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559B1 -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Derivatives of Ginsenoside Rh2 - Google Patents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Derivatives of Ginsenoside Rh2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559B1
KR102084559B1 KR1020180142056A KR20180142056A KR102084559B1 KR 102084559 B1 KR102084559 B1 KR 102084559B1 KR 1020180142056 A KR1020180142056 A KR 1020180142056A KR 20180142056 A KR20180142056 A KR 20180142056A KR 102084559 B1 KR102084559 B1 KR 102084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oside
skin
derivative
collagen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205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성준엽
이승호
박채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801420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559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55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alleviating skin wrinkles containing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or a salt thereof. Since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has an effect of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the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lleviates skin wrinkles, improves skin elasticity, and regenerates skin.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Derivatives of Ginsenoside Rh2}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including ginsenoside Rh2 derivatives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Derivatives of Ginsenoside Rh2}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comprising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피부는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노화 현상이 심화된다. 피부가 오랜 기간에 걸쳐 햇빛에 노출되면 표피와 진피 조직에 변화가 일어나게 되어 주름살이 증가하고 피부가 두꺼워지며 탄력이 없어지고, 또한 거칠어져 반점이 된다. 이와 같은 피부 노화는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시킴으로써 지연시킬 수 있으므로, 콜라겐의 합성을 증진시키면서도 생체에 안전한 물질을 개발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As the skin ages, aging worsens. Skin over long period of time Exposure causes changes in the epidermis and dermis tissue, leading to increased wrinkles, thickening of the skin, loss of elasticity, and roughness and spots. As such skin aging can be delayed by enhancing collagen synthesis, studies are being actively conducted to develop substances that are safe for the living body while enhancing collagen synthesis.

콜라겐은 세포외 기질(extracellular matrix)의 주요 구성 성분이며, 피부의 섬유아세포에서 생성되는 주요 기질 단백질이다. 또한, 생체 단백질 총 중량의 약 30%를 차지하는 중요한 단백질로서 견고한 3중 나선 구조로 되어있다. 콜라겐은 피부, 건(tendon), 뼈 및 치아의 유기물질의 대부분을 형성하는데, 특히 뼈와 피부에 함량이 높다. 대부분의 다른 체내 구조물에서는 섬유상 봉입체로서 존재한다. Collagen is a major constituent of the extracellular matrix and is the major substrate protein produced in the fibroblasts of the skin. It is also an important protein, accounting for about 30% of the total weight of biological proteins, and has a solid triple helix structure. Collagen forms most of the organic matter in the skin, tendons, bones and teeth, especially in bones and skin. Most other body structures exist as fibrous inclusions.

콜라겐의 주된 기능으로는 피부의 기계적 견고성, 결합조직의 저항력과 조직의 결합력, 세포 접착의 지탱, 세포 분할과 분화(유기체의 성장 혹은 상처 치유시)의 유도 등이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에 들어 피부 노화에 대한 광범위한 연구가 이루어지면서 피부에서 콜라겐의 중요한 기능이 밝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콜라겐은 연령 및 자외선 조사에 의한 광노화에 의해 감소하며, 이는 피부의 주름 형성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콜라겐은 상처 치유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손상된 상피에서 콜라겐의 합성을 촉진시켜서 상처를 신속하고 흉터 없이 회복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콜라겐 합성 촉진에 의해 콜라겐 대사가 활발해지면 진피 매트릭스의 성분이 증가되어 주름개선, 탄력증진, 피부강화 및 상처치유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main functions of collagen are known as mechanical firmness of skin, resistance of connective tissue and binding of tissue, support of cell adhesion, induction of cell division and differentiation (in organic growth or wound healing). In recent years, extensive research on skin aging has revealed an important function of collagen in the skin. For example, collagen is reduced by photoaging by age and ultraviolet irradiation, which is known to be closely related to wrinkle formation of the skin. Collagen also plays an important role in wound healing and promotes the synthesis of collagen in the damaged epithelium so that wounds can be recovered quickly and without scars. As described above, if collagen metabolism is promoted by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the components of the dermal matrix are increased, and thus the effects of wrinkle improvement, elasticity enhancement, skin strengthening and wound healing can be expected.

이러한 효과를 얻기 위하여 종래에는 콜라겐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이용하기 위하여 화장품에 콜라겐을 배합한 제품들이 출시되어 있으나, 이들 화장품은 콜라겐을 피부 표면에 도포하는 것으로서, 고분자인 콜라겐의 경피흡수가 어려워 주름 개선 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므로 본질적인 피부 기능 개선이라고 말할 수 없었다.In order to obtain such effects, conventionally, products using collagen have been released in order to take advantage of the skin wrinkle improvement effect of collagen, but these cosmetics apply collagen to the skin surface, and it is difficult to absorb percutaneous polymer collagen, which is difficult to wrinkle. Because no improvement could be expected, it could not be said to be an essential skin function improvement.

