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6163B1 - 이종화장품혼합용기 - Google Patents

이종화장품혼합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6163B1
KR101966163B1 KR1020180046341A KR20180046341A KR101966163B1 KR 101966163 B1 KR101966163 B1 KR 101966163B1 KR 1020180046341 A KR1020180046341 A KR 1020180046341A KR 20180046341 A KR20180046341 A KR 20180046341A KR 101966163 B1 KR101966163 B1 KR 1019661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ealing member
cosmetics
member head
m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6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성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성산업
Priority to KR1020180046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61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6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6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8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adapted to discharge d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종화장품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두 종류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이종화장품혼합용기에 있어서, 직선관 형태의 하부용기부와; 직선관 형태의 상부용기바디부와 상기 상부용기바디부 쪽이 넓은 하광상협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상부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안내부와 상기 배출안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스포이드관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용기바디부의 하단이 상기 하부용기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용기부에 결합된 상부용기부와; 요형(凹形)의 주머니바디부와 상기 주머니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주머니목부를 가지고, 상기 주머니목부의 상단이 상기 상부용기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용기부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재질의 누름주머니와; 밀폐부재헤드부와 상기 밀폐부재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직선상으로 연장형성된 작동축부를 가지고, 상기 밀폐부재헤드부가 상기 주머니바디부를 밀폐하고 상기 작동축부가 상기 주머니바디부의 하단을 향하도록 상기 누름주머니의 내부에 설치된 밀폐부재와; 상기 스포이드관부의 종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용기부에 결합된 밀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화장품의 혼합동작이 간단하고, 혼합화장품 저장량이 증가하고, 혼합촉진기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비의도적으로 화장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장품의 도포동작이 간단해진다.

Description

이종화장품혼합용기{A container for storing and mixing different kinds of cosmetics}
본 발명은 이종화장품혼합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 종류의 화장품을 하나의 용기에 분리된 상태로 함께 저장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두 종류의 화장품을 혼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용기에 관한 것이다.
성분이 다른 화장품을 미리 혼합하게 되면 혼합상태에서의 화학적인 반응 등으로 인하여 변질되거나 또는 효능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두 개의 용기에 화장품을 따로 저장한 후 사용자가 하나의 용기에 저장된 화장품을 다른 용기로 옮겨 담는 방법으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사용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하기 위해 두 종류의 화장품을 하나의 용기에 분리된 상태로 함께 저장한 후,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두 종류의 화장품을 혼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이종화장품혼합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혼합된 화장품을 스포이드관을 통해 도포하는 이종화장품혼합용기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4는 종래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15는 종래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단면도이다.
종래의 이종화장품혼합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부(120)와, 용기부(120)에 설치된 블레이드(130) 및 스포이드부(140)를 갖고 있다.
용기부(120)는 요형(凹形)의 용기바디부(121)와, 용기바디부(121)의 상단에 형성된 용기목부(122)를 갖고 있다.
블레이드(130)는 관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블레이드(130)는 상단에 걸림플랜지(131)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고, 하단에는 캡걸림턱(132)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블레이드(130)는 걸림플랜지(131)를 통해 용기목부(122)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용기목부(122)의 내부에 설치된다.
스포이드부(140)는 누름주머니(150)와, 용기목부(122)에 결합된 용기캡(141)과, 누름주머니(150)에 결합된 스포이드관(142)과, 스포이드관(142)의 종단에 결합된 밀폐캡(143)을 갖고 있다..
누름주머니(150)는 일영역에 배출개구가 형성된 중공(中空)의 주머니바디부(151)와, 주머니바디부(151)의 배출개구에 연통하도록 주머니바디부(151)에 형성된 주머니목부(152)를 갖고 있다.
주머니목부(152)는 내표면에 내부결합홈(152a)이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에는 외부결합홈(15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누름주머니(150)는 실리콘고무, 천연고무,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용기캡(141)은 상단에 가압플랜지(141a)가 내측으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용기캡(141)은 내표면에 형성된 나사홈을 통해 용기목부(122)에 결합된다. 용기캡(141)의 결합은 가압플랜지(141a)가 외부결합홈(152b)에 삽입된 상태에서 주머니목부(152)를 용기목부(122)를 향해 가압하도록 이루어진다..
