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6247B1 - 전선 정렬구 - Google Patents

전선 정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6247B1
KR101266247B1 KR1020120066459A KR20120066459A KR101266247B1 KR 101266247 B1 KR101266247 B1 KR 101266247B1 KR 1020120066459 A KR1020120066459 A KR 1020120066459A KR 20120066459 A KR20120066459 A KR 20120066459A KR 101266247 B1 KR101266247 B1 KR 101266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s
seating surface
wire
profile
horizontal se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6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재기
Original Assignee
대광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광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광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6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6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6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6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10Non-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Filamentary elements, e.g. strings, threads or wire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B65D63/1018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 B65D63/1027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 B65D63/1063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the female locking member being provided with at least one plastic barb
    • B65D63/1072Joints produced by application of integral securing members, e.g. buckles, wedges, tongue and slot, locking head and teeth or the like the integral securing member being formed as a female and male locking member, e.g. locking head and locking teeth, or the like the female locking member being provided with at least one plastic barb the barb having a plurality of serr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 F16L3/2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 F16L3/233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 F16L3/233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having a single plastic locking barb
    • F16L3/2334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 number of parallel pipes at intervals for a bundle of pipes or a plurality of pipes placed side by sid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y means of a flexible band having a single plastic locking barb the barb having a plurality of ser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43Channels formed by wire or analogous nett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37Channels
    • H02G3/045Channels provided with perforations or slots permitting introduction or exit of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선 정렬구에 관한 것으로 기계장치의 프레임을 이루는 프로파일 상에 지나가는 다수의 전선을 깔끔하게 결속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 내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다수의 전선이 안착되는 수평안착면이 형성되고, 다수의 전선이 수평안착면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수평안착면의 테두리부에 다수 측면지지대가 돌출형성되며, 수평안착면의 하부 외주연상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공이 연통 형성되는 상부체; 상기 하부체 및 상부체 사이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고정시켜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전선 정렬구{Array tool of cable}
본 발명은 전선 정렬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기계장치의 프레임을 이루는 프로파일 상에 지나가는 다수의 전선을 깔끔하게 결속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정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장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을 정리하기 위하여 전선 정렬구가 사용된다.
전선 정렬구로는 현재 케이블 타이(510)가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사용예는 도 1에서와 같이 다수의 전선(520)을 가지런히 정렬한 다음 케이블타이(510)로 전선(520)을 묶어 고정시키는 방식이다.