따라서, 피부 자체에서 콜라겐 합성을 촉진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으며, 종래에 콜라겐 합성을 촉진할 수 있는 물질로는 레티노산(retinoic acid), TGF(transforming growth factor), 클로렐라 추출물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레티노산은 불안정하고 피부 적용시 자극, 발적 등의 안정성 문제로 사용량의 제한이 있으며, 클로렐라 추출물 등은 효과가 미미하여 실질적으로 피부의 콜라겐 합성 촉진에 의한 피부 기능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없다. 따라서, 생체에 안전하고 기존의 콜라겐 합성 촉진 물질보다 효과가 높은 새로운 콜라겐 합성 촉진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nterest in substances that can promote collagen synthesis in the skin itself has increased, and conventionally, substances capable of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include retinoic acid,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 and chlorella extract. Known. However, retinoic acid is unstable and there is a limit to the amount of use due to stability problems such as irritation, redness, etc. when applying the skin, chlorella extract, etc. are insignificant, and can not be expected to substantially improve the skin function by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of the skin.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ollagen synthesis promoter that is safe for the living body and is more effective than the existing collagen synthesis promoter.

이와 같은 피부 주름을 억제하거나, 진행 속도를 완화시키기 위하여, 레티놀, 레티노이드, 비타민 C, 플라보노이드, 토코페롤 등의 여러 가지 피부 보호 성분이 함유된 화장료 또는 피부 보호제가 개발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화장료 또는 피부 보호제는 최종적인 제형에 있어서 역가가 떨어져 그 효능이 경미하고, 피부 자극이 심한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피부 주름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노화를 개선할 수 있는 효능을 나타내는 물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In order to suppress such wrinkles or to slow the progression of the skin, cosmetics or skin protectants containing various skin protection ingredients such as retinol, retinoids, vitamin C, flavonoids and tocopherol have been developed. In the final formulation, the potency is low, the efficacy is slight, and the skin irritation has a serious problem.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material that exhibits the effect of improving skin aging by reducing skin wrinkles.

진세노사이드는 항암 효과, 면역 증강 효과, 항피로 작용 등이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진세노사이드 복합 물질이 진세노사이드 이외의 성분이 많아 재현성을 비롯한 품질 관리에 어려움이 있었던 것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진세노사이드 Rh2를 비롯한 다양한 진세노사이드를 소정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이 조성물의 폐암 치료 효과가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진세노사이드 Rh2를 포함하는 혼합물의 항암 효과는 개시되어 있으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진세노사이드 Rh2에 치환기를 도입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확인된 바 없다. Ginsenosides have been reported to have anticancer effects, immune enhancing effects, and anti-fatigue effects. Patent Document 1, as a means for solving the difficulty in quality control including reproducibility because ginsenoside composite material has a lot of components other than ginsenoside, containing various ginsenosides, including ginsenoside Rh2 in a predetermined amount A composition is disclosed, and the effect of treating the lung cancer of the composition is disclosed. 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anticancer effect of the mixture containing ginsenoside Rh2 is disclosed, a technique of introducing a substituent to ginsenoside Rh2 has not been confirmed in order to increase the skin wrinkle improving effect.

또한, 생리 효과가 우수한 화합물이더라도 혼합물이 아닌 단일 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세포 독성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화합물을 기능성 성분으로 사용할 때에, 안전한지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In addition, even if the compound having excellent physiological effects may be cytotoxic when used as a single component instead of a mixture, it is necessary to confirm whether the compound is safe when using the compound as a functional component.

한국 등록특허 제892764호Korean Registered Patent No.892764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의 주름 증상을 개선하면서도 세포 독성이 적어 안전성이 높은 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high safety material with less cytotoxicity while improving wrinkle symptoms of the skin.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wrinkles of the skin comprising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or a salt thereof; 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elasticity of the skin, including ginsenoside Rh2 derivatives, or salts thereof; And it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or a salt thereof.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며, 세포 독성이 낮으므로, 콜라겐 합성 촉진을 목적으로 고함량 처리가 가능하다. 따라서,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피부 재생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collagen synthesis and has low cytotoxicity, so that high content treatment can be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promoting collagen synthesis. Therefore, ginsenoside Rh2 derivative can be used for skin wrinkle improvement, skin elasticity improvement, and skin regeneration.

