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1190B1 - 낚시보트 - Google Patents

낚시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1190B1
KR102081190B1 KR1020180059936A KR20180059936A KR102081190B1 KR 102081190 B1 KR102081190 B1 KR 102081190B1 KR 1020180059936 A KR1020180059936 A KR 1020180059936A KR 20180059936 A KR20180059936 A KR 20180059936A KR 102081190 B1 KR102081190 B1 KR 102081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auxiliary buoyancy
fishing boat
insertion hole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4381A (ko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김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주 filed Critical 김병주
Priority to KR1020180059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1190B1/ko
Publication of KR201901343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43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1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1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05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hunting or fi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63B34/50Body-supporting buoyant devices, e.g. bathing boats or water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1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 B63B43/1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buoyancy using outboard floating members
    • B63B2731/00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본체에 보조부력체를 결합하여 본체가 손상되더라도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낚시보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본체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보조부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보트 { A boat }
본 발명은 낚시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본체에 보조부력체를 결합하여 본체가 손상되더라도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낚시보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다나 강, 호수에서 물놀이나 낚시 등의 레저를 즐길 때 사용하는 보트로는 고무보트가 주로 이용되는데, 이러한 고무보트는 공기압에 의해 부양될 수 있도록 제작되며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어 레저용 또는 구조용 등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일반적인 고무보트는 공기의 충진시 골격을 형성하는 튜브형태의 에어프레임과, 에어프레임의 안쪽에 설치되어 공기의 충진시 바닥을 형성하는 에어매트리스로 구성되어, 물위에서 물놀이를 즐기거나 낚시 등의 레저 생활을 가능하게 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에어매트리스 형태의 판상의 고무보트는 낚시 등과 같은 레저 활동을 하기 위해서는 탑승자가 보트의 위에서 움직이더라도 전복되지 않고 상대적으로 긴 시간 동안 적절히 유지되어야 하나 이를 수행하지 못하고 탑승자가 움직일 때 쉽게 전복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고무보트는 내부의 공간부를 하나로 형성하기 때문에, 외부의 암초나 날카로운 물건 등에 의해 보트가 파손되게 되면,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게 되어 부력이 줄어들게 되므로, 물에 빠지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거, 종래의 고무보트는 공기구조물이라 하더라도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다소 중량이 나가게 되므로 운반 및 취급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 제10-181751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으로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본체에 보조부력체를 결합하여 본체가 손상되더라도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낚시보트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보조부력체를 결합하여 낚시보트가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의 움직임에 의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낚시보트를 제공함에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보트를 본체와 보조부력체로 분리할 수 있어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한 낚시보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본체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양측에 결합되는 보조부력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본체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탑승부와, 상기 탑승부의 양측에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부력체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은 보조부력체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조부력체는 길이방향으로 삽입공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의 연장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은 본체의 연장부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연장부의 외측 전후방에 절개부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와 연통되는 설치공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부력체의 삽입공에 삽입되는 삽입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공은 상기 연장부의 삽입구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보조부력체는 하단에 전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선단과 보조부력체 하부면 사이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순한 구성으로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본체에 보조부력체를 결합하여 본체가 손상되더라도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에 보조부력체를 결합하여 낚시보트가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의 움직임에 의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보트를 본체와 보조부력체로 분리할 수 있어 운반 및 취급이 용이한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보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B-B'선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보트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C-C'선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보트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보트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보트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한 