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650B1 -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 Google Patents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650B1
KR102082650B1 KR1020190047465A KR20190047465A KR102082650B1 KR 102082650 B1 KR102082650 B1 KR 102082650B1 KR 1020190047465 A KR1020190047465 A KR 1020190047465A KR 20190047465 A KR20190047465 A KR 20190047465A KR 102082650 B1 KR102082650 B1 KR 1020826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road
boundary stone
side opening
gran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7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숙
전금화
Original Assignee
통명석재 주식회사
콘비젼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통명석재 주식회사, 콘비젼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통명석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7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65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6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6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3Kerb-and-gutter structures; Kerbs with drainage openings channel or conduits, e.g. with out- or inlets, with integral gutter or with channel formed into the kerb ; Kerbs adapted to house cables or pipes, or to form condu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타입으로 측구를 마련함으로써 현장조립만으로 간편하게 도로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어 종래 현장타설에 비해 거푸집설치와 콘크리트 현장타설의 양생 과정 등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용의 절감, 그리고 인력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블럭에 소요되는 화강석을 절약할 수 있는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Precast type boundary stone for granite}
본 발명은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캐스트타입으로 측구를 마련함으로써 현장조립만으로 간편하게 도로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어 종래 현장타설에 비해 거푸집설치와 콘크리트 현장타설의 양생 과정 등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용의 절감, 그리고 인력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특히, 블럭 전체를 화강석으로 구현하여 미세먼지의 발생을 억제시키고 블럭에 소요되는 화강석을 절약할 수 있는 도로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경계석은 차도와 도보 간의 경계를 표시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최근 들어 상기 도로경계석은 도로의 경계를 구분하는 단순 기능은 물론 보행자 또는 차량 운전자에게 도로 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갖춘다던지, 차량 운전자가 쉽게 발견할 수 있도록 해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등 목적과 기능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안되고 있다.
종래의 도로경계석의 설치과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먼저, 도로경계석이 마련될 위치에 거푸집을 설치한 후 거푸집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도로경계석을 시공하는 방법이 가장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이 경우, 콘크리트가 현장 타설되므로 후타콘크리트의 양생시간이 충분히 필요하였으며 양생과정에서의 품질관리 미흡으로인해 설치된 도로경계석의 내구성이 현저하게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이 완료되면 도로포장을 위한 아스팔트가 포설되는데 적절한 양생시간을 지키지 못한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포설할 경우 도로경계석과 아스팔트 사이에 단차가 발생될 수 있으며,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경화 수축, 팽창률이 서로 다르다는 점 때문에도 도로경계석과 아스팔트 사이에 단차발생이 빈번하였다.
이를 해결하고자, 최근에는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도로경계석을 현장에서 바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도로경계석의 측구와 블럭이 콘크리트로 일체화되어 공급된다는 점 때문에 미관과 내구성 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하였다.
또한, 근래에는 공기질이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대두됨에 따라 시공된 도로경계석의 콘크리트가 부식되면서 발생되는 미세먼지가 사람의 인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친다는 점도 도로경계석의 시공시 충분히 고려해야 할 문제점으로 꼽힌다.
이러한 이유로, 측구는 콘크리트를 이용해 프리캐스트로 제작하고 블럭은 특수 재료를 통해 별도 제작하여 현장에서 측구와 블럭을 조립해 도로경계석을 시공하는 방법이 주로 활용되고 있다.
