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709B1 -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 - Google Patents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709B1
KR102082709B1 KR1020180094154A KR20180094154A KR102082709B1 KR 102082709 B1 KR102082709 B1 KR 102082709B1 KR 1020180094154 A KR1020180094154 A KR 1020180094154A KR 20180094154 A KR20180094154 A KR 20180094154A KR 102082709 B1 KR102082709 B1 KR 102082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cable
pair
arm portions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4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8841A (ko
Inventor
이일해
이상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리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리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리팩
Priority to KR10201800941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7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18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8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 설비에 부수하는 전선, 센서라인,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 등의 각종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게 해주는 케이블 행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행거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은 공장 자동화 설비에 부수하는 케이블의 배선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행거 거치대와; 상기 배선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행거 거치대에 결합하며, 일정한 사이 공간을 갖는 한 쌍의 걸림아암부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행거 브래킷과;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걸림아암부에 걸려 인장된 상태로 상기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나선상으로 권취되는 다수의 코일은 서로 이웃하는 코일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케이블이 탄성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해주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케이블의 배선작업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며 케이블 간 접촉으로 인한 발열 내지 화재를 예방하고 전자기적 영향을 줄여줄 수 있다.

Description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CABLE HANGER STRUCTURE COMPRISING THE SAME FOR FACTORY AUTOMATION FACILITY}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 설비에 부수하는 전선, 센서라인, 압축공기 공급 파이프 등의 각종 케이블을 정리할 수 있게 해주는 케이블 행거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분야의 생산현장, 특히 공장 내 설치되는 자동화 설비에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류, 센서선, 컴프레서에 의해 압축된 공기를 공급하는 파이프류 등 다양한 케이블이 부수적으로 배선된다. 그리고, 이러한 케이블은 공장 내 자동화 설비의 동선을 방해하지 않도록 배선 내지 정리되어야 하는바, 종래에는 단순히 여러 종류의 케이블을 타이밴드(tie band) 등을 이용하여 하나의 다발로 묶어 바닥이나 벽 등에 고정시키는 경우가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처리방법에 의하면 서로 한데 묶어진 케이블들의 틈새로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끼어들어 적체되고, 이러한 이물질은 물청소나 압축공기에 의해 쉽게 제거되지 않아 깨끗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는데 걸림돌이 되어 왔다. 특히, 고도로 청결을 요하는 음식료품의 자동생산 현장 등에서는 케이블류의 정리 및 청결상태 유지가 중요한 관건이 되고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타이밴드 등으로 여러 가닥의 케이블을 하나의 다발로 묶어 관리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케이블이 단선 또는 손상되어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케이블 다발 속에서 교체하여야 하는 케이블이 어느 것인지 확인하기가 곤란할 뿐 아니라, 케이블 다발의 길이방향을 따라 묶는 모든 타이밴드를 제거하고 특정 케이블을 교체한 다음 다시 타이밴드들을 일일이 묶어주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또한, 여러 가닥의 케이블을 한 다발로 묶어서 유지 관리하는 경우에는 전선에서 발생한 열이 발산되지 않고 축적되어 화재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고 전선 상호간 또는 주변기기에 전자기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므로, 나아가 이에 따라 국가별로는 케이블 간 직접적인 접촉을 금지하는 규정을 둔 경우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끈(1)으로 케이블들(2)을 일정한 간격으로 묶어주어 정렬하는 방안이 제안되기는 하였으나, 끈(1)으로 묶는데 많은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뿐 아니라 어느 하나의 케이블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끈들(1)을 일일이 풀어주어야 하므로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케이블의 배선작업 및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케이블 간 접촉으로 인한 발열 내지 화재를 예방하고 전자기적 영향을 줄여주며 케이블의 집적(集積) 처리에 관한 관련법규를 준수할 수 있는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 설비에 부수하는 케이블의 배선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행거 거치대와; 상기 