스포이드관(142)은 상단에 주머니결합턱(142a)이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스포이드관(142)은 하단이 블레이드(130)를 통과하여 용기바디부(12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스포이드관(142)의 설치는 주머니결합턱(142a)이 내부결합홈(152a)에 억지끼움되도록 이루어진다..
밀폐캡(143)은 요형(凹形)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단에는 걸림작용플랜지(143b)가 외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다.
밀폐캡(143)은 바닥면 중앙에 밀폐돌기(143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밀폐캡(143)은 밀폐돌기(143a)가 스포이드관(142)의 하단을 밀폐하도록 스포이드관(142)의 하단에 결합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이종화장품혼합용기에 따라 화장품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16, 도17 도1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용기캡(141)을 용기목부(122)로부터 분리시킨다(도16 참조)..
다음에 걸림작용플랜지(143b)가 밀폐캡걸림턱(132)에 걸려 밀폐캡(143)이 스포이드관(14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스포이드관(142)을 잡아당긴다(도16 참조)..
다음에 주머니바디부(151)를 가압하여 스포이드관(142)과 누름주머니(150)에 저장된 화장품을 용기부(120)의 내부로 배출시킨다(도17 참조)..
다음에 용기캡(141)을 용기목부(122)에 다시 결합한다(도18 참조)..
다음에 용기 전체를 흔든다. 용기 전체를 흔들 때 밀폐캡(143)에 의해 혼합이 촉진된다.
다음에 혼합화장품을 스포이드관(142)으로 흡입한 상태로 외부로 꺼집어낸 후 혼합화장품을 배출시켜 피부 등에 도포한다.
그런데 종래의 이종화장품혼합용기에 따르면, 용기캡(141)을 용기목부(122)로부터 분리하는 조작, 밀폐캡(143)이 스포이드관(14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스포이드관(142)을 잡아당기는 조작, 주머니바디부(151)를 가압하는 조작, 용기캡(141)을 용기목부(122)에 다시 결합하는 조작 및 용기 전체를 흔드는 조작을 통해 화장품이 혼합되기 때문에 화장품의 혼합동작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혼합된 화장품은 스포이드부(140)에는 저장되지 않고 용기부(120)에만 저장되기 때문에 혼합화장품의 저장량이 적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화장품의 혼합시 밀폐캡(143)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혼합촉진 기여도가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누름주머니(150)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비의도적으로 화장품이 혼합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스포이드관(142)이 용기부(120)의 내부에 배치되기 때문에 화장품의 도포동작이 복잡하다(혼합화장품을 스포이드관으로 흡입한 후 외부로 꺼집어내야 함)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1605호(공개일자 2016년 05월 16일, 고안의 명칭 : 스포이드형 이액 혼합용기)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이종화장품혼합용기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의 혼합동작이 간단하고, 혼합화장품 저장량이 증가하고, 혼합촉진기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비의도적으로 화장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화장품의 도포동작이 간단한 이종화장품혼합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두 종류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이종화장품혼합용기에 있어서, 직선관 형태의 하부용기부와; 직선관 형태의 상부용기바디부와 상기 상부용기바디부 쪽이 넓은 하광상협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상부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안내부와 상기 배출안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스포이드관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용기바디부의 하단이 상기 하부용기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용기부에 결합된 상부용기부와; 요형(凹形)의 주머니바디부와 상기 주머니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주머니목부를 가지고, 상기 주머니목부의 상단이 상기 상부용기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용기부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재질의 누름주머니와; 밀폐부재헤드부와 상기 밀폐부재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직선상으로 연장형성된 작동축부를 가지고, 상기 밀폐부재헤드부가 상기 주머니바디부를 밀폐하고 상기 작동축부가 상기 주머니바디부의 하단을 향하도록 상기 누름주머니의 내부에 설치된 밀폐부재와; 상기 스포이드관부의 종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용기부에 결합된 밀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화장품혼합용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누름주머니의 가압조작이 용이하도록, 상기 주머니바디부의 하단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하부용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용기부의 내부에 설치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밀폐부재헤드부가 스포이드관부의 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배출안내부는 상기 스포이드관부의 둘레영역에 상기 밀폐부재헤드부가 상기 스포이드관부의 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로차단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작동축부가 스포이드관부의 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밀폐부재헤드부의 상단과 상기 작동축부의 하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상부용기바디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은 힘으로 밀폐부재를 누름주머니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누름주머니에 저장되는 