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0917B1 - 열융착장치 - Google Patents

열융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0917B1
KR101410917B1 KR1020140042867A KR20140042867A KR101410917B1 KR 101410917 B1 KR101410917 B1 KR 101410917B1 KR 1020140042867 A KR1020140042867 A KR 1020140042867A KR 20140042867 A KR20140042867 A KR 20140042867A KR 101410917 B1 KR101410917 B1 KR 101410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sing
tip
parts
fusing tip
low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철
황의왕
이희연
이정승
Original Assignee
신상철
이정승
이희연
황의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철, 이정승, 이희연, 황의왕 filed Critical 신상철
Priority to KR1020140042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9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02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 B29C65/18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 B29C65/2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by heating, with or without pressure using heated tools with direct contact, e.g. using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5/00Joining or sealing of preformed parts, e.g. welding of plastics materials; Apparatus therefor
    • B29C65/78Means for handl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for making containers or hollow articles, e.g. means for handling sheets, plates, web-like materials, tubular articles, hollow articles or elements to be joined therewith; Means for discharging the joined articles from the joining apparatus
    • B29C65/7802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 B29C65/7805Positioning the parts to be joined, e.g. aligning, indexing or centring the parts to be joined comprising positioning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2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29C66/92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pressure, the force, the mechanical power or the displacement of the joi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6/00General aspects of processes or apparatus for joining preformed parts
    • B29C66/90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 B29C66/93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speed
    • B29C66/934Measuring or controlling the joining process by measuring or controlling the speed by controlling or regulating the spe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기가 작은 부품을 정확히 열융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열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장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면에 부품(1,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그(20)와, 상기 지그(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융착팁(30)과, 상기 융착팁(30)에 연결되어 융착팁(3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40)와, 상기 지그(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50)과, 상기 로드셀(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구동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으로 구성되어, 상기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여 상기 융착팁(30)이 완전히 하강되어 부품(1,2)의 열융착이 완료되면 상기 융착팁(30)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부품(1,2)이 융착팁(30)에 의해 충분히 가압되지 못하여 부품(1,2)이 정확히 고정되지 못하거나, 부품(1,2)이 융착팁(30)에 의해 과도하게 가압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융착장치{Heat we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크기가 작은 부품을 정확히 열융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열융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등의 정밀한 제품에 사용되는 부품은 크기가 매우 작아서 정밀하게 제작 및 조립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휴대폰 등에 사용되는 합성수지재부품과 금속부품을 상호 고정할 때는, 합성수지재부품을 용융시켜 부품이 상호 고정되도록 하는 열융착방법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때, 이와 같이 부품을 상호 열융착시키는 열융착장치는 부품이 고정되는 지그와, 상기 지그의 상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융착팁을 포함한다.
상기 융착팁은 히터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가열되며, 액츄에이터에 의해 승강된다.