도 1은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의 세포 독성 평가 결과이다; Untreated: 시료 무처리군, 10% FBS+: 시료 처리하지 않고, 10% FBS 첨가한 군. 20, 10, 5, 2, 1: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 처리 농도(단위: ㎍/㎖).
도 2는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의 콜라겐 합성 평가 결과이다.
1 is a cytotoxicity evaluation results of ginsenoside Rh2 derivatives; Untreated: untreated sample, 10% FBS +: untreated, 10% FBS added. 20, 10, 5, 2, 1: Ginsenoside Rh2, or ginsenoside Rh2 derivative treatment concentration (unit: µg / ml).
2 shows collagen synthesis evaluation results of ginsenoside Rh2 derivatives.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은 피부 개선을 위한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use of ginsenoside Rh2 derivatives for skin improvement.

진세노사이드 Rh2는 하기 식으로 나타낸다:Ginsenoside Rh2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18114476253-pat00001
.
Figure 112018114476253-pat00001
.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위 진세노사이드 Rh2의 화학식을 기반으로 만들어진다.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진세노사이드 Rh2 화학식의 탄소 위치에 치환기가 도입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번째 탄소 내지 27번째 탄소 위치에 치환기가 도입된 것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4번째 탄소 내지 27번째 탄소 위치에 치환기가 도입된 것일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25번째 탄소 위치에 치환기가 도입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Ginsenoside Rh2 derivatives are made based on the chemical formula of the above ginsenoside Rh2.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may be a substituent introduced at a carbon position of the ginsenoside Rh2 formula, preferably a substituent may be introduced at a 20th to 27th carbon position, and more preferably a 24th carbon. The substituent may be introduced to the 27th carbon position, and most preferably, the substituent may be introduced at the 25th carbon positio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하기 화학식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Ginsenoside Rh2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one having the following formula.

Figure 112018114476253-pat00002
Figure 112018114476253-pat00002

상기 화학식에서 R은 수소, 수산기, 및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고, 상기 탄소수 1 내지 5의 알킬기는 히드록시알킬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에서 R은 바람직하게는 수산기 또는 탄소수 1 내지 5의 히드록시알킬기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수산기일 수 있다.In the above formula, R may be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hydrogen, a hydroxyl group, and an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and the 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may be a hydroxyalkyl group. In the above formula, R may preferably be a hydroxyl group or a hydroxy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more preferably a hydroxyl group.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서는,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로서 25-하이드록시 진세노사이드 Rh2(25-Hydroxy ginsenoside Rh2)를 피부 섬유아세포에 처리하면, 진세노사이드 Rh2보다 세포 독성이 낮으며, 세포 독성이 없는 고농도 처리시에 진세노사이드 Rh2 보다 콜라겐 합성 효과가 우수하였다.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25-hydroxy ginsenoside Rh2 (25-Hydroxy ginsenoside Rh2) is treated to dermal fibroblasts as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cytotoxicity is lower than that of ginsenoside Rh2 and cytotoxic. In the high concentration treatment without the collagen synthesis effect was better than ginsenoside Rh2.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이의 염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염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산 및 염기 부가염 모두를 포함한다. 예시적인 염은 설페이트,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옥살레이트, 클로라이드, 브로마이드, 요오다이드, 니트레이트, 바이설페이트, 포스페이트, 아이소니코티네이트, 락테이트, 살리실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올레에이트, 탄네이트, 판토테네이트, 바이타르트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숙시네이트, 말레에이트, 퓨마레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사카레이트, 포르메이트, 벤조에이트, 글루타메이트, 메탄설포네이트, 에탄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및 p-톨루엔설포네이트를 포함하지만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Ginsenoside Rh2 derivatives can also be used in the form of their salts. The salts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 both acid and base addition salts. Exemplary salts include sulfate, citrate, acetate, oxalate, chloride, bromide, iodide, nitrate, bisulfate, phosphate, isonicotinate, lactate, salicylate, tartrate, oleate, tannate , Pantothenate, bitartrate, ascorbate, succinate, maleate, fumarate, gluconate, glucuronate, saccharide, formate, benzoate, glutamate, methanesulfonate, ethanesulfonate, benzene Sulfonates, and p-toluenesulfonate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se.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본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합성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며,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제조시 원료가 되는 진세노사이드 Rh2는 인삼 추출물에서 수득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되는 인삼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수삼, 홍삼, 백삼, 태극삼, 미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삼 추출물은 인삼으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뿐 아니라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상기의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침체, 전제, 정기, 유동 엑기스 중에 함유되어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 물질은 물론 식물 그 자체를 모두 포함하며, 줄기, 뿌리, 잎, 꽃, 열매 등 인삼의 모든 부분으로부터의 추출물이 사용가능하고 어느 특정 부분의 추출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인삼 추출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h2를 추출하는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Ginsenoside Rh2 derivatives may be synthesized and used according to methods known in the art, and may be commercially available. In addition, ginsenoside Rh2, which is a raw material for preparing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may be obtained from ginseng extract. The type of ginseng used at this tim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ginseng, red ginseng, white ginseng, taeguksam, misam and the like can be used. In addition, the ginseng extract is contained not only in the leachate obtained by leaching and transferring from ginseng, but also in the concentrate obtained by partially or fully concentrating the leachate, or in stagnation, premises, regular and flow extracts prepared by drying the concentrate again. Of course, the chemicals that exert include all of the plant itself, and extracts from all parts of ginseng such as stems, roots, leaves, flowers, fruits are usable and are not limited to extracts of any particular part. In addition, a method for extracting ginsenoside Rh2 from ginseng extract may use a known method.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를 제공한다. 상기 용도는 독립적이거나, 다른 용도와 복합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wrinkles of the skin comprising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or a salt thereof,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or a 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the elasticity of the skin comprising a salt thereof,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or It provides any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a salt thereof. The use may be used independently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us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피부 섬유아세포의 주된 기능으로 세포외기질 합성과 증식을 통한 손상된 피부 조직 재생 등을 들 수 있다. 광노화와 같은 외인성 노화 요인, 또는 유리 산소에 의한 손상 누적, 텔로미어 단절로 인한 세포 노화 등에 따른 내인성 노화 요인들은 진피층 내에 있는 피부 섬유아세포의 생리 활성 기능을 저하시키게 된다. 콜라겐은 피부 세포외 기질 중 95% 이상을 차지하고, 세포의 부착분자(adhesion molecule) 및 세포 골격(cytoskeleton) 등과의 상호 작용과 신호 교류를 통해 섬유아세포의 생리 활성에 매우 주요한 부분을 담당한다. 콜라겐의 합성이 저하될 경우, 피부 조직 내 콜라겐 양이 감소되고, 이에 따라 표면 장력이 감소되어 피부 탄력이 저하되고 피부 주름이 형성될 뿐만 아니라, 세포의 증식 및 재생 기능을 포함하는 생리 활성 기능이 감소하는 악순환의 원인이 된다.The main functions of skin fibroblasts include damaged skin tissue regeneration through extracellular matrix synthesis and proliferation. Exogenous aging factors such as photoaging, or endogenous aging factors due to accumulation of damage by free oxygen, aging of cells due to telomeres, and the like decrease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skin fibroblasts in the dermal layer. Collagen accounts for more than 95% of the extracellular matrix of the skin and plays a very important part in the physiological activity of fibroblasts through interactions and signal exchanges with cell adhesion molecules and cytoskeleton. When the synthesis of collagen is reduced, the amount of collagen in the skin tissue is reduced, thereby reducing the surface tension, thereby reducing skin elasticity and forming skin wrinkles, as well as physiologically active functions including cell proliferation and regeneration functions. It causes a decreasing vicious cycle.

