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886B1 - 마이크로 유화기 - Google Patents

마이크로 유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886B1
KR102083886B1 KR1020180119876A KR20180119876A KR102083886B1 KR 102083886 B1 KR102083886 B1 KR 102083886B1 KR 1020180119876 A KR1020180119876 A KR 1020180119876A KR 20180119876 A KR20180119876 A KR 20180119876A KR 102083886 B1 KR102083886 B1 KR 1020838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pump
mixing
unit
conc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9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노성
Original Assignee
박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노성 filed Critical 박노성
Priority to KR10201801198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88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8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8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5/00Flow mixers; Mixers for falling materials, e.g. solid particles
    • B01F25/60Pump mixers, i.e. mixing within a pump
    • B01F5/12
    • B01F15/00019
    • B01F15/0053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40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 B01F23/43Mixing liquids with liquids; Emulsifying using driven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1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the stirrers
    • B01F27/113Propeller-shaped stirrers for producing an axial flow, e.g. shaped like a ship or aircraft propeller
    • B01F3/085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01F35/145Washing or cleaning mixer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in this subclass; Inhibiting build-up of material on machine parts using othe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30Driving arrangements; Transmissions; Couplings; Brakes
    • B01F35/32Driving arrangements
    • B01F35/32005Type of drive
    • B01F35/3204Motor driven, i.e. by means of an electric or IC motor
    • B01F7/00341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이크로 유화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유체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하방으로 테이퍼지며, 상기 유체가 교반되도록 제1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기를 수용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부와 연통되고, 상기 유체를 이동시키는 제2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축류펌프를 수용한 전단혼합펌프부; 일단이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부에 연결되며,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파이프부; 일단이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에 상기 제1파이프부와 이격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부에 연결되며,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2파이프부; 및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제1파이프부와 상기 제2파이프부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축류펌프와 원심펌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므로 유체를 에멀전 상태로 변환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에멀전 상태로 변화되며 점도가 높아지는 유체를 축류펌프와 원심펌프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마이크로 유화기{MICRO EMULSIFIER}
본 발명은 마이크로 유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과 물의 유수분리를 방지하고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입자를 포함하는 에멀전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마이크로 유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서로 혼합하지 않는 2종류의 액체의 안정된 에멀전을 만들기 위한 기계를 말하는 것으로, 보통 교반기를 장착한 교반식 유화 혼합기에서 강한 전단과 혼합작용에 의해 유화를 하는 호모지나이저까지 각종 유형이 있다.
특히 점도가 높은 유체라도 혼합 및 교반 등이 가능하도록 높은 토크(Torque)를 견딜 수 있는 반응기 및 임펠러 등의 구성들이 필요하다.
등록특허 제10-1004646호(2011.01.03.공고)는 유체와류를 이용한 마이크로 유화기에 관한 것이다.
그런데, 등록특허 제10-1004646호(2011.01.03.공고)는 와류 발생장치가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이 되지만, 와류 발생장치는 날개와 같은 유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성이 없어 유체의 회전은 용이하지 않으며, 만약 충분한 유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내부의 유체가 그대로 토출파이프로 토출되므로 불완전한 제품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1004646 B1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축류펌프와 원심펌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유체를 이동시킴으로써 유체를 에멀전 상태로 변환시키기 용이한 마이크로 유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에멀전 상태로 변화되며 점도가 높아지는 유체를 축류펌프와 원심펌프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한 순환을 가능하게 하는 마이크로 유화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는, 유체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하방으로 테이퍼지며, 상기 유체가 교반되도록 제1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기를 수용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부와 연통되고, 상기 유체를 이동시키는 제2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축류펌프를 수용한 전단혼합펌프부; 일단이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부에 연결되며,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파이프부; 일단이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에 상기 제1파이프부와 이격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부에 연결되며,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2파이프부; 및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제1파이프부와 상기 제2파이프부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혼합부는, 상부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을 관통하며 상기 제1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한 교반축; 상기 교반축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교반하는 