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2401B1 -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 - Google Patents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2401B1
KR102082401B1 KR1020200007576A KR20200007576A KR102082401B1 KR 102082401 B1 KR102082401 B1 KR 102082401B1 KR 1020200007576 A KR1020200007576 A KR 1020200007576A KR 20200007576 A KR20200007576 A KR 20200007576A KR 102082401 B1 KR102082401 B1 KR 102082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ss
fusion
screw
base material
pull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75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994A (ko
Inventor
신재호
Original Assignee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카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75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2401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2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24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80General aspects of machine operations or constructions and parts thereof
    • B29C66/82Pressure application arrangements, e.g. transmission or actuating mechanisms for joining tools or c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29L2031/3055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보스를 가압하여 용융시킬 때 융착 장치가 보스를 가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도록 함으로써, 보스를 포함한 모재가 눌린 상태로 접합되는 것을 예방하여 탄성 복원력에 의해 용융접합부가 탈리되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다.

Description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Fusion welding method using fusion welding apparatus having pull mens}
본 발명은 융착 장치 및 융착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하여 가열 가압 과정에서 보스가 형성된 모재가 하방으로 눌린 상태로 접합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모재의 복원력에 의해 접합부가 떨어지거나 단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방지토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자동차 도어트림 등의 조립 과정에서 부품들의 견고한 고정을 위해 융착 방식이 적용된다.
도1은 종래의 융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융착을 위해서는 먼저 도1의 (a)와 같이 피융착물(20)의 관통공(21)에 모재(10)에 돌출 형성된 보스(11)를 삽입시켜 준비한다. 보스(11)의 하방 둘레에는 피융착물(20)을 받치는 날개(12)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에 따라 피융착물(20)의 관통공(21) 둘레 부분이 날개(12)에 지지된다.
이후 도1의 (b)와 같이 보스(11)에 열을 공급하는 융착팁(30)을 하강시키면 보스(11)의 상단 부분이 용융되면서 피융착물(20)의 관통공(21) 둘레에 용융접합부(13)가 형성되고, 용융접합부(13)가 굳으면 용융접합부(13)에 관통공(21)이 걸리면서 빠지지 않게 고정된다.
하지만 도1의 (a) 및 (b)의 융착 방식은 매우 이상적인 융착 과정을 설명한 것일 뿐, 실질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즉 도1의 (b)와 같이 융착팁(30)이 보스(11)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도2의 (a)와 같이 보스(11)를 포함하는 모재(10) 전체가 아래쪽으로 눌리게 되고, 이 상태에서 보스(11) 상단이 녹아 용융접합부(13)가 형성되면, 모재(10) 역시 아래쪽으로 눌린 상태로 고정된다. 즉 모재(10)에서 보스(11)가 형성된 부분이 아래쪽으로 일부 휘어진 상태로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하지만 모재(10)의 저면이 도2의 (a)와 같이 아래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고정되면, 주변부품(40)과 평평함을 이루지 못하고 단차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미관을 저해하게 된다.
