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333Y1 - 연속혼합식 교반기 - Google Patents

연속혼합식 교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333Y1
KR200401333Y1 KR20-2005-0025501U KR20050025501U KR200401333Y1 KR 200401333 Y1 KR200401333 Y1 KR 200401333Y1 KR 20050025501 U KR20050025501 U KR 20050025501U KR 200401333 Y1 KR200401333 Y1 KR 2004013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rring
impeller
continuous mixing
rotar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2550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환
Original Assignee
김충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20-2005-002550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13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13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33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01F27/90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cooperating with intermeshing elements fixed on the receptacl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50Mixing liquids with so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05Stirrers
    • B01F27/07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 B01F27/072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01F27/0721Stirrers characterised by their mounting on the shaft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stirrers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parallel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808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stirrers driven from the bottom of the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50Movable or transportable mixing devices or pla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04Mixing biocidal, pesticidal or herbicidal ingredients used in agriculture or horticulture, e.g. for spray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성이 서로 다른 액체와 분말 등을 연속적으로 혼합시키면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연속혼합식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상단 중앙부와 하측 둘레부 일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교반통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나선방향의 이송블레이드가 다수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서로 다른 물성의 교반물질을 교반통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스크류임펠러와, 상기 스그류임펠러 직하부 위치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교반통 내부로 유입된 교반물질을 혼합시키는 회전임펠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혼합식 교반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연속혼합식 교반기{sequential mixing type mixer}
본 고안은 연속혼합식 교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물성이 서로 다른 액체와 분말 등을 연속적으로 혼합시키면서 배출할 수 있도록 된 연속혼합식 교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제역 등의 전염병이나 해충 등이 발생하면 발생한 지역에 신속히 제독액을 분사하여 주변으로 확산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이러한 종래의 제독액을 분사하는 제독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유입구에 물이 저장되는 물저장탱크(10)와 펌프(20) 및 제독분말이 저장되는 분말저장탱크(30)가 순차적으로 연결되어 물과 제독분말을 1차적으로 혼합시키는 연속혼합식 교반기(40)와, 상기 연속혼합식 교반기(40)의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교반기(40)에 의해 1차적으로 혼합된 물과 분말을 2차적으로 혼합하고 혼합된 제독액을 분사하는 와류형 교반기(50)로 구성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제독장치는 연속혼합식 교반기(40)에 물과 제독분말을 공급시키거나 와류형 교반기(50)에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별도의 펌프(20)를 구비하여야 하므로, 장치의 사이즈가 커지고, 장치의 코스트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음은 물론 에너지 소모량이 증대되어 제독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별도의 펌프없이도 내용물을 교반기 내부에 유입시키고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에너지 소비량을 줄일 수 있고 장치 및 제독비용을 낮출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연속혼합식 교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단 중앙부와 하측 둘레부 일측에 유입구와 배출구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교반통과,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나선방향의 이송블레이드가 다수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를 통해 서로 다른 물성의 교반물질을 교반통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스크류임펠러와, 상기 스그류임펠러 직하부 위치의 회전축에 고정 설치되어 교반통 내부로 유입된 교반물질을 혼합시키는 회전임펠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혼합식 교반기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혼합식 교반기의 정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속혼합식 교반기의 스크류임펠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혼합식 교반기의 교반임펠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혼합식 교반기의 원심임펠러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속혼합식 교반기(400)는 베이스프레임(410)의 일측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교반통(420)과, 상기 교반통(4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설치되는 회전축(430)과, 상기 회전축(430)의 상단에 고정 설치된 스크류임펠러(440)와, 상기 스크류임펠러(440)의 하측 위치의 회전축(430)과 교반통(420) 내벽면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회전임펠러(450) 및 고정임펠러(460)와, 상기 회전임펠러(450) 하측의 회전축(450)에 고정 설치되는 원심임펠러(470)로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의 저면 둘레부에는 캐스터(412)가 설치되어 교반기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며, 상면 타측에는 상기 회전축(430)을 회전시키는 모터(435)가 구동축이 하측을 향하도록 고정 설치된다.