하지만 상기한 방식으로 다수의 전선(520)을 고정하게 되면 전선(520)들이 고정은 되나 기계장치 주변에 어지러이 널리게 되고, 이러한 상태로 장시간이 지나면 전선(520)들이 꼬여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전선(520)을 비롯한 기계장치 주위로 먼지가 쌓이게 되면 청소하기에도 불편함이 따랐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기계장치의 프레임을 이루는 프로파일 상에 지나가는 다수의 전선을 깔끔하게 결속하여 정리할 수 있도록 하여 기계장치 주변을 늘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 정렬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계장치에 연결되어 기계장치의 프레임을 이루는 프로파일 상에 지나가는 다수의 전선을 결속하는 전선 정렬구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 내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체; 상기 하부체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다수의 전선이 안착되는 수평안착면이 형성되고, 다수의 전선이 수평안착면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수평안착면의 테두리부에 다수 측면지지대가 돌출형성되며, 수평안착면의 하부 외주연상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공이 연통 형성되는 상부체; 상기 하부체 및 상부체 사이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고정시켜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연결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렬구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정렬구는 기계장치의 프레임을 이루는 프로파일 상에 지나가는 다수의 전선을 프로파일을 따라 가지런히 정렬시켜 고정시킬 수 있어 기계장치 주변을 늘 깔끔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상 사용되어지던 케이블 타이를 사용하지 않고 전선 정렬구 만을 사용하여 다수의 전선을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계장치에 연결되는 다수의 전선이 어지러이 바닥에 깔리지 않게 함으로써 청소 및 유지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사용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정렬구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정렬구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체의 결합상태를 알 수 있는 결합측 저면도,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실시예들의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정렬구(A)는 기계장치에 연결되어 기계장치의 프레임을 이루는 프로파일(2) 상에 지나가는 다수의 전선(5)을 결속하는 수단으로 하부체(10), 상부체(20) 및 연결체(30)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체(10)는 도 2에서와 같이 길쭉하게 형성된 장측부(12)와, 장측부(12)에 비해 짧게 형성된 단측부(14)로 이루어져 도 4에서와 같이 프로파일(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3) 내에 결합 고정된다.
하부체(10)는 도 5의 (a)에서와 같이 프로파일(2)의 삽입홈(3)에 끼워진 후 회전되어 도 5의 (b)에서와 같이 삽입홈(3)에 걸림 및 밀착되어 고정되는 구조이다.
상기 하부체(10)의 상부에는 상부체(20)가 이격 위치된다.
상부체(20)는 도 2 및 도 4에서와 같이 다수의 전선(5)이 안착되는 수평안착면(22)을 형성하고, 수평안착면(22)에 안착된 다수의 전선(5)이 수평안착면(22)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그 테두리부에 다수의 측면지지대(24)를 형성하며, 수평안착면(22)의 하부 외주연상에는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공(26)을 연통되게 형성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평안착면(22)은 그 일실시예로서 사각형태로 도시하였고, 측면지지대(24)는 사각형태의 수평안착면(22)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되도록 구현하였으나, 이때 수평안착면(22)은 원형을 비롯하여 6각형, 8각형 등 다각형태로도 구현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부체(10) 및 상부체(20)는 이격 위치되어 분리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하부체(10) 및 상부체(20) 사이에 연결체(30)를 연결 형성함으로써 하부체(10) 및 상부체(20) 상호간을 고정시켜 일체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하부체(10), 상부체(20) 및 연결체(30)가 일체로 형성되는 전선 정렬구(A)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른 구현가능한 어떠한 재질로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정렬구(A)의 사용 설명은 하기와 같다.
먼저 전선 정렬구(A)의 하부체(10)의 단측부(14)를 통해 프로파일(2)에 형성된 삽입홈(3)에 끼운 다음 회전시켜 하부체(10)의 장측부(12)가 프로파일(2) 상에 고정되게 한다. 이러한 전선 정렬구(A)를 프로파일(2) 상에 필요한 만큼 다수로 설치한다.
다수 설치된 전선 정렬구(A)의 수평안착면(22) 상에 다수의 전선(5)을 삽입하고, 전선(5)의 고정을 위하여 관통공(26)으로 케이블타이(7)를 삽입하여 전선(5)을 전선 정렬구(A)에 고정시키면 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정렬구(A)는 상술된 일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양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는데, 도 6 및 도 7에서와 같이 측면지지대(24)의 상부측을 내측으로 휘게 형성함으로써 측면지지대(24) 사이로 삽입된 전선(5)들이 케이블타이(7)로 고정하지 않더라도 쉽게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측면지지대(24)의 상부측을 내측으로 절곡 형성하여 내향절곡부(29)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상술된 바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전선 정렬구(A)는 도 9에서처럼 케이블타이(7)를 삽입하는 관통공(26)에 전선(5)을 바로 삽입하여 사용되게 할 수도 있다.
2 : 프로파일 3 : 삽입홈
5 : 전선 7 : 케이블타이
10 : 하부체 12 : 장측부
14 : 단측부 20 : 상부체
22 : 안착면 24 : 측면지지대
26 : 관통공 30 : 연결체