배선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행거 거치대에 결합하며, 일정한 사이 공간을 갖는 한 쌍의 걸림아암부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행거 브래킷과;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걸림아암부에 걸려 인장된 상태로 상기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나선상으로 권취되는 다수의 코일은 서로 이웃하는 코일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케이블이 탄성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해주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행거 브래킷은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행거 거치대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해주는 결합부가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걸림아암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사이 공간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함입 형성되는 수용홈부이고, 상기 행거 거치대는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어 용접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수직으로 접합되는 구성을 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걸림아암부는 상기 행거 브래킷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은, 상기 코일스프링에 축방향으로 수용되어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걸림아암부에 걸려 상기 코일스프링으로부터 인출이 차단되는 축방향 삽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코일의 서로 이웃하는 코일 사이의 간격을 통해 끼워진 상기 케이블은 상기 축방향 삽입부재에 걸려 상기 코일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빠지지 못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판상으로 이루어지고, 행거 거치대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고 일정한 사이 공간을 갖는 한 쌍의 걸림아암부가 형성된 행거 브래킷과;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걸림아암부에 걸려 인장된 상태로 상기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나선상으로 권취되는 다수의 코일은 서로 이웃하는 코일 사이의 간격을 통해 케이블이 탄성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해주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장 자동화 설비에 부수하는 케이블의 배선경로를 따라 배치되고, 상기 배선경로의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사이 공간을 갖는 한 쌍의 걸림아암부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행거 브래킷과;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걸림아암부에 걸려 인장된 상태로 상기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나선상으로 권취되는 다수의 코일은 서로 이웃하는 코일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케이블이 탄성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해주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는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에 의하면, 행거 브래킷에 걸려 인장된 코일스프링의 코일 사이 간격에 케이블을 끼움으로써 쉽고 편리하게 일정한 배열로 정렬 및 유지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케이블을 코일 사이로 끼우고 빼는 과정에서 상처 날 일이 없고, 코일스프링의 코일 간격을 늘리거나 줄일 수 있으므로 끼우고자하는 케이블의 굵기에 관계없이 어느 정도의 직경 범위 내라면 다양한 사이즈의 케이블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에 끼워지는 케이블마다 서로 자연스럽게 이격됨으로써 이물질이 끼어들 틈새를 없애주고 물청소나 압축공기를 이용한 청소가 용이하므로 깨끗한 작업환경을 유지하도록 해줄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간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케이블 간 접촉으로 인한 발열 내지 화재를 예방할 수 있고 케이블 간 전자기적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나아가, 특정 케이블을 교체하고자 할 경우, 상기와 같이 코일스프링을 따라 정렬된 다수의 케이블로부터 문제의 케이블을 찾아내기 쉽고, 그 교체 또한 해당 코일 사이 간격으로부터 케이블을 빼내기만 하면 되므로 편리하고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해준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케이블 정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의 정면도 및 평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 행거 브래킷을 분리하여 도시한 정면도 및 측면도,
도 5는 도 3에서 코일스프링을 분리함으로써 수축된 모습을 도시한 정면도,
도 6은 도 2의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을 실제 현장에 구현한 모습의 사진,
도 7은 도 6의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의 주요부를 확대한 모습의 사진,
도 8은 도 7의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의 다른 구현례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 거치대(110)와 이의 연장된 경로를 따라 일체로 결합된 다수의 행거 브래킷(120), 그리고 각 행거 브래킷(120)의 좌,우측에 설치되는 코일스프링(130)을 포함한다.
행거 거치대(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2)이 부설되는 공장 자동화 설비(3)에서 상기 케이블(2)의 배선경로를 따라 수직 및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다.
행거 브래킷(120)과 코일스프링(130)이 결합된 모습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다.
행거 브래킷(1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이루어져 행거 거치대(110)에 결합되는 몸체부(121)와 이의 상,하단으로부터 대략적으로 수평으로 연장 형성되는 좌,우 각 한 쌍의 걸림아암부(122)를 갖는다.
