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992B1 - 액션 피규어 - Google Patents

액션 피규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992B1
KR102080992B1 KR1020180077017A KR20180077017A KR102080992B1 KR 102080992 B1 KR102080992 B1 KR 102080992B1 KR 1020180077017 A KR1020180077017 A KR 1020180077017A KR 20180077017 A KR20180077017 A KR 20180077017A KR 102080992 B1 KR102080992 B1 KR 102080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ortion
joint
action
unlocked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050A (ko
Inventor
최종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초이락컨텐츠팩토리
Priority to KR1020180077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992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36Details; Accessories
    • A63H3/46Connections fo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9/00Drive mechanisms for toys in general
    • A63H29/24Details or accessories for drive mechanisms, e.g. means for winding-up or starting toy engin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04Dolls with deformable framewor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Dolls
    • A63H3/16Dolls made of parts that can be put toge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200/00Computerized interactive toys, e.g. dolls

Landscapes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규어의 위치이동시 자중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피규어의 자세가 자동으로 변신하는 액션 피규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분리하여 배치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일부와 각각 치합하면, 잠금부를 통해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일정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잠금부가 잠금 해제되면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가 서로 분리 및 이격되도록 동작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가 분리되면,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는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이동 또는 회동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피규어의 위치이동시 자중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피규어의 자세가 자동으로 변신하여 생동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션 피규어{ACTION FIGURE}
본 발명은 액션 피규어에 관한 발명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피큐어의 위치이동시 자중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피큐어의 자세가 자동으로 변신하는 액션 피규어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TV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이용한 다양한 완구가 공급되고 있으며, 이러한 캐릭터를 이용하여 유아 또는 어린이들이 갖고 놀 수 있는 완구(예를 들면 인형) 중에서 완구의 자세를 변형시켜 놀 수 있는 다양한 완구들이 있다.
완구의 자세를 변형시키는 방법으로는 대부분 수동 조작을 통한 완구의 자세 변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인체구조 또는 동물의 구조와 유사한 움직임 및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관절구조가 적용된다.
관절구조가 적용된 완구는 완구의 관절구조를 둥글게 만들어 관절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사람 또는 동물의 움직임과 유사하고 정교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자연스러운 동작을 연출할 수 있다.
완구의 일예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8967호(고안의 명칭: 인형의 관절장치)에는 인형의 각 관절부를 인체구조처럼 전/후/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한 인형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완구의 다른 실시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86491호(발명의 명칭: 완구용 마찰 조인트)에는 인형의 각 관절부위에 마찰 조인트가 구비된 완구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완구는 자세를 취하기 위해 수동으로 완구를 조작해야만 하고, 애니메이션이나 영화에 등장하는 캐릭터를 이용한 완구의 경우, 시그니처 동작이나 자세를 자동으로 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8967호(고안의 명칭: 인형의 관절장치) 문헌 2.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05-0086491호(발명의 명칭: 완구용 마찰 조인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큐어의 위치이동시 자중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피큐어의 자세가 자동으로 변신하는 액션 피규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 몸체부; 상기 제1 몸체부와 분리하여 배치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의 일부와 각각 치합하면, 잠금부를 통해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가 일정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잠금부가 잠금 해제되면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가 서로 분리 및 이격되도록 동작하는 조인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는 제1 몸체부와 결합하는 제1 조인트부; 상기 제1 조인트부와 대향하여 설치되고, 제2 몸체부와 결합하는 제2 조인트부; 상기 제1 조인트부가 제2 조인트부상에서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 및 상기 제1 조인트부와 제2 조인트부가 밀착된 잠금 상태 또는 분리된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동작하는 잠금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인트부가 분리되면,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는 조인트부를 중심으로 이동 또는 회동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몸체부는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몸체부는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몸체부는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몸체부는 상기 구성요소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인트부와 치합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성요소의 위치가 변위하면 회전하여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를 통해 상기 구성요소의 일부가 상기 관절부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견인력을 제공하는 와이어 견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몸체부는 일측에 동작에 따른 효과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일정 형상으로 구성한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부는 가압력이 입력되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가압력이 입력되면 잠금 해제되는 푸시락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잠금부는 제1 몸체부의 자중에 의한 가압력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몸체부 및 제2 몸체부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고, 자중에 의한 가압력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되는 보조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피규어의 위치이동시 자중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피뷰어의 자세가 자동으로 변신하여 생동감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피규어가 취하는 자세를 자동 변형함으로써, 다양한 시그니처 모습과 동작을 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를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조인트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보조 스위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제2 자세로 변신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그 둘의 결합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를 나타낸 배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일부 구성을 확대하여 나타낸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다른 확대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조인트부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보조 스위치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제2 자세로 변신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는 피큐어의 위치이동시 자중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피큐어의 자세가 자동으로 변신할 수 있도록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와,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와 각각 연결되어 지지하는 조인트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인트부(300)가 분리되면, 상기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는 상기 조인트부(300)를 중심으로 이동 또는 회동 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여 피규어의 자세가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자동 변신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사람 형상의 피규어를 실시예로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동물 형상, 로봇 형상,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캐릭터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의 피규어로 변경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00)는 일부가 조인트부(300)와 이동 또는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몸통부(110)와, 머리부(120)와, 팔부(130)를 포함한 다수의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머리부(120)와 팔부(130)는 상기 몸통부(110)와 회전에 의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몸통부(110)는 일측이 조인트부(300)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조인트부(300)상에서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인트부(300)의 일부와 치합하는 몸통부 프레임(110a)을 구비한다.