상기 교반통(420)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프레임(410)의 일측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상면 중앙부에는 교반물질이 교반통(42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유입구(422)가 형성되고 하단 둘레벽 일측에는 배출구(42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교반통(420)에 물과 제독분말 등을 공급하기 위한 물저장탱크 및 분말저장탱크는 교반통(420) 상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물과 제독분말을 낙하되면서 상기 유입구(422)를 통해 교반통(420)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게 된다.
상기 회전축(430)은 상기 교반통(420) 중앙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임펠러(450) 및 원심임펠러(470)을 회전 시키는 것으로, 하단부가 모터(435)의 구동축에 벨트 등으로 연결되어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상기 스크류임펠러(440)는 상기 회전축(430) 상단에 고정 설치되어, 즉, 교반통(420) 내부의 유입구(422)와 근접되도록 회전축(430)에 고정 설치되어 교반통(420) 내부로 교반물질을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축(430)에 고정되는 보스(442)와, 상기 보스(442)의 외주면 상단 둘레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수직으로 나선방향으로 형성된 다수의 이송블레이드(444)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임펠러(440)를 회전시키면 다수의 이송블레이드(444)에 의해 상기 유입구(422)를 통해 유입되는 교반물질이 교반통(420) 내부로, 즉, 교반통(420) 하측으로 강하게 밀어 넣게 된다.
상기 회전임펠러(450)는 스크류임펠러(440) 하측의 회전축(430)에 연속적으로 고정 설치되어 교반통(420) 내부로 유입된 교반물질을 혼합시키는 것으로, 상기 회전축(430)에 고정되며 상측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보스(452)와, 상기 보스(452)의 상면 둘레부에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서로 다른 원주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회전 중심 방향으로 제1이송홈(454)이 다수 형성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향 돌출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제1교반돌기(456)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제1교반돌기(456)는 서로 다른 원주 2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스(452)의 상면 내측 둘레부에는, 즉, 상기 제1교반돌기(456) 내측 위치의 보스(452) 상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상기 제1교반돌기(456) 높이로 상향 돌출되게 블레이드(458)가 일체로 다수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블레이드(458)에 의해 교반물질을 회전임펠러(450)의 외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고정임펠러(460)는 상기 회전임펠러(450) 위치의 교반통(420)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어 교반성능, 즉, 용해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임펠러(450) 위치의 교반통(420) 내벽면에 고정 설치되는 링체(462)와, 상기 링체(462)의 저면 둘레부에, 즉, 상기 원주 2열로 형성된 제1교반돌기(456)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회전임펠러(450)의 회전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서로 다른 원주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2이송홈(464)이 다수 형성되게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2교반돌기(46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임펠러(450)를 회전시키면 원심력에 의해 교반물질이 상기 제1이송홈(454)과 고정임펠러(460)의 제2이송홈(464)를 통해 교반통(420)의 내벽면으로 이송되면서 교반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되게 된다. 한편,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교반돌기(456) 및 제2교반돌기(456)를 원주 2열로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각각 원주 1열 또는 다수열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원심임펠러(470)는 상기 교반통(420)의 배출구(424) 위치의 회전축(430)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회전,고정임펠러(450,460)에 의해 혼합된 교반물질을 상기 배출구(424)로 배출되도록 하는 것으로, 회전축(430)에 고정되는 보스(472)와 상기 보스(472)의 하측에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보스의 직경보다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디스크(474)와, 상기 디스크(474)의 상면에 둘레부를 따라 일정 간격으로 구비되는 원심블레이드(476)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상기 연속혼합식 교반기는 교반통(42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430)에 상측으로 부터 스크류임펠러(440), 회전임펠러(450) 및 원심임펠러(470)가 순차적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회전임펠러(450) 위치의 교반통(420) 내벽면에는 고정임펠러(460)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회전축(430)을 모터(435)에 의해 회전시키면 상기 스크류임펠러(440)에 의해 교반통(420) 유입구(422)에 연결된 물저장탱크 및 분말저장탱크의 물과 제독분말을 교반통(420) 하측으로 강제적으로 이송되면서, 상기 회전,고정임펠러(450,460)에 물과 분말이 혼합되어 용해되며, 상기 회전임펠러(350)의 하측에 배치되는 원심임펠러(470)에 의해 혼합된 교반물질이 배출구(424)를 통해 다른 곳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상기 회전 및 고정임펠러(450,46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이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1,2이송홈(454,464)를 회전 중심 방향으로 형성하였으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방향 외측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하거나 도 7에서와 같이, 일정 구역에 걸쳐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연속혼합식 교반기는 상기 스크류임펠러에 의해 교반물질을 교반통 내부로 강제로 유입시키고 원심임펠러에 의해 혼합된 교반물질을 교반통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펌프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장치의 사이즈를 줄일 수 있고, 에너지 소비량도 줄일 수 있으므로,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특징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고안의 목적, 구성, 효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제독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혼합식 교반기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연속혼합식 교반기의 스크류임펠러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혼합식 교반기의 회전 및 고정임펠러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혼합식 교반기의 원심임펠러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및 고정임펠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회전 및 고정임펠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면 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물저장탱크 20. 펌프
30. 분말저장탱크 50. 와류형 교반기
410. 베이스프레임 420. 교반통
430. 회전축 435. 모터
440. 스크류임펠러 450. 회전임펠러
460. 고정임펠러 470. 원심임펠러

