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66619A - 트렁크형 보트 - Google Patents

트렁크형 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66619A
KR20140066619A KR1020120134069A KR20120134069A KR20140066619A KR 20140066619 A KR20140066619 A KR 20140066619A KR 1020120134069 A KR1020120134069 A KR 1020120134069A KR 20120134069 A KR20120134069 A KR 20120134069A KR 20140066619 A KR20140066619 A KR 201400666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cy
buoyant
buoyant body
space
bottom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40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근
강민수
강석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라이프
김영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라이프, 김영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라이프
Priority to KR10201201340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66619A/ko
Publication of KR20140066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66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7/02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 B63B7/04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comprising only rigid parts sectionali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4/00Vessel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Body-suppor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ater sports or lei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0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 B63B1/0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 B63B1/10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 B63B1/12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 B63B1/125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 B63B2001/126Hydrodynamic or hydrostatic features of hulls or of hydrofoils deriving lift mainly from water displacement with multiple hulls the hulls being interconnected rigidly comprising more than two hulls comprising more than three hu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00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 B63B2007/003Collapsible, foldable, inflatable or like vessels with foldable mem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트렁크형 보트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결합홈이 형성된 제1 부력 몸체;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홈과 마주하는 오목한 제2 결합홈이 형성된 제2 부력 몸체; 상기 제1 부력 몸체에 결합 되며 부력을 갖는 공간을 갖고 상기 제1 부력 몸체 내에 수납되는 부피를 갖는 제3 부력 몸체; 및 상기 제2 부력 몸체에 결합 되며 부력을 갖는 공간을 갖고 상기 제2 부력 몸체 내에 수납되는 부피를 갖는 제4 부력 몸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렁크형 보트{TRUNK TYPE BOAT}
본 발명은 트렁크형 보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적어도 2개로 이루어진 단위 부력 몸체들을 상호 포개거나 겹쳐 형성된 내부 공간에 다른 단위 부력 몸체가 수납되도록 하거나, 다른 물건을 수납하여 보트의 효용성을 높이고 보트의 부피를 감소시켜 자동차 등으로 수송하기에 편리한 트렁크형 보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수상 레저 분야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해양 또는 담수호에서 레저를 즐기기 위한 소형 보트가 활발하게 개발되고 있다.
해양 또는 담수호에서 보트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에 수납이 가능하거나 자동차에 적재하여 수송이 가능할 정도의 부피가 요구된다. 더나아가 보트 내부에 레저용품 수납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해양 또는 담수호에서 사용되는 보트는 부피가 상대적으로 커 자동차에 적재하기 어려웠고, 보트 용도로만 한정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65680호에는 상호 이격된 내측플레이트 및 외측플레이트, 그 사이에 구비되는 부력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외부 충격에 강건하고 침수의 우려가 적은 선박이 개시되고 있다. 그러나 선박의 보관 등에 대한 대책은 마련되지 않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065680호
본 발명은 해양 또는 담수호에 사용되는 보트를 조립식 또는 접이식 구조로 개량하여 자동차에 적재하기 쉬우며, 다기능을 가지며, 조립 또는 접어짐에 따라 형성된 내부 공간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한 트렁크형 보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로서,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된 제1 부력 몸체; 및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된 제2 부력 몸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력 몸체와 제2 부력 몸체는 결합장치에 의해 상호 펼쳐지거나 포개지고, 상기 제1 부력 몸체에 결합장치에 의해 결합되며 부력을 갖는 공간을 갖고 상기 제1 부력 몸체 내에 수납되는 부피를 갖는 다수의 부력 몸체를 포함한다.
일례로,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결합홈이 형성된 제1 부력 몸체;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홈과 마주하는 오목한 제2 결합홈이 형성된 제2 부력 몸체; 및 통 형상으로 상기 제1 및 제2 부력 몸체들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 몸체, 상기 보강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보강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한다.
일례로,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제1 후벽의 높이가 상기 제1 후벽과 연결된 제1 측벽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형성된 제1 부력 몸체;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후벽과 마주하는 제2 후벽의 높이가 상기 제2 후벽과 연결된 제2 측벽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력 몸체의 공간에 포개어지는 사이즈를 갖는 제2 부력 몸체; 및 상기 제1 및 제2 후벽들의 상단을 상호 결합하여 상기 제2 부력 몸체를 상기 제1 부력 몸체의 내부로 회동시키는 회동 부재를 포함한다.
일례로,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마주하는 한 쌍의 제1 측벽들의 앞쪽 및 뒤쪽에 각각 제1 관통홀이 하나 또는 복수개가 형성된 제1 부력 몸체;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부력 몸체의 공간에 포개어지는 사이즈를 갖고 제1 측벽들과 마주하는 제2 측벽들 증 상기 제1 관통홀들과 대응하며 상기 제2 측벽들의 높이 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의 제2 관통홀들이 형성된 제2 부력 몸체를 포함하여 보트 내부 공간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단위 부력 몸체를 상호 포개거나 접어 자동차에 수납 또는 적재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단위 부력체 내부에 형성된 공간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렁크형 보트를 상호 수납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3 부력 몸체를 제 부력 몸체에 수용한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부력 몸체를 제1 부력 몸체에 완전히 폴딩 시킨 것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5의 노와 노 결합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도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렁크형 보트를 상호 수납한 것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트렁크형 보트(800)는 제1 부력 몸체(100), 제2 부력 몸체(200), 제3 부력 몸체(500) 및 제4 부력 몸체(55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트렁크형 보트(800)는 센터 보드(3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세일링을 위한 마스터 장착 홀(4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력 몸체(100)는 바닥판(110), 바닥판(110)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측면판(120)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110) 및 측면판(120)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110) 및 측면판(120)에 의하여 제1 부력 몸체(100)의 내부에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101)이 형성된다.
제1 부력 몸체(100) 중 바닥판(100)의 에지로부터 돌출된 측면판(120)의 일측에는 측면판(120)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된 제1 결합홈(13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홈(130)의 높이는 제1 부력 몸체(100)의 측면판(12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2 부력 몸체(200)는 바닥판(210), 바닥판(210)의 에지로부터 돌출된 측면판(220)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210) 및 측면판(220)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210) 및 측면판(220)에 의하여 제2 부력 몸체(200)의 내부에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201)이 형성된다.
