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4001B1 -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4001B1
KR102084001B1 KR1020180002833A KR20180002833A KR102084001B1 KR 102084001 B1 KR102084001 B1 KR 102084001B1 KR 1020180002833 A KR1020180002833 A KR 1020180002833A KR 20180002833 A KR20180002833 A KR 20180002833A KR 102084001 B1 KR102084001 B1 KR 1020840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esity
composition
fermented
improv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4732A (ko
Inventor
김종필
이민석
강순아
Original Assignee
김종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필 filed Critical 김종필
Priority to KR1020180002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4001B1/ko
Publication of KR201900847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47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40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40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0Fish, e.g. seahorses; Fish egg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2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by fermentation of natural products, e.g. of vegetable material, animal waste material or biom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4Anorexiants; Antiobesity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32Promoters of weight control and weight lo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10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 A61K2236/17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starting material involving drying, e.g. sun-drying or wil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besity (AREA)
  • He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Diabet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태 껍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발효건조추출물의 비만 억제 효능이 월등하기에 비만 뿐만 아니라 간질환 개선 및 대사증후군 등과의 광범위한 질환에 효과를 가질 것이다.

Description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IMPROVING, PREVENTING AND TREATING OBESITY COMPRISING FERMENTED POLLACK SKIN}
본 발명은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만은 에너지의 섭취와 소비의 불균형에 의해서 야기되는 현상으로 체내에 지방이 과잉 축적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야기되기 때문에 명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지나친 열량섭취, 내분비 장애, 운동부족, 유전적 요인 등에 기인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리고 생활 습관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생활 습관병이라고도 한다. 전 세계적으로 비만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소득수준의 향상과 식생활 습관이 서구화되면서 국내 비만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국민건강통계 자료에 따르면 만 19세 이상의 비만 유병률은 1998년 26.0%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2008년에는 31.0%로, 이는 미국(만 20세 이상, 체질량지수 30kg/m2 이상)의 비만유병률 32.2%와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비만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하면서 국내에서도 성인병의 주요원인으로 자리 잡고 있는 비만을 예방하기 위해 다양한 대책과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비만 치유를 위한 방법으로는 식사 등 생활 습관의 개선과 약물투여, 수술 등이 있으며, 최근에는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커지면서 식이 조절과 병행한 기능성 식품으로 개선하려는 시도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건강기능성 식품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다양한 건강기능성 소재 및 식품이 식품의약품안전청의 허가를 받아 유통되고 있다. 이와 같이 다양한 방법으로 비만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고자 노력하고 있으나 여전히 비만 인구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현대인들의 생활 수준과 소득의 향상과 더불어 건강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서 천연물이나 생약 기능성 식품의 개발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항균제나 항암제 등의 특정효능을 목표로 한 의약품의 개발도 천연 생약제로부터 약효성분을 분리, 정제하여 제제화하려는 경향이 많아지고 있다.
따라서, 천연물 또는 생약으로부터 유래한 항균용 조성물이나 비만을 예방, 완화, 또는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이 여전히 요구된다.
[선행 특허 문헌]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4-0072418호
본 발명은 상기의 필요성에 의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신규한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황태 껍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황태 껍질 발효물은 황태 껍질을 구증구포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황태 껍질 발효물은 황태 껍질을 구증구포한 것을 추가로 발효한 것이 더욱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또 본 발명은 황태 껍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황태 껍질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동물 사료 첨가제 및/또는 비만 개선용 동물 사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발효물"은 그 발효 대상인 황태 껍질에 구증구포(九蒸九曝)의 전통적 제다방법에 따라 황태껍질을 처리한 것이거나, 추가로 이 구증구포 처리한 황태껍질을 현미를 갈아 섞어서 배양기에서 추가 발효시킨 것을 의미한다. 이 발효물은 그대로 이용되거나, 감압농축 및/또는 동결건조시켜 액상 또는 분말상으로 이용되거나, 메탄올, 에탄올 등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메틸렌클로라이드, 물,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유효성분"의 의미는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또 본 명세서에서, "비만"이란, 그것이 유전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또는 환경적 요인에 의한 비만이든 지방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증가된 상태를 의미하며, 체질량지수의 구분에 따른 비만(BMI이 25 이상인 경우)과 과체중(BMI이 23~25인 경우)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또 본 명세서에서, 상기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란 비만의 예방, 비만의 치료를 포함하여, 체지방의 감소 및/또는 체중의 감소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발명의 비만 개선용 조성물은 그 유효성분을 비만 개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한 용도, 제형, 배합 목적 등에 따라 임의의 양(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는데, 통상적인 유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1 중량 % 내지 99.990 중량 % 범위 내에서 결정될 것이다. 여기서 "유효량"이란 비만 개선 효과를 유도할 수 있는 유효성분의 양을 말한다. 이러한 유효량은 당업자의 통상의 능력 범위 내에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적용(처방)될 수 있는 대상은 포유동물 및 사람이며, 특히 사람인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비만 개선용 조성물, 다이어트용 조성물 및 비만 합병증 예방용 조성물(이하 "본 발명의 조성물")은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로서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 보조식품, 특수 영양 보충용 식품, 기능성 음료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는 그 유효성분 이외에 감미제, 풍미제, 생리활성 성분, 미네랄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감미제는 식품이 적당한 단맛을 나게 하는 양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천연의 것이거나 합성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감미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 천연 감미제로서는 옥수수 시럽 고형물, 꿀, 수크로오스, 프룩토오스, 락토오스, 말토오스 등의 당 감미제를 들 수 있다.