즉, 한 쌍의 걸림아암부(122)는 몸체부(121)의 좌우 각 측에 연장 형성되며, 한 쌍을 이루는 상,하 걸림아암부(122-1, 122-2) 사이에는 일정한 사이 공간(S)이 형성된다. 결국, 이 사이 공간(S)은 몸체부(121)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다.
몸체부(121)에는 일측으로부터 함입 형성되는 수용홈부(123)가 형성되어 행거 거치대(110)가 수용 및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되는 결합부를 이루며, 이를 통해 행거 브래킷(120)은 행거 거치대(110)의 연장되는 경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수직방향, 즉 가로방향으로 결합한다. 수용홈부(123)에서는 3곳의 용접부위(123a)를 통해 행거 거치대(110)에 수직으로 접합된다.
코일스프링(130)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축방향을 따라 나선상으로 권취되는 다수의 코일(131)이 형성된 인장스프링으로서 상,하단부의 고리(132)가 행거 브래킷(120)측 한 쌍의 걸림아암부(122)에 걸려 인장된 상태로 상하 사이 공간(도 4의 S)에 위치한다. 한 쌍의 걸림아암부(122)는 몸체부(121)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코일스프링(130) 또한 몸체부(121)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된다.
도 3과 같이 설치되는 코일스프링(130)의 서로 이웃하는 코일(131) 사이마다 형성되는 간격(G)을 통해 케이블(도 6의 2)이 끼워질 경우 이에 이웃한 상,하 코일(131)이 벌어져 탄성적으로 케이블(2)을 조여줌으로써 그 끼워진 위치에서 고정시켜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케이블(2)이 행거 거치대(110)에 의해 안내되는 배선경로를 따라 정렬될 수 있으며, 케이블(2) 간에는 상하 서로 겹치지 않게 일렬로 자연스럽게 정리될 수 있다. 또한, 코일스프링(130)의 코일(131)은 케이블(2)의 직경에 따라 상하로 인장되는 정도가 달라질 뿐 끼워진 케이블(2)에 대한 고정력은 어느 정도 범위 내의 직경을 갖는 케이블(2)이라면 그 직경, 즉 사이즈에 무관하게(즉, free size) 적용될 수 있다.
도 7에서 상하 코일(131) 사이의 간격을 통해 끼워진 케이블(2)이 외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130)에 상하 축방향으로 수용되는 축방향 삽입부재(140)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도 있다.
축방향 삽입부재(140)는 코일스프링(130) 속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하 양단부가 행거 브래킷(120)측 한 쌍의 걸림아암부(122)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코일스프링(130)으로부터 인출이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 코일(131) 사이의 간격을 통해 끼워진 케이블들(2)은 축방향 삽입부재(140)에 걸려 코일(131)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빠지지 못하게 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및 이를 포함하는 케이블 행거 구조물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상기에서 설명된 바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곤란하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및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2: 케이블
3: 공장 자동화 설비
100: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
110: 행거 거치대
120: 행거 브래킷
121: 몸체부
122: 걸림아암부
123: 수용홈부
130: 코일스프링
131: 코일
132: 고리
140: 축방향 삽입부재

Claims (7)

  1. 공장 자동화 설비에 부수하는 케이블의 배선경로를 따라 연장되는 행거 거치대와;
    상기 배선경로를 따라 배치되어 상기 행거 거치대에 결합하며, 일정한 사이 공간을 갖는 한 쌍의 걸림아암부가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행거 브래킷과;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걸림아암부에 걸려 인장된 상태로 상기 사이 공간에 위치하며, 나선상으로 권취되는 다수의 코일은 서로 이웃하는 코일 사이의 간격을 통해 상기 케이블이 탄성적으로 끼워질 수 있도록 해주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되,
    상기 행거 브래킷은 판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행거 거치대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도록 해주는 결합부가 형성된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걸림아암부는 상기 몸체부의 양단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사이 공간은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측면으로부터 함입 형성되는 수용홈부이고,