교반날개; 및 상기 교반날개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기가 회전할 때 상기 혼합부 내측 벽면을 스크랩핑하는 스크래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단혼합펌프부는, 일단이 상기 제2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에 설치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축류펌프의 주변으로 상기 유체를 유도하며, 나선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하는 임펠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의 일측에는, 상기 축류펌프의 회전에 의해 분말이 흡입되는 흡입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파이프부는, 순환되는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밸브는 상기 제1파이프부의 일단과 상기 제2파이프부의 일단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단혼합펌프부는, 상기 혼합부로부터 이송되는 유체가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상기 제2파이프부로 이송되도록 원심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원심펌프는, 하측에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와 하방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교번으로 원을 이루는 제1내측요철부와, 상기 제1내측요철부 외측에 배치되고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원을 이루는 제1외측요철부를 포함하는 제1원심펌프; 상측에 상방으로 오목한 오목부와 상방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교대로 원을 이루며 상기 제1내측요철부와 상기 제1외측요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내측요철부와, 상기 제1외측요철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원을 이루는 제2외측요철부를 포함하는 제2원심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축류펌프를 중심으로 상기 제1원심펌프의 오목부와 상기 제2원심펌프의 오목부가 서로 중첩될 때 상기 유체가 상기 오목부를 통해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제2원심펌프의 하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외측을 향한 나선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는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축류펌프와 원심펌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유체를 이동시키므로 유체를 에멀전 상태로 변환시키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에멀전 상태로 변화되며 점도가 높아지는 유체를 축류펌프와 원심펌프를 이용하여 보다 용이하게 순환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뚜껑이 열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전단혼합펌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임펠러의 평면도이다.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임펠러의 정면도이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제1원심펌프의 정면도이다.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제1원심펌프의 저면도이다.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제2원심펌프의 평면도이다.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제2원심펌프의 정면도이다.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제2원심펌프의 저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서 뚜껑이 열린 상태의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는 혼합부(100)와 전단혼합펌프부(shear mixing pump)(200), 제1파이프부(300), 제2파이프부(400) 및 밸브(500)를 포함할 수 있다.
혼합부(100)는 하방으로 테이퍼진 용기로 형성될 수 있고, 유체가 수용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공간은 후술하는 교반축(120)을 중심으로 동심원을 그리게 형성될 수 있다.
혼합부(100)는 뚜껑(110)과 교반기(미부호)를 구비할 수 있다.
혼합부(100)의 상부에는 뚜껑(110)이 배치될 수 있다. 뚜껑(110)은 힌지수단(111)에 의해 회동되며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교반기는 제1모터(600)에 의해 회전되고, 교반축(120), 교반날개(130) 및 스크래퍼(140)를 포함할 수 있다.
교반축(120)은 막대형상으로 뚜껑(110)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교반축(120)은 뚜껑(110)의 중심을 관통할 수 있다. 교반축(120)은 뚜껑(110)의 외부에 배치된 제1모터(60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교반날개(130)는 교반축(120)에 연결될 수 있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교반축(120)은 상측이 뚜껑(110)에 연결되고, 하측이 상기 내부공간의 테이퍼진 하측을 향하며, 교반날개(130)가 교반축(1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교반날개(130)는 교반축(120)과 연동하여 교반축(12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교반날개(130)는 교반축(120)을 중심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교반날개(130)는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회전함으로써 교반시킬 수 있다.
교반날개(130)에는 스크래퍼(140)가 배치될 수 있다. 스크래퍼(140)는 일측이 교반날개(130)에 배치되고 타측이 혼합부(100)의 내측면과 접할 수 있고, 교반축(120)과 교반날개(130)의 회전에 의해 교반축(120)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혼합부(100)의 내측 벽면을 스크랩핑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전단혼합펌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단혼합펌프부(200)는 혼합부(10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전단혼합펌프부(200)는 혼합부(100)와 연통될 수 있다.
전단혼합펌프부(200)는 축류펌프(210)를 포함할 수 있고, 축류펌프(210)는 일단이 제2모터(6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축류펌프(210)는 제2모터(6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축류펌프(210)의 타단에는 임펠러(220)가 배치될 수 있다. 임펠러(220)는 축류펌프(210)와 연동하여 축류펌프(210)의 회전시 회전가능하다.
임펠러(220)는 회전하면서 축류펌프(210)의 주변으로 상기 내부공간의 유체를 유도할 수 있다. 임펠러(220)는 나선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날개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전단혼합펌프부(200)는 흡입구(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축류펌프(210)가 회전함에 따라 흡입구(230)를 통해 첨가제나 원료가 흡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첨가제나 원료는 고체상태의 분말일 수도 있고, 액상일 수도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의 유체가 유동될 때 분말 또는 액상이 투입되면서 상기 유체의 점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유체가 유화되는 에멀전의 상태를 조절할 수 있다.
전단혼합펌프부(200)의 다른 구성들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유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면, 제1파이프부(300)는 일단이 전단혼합펌프부(200)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혼합부(100)에 연결되며, 제1유로(P1)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체는 전단혼합펌프부(200)의 임펠러(220)에 의해 제1파이프부(300)로 유입되어 다시 혼합부(100)로 이동되는 제1유로(P1)를 형성할 수 있다.
