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531B1 -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 - Google Patents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83531B1 KR102083531B1 KR1020180030639A KR20180030639A KR102083531B1 KR 102083531 B1 KR102083531 B1 KR 102083531B1 KR 1020180030639 A KR1020180030639 A KR 1020180030639A KR 20180030639 A KR20180030639 A KR 20180030639A KR 102083531 B1 KR102083531 B1 KR 1020835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adle
- fastening
- protrusion
- moving
- foreign materi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01—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devices for cleaning la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teel In Its Molten Stat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 상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래들 상에 장착 설치되며, 래들의 이송을 위해 상기 래들과 체결되는 체결부로부터 가해지는 힘 및 체결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 래들의 폭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래들을 다음 조업으로 이송시키기 전에, 체결부를 래들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래들 상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에, 래들 이송시에 래들 상의 이물질의 낙하에 따른 설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용강과 이물질간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래들을 다음 조업으로 이송시키기 전에, 체결부를 래들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래들 상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에, 래들 이송시에 래들 상의 이물질의 낙하에 따른 설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용강과 이물질간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래들 상에 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주설비 등에 철 용융물을 공급시키도록 구성된 용기 형상의 래들(Ladle)에는 용융물을 배출시키는 과정 중 그 상부에 용융물이 고착되어 형성된 지금이 잔류된다.
한편, 래들의 외주면에는 그 둘레를 따라 돌출부가 형성되는데, 상기 돌출부 상에 지금이 잔류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돌출부 중 후크가 걸리는 트러니언(trunnion)의 상측 영역의 면적이 다른 영역에 비해 넓어, 상기 영역에 지금이 잔류되기가 쉽다.
그리고, 지금 뿐만 아니라, 프로브(probe)를 이용하여 래들 내 성분 조성을 측정하는데, 측정 전, 측정 과정 또는 측정 후에 프로브(probe)가 낙하될 수 있고, 낙하되는 프로브가 돌출부(상부면에 안착 또는 놓여질 수 있다. 특히, 돌출부 상부면 중, 걸림부 상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안착 또는 놓여지기 쉽다.
이렇게 래들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12) 상에 지금 및 프로브와 같은 이물질이 잔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래들을 이송시킬 경우, 이물질이 래들(10) 밖으로 낙하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래들 이동시에 래들 내 용강 일부가 외부로 비산 또는 배출되어 이물질에 낙하 또는 접촉될 경우, 이는 화재의 발생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래들 상에 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래들의 이송 전에 래들 상에 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래들 상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래들 상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래들의 이송을 위해 상기 래들과 체결되는 체결부로부터 가해지는 힘 및 상기 체결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래들의 폭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되는 이물질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래들은, 용강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체결부가 걸려 체결되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돌출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부 상에서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하다.
일단이 상기 이물질 제거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이동되는 상기 체결부와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돌출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이동부; 및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서 상기 이동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로부터 상기 이동부에 가해지는 압력 및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래들의 폭 방향으로 압축 또는 이완 가능한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복귀부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이동부가 분리되어 있을 때,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후단 및 상기 이동부가 상기 걸림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장력을 가진다.
상기 복귀부는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서 상기 래들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 방향의 일단이 상기 걸림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걸림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연장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은 래들과 체결이 가능한 체결부를 이용하여, 상기 래들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래들의 이송을 위해, 상기 체결부가 상기 래들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들 외부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부가 동작한다.
상기 체결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들 외부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부가 동작하는데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래들과 체결을 위해 이동하는 동작에 따라, 상기 래들의 외부에 위치된 이물질 제거부가 상기 래들의 폭 방향으로 전진 이동한다.
상기 래들은, 용강의 수용이 가능한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돌출부 상에서 이동한다.
상기 체결부를 상기 래들과 체결하는데 있어서, 상기 체결부를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후방에서 상기 걸림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체결부를 상기 걸림부에 체결시키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상기 래들의 폭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는데 있어서, 상기 체결부를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후방에서 상기 걸림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밀어 전진 이동시킨다.