풍미제는 맛이나 향을 좋게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천연의 것과 합성된 것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이다. 천연의 것을 사용할 경우에 풍미 이외에 영양 강화의 목적도 병행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로서는 사과, 레몬, 감귤, 포도, 딸기, 복숭아 등에서 얻어진 것이거나 녹차잎, 둥굴레,대잎, 계피, 국화 잎, 자스민 등에서 얻어진 것일 수 있다. 또 인삼(홍삼), 죽순, 알로에 베라, 은행 등에서 얻 어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천연 풍미제는 액상의 농축액이나 분말상의 추출물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합성 풍미제가 사용될 수 있는데, 합성 풍미제는 에스테르, 알콜, 알데하이드, 테르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생리 활성 물질로서는 카테킨, 에피카테킨, 갈로가테킨, 에피갈로카테킨 등의 카테킨류나, 레티놀, 아스코르브산, 토코페롤, 칼시페롤, 티아민, 리보플라빈 등의 비타민류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미네랄로서는 칼슘, 마그네슘, 크롬, 코발트, 구리, 불소화물, 게르마늄, 요오드, 철, 리튬, 마그네슘, 망간,몰리브덴, 인, 칼륨, 셀레늄, 규소, 나트륨, 황, 바나듐, 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상기 감미제 등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보존제, 유화제, 산미료, 점증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보존제, 유화제 등은 그것이 첨가되는 용도를 달성할 수 있는 한 극미량으로 첨가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극미량이란 수치적으로 표현할 때 식품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0.0005중량% 내지 약0.5중량% 범위를 의미한다.
사용될 수 있는 보존제로서는 소듐 소르브산칼슘, 소르브산나트륨, 소르브산칼륨, 벤조산칼슘, 벤조산나트륨,벤조산칼륨, EDTA(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유화제로서는 아카시아검,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잔탄검, 펙틴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산미료로서는 연산, 말산, 푸마르산, 아디프산, 인산, 글루콘산, 타르타르산, 아스코르브산, 아세트산,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산미료는 맛을 증진시키는 목적 이외에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할 목적으로 식품 조성물이 적정 산도로 되도록 첨가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점증제로서는 현탁화 구현제, 침강제, 겔형성제, 팽화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향미나 기호성을 향상시키고 그 기능성을 상승 보강하거나 다른 기능성(예컨대 간 기능 개선 활성 등)을 부가하기 위하여 이미 비만 개선 활성, 간 기능 개선 해소 활성 등이 있다고 알려진 임의의 천연물 유래의 분말 또는 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른 구체적인 양태에 있어서는 약제학적 조성물로 파악될 수 있다.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유효성분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등을 포함하여, 경구용 제형(정제, 현탁액, 과립, 에멀젼, 캡슐, 시럽 등), 비경구형 제형(멸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국소형 제형(용액, 크림, 연고, 겔, 로션, 패치)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에서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의미는 유효성분의 활성을 억제하지 않으면서 적용(처방) 대상이 적응가능한 이상의 독성(충분히 낮은 독성)을 지니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예로서는 락토스, 글루코스, 슈크로스, 전분(예컨대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등), 셀룰로오스, 그것의 유도체(예컨대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에틸셀룰로오스, 등), 맥아, 젤라틴,탈크, 고체 윤활제(예컨대 스테아르산,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등), 황산 칼슘, 식물성 기름(예컨대 땅콩 기름,면실유, 참기름, 올리브유 등), 