따라서,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은 피부 재생, 피부 탄력, 피부 주름 형성 및 피부 손상시 조직의 수복 또는 재생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또는 프로콜라겐의 합성이 촉진되면,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므로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및 피부 노화 방지 등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Therefore, collagen of skin fibroblasts may be directly related to the repair or regeneration of tissue during skin regeneration, skin elasticity, skin wrinkle formation and skin damage. That is, if the synthesis of collagen or procollagen of skin fibroblasts is promoted, skin wrinkle improvement, skin elasticity improvement, repair and regeneration of damaged skin tissues; And skin aging prevention. Cosmetic compositions comprising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promotes collagen synthesis, thereby improving skin wrinkles, enhancing skin elasticity, repairing and regenerating damaged skin tissue; And anti-aging of skin.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피부 섬유아세포에 처리시, 진세노사이드 Rh2에 비해서 콜라겐 합성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고, 세포 독성이 낮았다.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피부 섬유아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주지 않고, 콜라겐 합성은 촉진시키므로,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피부 기능 개선 용도로 사용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is treated to dermal fibroblasts, collagen synthesis effect is remarkably superior to that of ginsenoside Rh2, and cytotoxicity is low. Since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affect the proliferation of skin fibroblasts and promotes collagen synthesis,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can be used for improving skin function.