또한 합성수지 재질의 수지를 사출 성형하여 제작한 모재(10)는 재료의 고유 특성상 소정의 탄성력을 가진다. 즉 도2의 (a)와 같이 모재(10)에서 보스(11)가 형성된 부분이 아래쪽으로 눌려 휘어진 상태에서 피융착물(20)과 접합되면, 휘어진 모재(10)에는 지속적으로 원래 형태로 돌아가려는 복원력이 가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차량이 주행하면서 반복적인 충격이 가해지고 휘어진 모재(10)의 탄성 복원력까지 더해지면 피융착물(20)과 용융접합부(13)의 접합력이 약해지고, 결국에는 용융접합부(13)가 피융착물(20)로부터 떨어져 나가는 탈리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물론 용융접합부(13)와 피융착물(20)의 접합이 떨어지더라도, 용융접합부(13)가 관통공(21) 둘레를 여전히 덮어주고는 있기 때문에, 피융착물(20)이 모재(10)로부터 완전히 빠져나가지는 못한다. 하지만 융착 부위가 벌어진 틈에서 래틀노이즈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한편 자동차용 내장부품의 융착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907038호(2009.07.02. '자동차용 내장부품 및 그 융착방법') 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스를 가압하여 용융시킬 때 융착 장치가 보스를 가압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 당기도록 함으로써, 보스를 포함한 모재가 눌린 상태로 접합되는 것을 예방하여 탄성 복원력에 의해 용융접합부가 탈리되거나 단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막아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장치는, 모재에 형성된 보스에 열을 공급하여 용융시키는 융착부; 및 상기 융착부의 내측 중앙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보스를 상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당김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당김수단은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하며, 융착 과정에서는 상기 융착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모재에 형성된 보스의 상단을 용융시키되, 상기 당김수단이 정회전함으로써 상기 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당김수단이 상기 보스를 상방향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며, 융착을 마치면 상기 융착부가 상승하되, 상기 당김수단이 역회전함으로써 상기 당김수단이 상기 보스의 내측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방법은, 피융착물의 관통공에 모재에 형성된 보스를 삽입시키는 (a)단계; 열을 공급하는 융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며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상기 피융착물의 관통공 상부로 돌출된 보스의 위쪽으로부터 하강시키되 상기 융착 장치의 당김수단을 정회전 시키는 (b)단계; 상기 융착 장치의 하강에 따라 상기 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정회전하는 당김수단이 상기 보스를 상방향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면서 상기 융착부의 열 공급을 통해 상기 보스의 상단을 용융시키는 (c)단계; 및 상기 보스 상단의 용융에 의해 상기 피융착물의 관통공 둘레에 용융접합부가 형성되면 상기 융착 장치를 상승시키되, 상기 당김수단을 역회전시켜 상기 당김수단을 상기 보스의 내측에서 이탈시키는 (d)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 도어트림 등의 부품들을 융착 고정 시킬 때, 부품에 탄성복원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즉, 융착 장치가 하강하여 보스를 가압하여 용융시킬 때, 융착 장치 내측 하방에 설치된 당김수단이 보스 내측과 나사 결합이 되고, 당김수단의 정회전에 따라 보스는 상방향으로, 즉 융착 장치가 보스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는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보스를 포함한 모재가 하방으로 눌린 상태로 용융 접합되지 아니하고,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피융착물과 결합될 수 있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용융접합부가 탈리되는 현상을 막아줄 수가 있다.
또한, 모재와 피융착물이 결합된 저면이 제품의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방법에 의하면 모재를 피융착물 측으로 잡아 당겨 융착시킴으로써, 모재의 저면이 돌출되어 주변부품과 평평함을 이루지 못하고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깔끔한 외관의 제품을 제조할 수가 있다.
도1은 종래의 융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2는 종래의 융착 방법에 의해 융착이 이루어졌을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130)와, 이를 이용한 융착 방법을 함께 설명토록 한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조립 대상이 되는 모재(110)와 피융착물(120)을 먼저 준비한다. 모재(110)의 상부에는 내부가 빈 원통 형상의 보스(111)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보스(111)의 하부 둘레에는 십자형날개(112)들이 방사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모재(110), 보스(111) 및 십자형날개(112)는 사출성형을 통해 일체로 제작될 수 있다.
모재(110)와 결합되기 위한 피융착물(120)에는 관통공(121)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모재(110)와 피융착물(120)을 고정시키기 위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10)에 형성된 보스(111)의 상단에 피융착물(120)의 관통공(121)을 정렬하고, 보스(111)를 피융착물(120)의 관통공(121)에 삽입시키면 도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융착물(120)의 저면이 보스(111)의 십자형날개(112) 상단에 지지된다. 실시하기에 따라 십자형날개가 구비되지 않은 보스가 적용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는 피융착물(120)의 저면과 모재(110)의 상단면이 직접 밀착하게 된다.