상기 래들을 다음 공정 위치로 이송시킨 후에, 상기 체결부를 상기 걸림부와 분리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를 상기 걸림부와 분리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후진 이동하여 본래 위치로 복원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하면, 래들을 다음 조업으로 이송시키기 전에, 체결부를 래들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래들 상의 이물질을 제거한다. 이에, 래들 이송시에 래들 상의 이물질의 낙하에 따른 설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용강과 이물질간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래들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공정을 별도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체결부를 래들의 걸림부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함께 이루어지므로, 돌출부 상의 이물질 제거를 위한 공정 시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물질 제거 공정에 따른 공정 시간 지연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생산 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래들을 도시한 입체도
도 2 및 도 4는 래들 상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 및 도 5는 래들 상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도 2 및 도 4는 래들 상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3 및 도 5는 래들 상에 장착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상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래들 상에 놓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래들의 이송 전에 래들 상에 놓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철 공정에서 사용되며, 용강을 수용하여 수송하는 용기인 래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래들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통 형상이다. 래들(10)의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루 설명하면, 실시예에 따른 래들(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며, 상측이 개구된 본체(11), 본체(1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돌출부(12) 및 본체(11)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부(12)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래들(10)을 들어올리기 위한 크레인의 체결부(C)가 걸려 체결되는 걸림부(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부(C)는 일측이 개방된 갈고리 형태의 후크(Hook)일 수 있다.
본체(11)의 상측 개구 중 둘레 방향의 일부 영역은 래들 슬래그를 배재하는 배재구(14)이다. 실시예에 따른 배재구(1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의 상측 개구 중 일부에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통로 유로가 마련된 형태일 수 있다.
걸림부(13)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본체(11) 상에서 상호 대칭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걸림부(13) 각각은 돌출부(12)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그 연장 방향 또는 돌출 방향은 본체(11)의 폭 방향 또는 직경 방향이다.
그리고, 본체(11)의 상측 개구 중, 한 쌍의 걸림부 사이에 배재구(14)가 마련된다.
돌출부(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본체(11)의 외주면의 둘레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형상으로, 예컨대 중공형의 형상일 수 있다. 이때, 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12)에 있어서, 걸림부(13)의 상측 영역이 폭이 다른 나머지 영역에 비해 크다. 보다 구체적으로, 돌출부(12)의 연장 영역 중, 걸림부(13)와 대응 위치하는 영역의 폭 및 걸림부(13) 주변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이 다른 나머지 영역에 비해 크다. 즉, 돌출부(12)는 연장 방향으로 그 폭이 동일하지 않으며, 걸림부(13)와 대응하는 영역의 폭 및 걸림부(13) 주변에 대응하는 영역의 폭이 다른 나머지 영역에 비해 넓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돌출부(12)는 걸림부(13)를 기준으로 양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걸림부(13)의 양 방향 중, 일측 방향은 걸림부(13)로부터 배재구(14)가 위치된 방향이고, 다른 타측 방향은 걸림부(13)로부터 상기 배재구(14)와 대칭 또는 마주보는 위치의 방향이다. 이를 반영하여 돌출부(12)의 폭 변화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배재구(14) 및 상기 배재구(14)와 대향 위치로부터 걸림부(13)가 위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걸림부(13)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돌출부(12)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본체(11)의 외주면에 그 둘레 방향을 따라 돌출부(12)를 마련하고, 특히 걸림부(13) 및 걸림부(13) 주위 영역의 폭을 넓게 하는 것은, 크레인의 체결부(C)가 걸림부에 걸릴때, 체결부(C)의 이동 및 걸림부(13)와의 체결시에 본체(11)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은 제철 조업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설비로서, 로프를 이용하여 체결부를 승하강시킨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크레인은
래들(1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래들(10)과의 체결 시에 래들(10)의 상측에 위치되는 리프팅 빔, 일단이 리프팅 빔의 양 끝단에 가기 연결되고, 하측으로 연장 형성된 한 쌍의 리프팅 바, 한 쌍의 리프팅 바 각각에 장착되며, 걸림부(13)에 걸림이 가능한 한 쌍의 체결부(C), 리프팅 빔의 상측에 위치된 구동 본체, 구동 본체 상에 설치되고, 회전 가능하며 로프가 감겨있는 로프 드럼, 로프 드럼에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동력기, 로프 드럼의 각각의 일측에 위치되며, 로프의 감김이 가능한 한 쌍의 제 1 도르래 블록, 리프팅 빔 상에 장착되며, 상기 로프의 타측이 감기는 제 2 도르래 블록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 본체의 하부에 장착되며, 체결부의 수평 이동이 가능하도록 외부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활주 가능한 바퀴를 포함한다.