낚시보트의 C-C'선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단순한 구성으로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본체에 보조부력체를 결합하여 본체가 손상되더라도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낚시보트(5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사람이 탑승하는 본체(100)와, 본체(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보조부력체(200)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본체(100) 및 보조부력체(200)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고, 일측에 공기주입구(미도시)가 형성되어 공기를 주입하여 평면이 형성되게 구성된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H"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부(110)와, 상기 탑승부(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120)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사람이 탑승부(110)에 탑승하여 낚시를 하는 등 움직임이 발생되더라도, 연장부(120)에 의해 본체(100)의 자세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어 낚시보트(50)의 전복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120)는 선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쐐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낚시보트(50)의 수상 이동 시 저항을 적게 받도록 하여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보조부력체(200)가 결합 설치되어 본체(100)가 손상되어 부력을 상실하더라도 보조부력체(200)에 의해 부력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부력체(200)는 하단에 전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돌출부(210)가 형성되는데, 이 돌출부(210)의 선단과 보조부력체(200)의 하부면 사이에 곡면(212)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낚시보트(50)가 수상 이동 시 직진성을 유지하고 저항을 적게 받도록 하여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본체(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본체(100)의 연장부(120)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부력체(200)가 상기 관통공(122)에 삽입 결합되게 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22)은 상기 보조부력체(2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보조부력체(200)의 외주면이 관통공(122)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공기가 주입된 본체(100)의 관통공(122)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보조부력체(200)를 삽입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공기주입구(미도시)를 통하여 보조부력체(200)에 공기를 주입하면, 보조부력체(200)가 팽창되면서 관통공(122)에 밀착되게 되므로 본체(100)와 보조부력체(200)가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낚시보트(50)의 설치가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낚시보트(50')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부력체(200')는 길이방향으로 삽입공(220)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연장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삽입공(220)은 본체(100')의 연장부(12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연장부(12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보조부력체(200')가 결합되게 된다.
즉, 공기가 주입된 보조부력체(200')의 삽입공(220)에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본체(100')를 삽입하여 위치시킨 상태에서 공기주입구(미도시)를 통하여 본체(100')에 공기를 주입하면, 본체(100')가 팽창되면서 삽입공(220)에 밀착되게 되므로 본체(100')와 보조부력체(200')가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낚시보트(50')의 설치가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낚시보트(50')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상기 낚시보트(50')는 본체(100')에 관통공이 형성되지 않고, 보조부력체(200')에 본체(100')가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낚시보트(50")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보조부력체(200")는 길이방향으로 삽입공(230)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연장부(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100")는 연장부(120")의 외측 전후방에 절개부(124)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124)와 연통되는 설치공(1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126)의 사이에는 삽입구(128)가 형성되며, 상기 보조부력체(200")의 삽입공(230)은 상기 삽입구(128)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다.
그래서, 공기가 주입되지 않은 본체(100")의 절개부(124)를 통해 공기가 주입된 보조부력체(200")를 삽입시켜 보조부력체(200")가 설치공(126)에 위치되도록 하고, 본체(100")의 삽입구(128)를 보조부력체(200")의 삽입공(230)에 삽입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본체(100")의 공기주입구(미도시)를 통하여 본체(100")에 공기를 주입하면, 본체(100")가 팽창되면서 삽입구(128)가 보조부력체(200")의 삽입공(230) 내주면에 밀착되게 되고, 설치공(126)의 내주면이 보조부력체(200")에 밀착되게 되므로 본체(100")와 보조부력체(2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낚시보트(50")의 설치가 완료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낚시보트(50")의 나머지 구성은 전술한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낚시보트(50,50',50")에 의하면, 단순한 구성으로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본체(100,100',100")에 보조부력체(200,200',200")를 결합하여 본체(100,100',100")가 손상되더라도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본체(100,100',100")에 보조부력체(200,200',200")를 결합하여 낚시보트(50,50',50")가 안정적으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탑승자의 움직임에 의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보다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낚시보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단순한 구성으로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본체에 보조부력체를 결합하여 본체가 손상되더라도 부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전하게 낚시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낚시보트에 관한 것이다.
50,50',50": 낚시보트 100,100',100": 본체
110: 탑승부 120,120',120": 연장부
122: 관통공 124: 절개부
126: 설치공 128: 삽입구
200,200',200" 보조부력체 210,210',210": 돌출부
220,230: 삽입공