화장품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밀폐부재헤드부는 저면에 변형보조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부는 상기 변형보조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단에 스포이드관부가 형성된 상부용기부의 하단이 하부용기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부용기부를 하부용기부에 결합하고 주머니목부의 상단이 상부용기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부용기부의 내부에 누름주머니를 설치하는 한편, 밀폐부재헤드부와 밀폐부재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직선상으로 연장형성된 작동축부를 갖는 밀폐부재를 밀폐부재헤드부가 주머니바디부를 밀폐하고 작동축부가 주머니바디부의 하단을 향하도록 누름주머니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화장품의 혼합동작이 간단해지고(누름주머니를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화장품이 혼합됨), 혼합화장품 저장량이 증가하고(누름주머니의 내부공간에 혼합화장품이 저장될 수 있음), 혼합촉진기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밀폐부재가 화장품의 혼합시 혼합을 촉진함), 비의도적으로 화장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누름주머니는 하부용기부의 내부에 설치됨), 화장품의 도포동작이 간단해진다(스포이드관이 하부용기부의 외부에 배치됨).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결합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분해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의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용기부의 부분절취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단면도,
도6은 도5의 A-A'선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캡의 부분절취 사시도,
도8, 도9 및 도10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조립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1 및 도12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을 혼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3은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화장품을 도포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14는 종래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결합사시도,
도15는 종래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단면도,
도16, 도17 및 도18은 각각 종래 이종화장품혼합용기에 따라 화장품을 혼합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부재의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부용기부의 부분절취 사시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단면도이고, 도6은 도5의 A-A'선 단면도이고,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밀폐캡의 부분절취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화장품혼합용기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관 형태의 하부용기부(11)와, 하부용기부(11)에 결합된 상부용기부(20)와, 하부용기부(11)의 내부에 설치된 누름주머니(30)와, 누름주머니(30)의 내부에 설치된 밀폐부재(40)와, 하부용기부(11)의 내부에 설치된 버튼(50)과, 상부용기부(20)에 결합되는 밀폐캡(60)을 갖고 있다.
하부용기부(11)는 내표면 상측에 상부용기결합홈(11a)과 상부용기지지턱(11e)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용기부(11)는 내표면 중간영역에 주머니지지턱(11b)이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 하단 인접영역에는 버튼걸림턱(11c)이 형성되어 있다.
하부용기부(11)는 상부용기결합홈(11a)과 상부용기지지턱(11e) 사이 영역에 다수의 회전방지홈(11d)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방지홈(11d)은 하부용기부(11)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고, 각각 하부용기부(11)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부용기부(20)는 직선관 형태의 상부용기바디부(21)와, 상부용기바디부(2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안내부(22)와, 배출안내부(22)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스포이드관부(23)와, 스포이드관부(23)의 종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밀폐홈부(24)를 갖고 있다.
상부용기바디부(21)는 외표면 상측에 밀폐캡결합돌부(21a)가 형성되어 있고, 외표면 중간영역에는 하부용기결합돌부(21b)가 형성되어 있다.
상부용기바디부(21)는 상부용기결합홈(11a)의 하측에 두 그룹의 회전방지돌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각 그룹의 회전방지돌부(21c)는 상부용기바디부(21)의 둘레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있고, 각각 상부용기부(20)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배출안내부(22)는 상부용기바디부(21) 쪽이 넓은 하광상협(下廣上狹)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배출안내부(22)는 스포이드관부(23)의 둘레영역에 유로차단방지돌기(22a)가 형성되어 있다.
유로차단방지돌기(22a)는 후술하는 밀폐부재헤드부(41)가 스포이드관부(23)의 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밀폐홈부(24)에는 스포이드관부(23)의 종단에 연통하도록 밀폐홈(24a)이 절취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상부용기부(20)는 회전방지돌부(21c)가 회전방지홈(11d)에 삽입되고 하부용기결합돌부(21b)가 상부용기결합홈(11a)에 삽입되고 회전방지돌부(21c)의 하단이 상부용기지지턱(11e)에 지지되도록 하부용기부(11)에 결합된다..
상부용기부(20)의 결합은 상부용기바디부(21)의 하단이 하부용기부(1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누름주머니(30)는 요형(凹形)의 주머니바디부(31)와, 주머니바디부(31)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주머니목부(32)를 갖고 있다.