폴리올(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글리세린 등), 알긴산, 유화제(예컨대 TWEENS), 습윤제(예컨대 라우릴 황산 나트륨), 착색제, 풍미제, 정제화제, 안정화제, 항산화제, 보존제, 물, 식염수, 인산염 완충 용액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담체는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당한 것을 하나 이상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부형제도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에 따라 적합한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데, 예컨대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이 수성 현탁제로 제조될 경우에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알긴산 나트륨, 폴리비닐피롤리돈 등의 현탁제나 분산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주사액으로 제조되는 경우 적합한 부형제로서는 링거액, 등장 염화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식품 또는 동물용 사료로서, 비만의 예방, 해소 등의 목적으로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건강 보조 식품, 특정 보건용 식품, 미용 식품 및 영양 보조 식품(서플러멘트(supplement))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식품 또는 동물용 사료는, 예를 들면, 차 및 쥬스 등의 음료수; 아이스크림, 젤리, 사탕, 초코렛 및 츄잉검 등의 형태일 수도 있다. 또한, 액제, 가루제, 입제, 캡슐제 또는 정제의 형태일 수도 있다. 여기서, 동물용 사료의 동물로서는, 애완 동물, 축산 동물 또는 동물원 등에서 사육되고 있는 동물을 포함하는 비만의 예방, 해소 또는 치료를 필요로 하는 모든 동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1일 투여량이 통상 0.001 ~ 1500 mg/kg 체중 범위이고, 1회 또는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 경로, 환자의 연령, 성별, 체중, 환자의 중증도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는 것이므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측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시험물질인 발효 전 및 발효 후 발효건조추출물 저,중,및 고농도군에서의 전체적인 군에서 체중억제효능을 보였지만 특히 양성대조군 대비 발효 후 건조추출물 고농도군에서의 확연한 비만억제효능 결과를 확인하였으며, 본 발명의 발효 후 발효건조추출물의 고농도 투여군의 비만 억제 효능이 월등하기에 비만 뿐만 아니라 간질환 개선 및 대사증후군 등과의 광범위한 질환에 효과를 가질 것으로 생각된다.
도 1은 체중과 관련된 그래프,
도 2는 식이량 변화와 관련된 그래프,
도 3은 식이효율산출 관련된 그래프,
도 4는 장기무게 변화와 관련된 그래프,
도 5는 혈액생화학적 및 싸이토카인 검사와 관련된 그래프,
도 6은 조직학 병리검사 및 이미지 관찰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효물 제조 및 실험 조건
본 발명에 사용한 황태 껍질은 대관령 100% 황태껍질을 구매하여 가로 세로 1센치되게 잘게 썰어 약성을 부드럽게 하여 먹기 좋은 상태로 만들 뿐만 아니라 약리적 효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9번 찌고 9번 말리는 구증구포(九蒸九曝)의 전통적 제다방법에 따라 황태껍질을 처리하였다.
구증구포법을 이용한 제조방법은 황태 껍질을 세척하여 탈수 후 증숙기에 넣고 내부온도를 90~95℃로 하여 3~4시간 동안 증숙하여 1차 증숙물을 수득하는 1차 증숙단계와; 상기 1차 증숙물을 건조기에 넣고 60~70℃에서 20~24시간 동안 건조하여 건조물을 수득하는 1차 건조단계와; 상기 1차 건조된 증숙물을 증숙기에 넣고 내부온도를 90~95℃로 하여 2~3시간 동안 증숙하여 2차 증숙물을 수득하는 2차 증숙단계와; 상기 수득된 2차 증숙물을 온도 90~95℃에서는 2~3시간 동안 증숙하되, 2차 이후부터 7회 반복하여 총 9회의 증숙 과정을 거치는 반복 증숙단계와; 상기 1차 내지 9차 증숙 단계마다 건조과정을 갖되, 건조 온도는 60~70℃이며, 건조 시간은 20~24시간 동안 진행되는 반복 건조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증구포 처리한 황태껍질을 횡성지역에서 생산된 현미를 갈아 20%(w/w) 섞어서 40℃ 인큐베이터에서 2일 동안 건 발효시켰다.
이 시료를 가지고 동물용 사료로 발효 전 1개(사료 첨가 비율 10%) 그룹, 발효 후 3개 그룹(사료 첨가 비율 5%, 10%, 15%)으로 4개 그룹으로 만들었다.
이 시료의 간기능개선, 다이어트, 항산화효과를 보기 위해 7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동물실험 하였다.