Claims (5)

  1. 기계장치에 연결되어 기계장치의 프레임을 이루는 프로파일(2) 상에 지나가는 다수의 전선(5)을 결속하는 전선 정렬구(A)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2)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삽입홈(3) 내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체(10);
    상기 하부체(10)의 상부에 이격 위치되며, 다수의 전선(5)이 안착되는 수평안착면(22)이 형성되고, 다수의 전선(5)이 수평안착면(22)의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게 수평안착면(22)의 테두리부에 다수 측면지지대(24)가 돌출형성되며, 수평안착면(22)의 하부 외주연상에 마주하는 방향으로 관통공(26)이 연통 형성되는 상부체(20);
    상기 하부체(10) 및 상부체(20) 사이를 연결하여 상호간에 고정시켜 일체로 형성되게 하는 연결체(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렬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체(10)는 길쭉하게 형성된 장측부(12)와, 장측부(12)에 비해 짧게 형성되는 단측부(14)로 구성되어,
    상기 단측부(14)를 통해 프로파일(2)의 삽입홈(3)에 끼워진 후 회전되어 장측부(12)가 프로파일(2)의 삽입홈(3)에 걸림 및 밀착되어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렬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안착면(22)은 사각형태 이고, 측면지지대(24)는 사각형태의 수평안착면(22)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렬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대(24)는 그 상부측을 내측으로 휘게 형성하여 측면지지대(24) 사이로 삽입된 다수의 전선(5)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렬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지지대(24)는 그 상부측을 내측으로 절곡 형성하여 측면지지대(24) 사이로 삽입된 다수의 전선(5)이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 정렬구.
KR1020120066459A 2012-06-21 2012-06-21 전선 정렬구 KR101266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459A KR101266247B1 (ko) 2012-06-21 2012-06-21 전선 정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6459A KR101266247B1 (ko) 2012-06-21 2012-06-21 전선 정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6247B1 true KR101266247B1 (ko) 2013-05-22

Family

ID=486666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6459A KR101266247B1 (ko) 2012-06-21 2012-06-21 전선 정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62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238B1 (ko) * 2013-11-11 2015-07-16 대광알미늄 주식회사 전선 정렬구
KR20160063468A (ko) * 2014-11-26 2016-06-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조립체
KR102347883B1 (ko) 2021-02-22 2022-01-06 양종민 전선 및 플러그 고정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238B1 (ko) * 2013-11-11 2015-07-16 대광알미늄 주식회사 전선 정렬구
KR20160063468A (ko) * 2014-11-26 2016-06-07 주식회사 서연이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조립체
KR101684843B1 (ko) 2014-11-26 2016-12-14 주식회사 서연이화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클립 조립체
KR102347883B1 (ko) 2021-02-22 2022-01-06 양종민 전선 및 플러그 고정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247B1 (ko) 전선 정렬구
JP2014199069A (ja) 自動変速機の配線ユニット
EP2439415A3 (en) Lead wire engaging structure and electric apparatus
KR101263365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마운트 부재
JP6386255B2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6380894B2 (ja) 絶縁トロリー
US920322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1243678B1 (ko) 중계기 설치용 브라켓
US9077164B2 (en) Cutting plate for joining together wiring harnesses of electrical cables on an aircraft
KR20070104115A (ko) 배선용 덕트의 전선지지부재
JP6350944B2 (ja) 絶縁トロリー線の引締め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絶縁トロリー
KR20110019848A (ko) 매입형 전기 배선박스의 결합구조
KR20160000002U (ko) 트윈 급전선 클램프
WO2020186907A1 (zh) 磁环固定装置及电控盒、空调器
CN104393498A (zh) 电气柜接线端子固定装置
CN107078484A (zh) 用于线缆通道中的转接器以及线缆分配系统
JP6364216B2 (ja) キュービクル式蓄電池設備
KR200476352Y1 (ko) 메쉬 케이블 트레이용 수직엘보우
KR101325668B1 (ko) 천장패널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20140042278A (ko) 케이블 포설 장치
RU2690954C1 (ru) Система, включающая монтажный корпус
TW201316880A (zh) 擴展卡及其理線裝置
KR100968529B1 (ko) 배선용 터미널 박스
KR20160004310U (ko) 레이스 웨이 유닛
KR102061416B1 (ko) 통합통신단자함용 케이블걸이 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