주머니목부(32)는 외표면에 하부용기결합돌부(32a)가 형성되어 있고, 내표면에는 밀폐부재결합홈(3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누름주머니(30)는 하부용기결합돌부(32a)가 상부용기바디부(21)의 하단과 주머니지지턱(11b) 사이에서 주머니지지턱(11b)에 지지되도록 하부용기부(11)의 내부에 설치된다. 누름주머니(30)의 설치는 주머니목부(32)의 상단이 상부용기바디부(2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누름주머니(30)는 실리콘고무, 천연고무, 엘라스토머와 같은 탄성재질로 제작된다.
밀폐부재(40)는 밀폐부재헤드부(41)와, 밀폐부재헤드부(41)의 저면으로부터 직선상으로 연장형성된 작동축부(42)를 갖고 있다.
밀폐부재헤드부(41)는 저면에 변형보조홈(41a)이 절취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는 주머니결합돌부(41b)가 형성되어 있다.
작동축부(42)는 변형보조홈(41a)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밀폐부재(40)는 밀폐부재헤드부(41)의 상단과 작동축부(42)의 하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부용기바디부(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밀폐부재(40)는 주머니결합돌부(41b)가 밀폐부재결합홈(32b)에 억지끼움되도록 누름주머니(30)의 내부에 설치된다. 밀폐부재(40)의 설치는 밀폐부재헤드부(41)가 주머니바디부(31)를 밀폐하고 작동축부(42)가 주머니바디부(31)의 하단을 향하도록 이루어진다.
버튼(50)은 요형(凹形)의 버튼바디부(51)와, 버튼바디부(51)의 바닥면에 형성된 가압관부(52)를 갖고 있다.
버튼바디부(51)는 외표면 상측에 하부용기걸림돌부(51a)가 형성되어 있다..
가압관부(52)는 버튼바디부(51)보다 낮은 높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버튼(50)은 하부용기걸림돌부(51a)가 버튼걸림턱(11c)을 넘어가도록 하부용기부(11)의 내부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버튼(50)은 주머니바디부(31)의 하단을 가압한 상태로 하부용기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밀폐캡(60)은 밀폐캡바닥면부(61)와, 밀폐캡바닥면부(61)의 둘레연부로부터 연장형성된 관형태의 밀폐캡측면부(62)를 갖고 있다.
밀폐캡바닥면부(61)에는 밀폐홈(24a)에 대응하는 밀폐돌기(61a)가 형성되어 있다.
밀폐캡측면부(62)는 내표면에 캡상부용기결합홈(61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밀폐캡(60)은 캡상부용기결합홈(61a)에 밀폐캡결합돌부(21a)가 삽입되도록 상부용기부(20)에 결합된다. 밀폐캡(60)의 결합은 밀폐돌기(61a)가 밀폐홈(24a)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화장품혼합용기의 조립방법을 도8, 도9 및 도10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버튼(50)이 하부용기부(11)에 설치된 상태로 누름주머니(30)를 하부용기부(11)의 내부에 설치한다(도8 참조).
다음에 누름주머니(30)에 화장품을 넣는다.
다음에 밀폐부재(40)를 누름주머니(30)에 설치한다..
다음에 밀폐캡(60)이 결합된 상태로 상부용기부(20)에 화장품을 주입한다(도9 참조).
마지막으로 버튼(50), 누름주머니(30), 밀폐부재(40)가 설치된 하부용기부(11)와 상부용기부(20)를 결합한다(도10 참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종화장품혼합용기에 따라 화장품을 혼합하는 방법을 도11 및 도1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폐캡(60)을 향해 버튼(50)을 가압한다..
버튼(50)이 가압되면 가압관부(52)는 주머니바디부(31)를 가압하고 이에 따라 주머니바디부(31)는 작동축부(42)에 접촉한다(도11 참조)..
주머니바디부(31)가 작동축부(42)에 접촉한 후 버튼(50)이 계속 가압되면 밀폐부재(40)는 누름주머니(30)로부터 분리되고 이에 따라 누름주머니(30)에 저장된 화장품과 상부용기부(20)에 저장된 화장품은 혼합된다(도12참조)..
다음에 화장품이 잘 섞이도록 용기 전체를 흔든다. 용기 전체를 흔들 때 밀폐부재(40)에 의해 혼합이 촉진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저장된 혼합화장품을 도포하는 방법을 도1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폐캡(60)을 상부용기부(20)로부터 분리한다.