하기 표 및 이하에서 발효 전 건조물은 H I으로 명명하고, 발효 후 건조물은 H II로 명명한다.
실험군은 7군은 아래 표 1과 같다.
실 험 군 투 여 량 n Number
저지방식이 / Lean (정상군) Non-treatment 5
고지방식이 / N.C (Negative Control, 음성대조군) D.W 10ml/kg 8
고지방식이 / P.C (Orlistat, 양성대조군) 0.3% mixed (30mg/kg) 8
고지방식이 / H 발효전 건조물(H I) 10% mixed 8
고지방식이 / H 발효 후 건조물_L (저농도)(H II) 5% mixed 8
고지방식이 / H 발효 후 건조물_M (중농도) 10% mixed 8
고지방식이 / H 발효 후 건조물_H (고농도) 15% mixed 8
상기 표에서 정상군 (C: Control)은 정상식이와 일반 환경의 동물로 물리적, 외과적으로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는 동물을 의미한다.
실험예
시험물질의 조제
해당시험물질을 고지방 사료에 섞어 약 3kg씩 조제한 뒤 1kg씩 aliquot하여 냉장 보관하였다.
실험 동물은 마우스, C57BL/6J, SPF(㈜대한바이오링크, 국내산)으로, C57BL/6 (Lean, DIO type) 마우스는 항비만 효능시험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고지방식이 유도 비만동물로 비교하기에 적합하기에 선정하였으며, 성별, 동물수 및 주령은 각각 수컷, 60마리, 4주령이었다.
사육환경조건
온도는 22±2℃, 상대습도는 50.0 ± 15.0 %, 환기횟수는 10 ~ 20 회 /시간이며, 명암주기 (조명시간)는 12 시간 / 일 (07:00 ~ 19:00)이며, 조도는 150 ~ 300 Lux이었다.
급이방법은 급이기에 2종류사료를 넣어 자유섭취 시켰으며, UV 멸균 및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된 정제수를 Polysulfone 음수병 (250 mL)에 넣어 자유섭취 시켰으며, 투여는 존데를 이용한 경구투여를 하였으며, 투여액량은 농도별로 준비하여 투여 전 시험물질을 군 설정일부터 최종 투여일(42일차)까지 자유 급이를 실시하였으며, 투여 용량과 관련하여 본 시험의 개시용량은 의뢰자측의 설정용량에 맞춰 저,중,고농도로 설정한다. 다음의 투여량은 2~3일간의 독성증상 및 사망유무를 관찰하며, 시험물질을 자유급이하였다.
관찰 및 검사
일반증상 관찰: 모든 동물에 대하여 부검일 (투여후 43일)까지 매일 1회 이상 일반증상을 관찰한다. 단, 투여 후 에는 일반상태를 관찰하고 개체별로 기록한다.
빈사 및 사망동물의 처리: 관찰기간 중 빈사 및 사망동물은 발견 시 체중 측정 후 부검을 실시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즉시 부검이 불가능할 경우 냉장보관 후 24시간 이내에 부검한다. 고통이 심하거나 빈사상태인 동물의 경우에는 증상을 기록하고 체중 측정 후 CO2가스를 이용하여 안락사시킨다.
체중측정: 모든 동물에 대하여 군분리 시점과 시험 물질 투여 후 주2~3회씩 측정한다.
부검: 시험기간 종료 후, 모든 생존동물에 대해서 육안으로 주요 장기(폐, 간, 심장, 신장, fat부위별(Subcutaneous, Peritoneal, Mesentric, Epididymal))를 검사하며, 각 주요장기의 중량을 측정하며, 간과 WAT (epididymal fat and subcutaneous fat) 조직의 일부는 조직검사를 위해 적출하고 실험 기간 도중 사망동물에 대하여도 같은 방법으로 부검을 실시한다.
조직병리학적 검사: 간과 지방(부고환지방) 조직을 적출하고 10% 포르말린에 고정시킨 후 H&E 및 Oil red O stain을 실시한다. (그룹별 1~2두 이상 진행)
생화학적 검사 및 TNF-alpha 측정;생화학자동분석기(7020, HITACHI, JAPAN)를 이용하여 다음 항목들의 검사를 실시한다.