제2파이프부(400)는 제1파이프부(300)와 마찬가지로 일단이 전단혼합펌프부(200)에 연결될 수 있고, 타단이 혼합부(100)에 연결되며, 제2유로(P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파이프부(400)는 제1파이프부(300)과 이격되어 제1파이프부(300)보다 하방에 위치하며, 제1파이프부(300)와 제2파이프부(400) 사이에는 밸브(5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밸브(500)는 전단혼합펌프부(200)에 설치되되, 제1파이프부(300)와 제2파이프부(400) 사이에 배치되고, 제1파이프부(300)와 제2파이프부(400)를 선택하여 개폐함으로써 상기 유체가 제1유로(P1)와 제2유로(P2)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밸브(50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즉, 밸브(500)가 닫힌 상태라면, 상기 내부공간의 유체는 임펠러(220)에 의해 제1파이프부(300)로 이동되는 제1유로(P1)를 형성할 수 있다. 만약, 밸브(500)가 열린 상태라면, 상기 내부공간의 유체는 제2파이프부(400)로 유입되며 다시 혼합부(100)로 이동되는 제2유로(P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2파이프부(400)는 순환되는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배출구(4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도 1과 도 2 참조).
도 5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임펠러의 평면도이고, 도 5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임펠러의 정면도이다.
상기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임펠러(220)는 축류펌프(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혼합부(100)의 유체를 제1파이프부(300) 또는 제2파이프부(400)로 이동시킨다. 임펠러(220)는 원판(미부호)과 상기 원판 상부에 배치되는 날개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임펠러(220)의 날개부(221)는 복수 개가 나선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임펠러(220)의 날개부(221)는 중심보다 바깥쪽으로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임펠러(220)가 회전되면서 임펠러의 날개부(221) 사이에 위치하는 유체도 회전하여 상기 유체가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이동될 수 있고, 임펠러(220)의 회전시 임펠러(220)의 중심보다 상대적으로 바깥쪽으로 상기 유체의 밀도는 증가된다. 이때, 상기 유체는 바깥을 향해 확장되며 나선을 그리는 날개부(221)에 의해 밀려남에 따라 제1파이프부(300) 또는 제2파이프부(400)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제1원심펌프의 정면도이고, 도 6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제1원심펌프의 저면도이며, 도 7의 (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제2원심펌프의 평면도이고, 도 7의 (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제2원심펌프의 정면도이며, 도 7의 (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제2원심펌프의 저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의 전단혼합펌프부는 원심펌프(240, 25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원심펌프는 제1원심펌프(240)와 제2원심펌프(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원심펌프는 혼합부(100)로부터 이송되는 유체를 제2유로(P2)를 따라 제2파이프부(40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1원심펌프(240)는 용기와 같은 형상으로 상측과 하측이 개방된 내부공간(미부호)을 가지며, 상기 내부공간은 상측부터 하측까지 상광하협(上廣下狹)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원심펌프(240)는 제1내측요철부(241)와 제1외측요철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측요철부(241)는 제1원심펌프(240)의 하측의 개구부 주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내측요철부(241)는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241a)와 하방으로 볼록한 볼록부(241b)를 포함하며, 오목부(241a)와 볼록부(241b)는 각각 복수 개가 준비되어 서로 교번으로 배치되어 원을 이룰 수 있다.
제1외측요철부(242)는 제1원심펌프(240)의 하측에 형성될 수 있고, 제1내측요철부(241)와 이격되어 제1내측요철부(241)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외측요철부(242)는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242a)와 하방으로 볼록한 볼록부(242b)를 포함하며, 오목부(242a)와 볼록부(242b)는 각각 복수 개가 준비되어 서로 교번으로 배치되어 원을 이룰 수 있다.
제2원심펌프(250)는 제1원심펌프(24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원심펌프(250)는 제2내측요철부(251)와 제2외측요철부(2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내측요철부(251)는 제2원심펌프(250)의 상측에 상방으로 오목한 오목부(251a)와 하방으로 볼록한 볼록부(251b)를 포함하며, 오목부(251a)와 볼록부(251b)는 각각 복수 개가 준비되어 서로 교번으로 배치되어 원을 이룰 수 있다.
제2내측요철부(251)는 제1원심펌프(240)의 제1내측요철부(241)와 제1외측요철부(24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외측요철부(252)는 제2원심펌프(250)의 상측에 제2내측요철부(251)의 외측에 제2내측요철부(251)와 이격될 수 있고, 제1외측요철부(242)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외측요철부(252)는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252a)와 하방으로 볼록한 볼록부(252b)를 포함하며, 오목부(252a)와 볼록부(252b)는 각각 복수 개가 준비되어 서로 교번으로 배치되어 원을 이룰 수 있다.