제2 부력 몸체(200) 중 바닥판(200)의 에지로부터 돌출된 측면판(220)의 일측에는 측면판(220)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된 제2 결합홈(230)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홈(230)은 제1 결합홈(130)과 마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결합홈(230)의 높이는 제2 부력 몸체(200)의 측면판(22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력 몸체(200)의 제2 결합홈(230)은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결합홈(130)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결합홈(130)이 형성된 측면판(120)은 제2 결합홈(230)이 형성된 제2 부력 몸체(200)의 측면판(220)과 상호 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부력 몸체(100) 및 제2 부력 몸체(200)는 상호 대칭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작시 금형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제1 부력 몸체(100) 및 제2 부력 몸체(200)는 후크, 제1 및 제2 부력 몸체(200)를 관통하는 결합 부재, 제1 부력 몸체(100) 및 제2 부력 몸체(200)와 연결되는 경첩 등에 의하여 상호 조립 또는 분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에는 딩기요트로 활용시 외부에서 유입된 해수 또는 담수를 배출하기 위한 물 배출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다시 참조하면, 제1 및 제2 결합홈(130,230)에는 센터 보드(350)가 결합 될 수 있다. 센터 보드(350)는 단면이 유선형인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센터 보드(350)는 측면 파도에 의한 트렁크형 보트(800)의 횡요저감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보트가 측면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하고 직진성을 높여 안정적으로 해수 또는 담수 상에 부유할 수 있도록 한다.
센터 보드(350)의 상단의 일부는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결합홈(13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센터 보드(350)의 상단의 나머지는 제2 부력 몸체(200)의 제2 결합홈(230)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의 중심을 안정화하기 위해 센터 보드(350) 중 제1 및 제2 결합홈(130,230)들에 결합되는 상단은 가볍게 형성하고 센터 보드(350)의 상기 상단과 대향하는 하단은 상단에 비하여 무겁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센터 보드 대신 센터 보드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되 접을 수 있는 형태의 대거 보드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결합홈(130,230)은 보트 정박시 활용하는 앵커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즉, 이동시에는 센터 보드 또는 대거 보드로 직진성 및 안정성을 도모하지만, 정박 시에는 트렁크형 보트(800)가 조류에 밀려 위치가 변동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앵커를 물 밑바닥에 내려 고정 장치로 사용하는데,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130,230)을 상기 앵커의 수납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센터 보드 또는 대거 보드는 일차적으로 분리되고, 앵커가 내려지거나 회수된 후 다시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마스트 장착 홀(400)은 세일을 지지하는 마스트를 장착하기 위한 홀로 활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를 세일링으로 운행할 때 세일이 필요하고, 그 세일을 형성하기 위해서 마스트가 필요하다. 마스트 장착 홀은 그 마스트를 고정시킬 수 있는 구멍으로 활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결합홈(130,230) 또한 세일을 지지하는 마스터의 고정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결합홈(130,230)은 보트의 추진을 위한 동력장치의 장착 공간으로 할용될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 200)의 뒷부분에 자리하는 전기모터, 선외기 등 추력장치를 상기 제1 및 제2 결합홈(130,230)을 통해 장착할 수 있다. 이는 추력장치의 조작을 좀 편리하게 하기 위한 방안이다. 이때 센터보드(350)는 제거되고 조향은 후술될 제4 부력몸체에 마련되는 러더로 수행할 수 있다.
제3 부력 몸체(500)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501)을 가지며, 제3 부력 몸체(500)는 제2 부력 몸체(200)의 선단에 결합된다.
제3 부력 몸체(500)는, 예를 들어, 트렁크형 보트(800)가 진행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에 배치되며, 제3 부력 몸체(500) 중 해수 또는 담수와 접촉되는 부분은 유체 저항을 감소시키기 위해 곡면 또는 유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부력 몸체(500)는 제2 부력 몸체(200)에 결합되는데, 제3 부력 몸체(500)는 제2 부력 몸체(200)와 제1 결합 장치(530)에 의하여 결합 된다. 제1 결합 장치(530)는, 예를 들어, U 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3 부력 몸체(500) 및 제2 부력 몸체(200)를 관통하는 제1 결합 브라켓(510) 및 제1 결합 브라켓(510)에 결합 되는 제1 결합 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부재(520)는 제1 결합 브라켓(510)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결합 장치(530)가 제1 결합 브라켓(510) 및 제1 결합 부재(520)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1 결합 장치(530)는 다양한 결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경첩을 회동부재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경첩은 분리가 가능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제1 결합장치는 보트를 접었을 때 보트를 운송하는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다. 일례로, U 자 형상으로 형성된 제3 부력 몸체(500) 및 제2 부력 몸체(200)를 관통하는 제1 결합 브라켓(510) 및 제1 결합 브라켓(510)에 결합 되는 제1 결합 부재(520)는 제3 부력 몸체(500)가 분리되어 제2 부력 몸체(200)에 수용되고 상기 제1 부력 몸체(100)에 후술될 제4 부력 몸체(550)가 수용된 후 상기 제1 부력 몸체(100) 및 상기 제2 부력 몸체(200)가 접히는 경우 제1 결합 부재(520)가 제2 부력 몸체에 단독으로 결합되어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의 이동용 손잡이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제1 결합 부재(520)를 활용한 이동용 손잡이는 이후 설명될 제3 실시예 및 제4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4 부력 몸체(550)는, 예를 들어, 트렁크형 보트(800)가 진행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배치되며, 제4 부력 몸체(550)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551)을 갖는다.
제4 부력 몸체(550)에는, 예를 들어, 트렁크형 보트(800)가 전방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력 장치가 배치될 수 있다. 추력 장치는 제4 부력 몸체(550)의 공간(551)에 배치되거나 제4 부력 몸체(550) 내부에 내장되거나 제4 부력 몸체(55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결합홈(130,230)의 추력 장치는 장착되지 않는다.
제4 부력 몸체(550)에는 추력 장치 이외에 조타 장치가 배치 또는 내장될 수 있다. 조타장치로는 세일링을 할 경우에는 러더를 사용하고, 선외기, 가이드 모터일 경우에는 자체 조향장치를 활용할 수 있다.
제4 부력 몸체(550)는 제1 부력 몸체(100)에 결합 되는데, 제4 부력 몸체(550)는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결합 장치(580)에 의하여 결합 된다.