제작된 블럭 형태를 살펴보면, 콘크리트로 이루어지는 일반 콘크리트 블럭의 경우 미세먼지 발생, 낮은 내구성, 미관상 좋치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천연 화강석으로 이루어진 블럭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천연 화강석으로 이루어진 블럭의 경우 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으나, 가격이 비싸고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거나, 국내의 각 지역에서 천연 화강석을 채취해서 제작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3189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프리캐스트타입으로 측구를 마련함으로써 현장조립만으로 간편하게 도로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어 종래 현장타설에 비해 거푸집설치와 콘크리트 현장타설의 양생 과정 등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용의 절감, 그리고 인력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으며 블럭 전체를 화강석으로 구현하여 미세먼지의 발생을 억제시키고 블럭에 소요되는 화강석을 절약할 수 있는 도로경계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측구; 및 전체가 화강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구의 상면으로 조립되는 블럭;을 포함하며, 상기 측구의 상면에는 도로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지지면이 마련된 지지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럭은 하면에 상기 경사지지면과 평행한 접촉면을 형성하여 하부 모서리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지지면에는 체결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럭의 접촉면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측구의 일측면에는 전단키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구의 타측면에는 인접한 측구의 전단키가 삽입되는 전단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구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메쉬망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측구의 내부에는 집수 공간이 형성되고 측구의 상면에는 상기 집수 공간과 연통되는 우수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프리캐스트타입으로 측구를 마련함으로써 현장조립만으로 간편하게 도로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어 종래 현장타설에 비해 거푸집설치와 콘크리트 현장타설의 양생 과정 등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용의 절감, 그리고 인력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둘째, 지지대만큼의 부피가 측구의 재질로 대체되기 때문에 블럭에 소요되는 화강석을 그만큼 절약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셋째, 블럭 전체를 화강석으로 구현함으로써 종래 부식에 따라 미세먼지를 발생시켰던 콘크리트 블럭 대비 환경오염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측구와 블럭의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블럭의 저면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시공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복수 개의 도로경계석이 인접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측구의 일례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시공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a는 지지대가 형성되지 않은 도로경계석에서 측방 외력이 가해졌을 때 블럭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지지대가 형성된 도로경계석에서 측방 외력이 가해졌을 때 지지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측구와 블럭의 분해관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블럭의 저면 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시공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복수 개의 도로경계석이 인접 설치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측구의 일례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시공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a는 지지대가 형성되지 않은 도로경계석에서 측방 외력이 가해졌을 때 블럭의 움직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b는 지지대가 형성된 도로경계석에서 측방 외력이 가해졌을 때 지지대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발명의 설명에 앞서, 도 5를 기준으로 엄밀하지 않은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도 5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측구(10)의 설치위치를 기준으로 왼쪽의 인도가 위치한 방향을 인도측, 오른쪽의 도로가 위치한 방향을 도로측이라 특정하고, 다른 도면에 관련된 설명에서도 이 방향기준에 따라 설명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측구(10) 및 전체가 화강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구(10)의 상면으로 조립되는 블럭(20)을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측구(10)와 블럭(20)을 개별적으로 제작하여 현장조립작업을 더욱 간편하게 하며, 부분파손시 효과적으로 해당 부분만을 교체시공할 수 있다.
측구(10)는 도로와 인도에 접하여 도로경계석의 기초를 이루며 특히, 전체가 콘크리트 프리캐스트 타입(precast-type)으로 제작된다.
상기 측구(10)의 상면에는 도로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지지면(12)이 마련된 지지대(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1)에서부터 도로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우수유도면(19)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11)는 블럭(20)이 물리적으로 결합되기 위한 부분으로 대략 직각 삼각형 형태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직각 삼각형 형태의 지지대(11)의 경사지지면(12)은 도로측을 바라보도록 형태를 갖추고 이 지지대(11)의 상부로 블럭(20)이 조립되기 때문에 블럭(20)이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블럭(20)은 전체가 화강석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부피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원가절감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블럭(20)의 부피가 커질수록 블럭(20)의 제조에 소요되는 화강석이 증가하게 되고 이는 원가 상승의 문제점으로 대두될 수 있다.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에서의 블럭(20)은 그 부피가 도로경계석을 구현해낼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최소한으로 설정된다.
이를 위해, 블럭(20)은 하면에 상기 경사지지면(12)과 평행한 접촉면(21)을 형성하여 하부 모서리 부분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특징이 있다.
일반적인 프리캐스트타입 도로경계석에서의 블럭(20)은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부분 사각형의 형태로 마련되어 측구(10)에 조립 설치되는데 반해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블럭(20)은 하면에 상기 경사지지면(12)에 맞대응되는 접촉면(21)을 형성함으로써 대략 삼각형 형태의 블럭(20)이 적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의 블럭(20)이 측구(10)에 조립되면 사각형의 형태에서 상기 지지대(11)만큼의 부피가 측구(10)의 재질, 예컨대, 콘크리트로 대체되기 때문에 블럭(20)에 소요되는 화강석을 그만큼 절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블럭(20)이 도로측으로 완전히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안전성과 외관의 미려함 측면에서도 유리하다.