-트리글리세라이드(Triglyceride : TG, mg/dL)
-총콜레스테롤(total cholesterol : T-Chol, mg/dL)
-글루코오즈(Glucose : GLU, mg/dL)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LDL . Cholesterol, mg/dL)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HDL . Cholesterol, mg/dL)
-알라닌 아미노기전이효소(alanine aminotransferase : ALT(GPT), U/L)
-아스파테이트 아미노기전이효소(aspartate aminotransferase : AST(GOT), U/L)
-혈액요소질소(blood urea nitrogen : BUN, mg/dL)
-크레아틴인 (Creatinine: Crea, mg/dL)
ELISA 리더기를 이용하여 Cytokine kit류의 다음 항목을 분석 실시한다
-종양괴사인자-알파(TNF-alpha : pg/mL)
상기 실험결과는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사용하여 나타내며, 각 군간의 비교는 Software StatView(Version 4.51, Abacus Concepts, Berkeley, CA)를 사용하여 ANOVA분석을 수행하며 유의성이 인정된 경우 사후검정은 Fisher's PLSD로 수행한다. 군간을 비교하여 5%의 유의수준에서 유의성을 검증한다.
상기 실험예의 결과는 하기와 같다.
체중변화 (도 1 및 표 2)
5주령의 동물을 4주간 저지방식이와 고지방식이 유도후 저지방식이 정상대조군(Lean)은 평균체중이 24.0g, 고지방식이군은 평균체중 29.2 (mean)g의 동물을 선별하였다.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에서 실험을 개시하였다. 6주간의 시험일을 종료한 후 정상대조군(Lean)의 체중은 2.9g의 체중증가의 반면 음성대조군(N.C)은 체중이 9.9g 의 체중이 늘어났으며 음성대조군 대비 전체적인 군에서 통계적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지만 양성대조군(P.C), H II고농도군에서 체중 GAIN값 차이가 월등히 차이를 나는 것으로 보여졌다. 이는 H II 발효건조물의 용량의존적으로 체중증가량이 정체되거나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이량 변화 (도 2 및 표 3)
일반식이 정상대조군(Lean)은 3.2g, DIO 음성대조군이 일평균 4.0g 이상의 식이섭취 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에서 실험을 개시하였다. 군분리 후 시험이 진행되었으며 42일간 시험시료 전체적인군 양성대조군(P.C), H I, H II저, 중, 고농도군에서 섭취량이 감소 차이를 보였다. 특히 양성대조군(P.C), H II 고농도군에서 차이를 더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다.
식이효율산출 (도 3 및 표 4)
식이효율 산출방법은 다음과 같다. (FER= weight Gain / food intake) 식이효율은 시험물질 투여용량과 관련해서 떨어진 것으로 보이며 시험물질들은 에너지대사를 촉진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식이효율은 양성대조군(P.C), H II고농도군에서 두드러지며 고농도군에서 통계적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장기무게 변화 (도 4 및 표 5)
대부분의 장기들이 정상대조군 대비 음성대조군이 비대해 진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전체적인 샘플투여군에서 음성대조군 대비 심장을 비롯하여 간등의 장기에서 무게차이를 보였으며 통계적 유의성 차이로는 양성대조군(P.C), H II고농도군에서 월등히 차이가 나는 상태였다. 결과물 중 비만과 관련된 지방부위(Subcutaneous, Peritoneal, Mesentric, Epididymal) 모든 부위에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였다.. 주요장기 중 Liver, Heart 조직에서도 차이를 보였는데 이는 비만형 심장비대증과 관련된 장기로 유의적인 비대증 유발된 상태에서 양성대조군(P.C), H II고농도군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진 않았지만 억제 효능을 보여기에 추후 관련실험에도 기대해 본다.
혈액생화학적 및 싸이토카인 검사 (도 5 및 표 6)
정상대조군과 음성대조군 대비 혈액중 생화학치가 차이가 나는 상태를 확인되었고, 콜레스테롤류 수치에서 음성대조군대비 전체적인 투여군에서 유의적인 감소,억제된 결과를 보여줬다. 혈중에 지질류중 Total cholesterol의 경우 음성대조군대비 양성대조군(P.C), H I, H II저,중,고농도군에서 통계적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싸이토카인의 레벨중 TNF-alpha 를 검사진행 하여 정상군대비 음성대조군의 염증반응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TNF-alpha의 결과는 H II전체적인 군에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유의결과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다른 간효소 및 전체적인 지질류, 싸이토카인등의 결과를 보았을 때 추후 연구를 기대해 본다.
조직학 병리검사 및 이미지 관찰 (도 6)
주요 조직의 Oil Red O및 H&E stain 이미지는 그림 6에 나타내었다.