따라서, 상호 고정할 부품을 상기 지그에 올려놓고 상기 액츄에이터를 작동시키면, 상기 융착팁이 하강되어 부품을 가열하여 용융시킴으로써, 부품이 상호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열융착장치의 구조 및 작용은 등록특허 10-0804266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자세히 나타나 있음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이러한 열융착장치는 상기 융착팁이 상기 액츄에이터에 의해 일정한 스트로크로 승강되도록 구성됨으로, 상기 부품의 크기에 오차가 발생될 경우, 융착팁이 부품을 충분히 가압하지 못하여 부품이 상호 정확히 고정되지 못하거나, 융착팁이 부품을 과도하게 가압하여 부품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기가 작은 부품을 정확히 열융착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열융착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면에 부품(1,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그(20)와, 상기 지그(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융착팁(30)과, 상기 융착팁(30)에 연결되어 융착팁(3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40)와, 상기 지그(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50)과, 상기 로드셀(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구동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융착팁(3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액츄에이터(61)에 의해 전후진되는 홀딩핀(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홀딩핀(60)은 전진시 선단부가 상기 지그(20)에 올려진 부품(1,2)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하여 상기 융착팁(30)이 하강되도록 할 때, 상기 융착팁(30)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는 제1 속도로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융착팁(30)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되면,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제2 속도에 비해 느린 제2 속도로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로드셀(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융착팁(30)이 하강되어 상기 지그(20)에 올려진 부품(1,2)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되면 상기 승강구동장치(40)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융착팁(30)이 하강되는 속도를 낮추고,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부품(1,2)을 가압하는 힘이 설정된 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하여 상기 융착팁(30)이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융착팁(30)의 하측면에는 복수개의 분사공(33)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33)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착팁(30)이 하강되어 상기 부품(1,2)을 열융착시킨 후, 상기 분사공(33)을 통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부품(1,2)이 상기 융착팁(30)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융착팁(30)에 의해 가열된 부품(1,2)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장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면에 부품(1,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그(20)와, 상기 지그(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융착팁(30)과, 상기 융착팁(30)에 연결되어 융착팁(3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40)와, 상기 지그(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50)과, 상기 로드셀(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구동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으로 구성되어, 상기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여 상기 융착팁(30)이 완전히 하강되어 부품(1,2)의 열융착이 완료되면 상기 융착팁(30)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부품(1,2)이 융착팁(30)에 의해 충분히 가압되지 못하여 부품(1,2)이 정확히 고정되지 못하거나, 부품(1,2)이 융착팁(30)에 의해 과도하게 가압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장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측면구성도,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장치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요부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장치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열융착장치를 도시한 것으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면에 부품(1,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그(20)와, 상기 지그(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융착팁(30)과, 상기 융착팁(30)에 연결되어 융착팁(3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40)와, 상기 지그(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50)과,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액츄에이터(61)에 의해 전후진되도록 상기 로드셀(50)에 구비된 홀딩핀(60)과, 상기 승강구동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부품(1,2)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복수개의 융착용 핀(1a)이 구비된 홀더(1)와, 금속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융착용 핀(1a)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공(2a)이 형성된 탄성편(2)으로 구성되어, 상기 결합공(2a)이 융착용 핀(1a)에 결합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융착팁(30)을 이용하여 상기 융착용 핀(1a)의 상단을 용융시킴으로써, 상기 홀더(1)와 탄성편(2)을 상호 융착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는 사각형의 박스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전면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11)와 조작스위치(12)가 구비되고, 전면 하측에는 상기 로드셀(50)과 지그(20)의 X축방향 및 Y축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위치조절장치(13)가 구비된다.
상기 지그(20)는 상기 부품(1,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고정홈(21)이 상면에 형성된 사각 블록형태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로드셀(50)의 선단부 상면에 고정되어, 지그(20)에 상기 부품(1,2)을 고정한 후 상기 융착팁(30)을 하강시켜 부품(1,2)을 가압할 때 부품(1,2)에 가해진 힘이 지그(20)를 통해 상기 로드셀(50)로 전달되도록 한다.
상기 융착팁(30)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봉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10)의 전면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대(31)에 결합되어 승강대(31)와 함께 승강된다.
이때, 상기 융착팁(30)은 하단이 상기 승강대(31)의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승강대(31)의 내부에 구비된 도시 안된 히터에 의해 적정온도로 가열된다.
그리고, 상기 융착팁(30)의 하단에는 복수개의 돌출부(32)가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32)는 상기 홀더(1)에 구비된 융착용 핀(1a)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것으로, 하단에는 상기 융착용 핀(1a)의 상단이 삽입되는 성형홈(32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융착팁(30)이 하강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돌출부(32)의 성형홈(32a)이 상기 융착용 핀(1a)의 상단에 밀착되어 상기 융착용 핀(1a)이 상기 성형홈(32a)의 형상대로 용융 및 변형된다.
상기 승강구동장치(4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며 상단에 구비된 모터(41)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승강대(31)를 승강시키는 리니어 액츄에이터를 이용한다.
