단(40)의 삽입구(41)가 커버되며, 타단부에는 혼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31)가 형성되는 제2용기(30)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 수단(40)은 상기 제1용기(10)의 토출구(11)와 결합되며 상기 제1내용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삽입구(41) 및 상기 삽입구(41)의 내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박막(20)을 파열하는 파열 돌기(4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제2용기(30)의 배출구(31)을 커버하는 배출구 마개(33)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구 마개(33)는 내부 공간이 상부를 향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안쪽에는 배출구(31)에 삽입되는 바 형태의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가 배출구(31)에 삽입되면 배출구 마개(33)의 상단이 제2용기(30)의 외벽커버(34)에 밀착된다.
배출구 마개(33)의 상단이 밀착되는 외벽커버(34)의 외측면 일부는 제2용기(30)의 안쪽을 향해 원형의 환 형태로 함몰되며, 배출구 마개(33)가 외벽커버(34)에 결합되면, 서로 밀착되는 배출구 마개(33) 외측면 및 외벽커버(34)들의 표면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배출구(31)를 커버하는 배출구 마개(33)가 상기 제2용기(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혼합용기는 배출구 마개(33)를 대신하여 평소에는 상기 배출구(31)에 결합되어 배출구(31)를 밀봉하고, 회전시키거나 당기면서 뜯어내면 배출구(31)를 개봉시키는 자가파단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용기(10)는 상기 제1용기(10)의 외측면을 경질의 소재로 감싸 외부 충격을 방지하는 외벽커버(1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제2용기(30)의 외측면을 경질의 소재로 감싸 외부 충격을 방지하는 외벽 커버(3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1)에 인접한 상기 외벽커버(14)의 일부분에 제1나사결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수단(40)에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13)와 결합되는 제2나사결합부(37)들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1)의 외측부에는 토출구 나사결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수단(40)에는 상기 삽입구(41)의 내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 나사결합부(16)와 결합되는 삽입구 나사결합부(44)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1)에 인접한 상기 외벽커버(14)에는 제1결합돌기(15)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수단(40)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15)와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39)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11) 외측부에 토출구 결합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41) 내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 결합돌기(17)와 결합되는 삽입구 결합돌기(4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통수단(40)은 상기 삽입구(41)의 내측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파열 돌기(43)와 결합되고, 상기 파열돌기(43) 및 상기 삽입구(41) 사이에 내용물이 소통가능한 1개 이상의 유입구(45)들을 형성시키는 지지대(4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박막(20)은 상기 제1용기(1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박막(50)은 상기 제2용기(30)와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내부에는 제3내용물이 수용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3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61)가 형성되며, 제3박막으로 토출구(61)가 커버되며, 상기 토출부(61)는 상기 연통 수단(40)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일단에서 원통형태로 연장되어 연통 수단(80)이 형성되는 제3용기(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 수단(80)은 상기 토출구(11)와 결합되며 상기 제1내용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삽입구(81) 및 상기 삽입구(81) 내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박막(20)을 파열하는 파열 돌기(83)들이 형성되며, 제4박막으로 상기 삽입구(81)가 커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의하면, 개별 용기에 포장된 내용물로 의도치 않은 혼합이 발생하지 않으며 원하는 조합으로 선택적 혼합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용기만으로 혼합 및 사용이 가능하여 별도의 사용부나 혼합부를 구비할 필요가 없다. 주물러서 혼합하는 직관적인 사용 방법을 제공하며 적은 생산 공정 단계로 생산할 수 있는 단순한 구조로 생산성을 개선하였다. 단일 소재로 생산 가능하며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환경 측면에서 긍정적이다.
아울러, 이와 같은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도시한 내용물 연통 수단 분해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연통 수단의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토출구, 삽입구 나사결합부가 적용된 용기의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2결합돌기가 적용된 용기의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토출구, 삽입구 결합돌기가 적용된 용기의 일부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토출구, 삽입구 결합돌기가 적용된 용기의 일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도시한 용기의 결합 및 내용물의 혼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도시한 내용물 혼합 후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 3용기의 조립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구성, 동작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살펴본다. 참고로, 이하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는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개별 도면에서 동일 구성에 대한 도면 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실시예들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도시한 분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도시한 조립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도시한 내용물 연통 수단 분해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연통 수단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토출구, 삽입구 나사결합부가 적용된 용기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제1,2결합돌기가 적용된 용기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토출구, 삽입구 결합돌기가 적용된 용기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토출구, 삽입구 결합돌기가 적용된 용기의 일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도시한 용기의 결합 및 내용물의 혼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를 도시한 내용물 혼합 후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는 도1 내지 도 10에 명시한 바와 같이 제1용기(10) 내부에는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형태를 지니고 제 1내용물은 겔제, 액상, 파우더, 액상식품 등 다양한 것이 적용 가능하다. 상기 제1용기(10)의 일단부에 상기 제1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11)가 형성되고, 토출구는 제2용기(30)의 일단부에 합치되기에 적합한 형태를 지니고 있다. 토출구(11)를 커버하고 있는 제1박막(20)은 잘 가공된 알루미늄 포일 혹은 기타 비닐류 등이 적용 될 수 있다.