제2 결합 장치(580)는, 예를 들어, U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4 부력 몸체(550) 및 제1 부력 몸체(100)를 관통하는 제2 결합 브라켓(560) 및 제2 결합 브라켓(560)에 결합되는 제2 결합 부재(5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결합 부재(570)는 제2 결합 브라켓(560)에 체결되는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결합 장치(580)가 제2 결합 브라켓(560) 및 제2 결합 부재(570)인 것이 도시 및 설명되고 있지만, 제2 결합 장치(580)는 다양한 결합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경첩을 회동부재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경첩은 분리가 가능한 구조가 바람직하다.
또한, 그림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3 부력 몸체(500) 및 제4 부력 몸체 (550) 내부에는 추가로 하나 또는 다수의 부력 몸체가 제3 부력 몸체(500) 및 제4 부력 몸체 (550) 내부에 수용 가능한 부피와 형태로 포함될 수 있으며, 추가로 포함되는 부력 몸체의 일부 또는 전부는 부력을 증가시키는 보조부력체일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3 부력 몸체(500)의 전체 부피는 제2 부력 몸체(200) 공간(201)의 부피 이하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3 부력 몸체(500)가 제2 부력 몸체(200)의 공간(201) 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4 부력 몸체(550)의 전체 부피는 제1 부력 몸체(100)의 공간(101)의 부피 이하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4 부력 몸체(550)가 제1 부력 몸체(100)의 공간(101) 내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3 부력 몸체(500)가 수납된 제2 부력 몸체(200) 및 제4 부력 몸체(550)가 수납된 제1 부력 몸체(100)는 상호 마주하게 포개어지고, 이로 인해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가 포개어진 트렁크형 보트(800)는 자동차에 수납 또는 자동차의 루프 등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포개진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는 밴드 등으로 고정될 수 있고, 경첩 등으로 회동될 수 있으며, 일측에 기존 트렁크와 같은 형태로 이동용 바퀴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결합 부재를 이용해 마련된 손잡이를 활용하여 용이하게 운송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부력 몸체(100) 및 제2 몸체(200) 및 제3 몸체(500) 및 제4 몸체(550)의 소재는 금속, 유리섬유, 탄소 섬유, 목재, 고무, 플라스틱, 합성비닐, 합성수지, 카본, 에폭시, 폴리카보네이트, 아노다이징 알루미늄, 허니컴 샌드위치, 허니컴 세라믹, 에폭시 필름, 카본 필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폴리스틸렌, 폴리우레탄 발포성형체, 폴리이소시아뉴레이트 발포 성형체, 폴리프로필렌 발포성형체, 탄소복합 발포성형체, 알루미늄 발포성형체, 멜라민수지 발포성형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부력 몸체(100) 및 제2 몸체(200) 및 제3 몸체(500) 및 제4 몸체(550)는 복수의 소재가 결합 또는 접합 또는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 또는 진공 성형 또는 블로우 성형 또는 금형 발포를 통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부력 몸체(100) 및 제2 몸체(200) 및 제3 몸체(500) 및 제4 몸체(550)는 표면에 폴리우레아, 에폭시, 스테인레스, 아연, 내열 불소수지, 세라믹, 탄소복합체, 실리콘, 페놀 코팅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부력 몸체(100) 및 제2 몸체(200) 및 제3 몸체(500) 및 제4 몸체(550)는 내부에 금속 또는 합성수지 또는 탄소복합체로 구성된 보강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트렁크형 보트(800)는 제1 부력 몸체(100), 제2 부력 몸체(200) 및 보강 부재(300)를 포함한다.
제1 부력 몸체(100)는 바닥판(110), 바닥판(110)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측면판(120)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110) 및 측면판(120)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110) 및 측면판(120)에 의하여 제1 부력 몸체(100)의 내부에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101)이 형성된다.
제1 부력 몸체(100) 중 바닥판(110)의 에지로부터 돌출된 측면판(120)의 일측에는 측면판(120)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된 제1 결합홈(130)이 형성되며, 제1 결합홈(130)은 보강 부재(300)와 결합 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부력 몸체(200)는 바닥판(210), 바닥판(210)의 에지로부터 돌출된 측면판(220)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210) 및 측면판(220)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210) 및 측면판(220)에 의하여 제2 부력 몸체(200)의 내부에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201)이 형성된다.
제2 부력 몸체(200) 중 바닥판(200)의 에지로부터 돌출된 측면판(220)의 일측에는 측면판(220)의 표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함몰된 제2 결합홈(230)이 형성되며, 제2 결합홈(230)은 제1 결합홈(130)과 마주하게 형성된다.
제2 결합홈(230)의 형상은 제1 결합홈(130)과 대칭 또는 비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부력 몸체가 제2 부력 몸체와 대칭인 경우에는 제2 결홈(230)과 제1 결합홈(130)은 대칭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후술될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와 제4 실시예에서는 대칭으로 구성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제4 실시예에서는 제2 부력 몸체(200)의 제2 결합홈(230)은 제1 부력몸체(100)의 제1 결합홈(130) 내부에 포함될 수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는 제1 부력 몸체(100) 내부에 제2 부력 몸체(200)가 수용되는 형태로, 제1 결합홈(130) 내부에 제2 결합홈(230)이 수용되면 포개진 후의 크기 및 높이를 최적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보강 부재(300)는 제1 부력 몸체(100) 및 제2 부력 몸체(200) 사이에 개재되며 보강 부재(300)는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들의 결합력을 향상시킨다. 또한 보강 부재(300)는 보강 몸체(310), 제1 결합부(320) 및 제2 결합부(330)를 포함한다.
보강 몸체(310)는, 예를 들어,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필요에 따라 보강 몸체(310)의 내부에 관통홀(302) 및 확장홀(304)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302)은 보강 몸체(310)의 상단 및 하단을 관통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확장홀(304)은 관통홀(302)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보강 몸체(310)의 상단을 향할수록 관통홀(304)의 직경을 확장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관통홀(302)은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확장홀(304)은 관통홀(302)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직경이 연속적으로 확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결합부(320)는 보강 부재(300)의 외측면으로부터 플레이트 형상으로 돌출되고, 제2 결합부(330)는 보강 부재(300)의 외측면으로부터 플레이트 형상으로 돌출되며, 제1 및 제2 결합부(320,330)들은 보강 몸체(310)의 중심으로부터 대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보강 몸체(310)는 금속으로 제작되거나 합성 수지로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보강 몸체(310)는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들 사이에 개재되며 보강 몸체(310)가 개재되더라도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들은 상호 밀착된다.