제1원심펌프(240)와 제2원심펌프(250)가 결합하였을 때, 중심부터 외측으로 제1내측요철부(241), 제2내측요철부(251), 제1외측요철부(242), 제2외측요철부(252) 순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의 오목부(241a, 251a, 242a, 252a)가 중첩된 경우, 제1원심펌프(240)의 내부공간을 통해 제1원심펌프(240)의 하측으로 이동된 유체는 각 오목부(241a, 251a, 242a, 252a)를 통해 외부로 이동될 수 있고, 결국 제2파이프부(400)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2원심펌프(250)는 하측에 배치된 블레이드(253)를 포함할 수 있다.
블레이드(253)는 일단이 제2원심펌프(250)의 하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외측을 향하여 나선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블레이드(253)는 오목부(241a, 251a, 242a, 252a)를 통해 외부로 이동된 유체를 회전으로 가압함으로써 제2파이프부(400)로 이동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마이크로 유화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 혼합부 110 : 뚜껑
111 : 힌지수단 120 : 교반축
130 : 교반날개 140 : 스크래퍼
200 : 전단혼합펌프부 210 : 축류펌프
220 : 임펠러 221 : 날개부
230 : 흡입구(230) 240 : 제1원심펌프
241 : 제1내측요철부 241a : 오목부
241b : 볼록부 242 : 제1외측요철부
242a : 오목부 242b : 볼록부
250 : 제2원심펌프 251 : 제2내측요철부
251a : 오목부 251b : 볼록부
252 : 제2외측요철부 252a : 오목부
252b : 볼록부 253 : 블레이드
300 : 제1파이프부 400 : 제2파이프부
410 : 배출구 500 : 밸브
600 : 제1모터 610 : 제2모터
P1 : 제1유로 P2 : 제2유로

Claims (9)

  1. 유체가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갖도록 하방으로 테이퍼지며, 상기 유체가 교반되도록 제1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교반기를 수용하는 혼합부;
    상기 혼합부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혼합부와 연통되고, 상기 유체를 이동시키는 제2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축류펌프를 수용한 전단혼합펌프부;
    일단이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부에 연결되며, 제1유로를 형성하는 제1파이프부;
    일단이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에 상기 제1파이프부와 이격되어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혼합부에 연결되며, 제2유로를 형성하는 제2파이프부; 및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에 설치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제1유로와 제2유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되도록 상기 제1파이프부와 상기 제2파이프부를 개폐하는 밸브;를 포함하되,
    상기 축류펌프는,
    일단이 상기 제2모터와 연결되고,
    타단에 설치되고 회전함으로써 상기 축류펌프의 주변으로 상기 유체를 유도하며, 나선형으로 배치된 복수 개의 날개를 포함하는 임펠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의 일측에는,
    상기 축류펌프의 회전에 의해 분말이 흡입되는 흡입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단혼합펌프부는,
    상기 혼합부로부터 이송되는 유체가 상기 제2유로를 따라 상기 제2파이프부로 이송되도록 원심펌프를 더 포함하는 마이크로 유화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부는,
    상부에 힌지수단에 의해 회동되고 상기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뚜껑;
    상기 뚜껑을 관통하며 상기 제1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한 교반축;
    상기 교반축에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에 수용된 유체를 교반하는 교반날개; 및
    상기 교반날개에 배치되어 상기 교반기가 회전할 때 상기 혼합부 내측 벽면을 스크랩핑하는 스크래퍼;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화기.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파이프부는,
    순환되는 유체를 배출하는 배출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화기.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는 상기 제1파이프부의 일단과 상기 제2파이프부의 일단 사이에 해당하는 상기 전단혼합펌프부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화기.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심펌프는,
    하측에 하방으로 오목한 오목부와 하방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교대로 원을 이루는 제1내측요철부와, 상기 제1내측요철부 외측에 배치되고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번으로 원을 이루는 제1외측요철부를 포함하는 제1원심펌프;
    상측에 상방으로 오목한 오목부와 상방으로 볼록한 볼록부가 교대로 원을 이루며 상기 제1내측요철부와 상기 제1외측요철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2내측요철부와, 상기 제1외측요철부의 외측에 배치되고 오목부와 볼록부가 교대로 원을 이루는 제2외측요철부를 포함하는 제2원심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축류펌프를 중심으로 상기 제1원심펌프의 오목부와 상기 제2원심펌프의 오목부가 서로 중첩될 때 상기 유체가 상기 오목부를 통해 외부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화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원심펌프의 하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이 외측을 향한 나선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는 블레이드;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이크로 유화기.