도4의 (a)와 같이 피융착물(120)에 모재(110)의 보스(111)를 끼워 준비한 상태에서 보스(111)의 상단으로 융착 장치(130)가 하강함에 따라 융착 공정이 수행된다. 융착 공정의 설명에 앞서 융착 장치(130)를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융착 장치(130)는 융착부(131)와 당김수단(132)을 포함한다. 융착부(131)는 모재(110)에 형성된 보스(111)에 열을 가하여 보스(111) 상단을 용융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당김수단(132)은 융착부(131)의 내측 중앙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되어, 보스(111)를 상방향으로 잡아 당기기 위해 마련된다. 즉 융착부(131)의 하강으로 보스(111)의 상단을 하방으로 가압하면, 가압력을 상쇄시키기 위해 그 반대 방향으로 보스(111)를 당겨주기 위해 당김수단(132)이 설치되는 것이다. 당김수단(132)이 보스(111)를 당겨주는 방식은 나사 조임을 통해 당겨주는 방식, 또는 물리적으로 밀착시킨 후 상방향으로 당겨주는 방식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방식은 둘레를 따라 나사산(133)이 형성된 당김수단(132), 즉 스크류 방식이 적용된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융착부(131)의 내측 중앙에는 둘레에 나사산(133)이 형성된 당김수단(132)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나사산(133)이 형성된 당김수단(132)을 스크류(132)라고 정의한 후 설명토록 한다. 융착부(131)와 스크류(132)는 하강 및 상승이 동시에 이루어지지만, 스크류(132)는 별도의 스크류제어장치(미도시)에 의해 개별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132)는 하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좁아지는 콘 형태로 제작된다.
이러한 융착 장치(130)가 피융착물(120)의 관통공(121)에 삽입된 보스(111)의 위쪽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4의 (b)와 같이 융착 장치(130) 전체가 하강하면 융착부(131)가 보스(111)의 상단에 열을 공급하게 되고, 이에 따라 보스(111) 상단이 용융된다.
더불어 융착 장치(130)의 하강에 따라 스크류(132)도 정회전하면서 함께 하강한다. 스크류(132)는 아래쪽으로 갈수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이기 때문에, 보스(111)의 내경보다 좁은 스크류(132)의 하단이 보스(111)의 내측으로 먼저 진입한 순간에는 스크류(132)와 보스(111)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다.
하지만 스크류(132)가 추가로 하강하면서 보스(111)의 내경에 대응하는 면적의 스크류(132) 윗 부분이 보스(111) 내측으로 진입하게 되면, 스크류(132)의 정회전에 따라 스크류(132)와 보스(111) 내측이 나사 결합을 이루게 된다. 보스(111)는 고정된 상태이고, 스크류(132)와 보스(111) 내측이 나사 결합을 이룬 상태에서 스크류(132)가 정회전을 하게 되면, 스크류(132)가 보스(111) 내측 하방으로 더욱 파고 들게 된다. 즉 나사 조임과 같은 방식으로 스크류(132)가 파고 들면서 상대적으로 보스(111)는 위쪽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는 효과를 보게 된다.
물론 융착 과정에서 스크류(132)가 무한정 회전하지는 아니하며, 융착부(131)의 외곽 둘레가 피융착물(120)과 접촉할 때까지 하강하면 스크류(132)의 회전도 멈추게 된다.
이렇게 융착 장치(130)가 하강하게 되면, 융착부(131)가 보스(111)를 하방으로 가압하면서 용융시키는 것이지만, 스크류(132)는 그 반대 방향으로 보스(111)를 끌어 올리는 것이어서 보스(111)의 눌림 현상을 상쇄시켜줄 수 있다.
도4의 (b)와 같이 융착부(131)가 보스(111)의 상단을 용융시킴으로써 관통공(121) 둘레에 용융접합부(113)가 형성되고 나면 융착 장치(130)를 상승시켜 융착 과정을 종료한다.
이때 보스(111)의 내측과 스크류(132)는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 상태이다. 따라서 융착 장치(130)를 상승시킬 때, 스크류(132)를 그대로 상승시킨다면 스크류(132)가 잘 빠지지 않거나 보스(111) 내측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4의 (c)와 같이 융착 과정을 마치고 융착 장치(130)를 상승시킬 때에는, 스크류(132)를 역회전시키면서 상승해야 하며, 이에 따라 스크류(132)와 보스(111)의 나사 결합도 자연스럽게 해제되면서 스크류(132)가 보스(111)로부터 이탈할 수가 있다.
한편 이상의 설명에서는 융착 장치(130)가 하강할 시, 스크류(132)도 동시에 정회전을 시작하고, 융착부(131)의 둘레가 피융착물(120)에 접촉하면 스크류(132)의 정회전이 멈추도록 하였는데 다른 방식의 제어도 가능하다.