보강 몸체(310)의 제1 결합부(320)는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결합홈(13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보강 몸체(310)의 제2 결합부(330)는 제2 부력 몸체(200)의 제2 결합홈(230)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부(320) 및 제1 부력 몸체(100)가 임의로 분리 및 제2 결합부(330) 및 제2 부력 몸체(200)가 임의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1 결합부(320)와 제1 부력 몸체(100)를 관통하는 제1 결합 부재(340) 및 제2 결합부(330) 와 제2 부력 몸체(200)를 관통하는 제2 결합 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센터 보드(350)는 보강 몸체(310)에 결합될 수 있다. 센터 보드(350)는 보강 부재(300)의 관통홀(302)을 통과하는 센터 보드부(352) 및 센터 보드부(352)의 상단에 배치되며 확장홀(304)에 결합되는 헤드부(354)를 포함하며, 헤드부(354)는 확장홀(304)에 결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일실시예에서, 제1 부력 몸체(100) 및 제2 부력 몸체(200)는 본 발명에 따른 제 1 실시예와 후술될 제3 실시예, 제4 실시예에 적용된 방법으로 상호 결합 또는 분리 또는 회동될 수 있다.
[실시예 3]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제3 부력 몸체와 보조 부력체를 제1 부력몸체에 수용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부력 몸체가 제1 부력 몸체에 완전히 포개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를 위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9는 노 장착 장치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트렁크형 보트(800)는 제1 부력 몸체(100), 제2 부력 몸체(200) 및 회동 부재(540)를 포함한다. 이에 더하여, 트렁크형 보트(800)는 제1 부력 몸체(100) 또는 제2 부력 몸체(200), 또는 제1 부력 몸체(100) 및 제2 부력 몸체(200)가 회동되는 곳에 결합되는 센터보드(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부력 몸체(100)는 바닥판(110), 바닥판(110)의 대향하는 양쪽 에지들을 따라 돌출된 제1 측벽(125)들 및 제1 측벽(125)들을 연결하는 제1 후벽(127)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110), 제1 측벽(125) 및 제1 후벽(127)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110), 제1 측벽(125) 및 제1 후벽(127)에 의하여 제1 부력 몸체(100)의 내부에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101)이 형성된다.
상기 제1 부력 몸체(100)의 내부 공간(101)으로는 후술된 제2 부력 몸체(200)가 회동 또는 분리되어 수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후벽(127)의 높이는 제1 측벽(125)의 높이보다 같거나 낮을 수 있다. 바람직한 높이는 약 절반 정도일 수 있다. 이는 후술될 제2 부력 몸체(200)가 회동 되어 제1 부력 몸체(100)의 내부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한 쌍의 제1 측벽(125)의 각 단부는 제1 후벽(127)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측벽(125)의 단부는 뒤쪽으로 제1 후벽(127)을 지나도록 일부 돌출되어 제1 부력 몸체(100)와 후술될 제2 부력 몸체(200)의 결합을 위한 결합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벽(125)만 돌출되면 제1 부력 몸체(100) 내부에 수용되는 후술될 제2 부력 몸체(200)와의 회동에 장애를 주지 않는다.
제1 후벽(127)으로부터 돌출된 제1 측벽(125)의 각 단부에는 관통홀(128)이 형성되며, 관통홀(128)은 후술될 제2 부력 몸체(200)가 제1 부력 몸체(100)와 펼쳐져 결합되는 경우에는 결합장치로 활용될 수 있다.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가 포개졌을 때에는 관통홀(128)에 바퀴가 설치되어 트렁크형 보트(800)를 용이하게 운송할 수 있도록 한다.
제2 부력 몸체(200)는 바닥판(210), 바닥판(210)의 대향하는 양쪽 에지들을 따라 돌출된 제2 측벽(225)들 및 제2 측벽(225)들을 연결하는 제2 후벽(227)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210), 제2 측벽(225) 및 제2 후벽(227)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210), 제2 측벽(225) 및 제2 후벽(227)에 의하여 제2 부력 몸체(200)의 내부에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201)이 형성된다.
상기 제2 부력 몸체(200)는 상기 제1 부력 몸체(100)의 내부 공간에 회동 부재(540)를 통하여 수납이 가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2 후벽(227)의 높이는 제2 측벽(225)의 높이 보다 같거나 낮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절반 정도일 수 있으며, 이는 제2 부력 몸체(200)가 회동되어 제1 부력 몸체(100)의 내부에 수납되는 경우 용이하게 수납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2 부력 몸체(200)의 제2 측벽(225)들에서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측벽(125)에 형성된 관통홀(128)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관통홀이 형성되거나 결합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부력 몸체(200)가 제1 부력 몸체(200)의 내부로 포개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2 측벽(225)에 형성된 관통홀 또는 결합장치와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측벽(125)에 형성된 관통홀(128)은 상호 정렬되며, 제1 부력 몸체(100)에 형성된 관통홀(128)은 제2 부력 몸체(200)에 형성된 관통홀 또는 결합장치와 나사, 봉, 핀 등 다양한 결합 수단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가 상호 결합됨에 따라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가 후술될 회동 부재(540)에 의하여 임의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회동 부재(540)는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후벽(127)의 상면 및 제2 부력 몸체(200)의 제2 후벽(227)의 상면을 각각 연결하여 제2 부력 몸체(100)가 회동 되어 제1 부력 몸체(100)의 내부에 수납되도록 하며, 회동 부재(540)는, 예를 들어, 제1 후벽(127)의 상면 및 제2 후벽(227)의 상면을 연결하는 경첩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가 회동되는 곳 또는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 내부에 센터보드(350)가 장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를 운행 중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세일(610)을 지지하는 마스트(620)가 장착될 수 있는 홀(400)과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마스트(620)는 마스트 장착 홀(400)을 통하여 제1 부력 몸체(100) 앞부분에 자리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부력 몸체와 제2 부력 몸체에 추가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도 1 및 2에 도시된 상기 제3 부력 몸체(500) 또는 제4 부력 몸체(550)가 결합 또는 수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8에서는 제3 부력 몸체(500)가 제1 부력 몸체(100)에 추가로 결합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4 부력 몸체(550)는 제2 부력 몸체(200)에 추가로 결합 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5 내지 8도에서 도시되었듯이 제3 부력 몸체(500)가 제1 부력 몸체(100)의 전벽(129)과 결합 될 수 있다. 그림으로 표시되지는 않았지만, 일 실시예로 제4 부력 몸체(550)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4 부력 몸체(550)는 제2 부력 몸체(200)의 전벽(229)과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의 길이를 보강시켜 부력을 추가할 수 있어 안정적인 수상 운행을 가능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의 제1 부력 몸체(100) 또는 제2 부력 몸체(200)와 제1 실시예의 도1 및 2에 도시된 제3 부력 몸체(500) 또는 제4 부력 몸체(550)의 결합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의 결합방식과 동일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에서는 추가로 보조 부력체(630)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의 부력을 확대시킬 수 있다. 이때 보조 부력체(630)는 고무 튜브,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 등 발포성형체로 구성 될 수 있다.