다음에 버튼(50)을 가압하여 스포이드관부(23)를 통해 화장품을 배출시켜 피부 등에 도포한다.
화장품을 도포할 때 유로차단방지돌기(22a)는 밀폐부재헤드부(41)가 스포이드관부(23)의 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리고 밀폐부재헤드부(41)의 상단과 작동축부(42)의 하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부용기바디부(21)의 직경보다 크게 밀폐부재(40)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축부(42)가 스포이드관부(23)의 입구를 막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밀폐캡(60)을 상부용기바디부(21)에 결합하도록 구성하고 있으나, 본 명세서에 제시된 종래기술의 경우와 같이 스포이드관부(23)의 종단에 결합하는 등 다른 형태로 밀폐캡을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단에 스포이드관부(23)가 형성된 상부용기부(20)의 하단이 하부용기부(1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부용기부(20)를 하부용기부(11)에 결합하고 주머니목부(32)의 상단이 상부용기바디부(21)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부용기부(11)의 내부에 누름주머니(30)를 설치하는 한편, 밀폐부재헤드부(41)와 밀폐부재헤드부(41)의 저면으로부터 직선상으로 연장형성된 작동축부(42)를 갖는 밀폐부재(40)를 밀폐부재헤드부(41)가 주머니바디부(31)를 밀폐하고 작동축부(42)가 주머니바디부(31)의 하단을 향하도록 누름주머니(30)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화장품의 혼합동작이 간단해지고(누름주머니를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화장품이 혼합됨), 혼합화장품 저장량이 증가하고(누름주머니의 내부공간에 혼합화장품이 저장될 수 있음), 혼합촉진 기여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밀폐부재가 화장품의 혼합시 혼합을 촉진함), 비의도적으로 화장품이 혼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누름주머니는 하부용기부의 내부에 설치됨), 화장품의 도포동작이 간단해진다(스포이드관이 하부용기부의 외부에 배치됨).
그리고 누름주머니(30)를 가압조작하기 위한 버튼(50)을 하부용기부(11)의 내부에 설치함으로써, 누름주머니(30)의 가압조작이 용이해진다..
또한 배출안내부(22)에 유로차단방지돌기(22a)를 형성함으로써, 밀폐부재헤드부(41)가 스포이드관부(23)의 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밀폐부재헤드부(41)의 상단과 작동축부(42)의 하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부용기바디부(21)의 직경보다 크게 밀폐부재(40)를 형성함으로써, 작동축부(42)가 스포이드관부(23)의 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밀폐부재헤드부(41)에 변형보조홈(41a)을 형성하고 작동축부(42)를 변형보조홈(41a)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 형성함으로써, 적은 힘으로 밀폐부재(40)를 누름주머니(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고 누름주머니(30)에 저장되는 화장품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11 : 하부용기부 20 : 상부용기부
21 : 상부용기바디부 22 : 배출안내부
23 : 스포이드관부 30, 150 : 누름주머니
31, 151 : 주머니바디부 32, 152 : 주머니목부
40 : 밀폐부재 41 : 밀폐부재헤드부
42 : 작동축부 50 : 버튼
51 : 버튼바디부 52 : 가압관부
60, 143 : 밀폐캡 142 : 스포이드관

Claims (5)

  1. 두 종류의 화장품을 혼합하여 사용하기 위한 이종화장품혼합용기에 있어서,
    직선관 형태의 하부용기부와;
    직선관 형태의 상부용기바디부와 상기 상부용기바디부 쪽이 넓은 하광상협구조를 이루도록 상기 상부용기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배출안내부와 상기 배출안내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스포이드관부를 가지고, 상기 상부용기바디부의 하단이 상기 하부용기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용기부에 결합된 상부용기부와;
    요형(凹形)의 주머니바디부와 상기 주머니바디부의 상단으로부터 연장형성된 주머니목부를 가지고, 상기 주머니목부의 상단이 상기 상부용기바디부의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하부용기부의 내부에 설치된 탄성재질의 누름주머니와;
    밀폐부재헤드부와 상기 밀폐부재헤드부의 저면으로부터 직선상으로 연장형성된 작동축부를 가지고, 상기 밀폐부재헤드부가 상기 주머니바디부를 밀폐하고 상기 작동축부가 상기 주머니바디부의 하단을 향하도록 상기 누름주머니의 내부에 설치된 밀폐부재와;
    상기 스포이드관부의 종단을 밀폐하도록 상기 상부용기부에 결합된 밀폐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화장품혼합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머니바디부의 하단을 가압한 상태로 상기 하부용기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용기부의 내부에 설치된 버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화장품혼합용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안내부는 상기 스포이드관부의 둘레영역에 상기 밀폐부재헤드부가 상기 스포이드관부의 입구를 막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유로차단방지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화장품혼합용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밀폐부재헤드부의 상단과 상기 작동축부의 하단 사이의 이격거리가 상기 상부용기바디부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화장품혼합용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헤드부는 저면에 변형보조홈이 절취 형성되어 있고;
    상기 작동축부는 상기 변형보조홈의 바닥면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화장품혼합용기.