상기 로드셀(50)은 전후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중간부에는 양측면을 관통하는 개구부(51)가 형성된 지지블록과, 상기 지지블록의 내부에 구비된 도시안된 스트레인게이지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블록의 후단부가 상기 위치조절장치(13)의 상단에 구비된 브라켓(14)에 고정된다.
따라서, 로드셀(50)의 선단부 상면에 구비된 부품(1,2)에 하중이 가해지면, 부품(1,2)에 가해진 하중이 상기 지그(20)를 통해 로드셀(50)에 전달되어, 상기 부품(1,2)에 가해진 하중을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로드셀(50)은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것임으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홀딩핀(6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얇은 금속재의 와이어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액츄에이터(61)에 의해 전후진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액츄에이터(61)에 의해 전진되면 선단부가 상기 지그(20)에 고정된 부품(1,2)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츄에이터(61)는 상기 로드셀(50)의 후단부 상면에 구비된 브라켓(52)에 고정되어 상기 제어유닛(7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에어실린더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홀딩핀(60)은 상기 에어실린더의 피스톤로드(62) 선단부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융착팁(3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2)가 형성되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융착팁(30)이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융착팁(30)의 하측면이 상기 부품(1,2)의 상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다.
따라서, 상기 홀딩핀(60)이 전진되어 상기 부품(1,2)의 상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부품(1,2)을 열융착하기 위해 융착팁(30)이 하강되더라도, 상기 홀딩핀(60)과 융착팁(30)이 상호 간섭되지 않는다.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조작스위치(12)와 로드셀(50)에 연결되어 상기 조작스위치(12)와 로드셀(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홀딩핀(60)의 액츄에이터(61)와 승강구동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지그(20)에 부품(1,2)을 올려놓은 후 상기 본체(10)에 구비된 조작스위치(12)를 조작하여 작동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유닛(70)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액츄에이터(61)를 제어하여 상기 홀딩핀(60)이 전진되어 홀딩핀(60)의 선단부가 상기 부품(1,2)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작동시켜 상기 융착팁(30)이 하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융착팁(30)이 상단까지 상승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조작스위치(12)를 조작하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융착팁(30)이 빠른 제1 속도로 하강되고, 상기 융착팁(30)이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되면,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제1 속도에 비해 매우 느린 제2 속도로 천천히 하강도록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한다.
이때, 상기 융착팁(30)이 천천히 하강되도록 하는 높이는 상기 부품(1,2)의 융착용 핀(1a)의 상단에 매우 근접되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상기 융착팁(30)의 돌출부(32)에 형성된 성형홈(32a)에 의해 상기 융착용 핀(1a)의 상단부가 가압되면서 성형홈(32a)의 형상대로 열변형되며, 이에 따라, 상기 홀더(1)와 탄성편(2)이 상호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로드셀(50)의 신호를 지속적으로 수신하여,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부품(1,2)을 가압하는 힘이 설정된 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하여 상기 융착팁(30)이 상승되도록 한다.
즉,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융착용 핀(1a)을 가압할 때는 상기 융착용 핀(1a)이 융착팁(30)에 의해 열변형됨으로 상기 부품(1,2)에 작은 하중만이 가해지지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융착팁(30)의 하단이 상기 부품(1,2)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완전히 하강되면,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부품(1,2)의 상면을 직접 가압하여 상기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이 급격히 증가된다.
따라서, 상기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된 값 이상으로 상승되는 것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융착팁(30)이 완전히 하강되어 상기 융착용 핀(1a)을 열변형시켜 상기 부품(1,2)이 상호 열융착되도록 하는 작업이 완료된 것을 의미하게 됨으로,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로드셀(50)의 신호를 수신하여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이 설정된 값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융착팁(30)이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부품(1,2)의 열융착을 완료한다.