도 5와 도 8에서는 보조 부력체(63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도 6에서는 보조 부력체(630)가 제3 부력 몸체(500) 내부에 수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보조 부력체(630)는 두개로 구성되어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가 수상 운행시 측면에 장착 될 수 있고, 이동시에는 제3 부력 몸체(50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그림으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의 상기 제4 부력 몸체(500)가 제2 부력 몸체(200)에 결합되었을 경우에도 보조 부력체(630)는 제4 부력 몸체(55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보조 부력체(630)는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측벽(125)에 형성된 관통홀(128)과, 관통홀(128)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부력 몸체(200)의 측벽 관통홀 또는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9에서는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측벽(125)에 형성된 관통홀(128) 또는 관통홀(128)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부력 몸체의 측벽 관통홀에는 노 고정장치(640)가 추가로 결합될 수 있다. 노(650)는 수동으로 추력을 발생하는 장치로, 노 고정장치(64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가 수상 운행 중에 필요하다. 따라서 노 고장장치(640)는 보조 부력체(630)와 동시에 장착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에 별도로 상기 보조 부력체(630)와 노 고정장치(640) 결합을 위한 관통홀 또는 결합장치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로, 제3 부력 몸체(500) 또는 제4 부력 몸체(550)의 내부에 부력 몸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추가로 포함되는 부력 몸체 내부에 수납이 가능한 부피의 보조부력체(630) 또한 복수개 추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1 부력 몸체(100)에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결합홈(130)과, 제2 부력 몸체(200)에 상기 제1 결합홈(130)과 마주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2 결합홈(2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 몸체(310), 상기 보강 몸체(3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결합홈(130)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320), 상기 보강 몸체(3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결합홈(230)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330)를 포함하는 보강 부재(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몸체(310)는 상기 보강 몸체(31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02) 및 상기 관통홀(302)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확장되는 확장홀(30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부(3200 및 상기 제1 부력 몸체(100)를 관통하는 제1 결합 부재(340) 및 상기 제2 결합부(330) 및 상기 제2 부력 몸체(200)를 관통하는 제2 결합 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 단위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 코팅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위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 코팅제와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 4]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트렁크형 보트(800)는 제1 부력 몸체(100), 제2 부력 몸체(200) 및 고정 장치(700)를 포함한다.
제1 부력 몸체(100)는 바닥판(110), 바닥판(110)의 에지들을 따라 돌출된 제1 측벽(120)들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110) 및 제1 측벽(120)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110) 및 제1 측벽(120)에 의하여 제1 부력 몸체(100)의 내부에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10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측벽(120)의 앞쪽 및 뒤쪽에는 하나 또는 복수로 구성되는 제3 관통홀(126,127)이 제1 측벽(120)의 높이 방향으로 형성된다.
제2 부력 몸체(200)는 바닥판(210), 바닥판(210)의 에지들을 따라 돌출된 제2 측벽(220)들을 포함하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바닥판(210) 및 제2 측벽(220)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바닥판(210) 및 제2 측벽(220)에 의하여 제2 부력 몸체(200)의 내부에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201)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시예에서 제2 부력 몸체(200)는 상기 제1 부력 몸체(100)에 수납이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즉, 제2 부력 몸체(200)는 상기 제1 부력 몸체(100)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다.
제2 부력 몸체(200)의 제2 측벽(220)들 중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측벽(120)에 형성된 제3 관통홀(126,127)과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4 관통홀(226,227)이 형성된다. 제4 관통홀(226,227)은 제2 측벽(220)의 높이 방향으로 하나 또는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장치(700)는 제1 부력 몸체(100)의 제3 관통홀(126,127)과 대응되는 제2 부력 몸체(200)의 제4 관통홀(226,227)과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3 관통홀의 뒤쪽 관통홀(126) 중 하나는 제4 관통홀 뒤쪽 관통홀(226) 중 하나와 선별적으로 고정되고, 제3 관통홀의 앞쪽 관통홀(127) 중 하나는 제4 관통홀 앞쪽 관통홀(227) 중 하나와 선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가 포개진 채 결합될 수 있고, 제3 관통홀(126,127)과 제4 관통홀(226,227)의 고정 장치 조정을 통하여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 내부 공간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의 내부 공간에는 레저용품 등 다양한 물건을 적재할 수 있고, 적재되는 물건의 양에 따라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제1 부력 몸체(100)의 제3 관통홀(126,127)과 제2 부력 몸체(200)의 제4 관통홀(226,227)을 고정하는 고정 장치는 나사, 봉 또는 핀, 끈 등 다양한 고정 수단이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의 앞쪽 또는 뒤쪽에는 제3 관통홀(126,127)과 제4 관통홀(226,227)을 활용하여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의 회동축을 형성할 수 있다.