본 발명의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01-2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0.5-2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중량%이다.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의 함량이 0.0001중량% 미만이면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탄력 증진 효과, 손상된 피부 조직의 수복 및 재생 효과들이 크게 감소되고, 20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자극을 초래할 수 있으며, 제형상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The content of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0.0001-20% by weight based o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preferably 0.5-20%, more preferably 1.0-20% by weight. When the content of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is less than 0.0001% by weight, skin wrinkle improvement, skin elasticity improvement, repair and regeneration of damaged skin tissues by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are greatly reduced, and the content exceeds 20% by weight. May cause skin irritation and may result in formulation problems.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션제,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Cosmetic composi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liquid or solid form using bases, adjuvants and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 art. Cosmetics in liquid or solid form may include, for example, but not limited to forms such as lotion, cream, lotion, bath.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이 있다. Bases, adjuvants and additives commonly used in the cosmetic field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 for example, water, alcohols, propylene glycol, stearic acid, glycerol, cetyl alcohol, liquid paraffin and the like.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ginsenoside Rh2 derivatives, as well as components commonly used in cosmetic compositions, such as conventional auxiliaries such as antioxidants, stabilizers, solubilizers, vitamins, pigments and flavorings, and Carrier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Cosmetic compositions of the invention may be prepared in any formulations conventionally prepared in the art, including, for example, solutions, suspensions, emulsions, pastes, gels, creams, lotions, powders, soaps,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 Oils, powder foundations, emulsion foundations, wax foundations and sprays, and the like, but are not limited thereto. More specifically, it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eye cream, cleansing cream,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pack, spray or powder.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aste, cream or gel, animal oil, vegetable oil, wax, paraffin, starch, trakant, cellulose derivative, polyethylene glycol, silicone, bentonite, silica, talc or zinc oxide may be used as a carrier component. Can be.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wder or a spray, lactose, talc, silica, aluminum hydroxide, calcium silicate or polyamide powder may be us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spray, additionally chlorofluorohydrocarbon, propane Propellant such as butane or dimethyl ether.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질알코올, 벤질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ution or emulsion, a solvent, solubilizing agent or emulsifying agent is used as the carrier component, such as water, ethanol, isopropanol, ethyl carbonate, ethyl acetate, benzyl alcohol, benzyl benzoate, propylene glycol, 1 Fatty acid esters of, 3-butylglycol oil, glycerol aliphatic ester, polyethyleneglycol or sorbitan.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spension, liquid carrier diluents such as water, ethanol or propylene glycol, suspending agents such as ethoxylated isostearyl alcohol, polyoxyethylene sorbitol ester and polyoxyethylene sorbitan ester, microcrystals Soluble cellulose, aluminum metahydroxy, bentonite, agar or tracant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When the formul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the carrier component is an aliphatic alcohol sulfate, an aliphatic alcohol ether sulfate, a sulfosuccinic acid monoester, an imidazolinium derivative, a methyltaurate, a sarcosinate, a fatty acid amide ether sulfate, an alkyl Amidobetaines, fatty alcohols, fatty acid glycerides, fatty acid diethanolamides, vegetable oils, lanolin derivatives or ethoxylated glycerol fatty acid esters and the like can be used.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lone or in duplicate, or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other cosmetic compositions other than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cosmetic compos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according to a conventional method of use, and the number of times of use may vary depending on the skin condition or taste of the user.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When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ap, a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or a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t may be wiped off, peeled off or washed with water after application to the skin. As a specific example, the soap is liquid soap, powdered soap, solid soap and oil soap, the surfactant-containing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foam, cleansing water, cleansing towels and cleansing pack, the surfactant-free cleansing formulation is a cleansing cream , Cleansing lotion, cleansing water and cleansing gel,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이하, 본 발명을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production examples and examples.

단, 하기 제조예,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following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are only for illustrat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following Preparation Examples and Examples.

실험예 1.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25-Hydroxy ginsenoside Rh2, 이하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로 기재함)의 세포 독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1. Cytotoxicity evaluation of ginsenoside Rh2 derivative (25-Hydroxy ginsenoside Rh2, hereinafter referred to as 'ginsenoside Rh2 derivative')

세포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MTT 환원법(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tetrazolium bromide reduction method)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소 혈청 10%를 함유하는 DMEM 배지(Gibco, USA)를 사용하여 사람 섬유아세포(ATCC 2076)를 1×105 세포수의 밀도로 24-웰 플레이트에 분주하였다. 1일 후 새로운 배지(DMEM, 소 혈청 0%)로 갈아주면서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앰보연구소)를 각각 배지에 20 ㎍/㎖, 10 ㎍/㎖, 5 ㎍/㎖, 2 ㎍/㎖, 1㎍/㎖의 농도로 섬유아세포에 처리한 후 37℃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때,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처리하지 않은 시료를 음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진세노사이드 Rh2, 또는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처리하지 않은 시료를 정상군으로 하였다. 그 후, 세포를 PBS로 세척하였고, MTT(2.5 ㎎/㎖)를 DMEM 배지에 10배 희석시킨 희석액을 1㎖ 첨가한 후 37℃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이 완료된 후 배지를 제거하고, DMSO 0.5㎖를 첨가하여 상온에서 10분 동안 완전히 녹인 후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도 1에 흡광도 측정 결과를 나타낸다.In order to confirm cytotoxicity, MTT reduction method (3 (4,5-dimethylthiazol-2-yl) -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reduction method) was performed. Specifically, human fibroblasts (ATCC 2076) were dispensed into 24-well plates at a density of 1 × 10 5 cells using DMEM medium (Gibco, USA) containing 10% bovine serum. After 1 day, ginsenoside Rh2 or ginsenoside Rh2 derivative (Ambo Research Institute) was added to the medium, and the medium was replaced with fresh medium (DMEM, 0% bovine serum 0%), respectively. Fibroblasts were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2 μg / ml and 1 μg / ml, and then cultured at 37 ° C. for 24 hours. At this time, a sample which was not treated with ginsenoside Rh2 or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was used as a negativ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e sample which did not process ginsenoside Rh2 or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was made into the normal group. Thereafter, the cells were washed with PBS, and 1 ml of a diluted solution diluted 10-fold with MTT (2.5 mg / ml) was added to DMEM medium, followed by incubation at 37 ° C for 4 hours. After the incubation was completed, the medium was removed, and 0.5 ml of DMSO was completely dissolved for 1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nd then absorbance was measured at 570 nm. The absorbance measurement result is shown in FIG.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처리하면 1 ~ 20㎍/㎖의 농도 범위에서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진세노사이드 Rh2를 처리하면 2 ㎍/㎖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As can be seen in Figure 1, the treatment of ginsenoside Rh2 derivatives did not show cytotoxicity in the concentration range of 1 ~ 20㎍ / ㎖. On the other hand, the treatment with ginsenoside Rh2 was confirmed to exhibit cytotoxicity at concentrations of 2 μg / ml or more.