이때, 상기 홀딩핀(60)이 전진되어 상기 부품(1,2)의 상부에 위치됨으로, 상기 융착팁(30)이 상승될 때 부품(1,2)이 융착팁(30)에 달라붙어 함께 상승될 경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부품(1,2)이 상기 홀딩핀(60)에 걸려 상기 융착팁(30)으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상기 융착팁(30)만이 상승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융착팁(30)이 상승되면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액츄에이터(61)를 제어하여 상기 융착팁(30)이 원래의 위치로 후퇴되도록 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상호 열융착된 부품(1,2)을 꺼내고 상기 지그(20)에 새로운 부품(1,2)을 올려놓은 후, 전술한 과정을 반복하여 부품(1,2)을 상호 열융착하는 작업을 반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열융착장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면에 부품(1,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그(20)와, 상기 지그(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융착팁(30)과, 상기 융착팁(30)에 연결되어 융착팁(3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40)와, 상기 지그(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50)과, 상기 로드셀(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구동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으로 구성되어, 상기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여 상기 융착팁(30)이 완전히 하강되어 부품(1,2)의 열융착이 완료되면 상기 융착팁(30)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부품(1,2)이 융착팁(30)에 의해 충분히 가압되지 못하여 부품(1,2)이 정확히 고정되지 못하거나, 부품(1,2)이 융착팁(30)에 의해 과도하게 가압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융착팁(3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액츄에이터(61)에 의해 전후진되는 홀딩핀(60)이 더 구비되며, 상기 홀딩핀(60)은 전진시 선단부가 상기 지그(20)에 올려진 부품(1,2)의 상부에 위치되어, 상기 융착팁(30)이 상승될 때, 부품(1,2)이 융착팁(30)에 달라붙어 함께 상승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작업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하여 상기 융착팁(30)이 하강되도록 할 때, 상기 융착팁(30)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는 제1 속도로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융착팁(30)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되면,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제2 속도에 비해 느린 제2 속도로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융착팁(30)이 하강된 후 상승되어 상기 부품(1,2)을 상호 융착시키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빠른 속도로 하강되는 융착팁(30)이 상기 부품(1,2)에 충돌하여 부품(1,2)이 과도하게 가압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부품(1,2)을 가압하는 하중을 상기 로드셀(50)이 측정하고, 이에 따라, 상기 제어유닛(70)이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역회전시켜 상기 융착팁(30)이 상승되도록 할 때까지는 미세한 타임레그가 발생되는데, 상기 융착팁(30)이 과도하게 빠른 속도로 하강될 경우, 상기 융착팁(30)이 부품(1,2)을 완전히 가압한 후, 상기 승강구동장치(40)가 역회전되어 융착팁(30)을 상승시키는 짧은 시간동안 융착팁(30)이 더욱 하강되어 부품(1,2)이 과도하게 가압되어 변형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융착팁(30)을 미리 정해진 높이까지만 빠르게 하강되도록 한 후, 융착팁(30)이 천천히 하강되어 상기 부품(1,2)을 열융착하도록 한다.
따라서, 융착팁(30)이 승강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융착팁(30)이 부품(1,2)을 완전히 가압하여 융착시킨 후 상기 승강구동장치(40)가 역회전되어 융착팁(30)이 상승될 때까지의 시간동안 융착팁(30)이 하강되는 거리를 최소화하여, 융착팁(30)에 의해 부품(1,2)이 과도하게 가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부품(1,2)은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상면에는 복수개의 융착용 핀(1a)이 구비된 홀더(1)와, 금속판재로 구성되며 상기 융착용 핀(1a)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결합공(2a)이 형성된 탄성편(2)으로 구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부품(1,2)의 형태 또는 재질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70)은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융착팁(30)이 빠른 제1 속도로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하며, 상기 융착팁(30)이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되면,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제1 속도에 비해 매우 느린 제2 속도로 천천히 하강되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로드셀(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융착팁(30)이 하강되어 상기 지그(20)에 올려진 부품(1,2)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되면 상기 승강구동장치(40)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융착팁(30)의 하강 속도를 낮추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유닛(70)은 작업자가 상기 조작스위치(12)를 조작하여 작동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융착팁(30)이 빠른 속도로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하며,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부품(1,2)의 융착용 핀(1a)의 상단에 접촉하여 상기 부품(1,2)에 하중이 가해지면,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로드셀(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구동장치(40)의 속도를 낮춤으로써, 상기 융착팁(30)이 매우 천천히 하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홀딩핀(60)과 액츄에이터(61)의 구성은 생략된다.