이러한, 크레인에 의하면, 동력기의 동작에 따라 로프가 로프 드럼, 제 1 및 제 2 도르래 블록에 감기거나 풀리는 동작에 의해, 리프팅 빔이 하측으로 하강하거나, 상승한다. 이에 따라 리프팅 빔에 설치된 리프팅 바 및 체결부(C)가 상승 또는 하강한다.
또한, 바퀴가 구동 본체 하측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활주함에 따라 수평 이동 가능하다.
한편, 돌출부(12) 상부면 중, 걸림부(13) 상측 영역은 그 면적이 넓어, 이물질(P)이 잔류하거나, 이물질이 떨어져 놓여지기 쉽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돌출부(12) 상부면 중, 걸림부(13) 상측에 대응하는 영역 및 그 주변 영역 면적이 넓어, 용융물이 고상화된 지금이 잔류하기가 쉽다. 또한, 프로브(probe)를 이용하여 래들(10) 내 성분 조성을 측정하는데, 측정 전, 측정 과정 또는 측정 후에 프로브(probe)가 낙하될 수 있고, 낙하되는 프로브가 돌출부(12) 상부면에 안착 또는 놓여질 수 있다. 특히, 돌출부 상부면 중, 걸림부 상측에 대응하는 영역에 안착 또는 놓여질 수 있다.
그리고, 래들(10)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돌출부(12) 상에 지금 및 프로브와 같은 이물질(P)이 잔류하고 있는 상태에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래들(10)을 이송시킬 경우, 이물질(P)이 래들(10) 밖으로 낙하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안전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래들(10) 이동시에 래들(10) 내 용강 일부가 외부로 비산 또는 배출되어 이물질(P)에 낙하 또는 접촉될 경우, 이는 화재의 발생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상술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래들(10)의 이동 전에 이물질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크레인의 구동에 의해 동작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2000)를 래들(10)에 장착하여, 래들(10)의 이송 전에 이물질(P)을 상기 래들로부터 제거한다.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2000)는 크레인,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결부의 이동에 따라 동작한다. 즉,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2000)는 래들(10)의 이송을 위해 크레인의 체결부(C)가 래들(10)의 걸림부(13)로 이동할 때 동작하여, 걸림부(13) 상측에 위치하는 돌출부(12) 상부의 이물질을 돌출부(12) 외부로 밀어낸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2000)는, 돌출부(12) 상에 위치되며, 체결부(C)와의 접촉 여부 및 이동에 따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한 이물질 제거부(2110)를 구비하는 이물질 제거기(2100), 이물질 제거기(2100)와 연결되어 체결부(C)로부터 이물질 제거기(2100)로 가해지는 압력이 해제되면, 이물질 제거기(2100)가 원래 위치로 복귀 되도록 후진 이동시키는 복귀부(2200)를 포함한다.
이물질 제거기(2100)는 래들(1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돌출부(12) 상에 위치되며, 후술되는 이동부(2120)의 동작에 따라 전후진 이동이 가능한 이물질 제거부(2110) 및 이물질 제거부(2110)와 연결되며, 체결부(C)와의 접촉 여부 또는 체결부(C)의 이동에 따라 전, 후진 이동이 가능한 이동부(2120)를 포함한다.
이물질 제거부(2110)는 돌출부(12)의 상부면 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체결부(C)의 수평 이동에 따른 이동부(2120)의 동작에 따라 상기 돌출부(12) 상에서 전, 후진 이동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부(2110)는 사각형의 바(bar) 형상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12) 상에서 전, 후진이 가능한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 가능하다.
이동부(2120)는 일단이 이물질 제거부(2110)에 연결되고, 타단이 복귀부(2200)에 연결된다.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2120)는 일단이 이물질 제거부(2110)에 연결되며, 복귀부(2200)를 향해 연장 형성된 연결 부재(2121) 및 일단이 연결 부재(2121)에 연결되며, 돌출부(12)의 외측까지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된 푸쉬 부재(2122)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연결 부재(21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일단이 돌출부(12) 상측에 위치되는 이물질 제거부(2110)와 연결되고, 복귀부(2200)가 위치된 돌출부(12)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타단이 푸쉬 부재(2122)와 연결된다.