블럭(20)이 측구(10)에 조립될 때 기계적인 결합력이 발휘되도록 체결수단이 마련될 수 잇다.
일례로, 경사지지면(12)에는 체결돌기(13)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블럭(20)의 접촉면(21)에는 상기 체결돌기(13)가 삽입되는 체결홈(22)이 함몰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수단이 예시될 수 있다.
측구(10)에 블럭(20)이 조립될 때 상기 체결돌기(13)가 체결홈(22)에 견고히 삽입됨으로써 측구(10)와 블럭(20) 간의 기계적인 결합력이 증대되는 것이다.
상기 체결돌기(13)와 체결홈(22)은 T자형, 도브테일형, 볼형 등 블럭(20)이 측구(10) 상에 용이하게 착탈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음을 밝힌다.
한편, 경사지지면(12)과 접촉면(21)의 경사 각도나 높이는 체결돌기(13)와 체결홈(22)을 형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으나, 경사지지면(12)과 접촉면(21)의 바람직한 형성 위치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블럭(20)의 인도측 상단 모서리와 도로측 하단 모서리를 연결하는 가상의 평면(BP)에서 인도측으로 일정 간격 평행 이동된 지점에 형성된다.
이렇게 되면 블럭(20)의 인도측 상단 모서리와 도로측 하단 모서리 부분에 충분한 두께가 보강될 수 있다.
만일, 경사지지면(12)과 접촉면(21)이 상기 가상의 평면(BP)과 동일한 지점에 형성될 경우 블럭(20)의 인도측 상단 모서리와 도로측 하단 모서리가 얇아지기 때문에 모서리가 쉽게 깨져나갈 우려가 발생된다.
한편, 도로경계석의 설치 후 지반의 침하나 통행차량의 충돌로 인해 블럭(20)에 외력이 가해지면 체결돌기(13)에 전단응력이 작용하여 체결돌기(13)가 측구(10)의 지지대(11) 상에서 파단될 우려가 발생될 수 있다.
만일, 지지대(11) 상에서 체결돌기(13)가 파단되면 측구(10)를 새것으로 교체해야 하는 보수공사를 거쳐햐 하기 때문에 측구(10)에 블럭(20)이 조립된 상태에서 체결돌기(13)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은 블럭(20)에 가해지는 외력을 효과적으로 분산, 지지함으로써 체결돌기(13)의 파단을 방지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구(10)에는 경사지지면(12)이 마련된 지지대(1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지대(11)의 경사지지면(12)은 도로측을 바라보도록 형태를 갖추고 블럭(20)의 하면에 상기 경사지지면(12)에 맞대응되는 접촉면(21)을 형성함으로써 블럭(20) 상에 외력이 가해졌을 때 지지대(11)가 블럭(20)을 효과적으로 지지하여 체결돌기(13)에 전단응력이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바퀴가 블럭(20)을 침범하여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블럭(20)에 측방 외력이 가해질 경우 지지대(11)가 블럭(20)에 가해지는 측방 외력에 대향되는 방향으로 블럭(20)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측방 외력을 효율적으로 분산, 지지할 수 있어 체결돌기(13)가 쉽게 파단되지 않게 된다.
반면,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1)가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블럭(20)이 측구(10)에 조립되었을 경우 도로에서 주행중인 차량의 바퀴가 블럭(20)을 침범하여 도면에 도시된 화살표 방향으로 블럭(20)에 측방 외력이 가해지면 블럭(20)을 지지하는 수단의 부재로 인해 블럭(20)이 측방 외력이 가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호 체결되어 있던 체결돌기(13)와 체결홈(22)이 어긋나 체결돌기(13)의 파단이 쉽게 발생되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처음 설치하였던 도로경계석 간의 수평이나 전후의 맞춤이 어긋나게 되어 미관상 좋지 않은 현상이 발생되거나 안전성 측면에서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어 신속한 보수작업이 요구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은 도로와 인도의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연이어 설치되는데 이때, 측구(10)의 일측면에는 전단키(14)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구(10)의 타측면에는 인접한 측구(10)의 전단키(14)가 삽입되는 전단홈(15)이 함몰 형성되도록 하여 인접한 도로경계석의 측구(10)끼리 이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단키(14)와 전단홈(15)은 인접한 측구(10) 사이에 단차 발생을 억제시키고 도로경계석의 시공시 인접한 측구(10) 간의 위치설정이 획일적으로 진행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측구(10)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메쉬망(16)이 내설될 수도 있다. 상기 메쉬망(16)은 측구(10)가 프리캐스트로 제작되는 과정에서 측구(10)의 내부로 보강될 수 있으며, 메쉬망(16) 외에도 복수 개의 철근 등으로 측구(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음을 밝힌다.