즉, 융착 장치(130)를 하강시키는 시점에서는 스크류(132)를 회전시키지 아니하고, 융착부(131)의 둘레가 피융착물(120) 상부면에 접촉한 후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보스(111) 상단의 용융을 모두 마치면 비로소 스크류(132)를 정회전 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제어 방식에 의하면, 융착부(131)가 보스(111)의 상단을 하방으로 누르는 가압력과 스크류(132)가 보스(111)의 내측에 밀착된 후 아래쪽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보스(111)를 포함하는 모재(110) 전체가 아래쪽으로 눌리게 된다. 하지만 보스(111) 상단의 용융을 마친 후 스크류(132)를 정회전시키면, 스크류(132)의 둘레면에 밀착하고 있던 보스(111)의 내측면이 나사 조임에 의해 위쪽으로 당겨지게 된다. 즉 아래쪽으로 눌러지긴 했지만 그 상태 그대로 용융 접합되는 것이 아니라 스크류(132)의 정회전에 따라 나사 조임되면서 위쪽으로 미리 복원된 후 용융 접합되는 것이다.
융착 장치(130) 하강시 스크류(132)를 함께 회전시키는 방식이나, 융착 장치(130)가 먼저 하강하고 보스(111) 상단을 모두 용융시킨 이후 스크류(132)를 회전시켜 당겨주는 방식 모두 모재(110)가 눌린 상태로 접합되는 현상을 막아준다는 목적은 동일하다. 하지만 보스(111) 상단의 용융 이후 스크류(132)를 회전시키는 후자의 방식이 제어가 더 쉽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융착 장치(130) 및 융착 방법에 의하면 자동차 도어트림 등의 부품들을 융착 고정 시킬 때, 부품에 탄성복원력이 가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견고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가 있다.
즉, 융착 장치(130)가 하강하여 보스(111)를 가압하여 용융시킬 때, 융착 장치(130) 내측 하방에 설치된 당김수단(132)이 보스(111) 내측과 나사 결합이 되고, 당김수단(132)의 정회전에 따라 보스(111)는 상방향으로, 즉 융착 장치(130)가 보스(111)를 가압하는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잡아 당겨지는 작용이 이루어지는데, 이에 따라 보스(111)를 포함한 모재(110)가 하방으로 눌린 상태로 용융 접합되지 아니하고, 평탄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피융착물(120)과 결합될 수 있어서, 탄성 복원력에 의해 용융접합부(113)가 탈리되는 현상을 막아줄 수가 있다.
또한, 모재(110)와 피융착물(120)이 결합된 저면이 제품의 외부에 노출될 수도 있는데, 본 발명에 따른 융착 방법에 의하면 모재(110)를 피융착물(120) 측으로 잡아 당겨 융착시킴으로써, 모재(110)의 저면이 돌출되어 주변부품과 평평함을 이루지 못하고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깔끔한 외관의 제품을 제조할 수가 있다.
한편, 도3 및 도4에 도시된 나사산(133)이 형성된 당김수단(132), 즉 스크류(132)를 이용한 보스(111)의 당김 방식에서는 스크류(132)의 나사산(133)과 보스(111)의 내측면이 나사 결합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보스(111)의 내측면에 피치 못하게 파손을 발생시켜야만 한다. 즉 나사 조임에 따라 보스(111)의 내측면에도 나사산 형태의 자국이 남게 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5에서는 나사 조임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보스(111) 파손을 막아줄 수 있는 변형된 형태의 융착 장치(130)가 도시되어 있다.
도5에 도시된 융착 장치(130)는 융착부(131) 및 당김수단(132)을 포함한다. 융착부(131)는 보스(111) 상단에 열을 가하여 용융 시키기 위한 것으로 도3 및 도4를 통해 설명한 융착부(131)와 동일하다.
당김수단(132)은 보스(111)를 상방향으로 당겨주기 위한 것으로, 당김수단(132)의 둘레에는 고무띠(134)가 나사산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도5에 도시된 융착 장치(130)를 이용하여 모재(110)에 피융착물(120)을 융착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피융착물(120)의 관통공(121)에 모재(110)의 보스(111)를 삽입시켜, 모재(110)가 십자형날개(112)에 지지되도록 세팅한다. 이후 융착 장치(130)를 하강시키면 융착부(131)의 열 공급에 의해 보스(111)의 상단이 용융되면서 용융접합부(113)가 형성된다. 또한 융착 장치(130)를 하강시키면서, 또는 보스(111)의 상단의 용융을 모두 마친 후 당김수단(132)을 정회전 시키면, 당김수단(132)의 둘레에 형성된 고무띠(134)가 보스(111)의 내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게 되고, 나사산 형태로 형성된 고무띠(134)의 회전에 의해 보스(111)의 내측면이 당김수단(132) 둘레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보스(111) 상단의 용융 및 당김수단(132)의 정회전에 의핸 보스(111)의 당김 과정이 모두 마쳐지면, 당김수단(132)을 역회전 시키면서 용융 장치가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당김수단(132)이 보스(111)의 내측면에서 자연스럽게 빠져나오면서 융착이 마쳐지게 된다.