푸쉬 부재(2122)는 돌출부(12)의 하측에서 연결 부재(2121)의 타단과 복귀부(22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푸쉬 부재(2122)는 래들(10)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타단을 포함하는 일부가 돌출부(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돌출 형성된다.
복귀부(2200)는 체결부(C)로부터 이물질 제거기(2100) 즉, 이동부(2120)에 가해지는 압축 압력이 해제되면, 이물질 제거기(2100)가 원래 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으로, 푸쉬 부재(2122)와 연결된 탄성 부재(222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에 따른 복귀부(2200)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바디(2210) 및 바디(2210) 내부에 설치된 탄성 부재(2220)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2220)는 스프링으로서, 바디(2210) 내부에서 상기 바디(221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 설치된다. 그리고, 푸쉬 부재(2122)의 일단은 바디(2210)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삽입 설치되고, 탄성 부재(2220)의 일단은 바디(2210) 내부에서 푸쉬 부재(2122)와 연결되고, 탄성 부재(2220)의 타단은 바디(2210) 내벽에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복귀부(2200)는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12)의 하측에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들(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돌출부(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이 푸쉬 부재(2122)의 일단은 복귀부(2200)와 연결되므로, 푸쉬 부재(2122)의 타단은 돌출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하지만, 복귀부(2200)가 돌출부(12)의 외측에 위치하는 예에 한정되지 않고, 돌출부(12)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돌출부(12)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귀부(2200)를 제외한 푸쉬 부재(2122)만이 돌출부(12)의 외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탄성 부재(2220)가 압축되기 전 상태는 체결부(C)의 이동에 의해 이동부(2120)가 동작하기 전 상태로서, 이때 이물질 제거기(2100)는 걸림부(13)의 후방에 위치한다. 즉, 체결부(C)의 이동에 의해 동작하기 전에, 이동부(2120)와 연결된 이물질 제거부(2110)의 후단 및 이동부(2120)는 걸림부의 후방에 위치한다.
이를 위해, 체결부(C)가 푸쉬 부재(2122)를 가압 또는 밀기 전에, 탄성 부재(2220)는 그 일단이 걸림부(1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장력을 유지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 부재(2220)는 그 타단이 걸림부(13)의 전방 외측에 연결된다.
이를 위해, 실시예에 따른 복귀부(2200)의 바디(2210)는 그 연장 방향의 양 끝단 중 일단이 체결부(C)의 후방에, 타단이 걸림부(13)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연장 형성된다.그리고, 이러한 바디(2210) 내부에 탄성 부재(2220) 및 푸쉬 부재(2122)가 설치되는데, 이물질 제거기(2100)의 동작 전에 탄성 부재(2220)의 일단 및 푸쉬 부재(2122)가 걸림부(13)의 후방에 위치된다. 또한, 탄성 부재(2220)의 타단은 이물질 제거기(2100)의 동작에 관계없이 바디에 고정 설치된다.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정련 공정이 완료된 용강이 래들(10)로 장입되면, 크레인을 이용하여 래들(10)을 다음 조업 위치 예컨대, 주조 설비로 이송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래들(10)을 주조 설비의 터렛 장치로 이송시키다.
이를 위해, 크레인의 체결부(C)를 래들(10) 방향으로 위치시켜, 체결부(C)를 래들(10)의 걸림부(13)에 건다. 체결부(C)가 래들(10)의 걸림부로 이동하는데 있어서, 이물질 제거 장치(2000)의 후방,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물질 제거기(2100)의 후방 위치에서, 걸림부(13)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체결부(C)를 걸림부(13)에 걸어 체결한다.
이때, 이물질 제거 장치(2000)가 동작되기 전에, 이물질 제거부(2110) 및 이동부(2120)는 걸림부(13)의 외측 즉, 후방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체결부(C)가 이물질 제거부(2110) 및 이동부(2120)의 후방에서 걸림부(13)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던 중에,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C)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부(2120)와 접촉된다. 그리고 걸림부(13)와의 체결을 위해, 체결부(C)를 계속 이동시키면, 체결부(C)의 이동에 의해, 이동부(2120) 및 이와 연결된 이물질 제거부(2110)가 체결부의 이동 방향으로 전진 이동한다. 이때, 돌출부(12)의 상부에 이물질(P)이 잔류 또는 놓여 있는 경우, 전진하는 이물질 제거부(2110)에 의해 이물질(P)이 돌출부(12)의 외측으로 밀려나가 낙하되며, 이에 따라 이물질(P)이 래들(10)로부터 제거된다.