정상대조군과 음성대조군간의 질환이 유발된 것을 간조직 및 지방조직내의 염색법으로 확인하였다. Oil Red O및 H&E stain 법으로 세포질 내에 지방방울 및 컬러로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물로 인해 개선 되어지는 것으로 확연히 보여지며, 동물을 무작위 선별하여 동물부검전 체형변화와 부검을 진행하며 간조직과 부고환지방등을 적출하여 이미지화하였을 때 장기의 크기변화와 간조직의 컬러에서 확연한 차이를 확인하였다.
Groups Weeks Final weight gain
0 1 2 3 4 5 6 (g)
L
(Lean)
Mean 24.0 24.6 25.5 25.8 26.1 26.9 27.1 3.1
S.D. 1.6 1.3 1.3 1.2 1.3 1.5 1.5 0.6
N.C
(Negative)
Mean 29.3 30.5 33.6 35.6 37.8 39.2 40.6 11.3 *
S.D. 1.4 1.5 2.0 1.5 0.9 0.9 0.9 1.2
P.C
(Positive)
Mean 29.2 29.7 31.6 33.2 34.3 35.1 35.6 6.5 **
S.D. 2.2 2.3 1.9 2.1 2.3 2.1 2.1 1.0
H I
(10%)
Mean 29.1 29.6 32.4 34.0 36.6 38.6 39.1 10.0
S.D. 1.2 1.3 1.4 1.2 1.1 1.0 1.5 1.9
H II_L
(5%)
Mean 29.4 30.1 33.1 34.3 36.1 37.6 38.7 9.3 **
S.D. 2.9 2.7 3.2 3.1 3.1 2.9 3.1 1.4
H II_M Mean 29.0 29.9 32.7 34.0 35.7 37.6 38.0 9.0 **
(10%) S.D. 1.8 1.5 2.1 2.1 2.2 2.7 2.5 1.6
H II_H
(15%)
Mean 29.6 29.8 31.9 32.6 34.1 34.9 35.4 5.8 **,#,##
S.D. 2.0 1.7 1.4 1.4 1.4 2.2 2.2 1.4
표 2는 체중 및 증가를 나타낸 표로, 단위는 (g)이고 성별은 수컷이며, M :평균, S.D.:표준 편차이고, L(Lean) vs N.C (Negative.Control)의 유의적인 차이는 (t.tests: *; P<0.05), N.C(Negative.Control) vs DIO(whole)의 유의적 차이는 (t.tests: **; P<0.05)이며, H I(H I) vs H II(whole)의 유의적인 차이는 (t.tests: #; P<0.05)이며, H II(whole)의 유의적 차이는 (t.tests: ##; P<0.05)
Groups Weeks
1 2 3 4 5 6
L
(Lean)
Mean 3.3 3.2 3.1 3.4 3.4 3.3
S.D. 0.8 0.2 0.0 0.2 0.0 0.0
N.C
(Negative)
Mean 5.1 4.3 3.9 3.7 3.8 3.7
S.D. 0.4 1.3 0.6 0.3 0.3 0.0
P.C
(Positive)
Mean 3.0 3.2 3.5 3.5 2.9 2.7
S.D. 0.7 0.4 0.2 0.4 0.4 0.2
H I
(10%)
Mean 5.1 3.8 4.0 3.7 3.4 3.5
S.D. 0.7 0.3 0.3 0.4 0.2 0.3
H II_L
(5%)
Mean 4.6 3.4 3.8 3.7 3.4 3.3
S.D. 0.7 0.3 0.1 0.3 0.3 0.1
H II_M Mean 4.2 3.5 3.4 3.8 3.3 3.3
(10%) S.D. 0.4 1.0 0.4 0.5 0.1 0.2
H II_H
(15%)
Mean 3.2 3.7 3.1 3.1 2.9 2.8
S.D. 0.2 1.0 0.2 0.4 0.2 0.2
표 3은 식이량 변화를 나타낸 표로, 단위는 (g)이고 성별은 수컷이며, M :평균, S.D.:표준 편차이고, L(Lean) vs N.C (Negative.Control)의 유의적인 차이는 (t.tests: *; P<0.05), N.C(Negative.Control) vs DIO(whole)의 유의적 차이는 (t.tests: **; P<0.05)이며, H I(H I) vs H II(whole)의 유의적인 차이는 (t.tests: #; P<0.05)이며, H II(whole)의 유의적 차이는 (t.tests: ##; P<0.05)
Groups FER
No. of animals
Mean±S.D
L (Lean) 5 0.9 ± 0.2
N.C (Negative) 8 3.1 ± 0.3*
P.C (Positive) 8 2.4 ± 0.4**
H I (10%) 8 2.9 ± 0.5
H II_L (5%) 8 2.8 ± 0.4
H II_M (10%) 8 2.7 ± 0.5
H II_H (15%) 8 2.1 ± 0.5**,#,##
표 4는 식이효율산출 (FER)을 나타낸 표로,M :평균, S.D.:표준 편차이고, L(Lean) vs N.C (Negative.Control)의 유의적인 차이는 (t.tests: *; P<0.05), N.C(Negative.Control) vs DIO(whole)의 유의적 차이는 (t.tests: **; P<0.05)이며, H I(H I) vs H II(whole)의 유의적인 차이는 (t.tests: #; P<0.05)이며, H II(whole)의 유의적 차이는 (t.tests: ##; P<0.05)
u Weight (mg, mm) Hypertrophy
Heart Kidney Liver Lung P.F M.F E.F S.F Tibia Length Cardiac
(enM 169.9 385.6 1126.1 178.2 158.5 101.8 616.1 470.1 17.0 10.0
S.D. 7.8 13.4 106.8 9.4 17.0 13.3 97.3 137.4 0.2 0.4
.(eaieM 191.9 * 512.1 * 1412.6 * 202.3 * 844.2 * 389.8 * 2237.7 * 1828.5 * 17.6 * 10.9 *
S.D. 17.6 49.7 64.6 28.2 44.3 57.8 396.0 159.6 0.4 0.9