위 결과로부터 화합물의 생리 효과를 이용하기 전에 세포 독성 확인이 필수적인 것을 알 수 있었고,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의 경우 고농도로 처리하여도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으므로, 콜라겐 합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고함량 처리가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From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confirming the cytotoxicity before using the physiological effect of the compound, and ginsenoside Rh2 derivatives do not show cytotoxicity even at high concentrations, so high content treatment is required to increase collagen synthesis ability. I could see what was possible.

실험예 2.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의 콜라겐 합성 평가Experimental Example 2 Evaluation of Collagen Synthesis of Ginsenoside Rh2 Derivatives

인간 피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합성 평가를 통해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의 주름 개선 효능을 평가하였다. 피부 섬유아세포(ATCC, USA)를 24웰 플레이트에 1x105 씩 분주하였다. 10% 소혈청을 함유시킨 DMEM:F12 혼합 배지를 처리하고,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이 지난 후, 진세노사이드 Rh2는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던 농도인 1 ㎍/ml, 2 ㎍/ml의 농도로 처리하였고,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1 ㎍/ml, 5 ㎍/ml, 10 ㎍/ml, 20 ㎍/ml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L-ascorbic acid)을 50 ㎍/ml 농도로 처리하였다. 시료 처리 24시간 후 상층액만을 분리하여 상층액 내의 프로콜라겐형(I) ELISA 키트(procollagen type(I))(Takara, Japan)를 이용하여 프로콜라겐(procollagen)의 증감 여부를 관찰하였다. 콜라겐 합성능 결과를 도 2에 나타낸다. The anti-wrinkle effect of ginsenoside Rh2 derivatives was evaluated through collagen synthesis evaluation of human skin fibroblasts. Dermal fibroblasts (ATCC, USA) were dispensed 1 × 10 5 in 24 well plates. DMEM: F12 mixed medium containing 10% bovine serum was treated and incubated in a 37 ° C., 5% CO 2 incubator. After 24 hours, ginsenoside Rh2 was treated at concentrations of 1 μg / ml and 2 μg / ml, which were not cytotoxic. Ginsenoside Rh2 derivatives were 1 μg / ml, 5 μg / ml, 10 Treatment was at a concentration of μg / ml, 20 μg / ml. As a positive control, ascorbic acid (L-ascorbic acid) was treated at a concentration of 50 ㎍ / ml. After 24 hours of sample treatment, only the supernatant was separated and the procollagen (procollagen) was observed using a procollagen type (I) ELISA kit (Takara, Japan) in the supernatant. Collagen synthesis ability results are shown in FIG.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 처리군의 콜라겐 합성능을 확인한 결과, 10 ㎍/ml 이상의 농도에서 콜라겐 합성이 시료 무처리군 대비 20% 이상 촉진되었다. 반면에, 진세노사이드 Rh2 처리군의 경우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2 ㎍/ml 농도에서는 콜라겐이 합성되었지만, 시료 무처리군 대비 10% 미만으로 매우 낮았기 때문에, 진세노사이드 Rh2를 주름 개선 용도로 상용화하기에는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As a result of confirming collagen synthesis ability of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treatment group, collagen synthesis was promoted more than 20% compared to the sample untreated group at a concentration of 10 μg / ml or more. On the other hand, in the Ginsenoside Rh2 treatment group, collagen was synthesized at a concentration of 2 ㎍ / ml, which showed no cytotoxicity, but was very low, less than 10% compared to the sample untreated group, and thus the ginsenoside Rh2 was used for wrinkle improvement. It was found to be difficult to commercialize.