Claims (7)

  1. 상단 중앙부와 하측 둘레부 일측에 유입구(422)와 배출구(424)가 각각 형성되며 내부 중앙에는 모터(435)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430)이 수직으로 설치되는 교반통(420)과,
    상기 회전축(430)의 상단에 고정설치되며 그 둘레부에는 나선방향의 이송블레이드(442)가 다수 구비되어 상기 유입구(422)를 통해 외부의 교반물질을 교반통(410)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하는 스크류임펠러(440)와,
    상기 스그류임펠러(440) 직하부 위치의 회전축(430)에 고정 설치되어 교반통(420) 내부로 유입된 교반물질을 혼합시키는 회전임펠러(4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혼합식 교반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임펠러(450)는 상기 회전축(430)에 고정되는 보스(452)와, 상기 보스(452)의 상면 둘레부에 원주 방향을 따라 제1이송홈(454)이 다수 형성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1교반돌기(456)와, 상기 제1교반돌기(456) 내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된 다수의 블레이드(45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혼합식 교반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이송홈(454)은 회전임펠러(450)의 회전 중심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방사 방향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혼합식 교반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424) 위치의 회전축(430) 둘레부에는 그 둘레부에 원심블레이드(476)가 다수 구비된 원심임펠러(470)가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혼합식 교반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임펠러(450) 위치의 교반통(420) 내벽면에는 그 저면 둘레부에 상기 제1교반돌기(456)의 외측에 위치되도록 원주 방향을 따라 제2이송홈(464)이 다수 형성되게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돌출 형성되는 다수의 제2교반돌기(466)가 형성된 링형상의 고정임펠러(4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혼합식 교반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홈(464)은 회전임펠러(450)의 회전 중심방향으로 형성되거나 방사 방향으로 갈수록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혼합식 교반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홈(464)은 일정 구간마다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혼합식 교반기.
KR20-2005-0025501U 2005-09-05 2005-09-05 연속혼합식 교반기 KR2004013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01U KR200401333Y1 (ko) 2005-09-05 2005-09-05 연속혼합식 교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25501U KR200401333Y1 (ko) 2005-09-05 2005-09-05 연속혼합식 교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333Y1 true KR200401333Y1 (ko) 2005-11-15

Family

ID=43702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5501U KR200401333Y1 (ko) 2005-09-05 2005-09-05 연속혼합식 교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1333Y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37B1 (ko) * 2006-09-26 2007-08-29 최종호 연속식 다목적 믹서기
KR101512892B1 (ko) 2013-04-09 2015-04-16 백정현 믹서기의 혼합용 칼날
KR20160042715A (ko) * 2014-10-10 2016-04-20 박노성 분말 혼합기
KR101749088B1 (ko) * 2014-10-10 2017-06-20 박노성 연속식 분말 혼합기
KR102083886B1 (ko) * 2018-10-08 2020-03-03 박노성 마이크로 유화기
KR20220065476A (ko) * 2020-11-13 2022-05-20 박노성 연속식 나노 분쇄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837B1 (ko) * 2006-09-26 2007-08-29 최종호 연속식 다목적 믹서기
KR101512892B1 (ko) 2013-04-09 2015-04-16 백정현 믹서기의 혼합용 칼날
KR20160042715A (ko) * 2014-10-10 2016-04-20 박노성 분말 혼합기
KR101678112B1 (ko) * 2014-10-10 2016-11-23 박노성 분말 혼합기
KR101749088B1 (ko) * 2014-10-10 2017-06-20 박노성 연속식 분말 혼합기
KR102083886B1 (ko) * 2018-10-08 2020-03-03 박노성 마이크로 유화기
KR20220065476A (ko) * 2020-11-13 2022-05-20 박노성 연속식 나노 분쇄 장치
KR102601573B1 (ko) * 2020-11-13 2023-11-14 박노성 연속식 나노 분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1333Y1 (ko) 연속혼합식 교반기
JP3632827B2 (ja) 撹拌装置
KR20020079386A (ko) 교반 혼합 장치
KR101030987B1 (ko) 교반밀
CN208878344U (zh) 液体搅拌罐
EP0947240B1 (en) Vertical agitating apparatus
US3946997A (en) Agitator for nonhomogeneous, liquid materials in a tank
KR100539400B1 (ko) 다중 날개를 가진 교반스크류 및 교반장치
KR19990036898A (ko) 혼련장치
CA1121807A (en) Top-to-bottom mixer
CN111330484B (zh) 一种工业废水净化处理工艺
CN210584587U (zh) 一种多功能搅拌机
KR101258207B1 (ko) 교반장치
KR100680037B1 (ko) 와류형 분말용해기 및 이를 채용한 분말 용해 시스템
CN210993999U (zh) 一种橘子罐头加工中投料与搅拌一体化装置
JP4080900B2 (ja) 撹拌機
KR200425225Y1 (ko) 바스켓 밀
FI96184C (fi) Menetelmä ja laite fluidien sekoittamiseksi
KR101749088B1 (ko) 연속식 분말 혼합기
JP2008284492A (ja) 撹拌装置
KR101850881B1 (ko) 사료 교반장치
CN206965657U (zh) 管道混合装置
JPS62155928A (ja) 粉粒体混合液の撹拌装置
JPH03267136A (ja) 立形撹拌機
CN210846096U (zh) 高效混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