.(oiieM 185.9 476.6 1262.7 ** 191.1 791.7 318.1 ** 1836.3 ** 1444.7 ** 17.1 ** 10.9
S.D. 8.2 38.6 102.0 20.0 50.2 34.2 36.4 148.0 0.4 0.4
1%M 184.7 498.9 1362.1 194.7 848.8 371.0 1988.9 1683.4 17.5 10.6
S.D. 10.6 31.2 103.6 8.5 152.6 42.4 283.3 250.7 0.2 0.6
I_(%M 186.7 492.9 1288.0 ** 190.9 859.0 370.9 1900.6 1622.2 ** 17.5 10.7
S.D. 11.6 30.0 88.8 18.3 149.4 39.0 112.4 60.6 0.3 0.5
I_M 181.1 479.2 1287.8 ** 184.7 737.6 348.2 1829.3 ** 1574.8 ** 17.1 ** 10.6
1%S.D. 7.8 23.8 45.2 4.4 87.6 47.0 145.5 117.2 0.5 0.6
_5M 178.8 478.7 1222.0 ** 183.9 706.9 ** 332.0 ** 1813.6 ** 1537.3 ** 17.1 ** 10.5
S.D. 11.3 19.1 54.9 4.3 119.1 47.7 128.3 68.1 0.2 0.6
표 5는 장기무게변화를 나타낸 표로, 단위는 (g)이고 성별은 수컷이며, M :평균, S.D.:표준 편차이고, L(Lean) vs N.C (Negative.Control)의 유의적인 차이는 (t.tests: *; P<0.05), N.C(Negative.Control) vs DIO(whole)의 유의적 차이는 (t.tests: **; P<0.05)이며, H I(H I) vs H II(whole)의 유의적인 차이는 (t.tests: #; P<0.05)이며, H II(whole)의 유의적 차이는 (t.tests: ##; P<0.05)
Groups U/L U/L mg/dL mg/dL mg/dL mg/dL mg/dL mg/dL mg/dL pg/ml
GOT GPT T.C T.G HDL LDL CREA BUN GLU TNF-alpha
L
(Lean)
M 44.6 49.4 124.0 37.4 114.9 11.4 0.5 19.2 150.4 10.0
S.D. 3.8 7.4 15.6 6.4 10.0 0.6 0.0 1.2 8.6 1.4
N.C
(Negative)
M 93.8 * 89.0 * 274.2 * 56.4 * 136.5 22.0 * 0.6 * 21.0 185.2 * 12.0
S.D. 6.8 11.1 36.5 3.3 35.3 5.5 0.0 2.4 6.7 0.5
P.C
(Positive)
M 68.6 ** 73.8 191.6 ** 50.6 139.3 18.0 0.5 20.5 177.5 10.4
S.D. 14.6 11.8 14.8 10.2 29.5 4.4 0.1 1.8 14.5 0.7
H I
(10%)
M 78.4 ** 81.0 232.2 ** 54.0 144.7 19.4 0.6 20.1 182.1 11.4
S.D. 9.3 13.4 20.5 5.3 26.6 5.1 0.0 1.1 10.1 2.6
H II_L
(5%)
M 71.6 ** 80.4 205.8 ** 55.8 132.2 18.9 0.5 20.3 180.5 11.4
S.D. 6.3 8.6 13.8 9.1 15.9 1.1 0.0 2.1 13.9 1.0
H II_M M 65.6 ** 75.4 196.2 ** 56.8 149.1 19.4 0.5 20.8 177.1 11.1
(10%) S.D. 13.6 15.8 38.5 4.3 25.5 4.3 0.0 1.6 16.4 1.3
H II_H
(15%)
M 61.6 ** 74.4 187.6 ** 53.6 148.6 18.6 0.5 20.0 175.7 11.2
S.D. 17.3 20.3 46.5 6.6 22.5 1.3 0.1 1.8 13.1 1.7
표 6은 혈액생화학적 변화를 나타낸 표로, 성별은 수컷이며, M :평균, S.D.:표준 편차이고, L(Lean) vs N.C (Negative.Control)의 유의적인 차이는 (t.tests: *; P<0.05), N.C(Negative.Control) vs DIO(whole)의 유의적 차이는 (t.tests: **; P<0.05)이며, H I(H I) vs H II(whole)의 유의적인 차이는 (t.tests: #; P<0.05)이며, H II(whole)의 유의적 차이는 (t.tests: ##; P<0.05)

Claims (5)

  1. 황태 껍질을 구증구포한 건조물에 현미를 섞어서 발효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황태 껍질을 구증구포한 건조물에 현미를 섞어서 발효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황태 껍질을 구증구포한 건조물에 현미를 섞어서 발효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만 개선용 동물 사료용 조성물.
KR1020180002833A 2018-01-09 2018-01-09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0840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833A KR102084001B1 (ko) 2018-01-09 2018-01-09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833A KR102084001B1 (ko) 2018-01-09 2018-01-09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732A KR20190084732A (ko) 2019-07-17
KR102084001B1 true KR102084001B1 (ko) 2020-03-03

Family