위와 같은 결과로부터, 진세노사이드 Rh2의 25번째 탄소 위치에 수산기를 도입함으로써, 콜라겐 합성능이 현저히 우수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the collagen synthesis ability is remarkably excellent by introducing a hydroxyl group at the 25th carbon position of ginsenoside Rh2.

제조예 1. 화장품 제형의 제조Preparation Example 1 Preparation of Cosmetic Formulation

1-1. 에센스의 제조1-1. Preparation of essence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함량(중량부)에 따라 에센스를 제조하였다.Essence was prepared according to the content (parts by weight) described in Table 1 below using a ginsenoside Rh2 derivative.

조성Furtherance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250.25 카르복시비닐폴리머Carboxy Vinyl Polymer 0.220.22 글리세린glycerin 44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22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Ginsenoside Rh2 Derivatives 1.51.5 밀납Beeswax 0.50.5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1One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Glyceryl Monostearate 1One 스쿠알렌Squalene 44 정제수Purified water 적량Quantity

1-2. 유연화장수의 제조1-2. Preparation of Soft Cosmetics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는 하기 표 2와 같이 제조하였다.Softening longevity containing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2.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1.001.00 디소듐이디티에이Disodium ID 0.050.05 알란토인Allantoin 0.100.1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lizate 0.050.05 시트릭애씨드Citrix Acid 0.010.01 소듐시트레이트Sodium citrate 0.020.02 글리세레스-26Glyceres-26 1.001.00 알부틴Arbutin 2.002.00 PEG-40
수소화 캐스터오일
PEG-40
Hydrogenated Castor Oil
1.001.00
에탄올ethanol 30.0030.00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Ginsenoside Rh2 Derivatives 0.50.5 착색제coloring agent 미량a very small amount 착향제Flavor 미량a very small amount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Remaining amount

1-3. 영양 크림의 제조1-3. Manufacture of nutritional cream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영양크림은 하기 표 3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Nourishing cream containing ginsenoside Rh2 derivative as an active ingredient was prepared as shown in Table 3 below.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7.07.0 글리세린glycerin 1.01.0 D-판테놀D-panthenol 0.10.1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Magnesium Aluminum Silicate 0.30.3 PEG-40 스테아레이트PEG-40 Stearate 1.21.2 스테아릭애씨드Stearic acid 2.02.0 폴리소르베이트 60Polysorbate 60 1.51.5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Lipophilic glyceryl stearate 2.02.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Sorbitan sesquioleate 1.51.5 세테아릴알코올Cetearyl Alcohol 3.03.0 미네랄오일Mineral oil 4.04.0 스쿠알렌Squalene 3.83.8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Ginsenoside Rh2 Derivatives 1.51.5 식물성 오일vegetable oil 1.81.8 디메치콘Dimethicone 0.40.4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Dipotassium glycylizate 미량a very small amount 알란토인Allantoin 미량a very small amount 소듐히아루로네이트Sodium hyaluronate 미량a very small amount 토코페릴아세테이트Tocopheryl Acetate 적량Quantity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적량Quantity 착향제Flavor 적량Quantity 정제수Purified water 잔량Remaining amount

1-4. 로션의 제조1-4. Lotion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로션을 하기 표 4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Lotions containing ginsenoside Rh2 derivatives as active ingredients were prepared as shown in Table 4 below.

원료Raw material 함량(중량부)Content (parts by weight) 세토스테아릴알코올Cetostearyl alcohol 1.6 1.6 스테아린산Stearic acid 1.41.4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Lipophilic Monostearic Acid Glycerin 1.81.8 PEG-100 스테아레이트PEG-100 Stearate 2.62.6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탈Sesquioleate Sorbate 0.60.6 스쿠알렌Squalene 4.84.8 마카다이아오일Macadamia oil 2 2 호호바오일Jojoba oil 2 2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0.40.4 메틸폴리실록산Methylpolysiloxane 0.20.2 초산토코페롤Tocopherol Acetate 0.4 0.4 1,3-부틸렌글리콜1,3-butylene glycol 4 4 산탄검Xanthan Gum 0.10.1 글리세린glycerin 44 d-판데놀d-pandenol 0.150.15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Ginsenoside Rh2 Derivatives 1.01.0 알란토인Allantoin 0.10.1 카르보머(2% aq. Sol)Carbomer (2% aq.Sol) 4 4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0.150.15 에탄올ethanol 33 정제수Purified water 적량 Quantity

Claims (9)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Figure 112019130019671-pat00003

(상기 화학식에서, R은 수산기, 및 탄소수 1 내지 5의 히드록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다.)
Ginsenoside Rh2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or a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wrinkles of the skin comprising a salt thereof.
Figure 112019130019671-pat00003