회동축은 제1 부력 몸체(100)의 제3 관통홀(126,127) 중 1개의 관통홀과 대응되는 제2 부력 몸체의 제4 관통홀(226,227) 중 1개의 관통홀이 활용될 수 있다. 즉, 회동이 가능한 고정장치에 의해 제1 부력 몸체의 앞쪽 관통홀(127)만이 제2 부력 몸체(200)의 앞쪽 관통홀(227)에 고정되면 앞쪽 회동 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뒤쪽 관통홀의 고정 장치는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력 몸체의 뒤쪽 관통홀(126)과 제2 부력 몸체(200)의 뒤쪽 관통홀(226)만이 회동이 가능한 고정장치에 의해 고정되면 뒤쪽 회동 축으로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앞쪽 관통홀의 고정장치는 해제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를 해수 또는 담수에 띄우기 위해서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들을 상호 동일 방향으로 펼친 후 결합 장치(720)로 결합시킬 수 있다. 결합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력 몸체(100)와 상기 제2 부력 몸체(200)의 결합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부력 몸체(100)의 한 쌍의 제1 측벽(120)의 각 단부가 제1 후벽(121)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의 기능과 구성방법, 활용성은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으로 대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에서, 단위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 코팅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위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 코팅제와 동일할 수 있다.
한편, 그림으로 구체화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가 결합되는 위치 또는 제1 부력 몸체(100) 또는 제2 부력 몸체(200)의 내부에 센터 보드(350)가 장착될 수 있고,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를 운행 중 고정시킬 수 있는 앵커를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될 수 있으며, 세일(610)을 지지하는 마스트(620)가 장착될 수 있는 홀(400)과 수단이 마련될 수 있다. 이때 마스트(620)는 마스트 장착 홀(400)을 통하여 제1 부력 몸체(100) 앞부분에 자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측벽(125)에 형성된 관통홀(128) 또는 관통홀(128)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부력 몸체의 측벽 관통홀을 이용하여 노 고정장치(640)가 결합될 수 있다. 노(650)는 수동으로 추력을 발생하는 장치로, 노 고정장치(64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가 수상 운행중에 필요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에 별도로 노 고정장치(640) 장착을 위한 관통홀 또는 결합장치를 추가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추가로, 제2 부력 몸체(200) 내부에 다수개의 부력 몸체 또는 보조 부력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추가로 포함되는 보조 부력체는 부력 몸체 내부에 포함되는 부력 몸체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보조 부력체는 본 발명에 따른 제 3실시예에서 설명한 것과 같을 수 있다. 즉, 보조 부력체(630)는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의 측면에 결합되어 부력을 보강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소재로는 폴리스티렌, 폴리우레탄 등 발포성형체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보조 부력체(630)는 제1 부력 몸체(100)의 제1 측벽(125)에 형성된 관통홀(128)과, 관통홀(128)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2 부력 몸체의 측벽 관통홀 또는 결합장치를 이용하여 장착될 수 있다. 이는 보조 부력체(630) 결합을 위해 별도의 관통홀 또는 결합장치를 추가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1 부력 몸체(100)에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결합홈(130)과, 제2 부력 몸체(200)에 상기 제1 결합홈(130)과 마주하여 오목하게 형성된 제2 결합홈(230)이 추가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제2 실시예에서 설명된 제1 및 제2 부력 몸체(100,200)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 몸체(310), 상기 보강 몸체(3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결합홈(130)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320), 상기 보강 몸체(310)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결합홈(230)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330)를 포함하는 보강 부재(300)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몸체(310)는 상기 보강 몸체(310)의 상면 및 하면을 관통하는 관통홀(302) 및 상기 관통홀(302)의 중간부분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확장되는 확장홀(30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부(3200 및 상기 제1 부력 몸체(100)를 관통하는 제1 결합 부재(340) 및 상기 제2 결합부(330) 및 상기 제2 부력 몸체(200)를 관통하는 제2 결합 부재(3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단위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 및 구조 및 코팅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위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와 구조와 코팅제와 동일할 수 있다.
[실시예 5]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 11도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제1 부력몸체와 제2 부력 몸체가 평행으로 구성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평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트렁크형 보트(800)는 제1 부력 몸체(100), 제2 부력 몸체(200) 및 연결 수단(750,760)을 포함한다. 이때 제2 부력 몸체(200)는 제1 부력 몸체(100) 내부 공간(110)에 수용되는 크기와 형태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가 운송이 용이한 상태로 포개졌을 때 제2 부력 몸체(200)는 제1 부력 몸체(100) 내부에 완전히 수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에서는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가 일정한 거리를 두고 연결 수단(750,76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수단(750,760)은 끈, 쇠사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력 몸체와 제2 부력 몸체의 사이에는 추력 장치 또는 러더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추력 장치 또는 러더는 제1 부력 몸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연결 수단을 이용하여 제1 부력 몸체(100)가 제2 부력 몸체(200)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제2 부력 몸체(200)를 견인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연결 수단(750,760)은 최소 2개 이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부력 몸체(100)의 후단 및 제2 부력 몸체(200)의 전단에 상기 연결 수단(750,760)을 연결할 수 있는 홀 등이 마련되고, 이 또한 2개 이상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부력 몸체(100)의 측면 및 제2 부력 몸체(200)의 측면에도 상기 연결 수단(750)을 연결할 수 있는 홀 또는 연결 구조(770)가 마련된다. 이는 제1 부력 몸체(100)의 후단 및 제2 부력 몸체(200)의 전단에 연결되었던 연결 수단(750,760)의 한쪽을 해제한 후 해제한 반대쪽으로 제1 부력 몸체(100) 또는 제2 부력 몸체(200)를 회전시켜 제1 부력 몸체(100)의 일측면에 제2 부력 몸체(200)의 일측면을 결합시키기 위함이다. 이때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는 평행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의 분리 운행이 가능하여 본 발명에 따른 트렁크형 보트(800)의 수상운행시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추력장치(780)가 중간에 위치하여 운행의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때 제1 부력 몸체(100)에는 사람이 승선하고, 제2 부력 몸체(200)에는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데,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의 연결 수단(750,760)의 일측을 제거 한 후 제2 부력 몸체(200)를 연결 수단이 남아 있는 측으로 회전시켜 제1 부력 몸체(100)와 결합시키면 수상에서 화물의 수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에서, 단위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 및 구조 및 코팅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단위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소재와 구조와 코팅제와 동일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1 부력 몸체(100) 내부에는 센터 보드(350) 또는 대거보드가 포함되거나, 세일용 마스트 장착홀(400)이 마련되거나, 정박을 위한 앵커 수납공간이 마련되거나, 추력장치가 장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트렁크형 보트는 부력을 발생시키는 제1 부력 공간(101)이 형성된 제1 부력 몸체(100), 부력을 발생시키는 제2 부력 공간이 형성되고 제1 부력 몸체에 포개지는 제2 부력 몸체(200)를 포함하고, 포개어진 상태가 해제된 후 제1 부력 몸체와 제2 부력 몸체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각각 수면에 배치됨으로써 완성된 보트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트렁크형 보트는 보트로 사용시에 제1 부력 몸체와 제2 부력 몸체가 각각 수면에 배치되고, 지상에서의 운송시에 제2 부력 몸체가 제1 부력 몸체에 포개어질 수 있다.