전술한 바와 같이 측구(10)에는 상기 지지대(11)에서부터 도로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우수유도면(19)이 마련될 수 있는데, 상기 우수유도면(19)을 타고 흐르는 우수가 도로측으로 유출되지 않고 원활하게 배수될 수 있도록 측구(10)의 내부에는 집수 공간(17)이 형성되고 측구(10)의 상면에는 상기 집수 공간(17)과 연통되는 우수유입구(18)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필요에 따라 우수유도면(19)에 요철을 형성하여 바퀴 등이 쉽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도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도와 도로의 진행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도로경계석이 연이어 시공될 때 그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측구(10)에 상기 집수 공간(17), 우수유입구(18) 등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수유입구(18)에는 우수를 제외한 이물질이 집수 공간(17)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의 그레이팅(G)이 설치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 공간(17)에 저류된 우수는 배수홀(H)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거나 별도 저류조로 모여 기타 다른 목적을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경계석은 프리캐스트타입으로 측구(10)를 마련함으로써 현장조립만으로 간편하게 도로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어 종래 현장타설에 비해 거푸집설치와 콘크리트 현장타설의 양생 과정 등을 생략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공기의 단축 및 공사비용의 절감, 그리고 인력낭비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지지대(11)만큼의 부피가 측구(10)의 재질로 대체되기 때문에 블럭(20)에 소요되는 화강석을 그만큼 절약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원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다시 한 번 설명하면,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측구(10) 및 전체가 화강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구의 상면으로 조립되는 블럭(20)을 포함하며, 상기 측구(10)는 상면에 도로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지지면(12)이 돌출형성되는 지지대(11), 상기 지지대로부터 도로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우수유도면(19),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우수유도면과 단턱을 이루는 제1 안착부(11-1), 상기 경사지지면에는 상기 경사지지면에대해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블록(20)은 하면에 상기 경사지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접하는 접촉면(21) 및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22)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지지면(12)과 상기 접촉면(22)이 상기 블록의 인도측 상단 모서리와 도로측 하단 모서리를 연결하는 가상의 평면(BP)에서 인도측으로 일정간격 평행 이동된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의 인도측 상단 모서리에는 인도의 측면과 접하도록 모서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접촉면(26)이 형성되고, 도로측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제1 안착부(11-1)와 접하도록 모서리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3 접촉면(2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의 모서리 부분에 일정 두께로 형성된 제2 접촉면(26) 및 제3 접촉면(28)에 의해 상기 블록 모서리의 파단을 방지하고, 체결돌기(13)와 체결홈(22)의 결합으로 결합력이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측구 20: 블럭
11: 지지대 12: 경사지지면
13: 체결돌기 14: 절단키
15: 절단홈 16: 메쉬망
17; 집수 공간 18: 우수유입구
19: 우수유도면 21: 접촉면
22: 체결홈

Claims (5)

  1.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측구; 및
    전체가 화강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구의 상면으로 조립되는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측구는
    상면에 도로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경사지지면이 돌출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로부터 도로측으로 갈수록 상향 경사지는 우수유도면;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서 수평하게 연장형성되며, 상기 우수유도면과 단턱을 이루는 제1 안착부;
    상기 경사지지면에는 상기 경사지지면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형성되는 체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블록은
    하면에 상기 경사지지면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접하는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에는 상기 체결돌기가 삽입되도록 함몰 형성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지지면과 상기 접촉면이 상기 블록의 인도측 상단 모서리와 도로측 하단 모서리를 연결하는 가상의 평면에서 인도측으로 일정간격 평행 이동된 지점에 형성되어,