(In the above formula, R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 and a hydroxy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25-하이드록시 진세노사이드 Rh2(25-Hydroxy ginsenoside Rh2)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is 25-hydroxy ginsenoside Rh2 (25-Hydroxy ginsenoside Rh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주름 개선은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wrinkle improvement of the skin is a composition that is carried out by promoting the synthesis of collagen.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의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Figure 112019130019671-pat00004

(상기 화학식에서, R은 수산기, 및 탄소수 1 내지 5의 히드록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다.)
Ginsenoside Rh2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or a cosmetic composition for enhancing elasticity of the skin comprising a salt thereof.
Figure 112019130019671-pat00004

(In the above formula, R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 and a hydroxy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25-하이드록시 진세노사이드 Rh2(25-Hydroxy ginsenoside Rh2)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is 25-hydroxy ginsenoside Rh2 (25-Hydroxy ginsenoside Rh2).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피부의 탄력 증진은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4,
The elasticity enhancement of the skin is to be carried out by promoting the synthesis of collagen.
하기 화학식으로 표시되는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Figure 112019130019671-pat00005

(상기 화학식에서, R은 수산기, 및 탄소수 1 내지 5의 히드록시알킬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이다.)
Ginsenoside Rh2 derivative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or a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regeneration comprising a salt thereof.
Figure 112019130019671-pat00005

(In the above formula, R is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hydroxyl group and a hydroxyalkyl group having 1 to 5 carbon atom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진세노사이드 Rh2 유도체는 25-하이드록시 진세노사이드 Rh2(25-Hydroxy ginsenoside Rh2)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ginsenoside Rh2 derivative is 25-hydroxy ginsenoside Rh2 (25-Hydroxy ginsenoside Rh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재생은 콜라겐의 합성 촉진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인 조성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7,
The skin regeneration is performed by promoting the synthesis of collagen.
KR1020180142056A 2018-11-16 2018-11-16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Derivatives of Ginsenoside Rh2 KR10208455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056A KR102084559B1 (en) 2018-11-16 2018-11-16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Derivatives of Ginsenoside Rh2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2056A KR102084559B1 (en) 2018-11-16 2018-11-16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Derivatives of Ginsenoside Rh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4559B1 true KR102084559B1 (en) 2020-03-05

Family

ID=69803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2056A KR102084559B1 (en) 2018-11-16 2018-11-16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Derivatives of Ginsenoside Rh2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559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764B1 (en) 2004-04-02 2009-04-15 주식회사 비티진 Modified ginsenoside mixture which has selective anti-lung cancer activity
KR20140013791A (en) * 2012-07-27 2014-02-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osides rh2 and rg3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764B1 (en) 2004-04-02 2009-04-15 주식회사 비티진 Modified ginsenoside mixture which has selective anti-lung cancer activity
KR20140013791A (en) * 2012-07-27 2014-02-05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ginsenosides rh2 and rg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22471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amellia sinensis constituents
JP2000191498A (en) Collagen production facilitative agent and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for skin
KR102142311B1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tangeretin
KR20120054149A (en) Compositions containing an extract of artemisia annua l. for anti-aging
KR20160123732A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ynara scolymus and brassica oleracea var. botrytis as active ingredient
KR101860109B1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floral ginsenoside
JP5645344B2 (en) External preparation composition
JP5329830B2 (en) SCF secretion inhibitor and sebum secretion inhibitor
KR102082991B1 (en) Method for Producing Extracts of Deer Antler Under Pressure
KR101843065B1 (en) A composition for anti-aging comprising mixture of carnosine, soypeptide and andrographis paniculata extract
KR20150117469A (en) Antioxidant Composition, Skin Whitening Composition and Compositions for Promotion of Collagen synthesis Using Bee Venom and Mineral Composition Containing Vanadium
KR102084559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Containing Derivatives of Ginsenoside Rh2
KR100955572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supercritical fluid extract of Morinda citrifolia
KR102065501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aging
KR20170137560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condition comprising herb extracts mixture
KR100467501B1 (en) A cosmetic composite
KR102305449B1 (en) Composition For Anti-aging Of Skin Comprising Saponin-enhanced Ginseng Extract
KR20170025352A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KR100772336B1 (en) Skin care composition containing stabilized Castanea crenata extract and Terminalia chebula extract with niosome
KR100444196B1 (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medical plant complex extracts stabilized with nanoliposome
KR102301603B1 (en) Composition Improving Wrinkles Of Skin Comprising Ginseng Leaf Extract
KR102430512B1 (en) Reelin/vegf-c production/activation promoter and skin external composition using the same
KR20080046793A (en)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euphoria longana as active ingredient
KR101832862B1 (en) Compositions containing an extract of phlomis korainensis nakai for skin whitening
KR101877803B1 (en) Skin external composition containing floral ginsenosi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