제2 부력 몸체는 제2 부력 공간이 제1 부력 공간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제1 부력 몸체에 포개질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1 부력 공간 또는 제2 부력 공간을 각종 짐을 수용할 수 있는 트렁크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제1 부력 몸체와 제2 부력 몸체는 서로 동일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서로 포개어진 상태에서의 전체 부피를 줄일 필요가 있는 경우 제2 부력 몸체의 적어도 일부를 제1 부력 공간에 수용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2 부력 몸체가 제1 부력 공간에 삽입되는 형태가 되므로 전체 부피를 신뢰성 있게 줄일 수 있다.
제1 부력 공간(101)은 제1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제1 바닥판(110), 제1 바닥판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1 측면판(1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 부력 공간(201)은 제2 부력 몸체(200)를 구성하는 제2 바닥판(210), 제2 바닥판(210)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2 측면판(22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측면판(120) 및 제2 측면판(220)에는 제2 부력 몸체(200)가 제1 부력 몸체(100)에 포개질 때 제1 바닥판(110)과 제2 바닥판(210)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 조절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트렁크 공간을 사용자가 원하는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거리 조절부는 각 바닥판(110, 210)으로부터 각 측면판(120, 220)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각 측면판(120, 220)에 형성된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홀(126, 127, 226, 227), 제1 측면판(120)의 관통홀(126, 127)과 제2 측면판(220)의 관통홀(226, 227)을 연결하는 고정 수단(7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가 수면 위에서 요트를 형성할 경우 고정 수단(700)은 관통홀(126, 127, 226, 227)로부터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관통홀(126, 127, 226, 227)에 노를 고정하는 노 고정 수단(640)을 설치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관통홀(126, 127, 226, 227)에 대해 고정 수단(700)과 노 고정 수단(640)을 착탈식으로 마련함으로써 거리 조절부를 구성하는 관통홀(126, 127, 226, 227)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측면판(120)은 제1 부력 공간(101)을 벗어나 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판(도 10의 제1 측면판 중 뒤 부분으로 돌출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확장판에 제2 부력 몸체(200)와 연결되는 연결 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부력 몸체(200)는 확장판에 연결될 수 있다.
또는 확장판에 이동용 바퀴가 장착될 수 있다. 확장판에 형성된 이동용 바퀴에 의하면 각 부력 몸체가 포개어진 상태에서 용이한 운송이 가능하다.
또는 확장판에 노 고정 수단(640)이 설치될 수 있다.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가 수면에서 완성된 요트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서로 연결되어야 한다. 이때 각 부력 몸체(100, 200)의 연결에 연결 부재가 이용될 수 있다.
이때의 연결 부재는 도 1의 결합 장치(530, 380)와 같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연결 부재는 도 3에 도시된 결합홈(130, 230), 결합홈(130, 230)에 끼워지는 보강 몸체(310), 결합홈(130, 230)과 보강 몸체(310)를 연결하는 결합 부재(340, 36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부재는 도 12의 연결 수단(750, 760)일 수 있다.
연결 부재가 도 3과 같이 구성되는 예는 다음과 같다.
제1 부력 몸체(100)가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결합홈(130)을 포함하고, 제2 부력 몸체(200)가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고 제1 결합홈(130)과 마주하는 제2 결합홈(230)을 포함할 때, 연결 부재는 제1 결합홈(130)과 제2 결합홈(230)에 삽입되고 제1 결합홈(130)과 제2 결합홈(23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연결 부재는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면에 배치되도록 하는 와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의 사이에 추력 장치 또는 러더가 형성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제1 부력 몸체(1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2 부력 몸체(200)는 요트의 진행 방향 상으로 제1 부력 몸체(100)의 일측에 착탈될 수 있다.
한편,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가 수상에서 보트로 기능할 때, 앞에서 개시된 각종 관통홀을 통해 물이 각 부력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 관통홀을 막는 마개 등을 부가할 수 있다. 이때, 마개는 제1 부력 몸체(100)와 제2 부력 몸체(200)를 연결하는 고정 수단 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에 의하면, 적어도 2개의 부력 몸체를 상호 폴딩 가능하도록 하여 자동차에 수납될 수 있도록 하여 이동성을 향상시키고 조립 또는 접어짐에 따라 형성된 내부 공간에 물건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800...트렁크형 보트 100...제1 부력 몸체
200...제2 부력 몸체 300...보강 부재
350...센터 보드

Claims (20)

  1.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결합홈이 형성된 제1 부력 몸체;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결합홈과 마주하는 오목한 제2 결합홈이 형성된 제2 부력 몸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력 몸체와 제2 부력 몸체는 결합장치에 의해 상호 펼쳐지거나 포개지도록 구성된 트렁크형 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몸체 또는 상기 제2 부력 몸체는, 내부에 수납 가능한 부피를 갖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력 몸체 또는 보조 부력체를 더 포함하는 트렁크형 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부력 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 몸체,
    상기 보강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1 결합부,
    상기 보강 몸체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2 결합홈에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포함하는 보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력 몸체 및 상기 제2 부력 몸체는 대칭으로 구성되는 트렁크형 보트.
  4.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제1 후벽의 높이가 상기 제1 후벽과 연결된 제1 측벽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형성된 제1 부력 몸체;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부력 몸체의 내부 공간에 포개어지는 사이즈를 갖는, 상기 제1 부력몸체의 제1 후벽과 마주하는 제2 후벽의 높이가 상기 제2 후벽과 연결된 제2 측벽의 높이와 같거나 낮게 형성된 제2 부력 몸체;
    를 포함하는 트렁크형 보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몸체의 제1 후벽; 및
    상기 제2 부력 몸체의 제2 후벽은,
    상호 결합되어 상기 제1 부력 몸체 및 제2 부력 몸체를 회동시킬 수 있는 회동부재를 포함하는 트렁크형 보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력 몸체는, 상기 제2 부력 몸체 내부 공간에 수납 가능한 사이즈로 부력을 발생시키는 공간이 형성된 하나 이상의 부력 몸체 또는 보조 부력체를 더 포함하는 트렁크형 보트.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력 몸체는 상기 제2 부력 몸체 내부에 수용되는 크기의 부력을 발생시키는 보조 부력체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부력체는 제2 부력 몸체 내부에 수납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는 트렁크형 보트.