래들(10) 상의 이물질(P)이 제거되면, 체결부(C)를 상승시켜 래들(10)을 들어올린 후, 래들(10)을 다음 조업 위치 예컨대, 주조 설비의 터렛 장치 위치로 이송시킨다.
그리고, 래들(10)이 터렛 장치 상에 안착되면, 체결부(C)와 래들(10)의 걸림부(13)를 분리한다. 이때, 체결부(C)를 이물질 제거부(2110) 및 이동부(2120)의 후방 방향으로 이동시켜 걸림부(13)와 분리시킨다. 이에 따라, 체결부(C)가 이물질 제거기(2100) 즉, 이동부(2120)를 압축 또는 가압하고 있던 압축 압력이 해제됨에 따라, 탄성 부재(2220)가 원래 상태로 복원 즉, 이완된다. 이러한 탄성 부재(2220)의 복원에 의해, 이동부(2120) 및 이물질 제거부(2110)가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즉, 이물질 제거부(2110)의 후단 및 이동부(2120)가 걸림부(13)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후진 이동되어,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래들(10)을 다음 조업으로 이송시키기 전에, 체결부(C)를 래들(10)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래들(10) 상의 이물질(P)을 제거한다. 이에, 래들(10) 이송시에 래들(10) 상의 이물질의 낙하에 따른 설비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용강과 이물질(P) 간의 화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래들 상의 이물질(P)을 제거하는 공정을 별도로 실시하는 것이 아니라, 체결부(C)를 래들(10)의 걸림부(13)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함께 이루어지므로, 돌출부(12) 상의 이물질(P) 제거를 위한 공정 시간이 별도로 필요하지 않다. 따라서, 이물질(P) 제거 공정에 따른 공정 시간 지연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체 생산 수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0: 래들 11: 본체
12: 돌출부 13: 걸림부
2000: 이물질 제거 장치 2100: 이물질 제거기
2110: 이물질 제거부 2120: 이동부
2200: 복귀부
12: 돌출부 13: 걸림부
2000: 이물질 제거 장치 2100: 이물질 제거기
2110: 이물질 제거부 2120: 이동부
2200: 복귀부
Claims (10)
- 용강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을 가지는 본체, 상기 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돌출부 및 상기 돌출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이송을 위해 체결부가 걸려 체결되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래들 상에 잔류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서,
상기 래들 상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래들의 이송을 위해 상기 래들과 체결되는 상기 체결부로부터 가해지는 힘 및 상기 체결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래들의 폭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 이동되는 이물질 제거부;
일단이 상기 이물질 제거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이동되는 상기 체결부와 접촉이 가능하도록, 상기 돌출부와 체결부 사이에서 상기 돌출부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이동부;
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돌출부 상에 설치되어, 상기 돌출부 상에서 전진 및 후진 이동이 가능한 이물질 제거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서 상기 이동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체결부로부터 상기 이동부에 가해지는 압력 및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래들의 폭 방향으로 압축 또는 이완 가능한 탄성 부재를 구비하는 복귀부를 포함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체결부와 상기 이동부가 분리되어 있을 때,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후단 및 상기 이동부가 상기 걸림부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이동부를 지지하는 장력을 가지는 이물질 제거 장치.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복귀부는 상기 돌출부의 하측에서 상기 래들의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연장 방향의 일단이 상기 걸림부의 후방에 위치하고, 타단이 상기 걸림부의 전방에 위치하도록 연장 형성된 바디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바디 내부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 장치. - 용강의 수용이 가능한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외측에 설치된 걸림부를 구비하는 래들을 상기 래들과 체결이 가능한 체결부를 이용하여, 상기 래들을 처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래들의 이송을 위해, 상기 체결부가 상기 래들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들 외부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부가 동작하며,
상기 체결부를 상기 래들에 체결하는데 있어서, 상기 체결부를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후방에서 상기 걸림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체결부를 상기 걸림부에 체결시키는 래들 처리 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의 이동에 따라 상기 래들 외부에 설치된 이물질 제거부가 동작하는데 있어서,