또한, 제2용기(30)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제 2 내용물 또한 제 1 내용물과 마찬가지로 겔제, 액상, 파우더, 액상식품 등 다양한 것이 적용 가능하다.
일단부에는 연통 수단(40)이 형성되고, 상기 연통 수단(40)은 제1용기(10)의 일단을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제1용기(10)의 외벽커버(14) 일부분을 둘러싸면서 상기 제1용기(10)의 토출구(11)와 결합되며 제1내용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삽입구(41); 삽입구(41) 내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박막(20)을 파열하는 파열 돌기(43)을 포함하고, 제2박막(50)으로 상기 연통 수단(40)의 삽입구(41)를 커버하고, 제2용기(30)의 타단부에는 혼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31)를 포함한다.
삽입구(41)의 내측부 구조는 구조상 1개 이상의 지지대를 포함 할 수 있으며 해당 지지대는 파열 시 받을 수 있는 힘을 지탱하는 강성을 충분히 발휘하고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나은 혼합을 위해서 배출구마개(33)를 열고 제1용기(10)와 제2용기(30)를 연통 수단(40)을 이용하여 연결하면, 공기의 유입이 원활하여 상기 제1내용물 및 제2내용물의 혼합이 개선된다.
구체적으로, 제1용기(10)의 일단부는 하부를 향해 내부공간이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타단은 원통형을 유지하며 소정의 거리만큼 하부를 향해 연장된 후, 축소되면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내부공간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좁은 내경을 가지는 토출구(11)가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용기(30)의 일단은 상부면 일부분이 하부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몰된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타단은 원통형태를 유지하면서 연장된 후 축소되면서 하부를 향해 연장되어 하부를 향해 배출구(31)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용기(10)의 토출구(11)를 커버할 수 있는 캡 형태의 보조 마개는 외부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용기보다 경질의 재료를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제2용기(30)의 배출구(31)을 커버하는 배출구 마개(33)는 외부 충격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2용기보다 경질의 재료를 사용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용기(30)의 배출구(31)을 커버하는 배출구 마개(33) 제2용기(30)을 지지하거나, 제1용기(10)와 결합되 제2용기(30)의 결합체를 지지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출구 마개(33)는 일단은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되어 지면에 밀착되고, 타단은 일단의 중앙부 일부분이 원통형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어 배출구(31)의 외측면을 커버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배출구 마개(33)의 내부에는 일단은 배출구 마개(33)의 일단 상부면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를 향해 축소되는 형태로 배출구 마개(33)의 타단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는 배출구 마개(33)가 배출구(31)와 결합된 상태에서 배출구(31)의 내부로 삽입되어 배출구(31)를 효과적으로 밀봉시킨다.
상기 제1용기(10)의 외측면을 감싸고 있는 외벽커버(14)는 제1용기(10)보다 경질의 소재로 감싸 외부 충격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용기(30)의 외측면을 감싸고 있는 외벽커버(34)는 제1용기(10)보다 경질의 소재로 감싸 외부 충격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용기(10)에서 토출구(11)의 상부에 해당하는 외측면에는 제1나사결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30)에 상기 제1용기(10)의 제1나사결합부(13)와 결합되는 제2나사결합부(37) 구조를 통하여 제1용기(10)와 제2용기(30)들은 개선된 결합력을 지니게 한다.
혹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1용기(10)의 토출구(11) 외측부에 토출구 나사결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30)의 삽입구(41) 내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용기(10)의 토출구 나사결합부(16)와 결합되는 삽입구 나사결합부(44)를 형성하는 구조를 통하여 제1용기(10)와 제2용기(30)들은 개선된 결합력을 지니게 한다.