도5에 도시된 형태의 융착 장치(130)를 이용하면 나사산 형태의 고무띠(134)가 형성된 당김수단(132)을 회전시킴으로써 도4에 도시된 과정과 마찬가지로 보스(111)를 상방향으로 당겨줄 수 있다. 하지만 고무띠(134)가 보스(111)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일 뿐 보스(111)의 내측면을 파손시키지 않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고무띠(134)가 보스(111)의 내측면에 끼워지는 것이기 때문에, 융착을 마친 후 융착 장치(130)를 상승시킬 때 당김수단(132)을 역회전 시키지 아니하고 상승하더라도 당김수단(132)을 보스(111)의 내측면에서 이탈시킬 수가 있다.
즉, 도4의 방식과 같이 스크류(132)의 나사산(133)에 의해 보스(111)의 내측면이 일부 손상되면서 나사 결합이 이루어진다면, 스크류(132)를 역회전 시키지 않을 경우 스크류(132)가 보스(111)의 내측면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도5에 도시된 융착 장치(130)에서는 당김수단(132)과 보스(111)의 내측면이 고무띠(134)에 의한 끼임 결합이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융착 장치(130)가 상승할 시 당김수단(132)이 역회전 하지 않더라도, 고무띠(134)가 마찰을 이겨내면서 빠져나오는 것이 가능하다.
도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융착 장치(13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에 도시된 융착 장치(130)는 융착부(131) 및 당김수단(132)을 포함한다. 융착부(131)는 보스(111) 상단에 열을 가하여 용융 시키기 위한 것으로 앞서 설명한 융착부(131)와 동일하다.
당김수단(132)은 보스(111)를 상방향으로 당겨주기 위한 것으로, 당김수단(132)은 융착부(131)의 내측 중앙에서 상하 방향으로 승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당김수단(132)의 하방 둘레에는 당김수단(132)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 또는 인입 가능한 형태로 밀착돌기(135)가 마련되어 있다. 당김수단(132)의 승강 및 밀착돌기(135)의 돌출-인입 동작은 별도의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해 수행된다.
도6에 도시된 융착 장치(130)를 이용하여 모재(110)에 피융착물(120)을 융착 결합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피융착물(120)의 관통공(121)에 모재(110)의 보스(111)를 삽입시켜, 모재(110)가 십자형날개(112)에 지지되도록 세팅한다. 이후 융착 장치(130)를 하강시키면 융착부(131)의 열 공급에 의해 보스(111)의 상단이 용융되면서 용융접합부(113)가 형성된다. 이후 보스(111)의 상단 용융을 모두 마치면 제어수단(미도시)에 의해 당김수단(132)이 하강하면서 보스(111)의 내측 공간으로 삽입되고, 이후 밀착돌기(135)가 당김수단(132) 바깥으로 돌출되어 보스(111)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된다.
이후 제어수단(미도시)이 당김수단(132)을 상승시키는데, 이때 밀착돌기(135)가 보스(111)의 내측면에 강하게 밀착된 상태이기 때문에, 당김수단(132)의 상승에 따라 보스(111)를 포함한 모재(110) 전체가 상방향으로 당겨지게 된다.
보스(111) 상단의 용융 과정 및 보스(111)의 상방향 당김 과정을 모두 마치면 제어수단(미도시)은 밀착돌기(135)가 다시 당김수단(132)의 내측으로 인입되도록 하며, 당김수단(132)과 융착부(131)를 포함하는 융착 장치(130) 전체가 상승함으로써 융착 과정을 마치게 된다.