KR1020180046341A 2018-04-20 2018-04-20 이종화장품혼합용기 KR101966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341A KR101966163B1 (ko) 2018-04-20 2018-04-20 이종화장품혼합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6341A KR101966163B1 (ko) 2018-04-20 2018-04-20 이종화장품혼합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6163B1 true KR101966163B1 (ko) 2019-04-05

Family

ID=66104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6341A KR101966163B1 (ko) 2018-04-20 2018-04-20 이종화장품혼합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616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398B1 (ko) * 2019-08-30 2020-04-09 홍대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220075247A (ko) 2020-11-27 2022-06-08 주식회사 메이커빌 맞춤형 화장품 제조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202B1 (ko) * 2002-07-15 2005-11-22 로레알 1 이상의 제품, 특히 화장품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JP5020972B2 (ja) * 2005-12-19 2012-09-05 ミン リー、ジュン 異種物質の貯蔵空間を有する加圧方式キャップ受容装置
KR101431518B1 (ko) * 2013-09-04 2014-08-2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이액용기
WO2016080685A1 (ko) * 2014-11-20 2016-05-26 (주)아모레퍼시픽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202B1 (ko) * 2002-07-15 2005-11-22 로레알 1 이상의 제품, 특히 화장품을 포장하기 위한 장치
JP5020972B2 (ja) * 2005-12-19 2012-09-05 ミン リー、ジュン 異種物質の貯蔵空間を有する加圧方式キャップ受容装置
KR101431518B1 (ko) * 2013-09-04 2014-08-21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화장품 이액용기
WO2016080685A1 (ko) * 2014-11-20 2016-05-26 (주)아모레퍼시픽 누름주머니가 구비된 이액 혼합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9398B1 (ko) * 2019-08-30 2020-04-09 홍대기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220075247A (ko) 2020-11-27 2022-06-08 주식회사 메이커빌 맞춤형 화장품 제조 용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2265C2 (ru) Система укупорив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герметизацией крышки
JP5778784B2 (ja) 容器用分配キャップ
EP2092986B1 (en) Airless dispensing pump with tamper evidence features
KR20020050258A (ko) 사용이 용이한 연결 장치
JP5285918B2 (ja) 容器
KR101966163B1 (ko) 이종화장품혼합용기
US20060097012A1 (en) Single-dose cosmetic sample dispenser
JP2002302145A (ja) ハーメチックシール容器用閉成インサート及びハーメチックシール容器
US10894633B2 (en) Cosmetic container
KR200449631Y1 (ko) 수동식 드롭퍼
KR20220024037A (ko) 펌프 어셈블리 및 내용물 배출 기능을 갖는 용기
CN110352166B (zh) 盖的密封结构
CN105709648A (zh) 具有容器穿孔部件的多相液体混合容器
JP2009106813A (ja) 複数液混合用エアゾール装置
CN113827023A (zh) 容器
US11560268B2 (en) Device for packaging at least a first and a second fluid
JPH10235241A (ja) プッシュタイプディスペンサー
EP3290351B1 (en) Liquid container sealing device
KR10197886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 용기
JP5736240B2 (ja) 薬液容器
KR20230079759A (ko) 내용물 용기
KR200485890Y1 (ko) 고무링이 삽입된 스크류 타입 에어리스 펌프 용기
CN110366527B (zh) 带狭缝阀的盖
CN110371433A (zh) 一种双物料合装压泵瓶
KR200336105Y1 (ko) 이종액체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