    상기 행거 거치대는 상기 수용홈부에 수용되어 용접됨으로써 상기 몸체부에 수직으로 접합되며,
    상기 한 쌍의 걸림아암부는 상기 행거 브래킷의 좌우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에 축방향으로 수용되어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걸림아암부에 걸려 상기 코일스프링으로부터 인출이 차단되는 축방향 삽입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다수의 코일의 서로 이웃하는 코일 사이의 간격을 통해 끼워진 상기 케이블은 상기 축방향 삽입부재에 걸려 상기 코일 사이의 간격으로부터 빠지지 못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
  6. 삭제
  7. 삭제
KR1020180094154A 2018-08-13 2018-08-13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 KR102082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154A KR102082709B1 (ko) 2018-08-13 2018-08-13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4154A KR102082709B1 (ko) 2018-08-13 2018-08-13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841A KR20200018841A (ko) 2020-02-21
KR102082709B1 true KR102082709B1 (ko) 2020-02-28

Family

ID=696381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4154A KR102082709B1 (ko) 2018-08-13 2018-08-13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7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8272B2 (ja) * 1996-11-22 1998-12-16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ケーブル間隔保持具
KR100351206B1 (ko) * 2000-04-03 2002-09-05 이근식 케이블가설용 행거
KR101154513B1 (ko) 2010-09-30 2012-06-13 한국전력공사 통신선 분리 배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86651A (ja) * 1997-09-11 1999-03-30 Sumitomo Wiring Syst Ltd 多段ケーブルハンガ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38272B2 (ja) * 1996-11-22 1998-12-16 株式会社ブレスト工業研究所 ケーブル間隔保持具
KR100351206B1 (ko) * 2000-04-03 2002-09-05 이근식 케이블가설용 행거
KR101154513B1 (ko) 2010-09-30 2012-06-13 한국전력공사 통신선 분리 배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8841A (ko) 2020-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891750A (en) Cable supporting system
KR101903344B1 (ko) 바인드레스 라인 포스트 커버
KR101030704B1 (ko) 케이블류 보호안내장치용 스케이팅 대차
KR20170009550A (ko) 케이블 분리 고정구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가이드 장치
US8693836B2 (en) High conductor count packaging capsule
KR102082709B1 (ko) 공장 자동화 설비용 케이블 행거 구조물
WO2016202340A1 (en) Cable tray
JP5050501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組立用補助装置及びワイヤーハーネスの製造方法
KR20180061129A (ko) 장거리 케이블 체인용 케이블 지지블록
KR102420285B1 (ko) 배전선로에 연결된 전신주 변압기의 보호시스템 제공방법
KR100922345B1 (ko) 처짐 방지 케이블 베어 장치
US20190123529A1 (en) Optimized cable raceway and methods
KR101266247B1 (ko) 전선 정렬구
CN107863730B (zh) 一种线缆固定装置
JP6250606B2 (ja) 配索装置
KR20160135475A (ko) 케이블 체인 받침바 및 이를 구비한 케이블 체인 가이드 시스템
CN214441740U (zh) 一种防尘易清理的电气自动化控制台
JP3244390U (ja) ボビンに巻かれたケーブルの保管庫
KR20150000930U (ko) 용접 케이블 정리장치
KR101881298B1 (ko) 광케이블 보호관
KR100980505B1 (ko) 전선 작업용 현수장치
CN107078484A (zh) 用于线缆通道中的转接器以及线缆分配系统
CN209184173U (zh) 一种用于接线盒的接线套管以及接线盒
KR200476352Y1 (ko) 메쉬 케이블 트레이용 수직엘보우
JP4536036B2 (ja) ケーブル引出本数簡易増設方法およびドロップクロージャ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