혹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1용기(10)에 제1결합돌기(15)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30)에 상기 제1용기(10)의 제1결합돌기(15)와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39) 구조를 통하여 제1용기(10)와 제2용기(30)들은 개선된 결합력을 지니게 한다.
혹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1용기(10)의 토출구(11) 외측부에 토출구 결합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제2용기(30)의 삽입구(41) 내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용기(10)의 토출구 결합돌기(17)와 결합되는 삽입구 결합돌기(42) 구조를 통하여 제1용기(10)와 제2용기(30)은 보다 더 나은 결합력을 지니게 한다.
상기 삽입구(41)는 내측부에 존재하는 파열 돌기(43)를 지지하며 내용물이 소통되는 1개 이상의 유입구(45)를 포함하는 지지대 구조를 통하여 공기 유입을 원활하게 한다.
상기 제1박막(20)은 토출구(11)와 연결되고 제1용기(10)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며, 소재는 연질의 소재를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제2박막(50)은 삽입구(41)와 연결되고 제2용기(30)와 동일한 소재로 구성되며, 소재는 연질의 소재를 사용 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추가로 제3용기(60)의 추가 결합이 가능하며, 제3용기(60)는 제1용기(10)및; 제2용기(30)와 마찬가지로 연질의 재료를 사용 할 수 있다. 제3내용물은 제3용기(60)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제3용기(60)의 일단부에 상기 제3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61)가 형성되고, 토출구(61)는 제1용기(10)의 토출구(11)의 기능과 같이 필요시 연통 수단(40)과 통할 수 있다. 제3박막은 토출구(61)을 커버하고, 제3박막은 제1용기(10)에 적용된 제1박막(20) 및; 제2용기(30)에 적용된 제2박막(50)과 마찬가지로 잘 가공된 알루미늄 포일 혹은 기타 비닐류 등이 적용 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61)는 상기 제2용기(30)의 연통 수단(40)에 결합되고, 상기 제3용기(60)의 타단부에 연통 수단(80)이 형성된다.
상기 연통 수단(80)은 상기 제1용기(10)의 토출구(11)와 결합되며 제1내용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삽입구(81), 삽입구(81) 내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박막(20)을 파열하는 파열 돌기(83)을 포함한다.
제4박막은 상기 연통 수단(80)의 삽입구(81)을 커버하고, 상기 제4박막은 제1용기(10)에 적용된 제1박막(20), 제2용기(30)에 적용된 제2박막(50) 및 제3용기(60)에 적용된 제3박막과 마찬가지로 잘 가공된 알루미늄 포일 혹은 기타 비닐류 등이 적용 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제1용기 11 : 토출구
12 : 보조마개 13 : 제1나사결합부
14 : 외벽 커버 15 : 제1결합돌기
16 : 토출구 나사결합부 17 : 토출구 결합돌기
20 : 제1박막 30 : 제2용기
31 : 배출구 33 : 배출구 마개
34 : 외벽 커버 37 : 제2나사결합부 39 : 제2결합돌기 40 : 연통 수단 41 : 삽입구 42 : 삽입구 결합돌기 43 : 파열 돌기 44 : 삽입구 나사결합부 45 : 유입구 47 : 지지대 50 : 제2박막 60 : 제3용기 61 : 토출구 80 : 내용물 연통 수단 81 : 삽입구 83 : 파열돌기

Claims (11)

  1. 제1내용물이 수용되는 원통형 용기형태의 외벽커버(14) 및 상기 외벽커버(14)의 하부 중앙에서 하부를 향해 축소 연장되고 단면의 일측은 타측보다 상대적으로 하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기 제1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11)가 형성되며, 제1박막(20)으로 상기 토출구(11)의 하부가 커버되는 제1용기(10) 및
    내부에는 제2내용물이 수용되고, 연통 수단(40)이 형성되며, 타단부에는 혼합된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31)가 형성되는 제2용기(30)를 포함하고,
    상기 연통수단(40)은, 상단부는 상기 토출구(11) 외측에 해당하는 상기 외벽커버(14)의 하부에 밀착되고 하단부는 원통형태로 형성되고 내측면이 상기 토출구(11)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1내용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삽입구(41), 상기 삽입구(41) 하단부의 내측에 형성되고 상부를 향해 날카롭게 돌출되어 상기 제1박막(20)을 파열하는 파열 돌기(43), 상기 삽입구(41)의 하단부 내측면에서 상기 파열돌기(43)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파열 돌기(43)와 결합되어 복수의 유입구(45)들을 형성시키는 지지대(47)들 및 상기 삽입구(41)의 하단부 상부를 커버하는 제2박막(50)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제2용기(30)의 배출구(31)을 커버하는 배출구 마개(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 마개(33)는 상기 제2용기(30)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31)와 결합되고, 회전시키거나 당기면 파손되어 상기 배출구(31)를 개방시키는 자가파단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용기(30)는,