Claims (9)

  1.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본체(100',100")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보조부력체(200,200',200")를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0',100")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탑승부(110)와, 상기 탑승부(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는 연장부(120',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부력체(200,200',200")는 길이방향으로 삽입공(220,230)이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100")의 연장부(120',1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보트.
  2.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본체(100)와,
    이중공간지로 형성되어 상기 본체(100)의 양측에 결합되는 보조부력체(200,200',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100)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탑승부(110)와, 상기 탑승부(110)의 양측에 형성되어 전후방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연장부(120)로 이루어져 "H"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120)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보조부력체(2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크기의 관통공(122)이 형성되어 상기 보조부력체(200)가 삽입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보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220,230)은 본체(100')의 연장부(120')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보트.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0',100")는 상기 연장부(120',120")의 외측 전후방에 절개부(124)가 형성되고, 이 절개부(124)와 연통되는 설치공(126)이 형성되며,
    상기 설치공(126)의 사이에는 상기 보조부력체(200,200',200")의 삽입공(230)에 삽입되는 삽입구(12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보트.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230)은 상기 연장부(120',120")의 삽입구(128)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보트.
  9.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부력체(200,200',200")는 하단에 전후방으로 연장형성되는 돌출부(210,210',210")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210,210',210")의 선단과 보조부력체(200,200',200") 하부면 사이가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보트.
KR1020180059936A 2018-05-25 2018-05-25 낚시보트 KR1020811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936A KR102081190B1 (ko) 2018-05-25 2018-05-25 낚시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936A KR102081190B1 (ko) 2018-05-25 2018-05-25 낚시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81A KR20190134381A (ko) 2019-12-04
KR102081190B1 true KR102081190B1 (ko) 2020-05-22

Family

ID=6900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936A KR102081190B1 (ko) 2018-05-25 2018-05-25 낚시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11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5550A1 (en) 2006-11-22 2010-03-25 Peter Bortsov Manually operated watercraft
KR101799360B1 (ko) * 2017-06-20 2017-11-20 방준혁 자전거 페달 추진 장치가 구비되고 조립 및 분리가 편리한 피싱보트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6619A (ko) * 2012-11-23 2014-06-02 주식회사 씨라이프 트렁크형 보트
KR20160111252A (ko) * 2015-03-16 2016-09-26 (주)에어박스 패들보드
WO2017026613A1 (ko) 2015-08-13 2017-02-16 (주)우성아이비 공기주입식 보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075550A1 (en) 2006-11-22 2010-03-25 Peter Bortsov Manually operated watercraft
KR101799360B1 (ko) * 2017-06-20 2017-11-20 방준혁 자전거 페달 추진 장치가 구비되고 조립 및 분리가 편리한 피싱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4381A (ko) 2019-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2694B2 (en) Frameless pontoon boat
ES2240694T3 (es) Bote hinchable de casco rigido con relleno de espuma.
KR101577280B1 (ko) 공기주입식 카약
US7305926B2 (en) Ported tri-hull boat
US5713773A (en) Mountable towed water craft
US5247898A (en) Water-ski board
PL86241B1 (ko)
KR102081190B1 (ko) 낚시보트
US3045629A (en) Boat hull
US5487349A (en) Device for combined use as a ladder, fender and life-buoy for boats
US4538538A (en) Stabilizing apparatus for a craft
US6659032B1 (en) Stabilizer for use on a canoe-like boat
KR20140023526A (ko) 패들링 보드
US3777325A (en) Water craft
US5964176A (en) Inflatable keel
US10059411B1 (en) Quad bow paddle board
US883588A (en) Invisible air-chamber and sponson for canoes.
US10611443B2 (en) Body surfing board
KR101743575B1 (ko) 조립식 보트
US9242706B2 (en) Dual keel kayak
US1064472A (en) Combined life-boat and marine safe.
US10093397B2 (en) Enhanced body board
KR101865551B1 (ko) 전복방지 기능을 갖는 제트 스키
KR101824214B1 (ko) 선박의 안정화 장치
US6368172B1 (en) Water gli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