  8. 부력을 발생시키는 제1 부력 공간이 형성된 제1 부력 몸체; 및
    부력을 발생시키는 제2 부력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부력 몸체에 포개지는 제2 부력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포개어진 상태가 해제된 후 상기 제1 부력 몸체와 상기 제2 부력 몸체가 서로 연결된 상태로 각각 수면에 배치됨으로써 완성된 보트가 형성되는 트렁크형 보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력 몸체는 상기 제2 부력 공간이 상기 제1 부력 공간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부력 몸체에 포개지는 트렁크형 보트.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력 몸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력 공간에 수용되는 트렁크형 보트.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공간은 상기 제1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제1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1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력 공간은 상기 제2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제2 바닥판, 상기 제2 바닥판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2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판 및 상기 제2 측면판에는 상기 제2 부력 몸체가 상기 제1 부력 몸체에 포개질 때 상기 제1 바닥판과 상기 제2 바닥판의 거리를 조정하는 거리 조절부가 형성되는 트렁크형 보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조절부는 상기 각 측면판의 돌출 방향으로 상기 각 측면판에 형성된 하나 이상 형성된 관통홀, 상기 제1 측면판의 관통홀과 상기 제2 측면판의 관통홀을 연결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의 해제 후 상기 제1 부력 몸체와 상기 제2 부력 몸체가 상기 보트를 형성할 때 상기 관통홀에 설치되는 노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트렁크형 보트.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공간은 상기 제1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제1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1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력 공간은 상기 제2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제2 바닥판, 상기 제2 바닥판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2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판은 상기 제1 부력 공간을 벗어나 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판을 포함하는 트렁크형 보트.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공간은 상기 제1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제1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1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력 공간은 상기 제2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제2 바닥판, 상기 제2 바닥판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2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판은 상기 제1 부력 공간을 벗어나 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판에는 이동용 바퀴가 장착되는 트렁크형 보트.
  15.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공간은 상기 제1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제1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1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력 공간은 상기 제2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제2 바닥판, 상기 제2 바닥판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2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판은 상기 제1 부력 공간을 벗어나 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력 몸체는 상기 확장판에 연결되는 트렁크형 보트.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공간은 상기 제1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제1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1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제2 부력 공간은 상기 제2 부력 몸체를 구성하는 제2 바닥판, 상기 제2 바닥판의 에지를 따라 돌출된 제2 측면판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제1 측면판은 상기 제1 부력 공간을 벗어나 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확장판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판에는 노 고정 수단이 설치되는 트렁크형 보트.
  1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몸체는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된 제1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부력 몸체는 일측면으로부터 오목하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결합홈과 마주하는 제2 결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홈에 삽입되고 상기 제1 결합홈과 상기 제2 결합홈을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는 트렁크형 보트.
  18.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몸체 및 상기 제2 부력 몸체를 연결시키는 연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부재는 상기 제1 부력 몸체와 상기 제2 부력 몸체가 서로 이격된 상태로 수면에 배치되도록 하는 트렁크형 보트.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력 몸체와 상기 제2 부력 몸체의 사이에 추력 장치 또는 러더가 형성되는 트렁크형 보트.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부력 몸체는 보트의 진행 방향 상으로 제1 부력 몸체의 일측에 착탈되는 트렁크형 보트.
KR1020120134069A 2012-11-23 2012-11-23 트렁크형 보트 KR2014006661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069A KR20140066619A (ko) 2012-11-23 2012-11-23 트렁크형 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4069A KR20140066619A (ko) 2012-11-23 2012-11-23 트렁크형 보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6619A true KR20140066619A (ko) 2014-06-02

Family

ID=511232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4069A KR20140066619A (ko) 2012-11-23 2012-11-23 트렁크형 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6661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3838A (zh) * 2017-12-26 2018-04-20 南京工程学院 一种可集群型水上运输平台
KR20190134381A (ko) * 2018-05-25 2019-12-04 김병주 낚시보트
KR102147654B1 (ko) * 2020-01-30 2020-08-25 우창진 침몰방지 구조를 가진 선박 및 선박용 선체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3838A (zh) * 2017-12-26 2018-04-20 南京工程学院 一种可集群型水上运输平台
CN107933838B (zh) * 2017-12-26 2024-03-29 南京工程学院 一种可集群型水上运输平台
KR20190134381A (ko) * 2018-05-25 2019-12-04 김병주 낚시보트
KR102147654B1 (ko) * 2020-01-30 2020-08-25 우창진 침몰방지 구조를 가진 선박 및 선박용 선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9535B2 (en) Collapsible kayak with large cockpit
US7249568B1 (en) Boat camper
KR20140066619A (ko) 트렁크형 보트
EP3160835B1 (en) Semi-rigid inflatable watercraft
US5313908A (en) Car topable catamaran with collapsible frame and universal tiller/rudder-mast daggerboard mounting constructions
US5203276A (en) Suitcase boat
CN200974607Y (zh) 手动休闲船
US5257594A (en) Suitcase boat
EP0384363A1 (en) Small sailing ship
US5904111A (en) Trimarans with removable beams configurations and steering wheel assemblies
US20090090290A1 (en) Kayak-stability system
US20060096518A1 (en) Service and survival dinghy
US5617805A (en) Trimaran
US20030056705A1 (en) Personal watercraft
EP1403179A1 (en) Catamaran
KR101740232B1 (ko) 휴대용 조립식 보트
WO2023112208A1 (ja) 折り畳み式ボート
US10633064B1 (en) Folding, hard sided boat
US20110265700A1 (en) Craft rapidly convertible from a catamaran craft into a single-hull craft
CN218751281U (zh) 一种水上工具
US7013819B2 (en) Marine catamaran platform
GB2368048A (en) A foldable boat and vehicle roof top carrier
CA3014172A1 (en) Portable modular boat
KR200305892Y1 (ko) 1인승안전선박구조
JP3029575U (ja) 車載レジャーボ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