상기 체결부가 상기 래들과 체결을 위해 이동하는 동작에 따라, 상기 래들의 외부에 위치된 이물질 제거부가 상기 래들의 폭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는 래들 처리 방법.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래들은, 상기 본체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연장 형성된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물질 제거부는 상기 돌출부 상에서 이동하는 래들 처리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상기 래들의 폭 방향으로 전진 이동하는데 있어서, 상기 체결부를 상기 이물질 제거부의 후방에서 상기 걸림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이물질 제거부를 밀어 전진 이동시키는 래들 처리 방법.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래들을 다음 공정 위치로 이송시킨 후에, 상기 체결부를 상기 걸림부와 분리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를 상기 걸림부와 분리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이물질 제거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이 해제되어,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이물질 제거부가 후진 이동하여 본래 위치로 복원되는 래들 처리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639A KR102083531B1 (ko) | 2018-03-16 | 2018-03-16 |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30639A KR102083531B1 (ko) | 2018-03-16 | 2018-03-16 |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8943A KR20190108943A (ko) | 2019-09-25 |
KR102083531B1 true KR102083531B1 (ko) | 2020-03-02 |
Family
ID=68068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30639A KR102083531B1 (ko) | 2018-03-16 | 2018-03-16 |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8353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359240B1 (ko) * | 2020-06-05 | 2022-02-07 | 주식회사 포스코 |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7180B1 (ko) * | 2001-10-15 | 2008-03-27 | 주식회사 포스코 | 스탠드 더스트 제거기능을 구비하는 래이들 안착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60566B1 (ko) | 2001-05-03 | 2007-09-20 | 주식회사 포스코 | 래들 상부의 지금 제거장치 |
KR100885948B1 (ko) * | 2002-07-02 | 2009-02-26 | 주식회사 포스코 | 래이들 경동스탠드 새들의 슬래그 제거장치 |
KR100902823B1 (ko) * | 2002-10-04 | 2009-06-12 | 주식회사 포스코 | 래들 상부의 부착 지금 제거장치 |
-
2018
- 2018-03-16 KR KR1020180030639A patent/KR10208353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7180B1 (ko) * | 2001-10-15 | 2008-03-27 | 주식회사 포스코 | 스탠드 더스트 제거기능을 구비하는 래이들 안착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08943A (ko) | 2019-09-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83531B1 (ko) |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방법 | |
KR101472111B1 (ko) | 금형의 핀 제거장치 | |
JP6164527B2 (ja) | 枠付き上下鋳型の枠合せ装置及び枠合せ方法 | |
KR101277238B1 (ko) | 철강 소재 절단용 지지대 | |
KR101486948B1 (ko) | 버 제거장치 | |
KR102088450B1 (ko) | 운반장치 및 운반방법 | |
CN205520446U (zh) | 一种连接件加工及外观自动检测装置 | |
RU2008129033A (ru) | Способ, позволяющий снять анодные остатки, прикрепленные к отработанным анодам, поступающим из серий электролиза расплава | |
US3727677A (en) | Apparatus for removing parts cast in sand moulds | |
JP2014040300A (ja) | 振動機 | |
KR101698652B1 (ko) | 슬래그 배재장치 | |
KR101958003B1 (ko) | 레들의 응고 슬래그 제거 장치 | |
JP6603200B2 (ja) | ベルトクリーナー | |
KR101243215B1 (ko) | 용강 탕면의 경화 슬라그 파쇄장치 | |
JP4468742B2 (ja) | 鋳物の取り出し方法 | |
US1756812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extracting castings from molds | |
JP2007136475A (ja) | ヤニ除去方法および金型 | |
KR200196328Y1 (ko) | 양측 용접기의 스크랩 제거장치 | |
RU1822368C (ru) | Машина дл центробежного лить | |
KR100705677B1 (ko) | 연주기용 더미바의 헤드 클립 분리장치 | |
US2114351A (en) | Material handling mechanism | |
CN105129323A (zh) | 用于斗提机的料斗 | |
US2727298A (en) | Scale remover | |
KR101786357B1 (ko) | 스키드 구조물의 이물 제거장치 | |
KR20230052050A (ko) | 운반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