KR1020180119876A 2018-10-08 2018-10-08 마이크로 유화기 KR1020838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76A KR102083886B1 (ko) 2018-10-08 2018-10-08 마이크로 유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9876A KR102083886B1 (ko) 2018-10-08 2018-10-08 마이크로 유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3886B1 true KR102083886B1 (ko) 2020-03-03

Family

ID=69938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9876A KR102083886B1 (ko) 2018-10-08 2018-10-08 마이크로 유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8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1942A1 (ja) * 2021-08-18 2023-02-23 住友重機械プロセス機器株式会社 撹拌装置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333Y1 (ko) * 2005-09-05 2005-11-15 김충환 연속혼합식 교반기
KR20060122302A (ko) * 2005-05-26 2006-11-30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교반장치, 교반장치에 부착되는 순환세정장치 및순환세정장치를 구비하는 순환라인시스템
KR20070103137A (ko) * 2006-04-18 2007-10-23 자인주식회사 고점도의 점도 표준액 제조 장치
KR101004646B1 (ko) 2010-05-04 2011-01-03 주식회사 황조지이 유체와류를 이용한 유화기
KR101033706B1 (ko) * 2010-08-23 2011-05-09 이세영 자동 교반 용기
JP2012187474A (ja) * 2011-03-09 2012-10-04 Reika Kogyo Kk 原料混合装置、混合物製造システム、及び混合物の製造方法
KR20150045742A (ko) * 2013-10-21 2015-04-29 (주)흥보테크 균질 혼련기
KR101678112B1 (ko) * 2014-10-10 2016-11-23 박노성 분말 혼합기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2302A (ko) * 2005-05-26 2006-11-30 간사이 페인트 가부시키가이샤 교반장치, 교반장치에 부착되는 순환세정장치 및순환세정장치를 구비하는 순환라인시스템
KR200401333Y1 (ko) * 2005-09-05 2005-11-15 김충환 연속혼합식 교반기
KR20070103137A (ko) * 2006-04-18 2007-10-23 자인주식회사 고점도의 점도 표준액 제조 장치
KR101004646B1 (ko) 2010-05-04 2011-01-03 주식회사 황조지이 유체와류를 이용한 유화기
KR101033706B1 (ko) * 2010-08-23 2011-05-09 이세영 자동 교반 용기
JP2012187474A (ja) * 2011-03-09 2012-10-04 Reika Kogyo Kk 原料混合装置、混合物製造システム、及び混合物の製造方法
KR20150045742A (ko) * 2013-10-21 2015-04-29 (주)흥보테크 균질 혼련기
KR101678112B1 (ko) * 2014-10-10 2016-11-23 박노성 분말 혼합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021942A1 (ja) * 2021-08-18 2023-02-23 住友重機械プロセス機器株式会社 撹拌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63456B2 (en) Container for a blender
US6431742B2 (en) Continuous mixing apparatus with upper and lower disk impellers each having scrapers
CA1284146C (en) Mixing apparatus
JP6800018B2 (ja) 気液分離装置
CN110893063B (zh) 搅拌机
JP7061512B2 (ja) 攪拌装置
KR200460907Y1 (ko) 화장품 원재료 교반장치
KR102083886B1 (ko) 마이크로 유화기
KR102092386B1 (ko) 상·하 이중 교반익 방식의 분산 유화 장치
JP6869414B1 (ja) 攪拌装置
KR20230169051A (ko) 끼임 방지 구조를 가진 플래니터리 교반기
JP2021122784A (ja) 撹拌機
KR101196332B1 (ko) 혼련기
KR101678112B1 (ko) 분말 혼합기
JP6482542B2 (ja) ミル機能と羽根せん断機能との一体型微細化装置
CN114173930B (zh) 搅拌机及其脱水方法
CN115382427A (zh) 用于制浆机的搅拌装置和制浆机
JP2017500200A (ja) 液体処理ミキサー
JP5302265B2 (ja) 攪拌用回転体および攪拌装置
CN114745995B (zh) 真空搅拌机
KR100318994B1 (ko) 균질혼련기
KR101911053B1 (ko) 교반기용 교반구조
KR102162960B1 (ko) 식재료 혼합기
JP6086374B1 (ja) 攪拌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攪拌装置
US9010987B2 (en) Method and an apparatus/universal combine for agitation of liq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