도6에 도시된 융착 장치(130) 역시 보스(111)의 내측면을 파손시키지 않고 보스(111)와 모재(110)를 상승시켜 용융 접합되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모재(11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용융접합부(113)가 탈리되거나, 모재(110) 저면의 돌출에 의해 주변부품과의 사이에서 단차가 발생하는 현상을 막아줄 수가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10 : 모재
111 : 보스
112 : 십자형날개
113 : 용융접합부
120 : 피융착물
121 : 관통공
130 : 융착 장치
131 : 융착부
132 : 당김수단
133 : 나사산
134 : 고무띠
135 : 밀착돌기

Claims (1)

  1. 피융착물의 관통공에 모재에 형성된 보스를 삽입시키는 (a)단계;
    열을 공급하는 융착부와 상기 융착부의 내측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설치되며 둘레를 따라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상기 피융착물의 관통공 상부로 돌출된 보스의 위쪽으로부터 하강시키되 상기 융착 장치의 당김수단을 정회전 시키는 (b)단계;
    상기 융착 장치의 하강에 따라 상기 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정회전하는 당김수단이 상기 보스를 상방향으로 당기는 작용을 하면서 상기 융착부의 열 공급을 통해 상기 보스의 상단을 용융시키는 (c)단계; 및
    상기 보스 상단의 용융에 의해 상기 피융착물의 관통공 둘레에 용융접합부가 형성되면 상기 융착 장치를 상승시키되, 상기 당김수단을 역회전시켜 상기 당김수단을 상기 보스의 내측에서 이탈시키는 (d)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
KR1020200007576A 2020-01-20 2020-01-20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 KR102082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76A KR102082401B1 (ko) 2020-01-20 2020-01-20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7576A KR102082401B1 (ko) 2020-01-20 2020-01-20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2497A Division KR102070842B1 (ko) 2018-05-31 2018-05-31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융착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994A KR20200012994A (ko) 2020-02-05
KR102082401B1 true KR102082401B1 (ko) 2020-02-27

Family

ID=69514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7576A KR102082401B1 (ko) 2020-01-20 2020-01-20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24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9979A (ja) 2003-12-15 2005-06-30 Kazuhiro Kitajima スピン溶着方法
KR101410917B1 (ko) 2014-04-10 2014-06-23 신상철 열융착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17134A (ja) * 1993-10-21 1995-05-09 Takayoshi Iwao プラスチック部材のかしめ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554034B1 (ko) * 2003-12-29 2006-02-22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의 가니쉬 구조체
KR101049280B1 (ko) * 2009-09-10 2011-07-13 주식회사 퍼팩트 연결관 용융접합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69979A (ja) 2003-12-15 2005-06-30 Kazuhiro Kitajima スピン溶着方法
KR101410917B1 (ko) 2014-04-10 2014-06-23 신상철 열융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994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96679B2 (ja) ホールプラグ
KR102082401B1 (ko)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
KR102082403B1 (ko) 밀착돌기가 형성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KR102082400B1 (ko)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US20090263183A1 (en) Joint Structure and Joining Method
KR102082402B1 (ko) 고무띠가 형성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KR102070842B1 (ko)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융착 방법
CN104737633A (zh) 包括密封顶锻部的壳体
KR101418914B1 (ko) 도어트림내 부품들의 융착구조
JP2001504777A (ja) ガラス板を構造部分に結合する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部品セット
KR20160121681A (ko) 융착의 강도 향상을 위한 융착구조
KR102243174B1 (ko) 가이드핀을 갖는 융착 장치
KR102499029B1 (ko) 석션컵이 형성된 융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융착 방법
JP2834767B2 (ja) ホールプラグ構造
KR102352223B1 (ko) 체결력 강화를 위한 3개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227631B1 (ko) 접힘이 가능한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KR102183399B1 (ko) 차량 부품의 융착 구조
JPH0687164A (ja) 樹脂ケースの超音波溶着方法
JP2004058391A (ja) 熱かしめ構造体及び熱かしめ接合方法
KR102285569B1 (ko) 용융산포를 높여주는 가이드핀을 갖는 융착 장치
WO2023119766A1 (ja) ベルトモールの製造方法
KR200306491Y1 (ko) 차량유리 체결용 볼트장치
JPS62207629A (ja) 超音波接合方法
KR100187490B1 (ko) 볼 조인트의 하우징에 더스트 커버를 고정하는 방법
JP2004092775A (ja) 電気融着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