ID=67512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833A KR102084001B1 (ko) 2018-01-09 2018-01-09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40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742A (ko) 2020-12-24 2022-07-01 강순아 황태 껍질 발효물과 복령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반려동물의 사료첨가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997B1 (ko) * 2007-11-28 2010-03-10 강원도 인제군 황태 가수분해물, 2차 가수분해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한활성 펩티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1742A (ko) 2020-12-24 2022-07-01 강순아 황태 껍질 발효물과 복령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반려동물의 사료첨가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4732A (ko)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17732B2 (en) Composition including extract of Dolichos lablab Linne as active ingredient for preventing or ameliorating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KR101054594B1 (ko) 간 기능 개선제 조성물
KR20150005430A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CN101766274A (zh) 含竹叶黄酮的抗氧化功能食品组合物
EP2322193B1 (en) Xanthine oxidase inhibitor and uric acid production inhibitor
Ikram et al. Nutritional, biochemical, and clinical applications of carob: A review
KR102084001B1 (ko) 황태 껍질 발효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1277266B1 (ko) 밀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증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110068958A (ko) 지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비만개선용 약제학적 조성물
US2015033569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on or Treatment of Acute Renal Failure Including Herbal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20140036966A (ko) 제주조릿대 잎을 이용한 운동수행능력향상용 조성물 또는 피로회복용 조성물
KR102122408B1 (ko) 자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81298A (ko) 항비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44564B1 (ko) 마라소스의 주성분인 고추 및 화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고지혈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210074865A (ko) 발효 찻잎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440781B1 (ko) 밀겨 추출물을 이용한 간 기능 개선제 조성물
KR20200120549A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KR20220091742A (ko) 황태 껍질 발효물과 복령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만 개선, 예방 및 치료용 반려동물의 사료첨가제 조성물
KR101811210B1 (ko) 마가목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당뇨 질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EP3939603A1 (en) Catechin enzyme-treated material having increased gallic acid, epicatechin and epigallocatechin content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US20070092587A1 (en) Extract from plant of japanese parsley family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KR102025572B1 (ko) 고욤나무 잎 및 포도송이 줄기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94132A (ko) 비만 억제용 조성물
US20180021268A1 (en) Weight loss/reduction of visceral fat compound and method of extraction and prepar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