그리고, 상기 융착팁(30)의 하측면에는 복수개의 분사공(33)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33)에는 에어컴프레서(80)가 연결되어, 상기 분사공(33)을 통해 융착팁(30)의 하측으로 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부품(1,2)의 융착작업이 완료된 후, 상기 융착팁(30)을 상승시킬 때,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에어컴프레서(80)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공(33)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분사공(33)을 통해 상기 융착팁(30)의 하측으로 공기가 분사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열융착장치는 상기 융착팁(30)을 상승시킬 때, 상기 분사공(33)을 통해 상기 융착팁(30)의 하측으로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융착팁(30)에 부품(1,2)이 달라붙어 함께 상승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분사공(33)을 통해 분사된 공기에 의해 열변형된 부품(1,2)의 융착용 핀(1a)이 냉각됨으로, 작업자가 열융착이 완료된 부품(1,2)을 꺼낼 때 상기 융착용 핀(1a)의 상단에 접촉되어 작업자가 화상을 입거나 융착용 핀(1a)의 형태가 무너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부품(1,2)의 열융착이 완료된 직후에 상기 융착용 핀(1a)의 상단은 뜨겁게 가열된 상태를 유지함으로, 작업자가 융착용 핀(1a)을 꺼낼 때 열변형된 융착용 핀(1a)의 상단에 접촉할 경우, 작업자가 화상을 입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융착용 핀(1a) 상단의 형태가 무너질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분사공(33)에서 분사된 공기에 의해 상기 융착용 핀(1a)의 상단이 냉각됨으로, 작업자가 열융착이 완료된 부품(1,2)을 지그(20)에서 꺼낼 때, 화상을 입거나 융착용 핀(1a) 상단의 형태가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본체 20. 지그
30. 융착팁 40. 승강구동장치
50. 로드셀 60. 홀딩핀
70. 제어유닛

Claims (5)

  1.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며 상면에 부품(1,2)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된 지그(20)와,
    상기 지그(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본체(10)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 융착팁(30)과,
    상기 융착팁(30)에 연결되어 융착팁(30)을 승강시키는 승강구동장치(40)와,
    상기 지그(20)의 하측에 구비되어 상기 부품(1,2)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로드셀(50)과,
    상기 로드셀(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승강구동장치(4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유닛(70)을 포함하고,
    상기 융착팁(30)의 하단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돌출부(32)가 형성되고,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봉형상으로 구성되며 액츄에이터(61)에 의해 전후진되는 홀딩핀(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홀딩핀(60)은 전진시 선단부가 상기 지그(20)에 올려진 부품(1,2)의 상부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하여 상기 융착팁(30)이 하강되도록 할 때, 상기 융착팁(30)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는 제1 속도로 하강되도록 하고, 상기 융착팁(30)이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하강되면,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제1 속도에 비해 느린 제2 속도로 하강되도록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70)은
    상기 로드셀(5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융착팁(30)이 하강되어 상기 지그(20)에 올려진 부품(1,2)을 가압하는 힘이 증가되면 상기 승강구동장치(40)의 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융착팁(30)의 하강 속도를 낮추고,
    상기 융착팁(30)이 상기 부품(1,2)을 가압하는 힘이 설정된 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승강구동장치(40)를 제어하여 상기 융착팁(30)이 상승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융착팁(30)의 하측면에는 복수개의 분사공(33)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공(33)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8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용착팁(30)이 하강되어 상기 부품(1,2)을 열융착시킨 후, 상기 분사공(33)을 통해 공기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부품(1,2)이 상기 융착팁(30)에 달라붙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융착팁(30)에 의해 가열된 부품(1,2)을 신속하게 냉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장치.