    상기 블록의 인도측 상단 모서리에는 인도의 측면과 접하도록 모서리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2 접촉면이 형성되고,
    도로측 하단 모서리에는 상기 제2 안착부와 접하도록 모서리에서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3 접촉면이 형성되며,
    상기 블록의 모서리 부분에 일정 두께로 형성된 제2 접촉면 및 제3 접촉면에 의해 상기 블록 모서리의 파단을 방지하고,
    체결돌기와 체결홈의 결합으로 결합력이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구의 일측면에는 전단키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측구의 타측면에는 인접한 측구의 전단키가 삽입되는 전단홈이 함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구에는 강도 보강을 위한 메쉬망이 내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구의 내부에는 집수 공간이 형성되고 측구의 상면에는 상기 집수 공간과 연통되는 우수유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KR1020190047465A 2019-04-23 2019-04-23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KR1020826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65A KR102082650B1 (ko) 2019-04-23 2019-04-23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7465A KR102082650B1 (ko) 2019-04-23 2019-04-23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2650B1 true KR102082650B1 (ko) 2020-05-04

Family

ID=70732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7465A KR102082650B1 (ko) 2019-04-23 2019-04-23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6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9531A (zh) * 2020-12-10 2021-04-0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预制透水拦水侧石及透水拦水路面结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2316A (ko) * 2008-05-24 2009-11-27 이종인 도로 경계석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 받침구
KR20110016158A (ko) * 2009-08-11 2011-02-17 함미영 수로가 구비된 엘형 유공 측구
KR20110132662A (ko) * 2010-06-03 2011-12-09 임선우 아스콘포장블록
KR101631894B1 (ko) 2014-09-23 2016-07-01 박해영 도로경계석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122316A (ko) * 2008-05-24 2009-11-27 이종인 도로 경계석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 받침구
KR20110016158A (ko) * 2009-08-11 2011-02-17 함미영 수로가 구비된 엘형 유공 측구
KR20110132662A (ko) * 2010-06-03 2011-12-09 임선우 아스콘포장블록
KR101631894B1 (ko) 2014-09-23 2016-07-01 박해영 도로경계석 시공용 조립식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의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09531A (zh) * 2020-12-10 2021-04-06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预制透水拦水侧石及透水拦水路面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86376B1 (en) Road gutter having dust collection function
KR102082650B1 (ko)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KR100892419B1 (ko) 투수성 도로 경계용 측구
KR100785311B1 (ko) 이탈 방지구조의 도로안전 경계석 및 그 시공방법
KR100899680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배수블럭
KR102563746B1 (ko) 잡초생착 방지 및 부등침하 방지용 조립식 보도블록 설치용 받침판
KR101378967B1 (ko) 경계석 시공장치
KR20210037876A (ko) 화강석을 이용한 프리캐스트 도로경계석
KR100708344B1 (ko) 보수 및 투수 포장 스페이서
KR100981323B1 (ko) 프리캐스트 블록 및 이를 이용하는 프리캐스트 구조물
KR200447023Y1 (ko) 보차도 경계석 설치용 기초 블록
KR100432863B1 (ko) 보차도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과 경계석 받침구
CN209760401U (zh) 一种预制装配式钢筋混凝土井周加固结构
KR100917355B1 (ko) 보도블럭용 사각맨홀
JP4000580B2 (ja) 排水装置内包縁石
JP5893577B2 (ja) 境界ブロック
JP2012026145A (ja) 水兼道路の施工方法及び水兼道路用サイドブロック
CN211815300U (zh) 透水铺砖模框结构
KR102596597B1 (ko) 경계석 연결 고정용 링크 유닛 및 그 링크 유닛을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CN216006476U (zh) 用于解决检查井与路缘石冲突的铺装盖板及其路缘构造
CN204199139U (zh) 一种一体成型的边沟缘石
JP2014134018A (ja) 歩車道境界用縁石ブロック
KR200317111Y1 (ko) 도로 경계석
JP2017137731A (ja) 側溝の嵩上げ構築用部材
KR200272862Y1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받침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