    상기 제2용기(30)의 외측면을 경질의 소재로 감싸 외부 충격을 방지하는 외벽 커버(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11)에 인접한 상기 외벽커버(14)의 일부분에 제1나사결합부(13)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수단(40)에는 상기 제1나사결합부(13)와 결합되는 제2나사결합부(37)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11)의 외측부에는 토출구 나사결합부(16)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수단(40)에는 상기 삽입구(41)의 내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토출구 나사결합부(16)와 결합되는 삽입구 나사결합부(4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11)에 인접한 상기 외벽커버(14)에는 제1결합돌기(15)가 형성되고, 상기 연통수단(40)에는 상기 제1결합돌기(15)와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39)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구(11) 외측부에 토출구 결합돌기(17)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구(41) 내측부에는 상기 토출구 결합돌기(17)와 결합되는 삽입구 결합돌기(4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11. 제1항에 있어서,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는 내부에는 제3내용물이 수용되고,
    일단부에 상기 제3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는 토출구(61)가 형성되며, 제3박막으로 토출구(61)가 커버되며, 상기 토출구(61)는 상기 연통 수단(40)에 결합되며, 타단부는 일단부에서 원통형태로 연장되어 연통 수단(80)이 형성되는 제3용기(6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통 수단(80)은 상기 토출구(11)와 결합되며 상기 제1내용물의 유입을 유도하는 삽입구(81) 및 상기 삽입구(81) 내측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박막(20)을 파열하는 파열 돌기(83)들이 형성되며, 제4박막으로 상기 삽입구(81)가 커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0190107272A 2019-08-30 2019-08-30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102099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72A KR102099398B1 (ko) 2019-08-30 2019-08-30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272A KR102099398B1 (ko) 2019-08-30 2019-08-30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398B1 true KR102099398B1 (ko) 2020-04-09

Family

ID=7027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272A KR102099398B1 (ko) 2019-08-30 2019-08-30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3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692A (ja) * 2004-02-20 2005-09-02 Shinji Hashimoto 互いに連結することで内容物を混合可能な容器
KR101934186B1 (ko) * 2017-03-27 2019-02-01 주식회사 솔메이트 시료 보관 및 이송이 가능한 시료 컵
KR101966163B1 (ko) * 2018-04-20 2019-04-05 주식회사 태성산업 이종화장품혼합용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31692A (ja) * 2004-02-20 2005-09-02 Shinji Hashimoto 互いに連結することで内容物を混合可能な容器
KR101934186B1 (ko) * 2017-03-27 2019-02-01 주식회사 솔메이트 시료 보관 및 이송이 가능한 시료 컵
KR101966163B1 (ko) * 2018-04-20 2019-04-05 주식회사 태성산업 이종화장품혼합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541581B2 (en) Two-component packaging for pourable media
US6073803A (en) Container
EP2862814B1 (en) Container capable of mixing multiple materials
KR200384766Y1 (ko) 이종내용물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화장품용기
US6609634B2 (en) Dispensing device and methods
US8584840B2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dispensing
KR101635810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AU672311B2 (en) Two-compartment container
US6910573B2 (en) Dual container bottle
JPH06505465A (ja) 別別に貯蔵された互いに異なる2つの製品を混合するようにした混合アセンブリ
JP2007530370A (ja) 貯蔵空間を有するキャップ構造
JP2008529919A (ja) 容器出口の蓋体構造
JP2017520489A (ja) 万能ボトルキャップ
WO2005094196A2 (en) Folding and unfolding type cap
KR10209939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JP2017132531A (ja) 注出容器
KR200486192Y1 (ko) 스포이드가 장착된 혼합용 용기
KR20230079759A (ko) 내용물 용기
CN217309436U (zh) 不同种类化妆品混合容器
CN111788008B (zh) 用于双液体组分包装的装置
KR102685001B1 (ko) 이종 화장품 혼합 용기
JP5193936B2 (ja) 混合容器
KR20200144661A (ko) 이액형 화장품 용기
CN112188983A (zh) 分配系统
KR20090089622A (ko) 물질의 순간 혼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물질의 순간 혼합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