KR1020140042867A 2014-04-10 2014-04-10 열융착장치 KR101410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867A KR101410917B1 (ko) 2014-04-10 2014-04-10 열융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867A KR101410917B1 (ko) 2014-04-10 2014-04-10 열융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917B1 true KR101410917B1 (ko) 2014-06-23

Family

ID=5113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867A KR101410917B1 (ko) 2014-04-10 2014-04-10 열융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91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283B1 (ko) * 2014-10-23 2016-02-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융착장치
KR20190136586A (ko) * 2018-05-31 2019-12-10 카이스 주식회사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융착 방법
KR20200012996A (ko) * 2020-01-20 2020-02-05 카이스 주식회사 밀착돌기가 형성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KR20200012993A (ko) * 2020-01-20 2020-02-05 카이스 주식회사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KR20200012994A (ko) * 2020-01-20 2020-02-05 카이스 주식회사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
KR20200012995A (ko) * 2020-01-20 2020-02-05 카이스 주식회사 고무띠가 형성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071A (ko) * 2010-07-08 2012-01-16 허성종 고주파 열융착 장치
JP2013159073A (ja) 2012-02-07 2013-08-19 Canon Inc 熱可塑性樹脂の熱溶着装置および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5071A (ko) * 2010-07-08 2012-01-16 허성종 고주파 열융착 장치
JP2013159073A (ja) 2012-02-07 2013-08-19 Canon Inc 熱可塑性樹脂の熱溶着装置および方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283B1 (ko) * 2014-10-23 2016-02-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융착장치
KR20190136586A (ko) * 2018-05-31 2019-12-10 카이스 주식회사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융착 방법
KR102070842B1 (ko) 2018-05-31 2020-01-29 카이스 주식회사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융착 방법
KR20200012996A (ko) * 2020-01-20 2020-02-05 카이스 주식회사 밀착돌기가 형성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KR20200012993A (ko) * 2020-01-20 2020-02-05 카이스 주식회사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KR20200012994A (ko) * 2020-01-20 2020-02-05 카이스 주식회사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
KR20200012995A (ko) * 2020-01-20 2020-02-05 카이스 주식회사 고무띠가 형성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KR102082400B1 (ko) 2020-01-20 2020-02-27 카이스 주식회사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KR102082402B1 (ko) 2020-01-20 2020-02-27 카이스 주식회사 고무띠가 형성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KR102082401B1 (ko) 2020-01-20 2020-02-27 카이스 주식회사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를 이용한 융착 방법
KR102082403B1 (ko) 2020-01-20 2020-02-27 카이스 주식회사 밀착돌기가 형성된 당김수단을 갖는 융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0917B1 (ko) 열융착장치
JP3963918B2 (ja) 超音波溶着装置
JP5031867B2 (ja) 射出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WO2011040150A1 (ja) 金型調芯装置、成形機、及び成形方法
JP4979636B2 (ja) 射出成形機および射出成形方法
KR100516185B1 (ko) 열융착기
CN107020731B (zh) 注射成型机
KR20010053073A (ko) 광학 소자의 성형 방법 및 그 성형 장치
KR101821523B1 (ko) 열과 진동을 이용한 융착 장치 및 방법
JP2018161841A (ja) 金型重量計測機能付き型締装置
JP5699363B2 (ja) プレス成形装置、及び、プレス成形方法
KR101932550B1 (ko) 패널 접착용 스탬핑 머신
JP2010129771A (ja) 半導体チップのボンディング装置及びボンディング方法
CN206326868U (zh) 热熔治具
JP2012143937A (ja) 樹脂成形装置
KR100851217B1 (ko) 열융착기
TWI584935B (zh) Injection molding machine
KR101931728B1 (ko) 일체형 예열지그를 가지는 진동융착기
JP5151553B2 (ja) 樹脂射出装置、樹脂射出方法、樹脂射出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WO2012057009A1 (ja) 実装装置および実装方法
CN206795018U (zh) 压焊焊接装置
JP4343010B2 (ja) 合成樹脂成形方法およびこれに使用する成形装置
CN108099217A (zh) 一种传感器热铆焊接方法
CN215435064U (zh) 热熔机
KR101906869B1 (ko) 예열을 수행하는 진동융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