상기 머리부(120)는 몸통부(110)의 일측에 머리 관절부(121)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100)가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머리부(120)가 머리 관절부(121)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위치가 변위될 수 있도록 스프링(미도시)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팔부(130)는 몸통부(110)의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팔부(130)가 상기 몸통부(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구부릴 수 있도록 복수의 팔 관절부(131)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팔부(130)는 상기 제1 몸체부(100)가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팔부(130)가 팔 관절부(131)를 중심으로 회동하거나 또는 구부러져 위치가 변위될 수 있도록 스프링(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팔부(130)는 힌지부(132)와 팔 연결부(133)를 통해 후술되는 보조 스위치(400)와 연결되고, 상기 보조 스위치(400)의 동작에 따라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가 되어 위치가 변위될 수 있다.
상기 제2 몸체부(200)는 제1 몸체부(100)와 분리하여 배치되고, 일부가 상기 조인트부(300)와 회동 또는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리부(210)를 포함한 구성요소는 상기 조인트부(300)와 회전에 의한 위치가 변경될 수 있도록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다리부(2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 관절부(211)를 통해 구부러지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 몸체부(200)가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다리부(210)가 다리 관절부(211)를 중심으로 회동하거나 또는 구부러져 위치가 변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210)는 상기 제2 몸체부(200)가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다리부(210)가 다리 관절부(210)를 중심으로 회동하거나 또는 구부러져 위치가 변위될 수 있도록 스프링(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부(210)는 다른 실시예로 일측이 와이어(230)와 연결되고, 타측은 조인트부(300)부와 치합하도록 돌기부(미도시)를 형성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하는 와이어 견인부(212)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 견인부(212)는 다리부(210)의 상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어 상기 조인트부(300)와 치합됨으로써, 상기 다리부(210)가 일정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고, 상기 제2 몸체부(200)가 조인트부(300)와 분리되어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와이어 견인부(212)도 잠금 해제되어 일정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다리부(210)를 잠금 해제시키며, 이때, 스프링(22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다리부(210)는 회동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견인부(212)는 상기 다리부(210)와 함께 회동하여 와이어(230)를 견인함으로써, 상기 다리부(210)의 일부가 상기 다리부(210)의 회동과 연동하여 다리 관절부(211)를 중심으로 회동하거나 또는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와이어(230)는 일측은 와이어 견인부(212)와 연결되고 타측은 다리부(210)의 말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견인부(212)의 회동에 따른 견인력이 제공되면, 상기 다리부(210)의 말단이 다리 관절부(211)를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도록 견인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210)는 말단부, 즉 발바닥 또는 발의 양측에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가 분리되는 동작에 따른 피규어의 자세 변경 동작시 불꽃 등의 효과가 형상을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일정 형상의 디스플레이부(240)가 설치될 수 있다.
즉 바닥에 직립된 모습 또는 변신 후 바닥에 착지한 모습을 나타내면서, 더욱 생동감 있는 모습을 형상화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240)는 바닥(또는 지면)과 닿는 면적을 증가시켜, 피규어가 직립된 자세 또는 변신 후 착지된 자세를 올바르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조인트부(300)는 상기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의 일부와 각각 치합하면, 상기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가 일정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조인트부(300)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가 서로 분리 및 이격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제1 조인트부(310)와, 제2 조인트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조인트부(310)는 판 형상의 제1 조인트 몸체부(311)와, 상기 제1 조인트 몸체부(311)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 돌출하여 형성된 제1 조인트 프레임(312)과, 상기 제1 조인트 프레임(312)을 일부를 천공하여 형성된 관통공(313)과, 상기 제1 조인트 몸체부(311)의 저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하여 형성된 복수의 제1 수직 프레임(314)과, 상기 제1 조인트 몸체부(311)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하여 형성된 걸림돌기(315)와, 상기 제1 조인트 프레임(312)상에 천공한 관통공(316)과, 상기 제1 조인트부(310)와 제2 조인트부(320)가 결합되도록 체결하는 고정핀(317)과, 상기 제1 조인트 몸체부(311)의 상부에 형성한 제1 몸체 결합부(318, 318a)와, 다리부(210)와 치합하여 상기 다리부(21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다리부 지지대(31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수직 프레임(314)은 제2 조인트부(320)로 일부가 삽입되어 제1 조인트부(310)가 제2 조인트부(320)상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고정핀(317)은 스토퍼로서, 상기 제1 조인트부(310)가 상방향으로 추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와셔(317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몸체 결합부(318, 318a)는 제1 몸체부(100)의 몸통부(110)와 결합하고,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상기 몸통부(110)가 상기 제1 몸체 결합부(318, 318a)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몸통부(110)가 회동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조인트부(320)는 상기 제1 조인트부(310)의 하부에 대향하여 설치되고, 상기 제2 몸체부(200)와 결합하여 상기 제2 몸체부(200)가 회전 또는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며, 육면체 형상의 제2 조인트 몸체부(321)와, 상기 제2 조인트 몸체부(312)의 중앙에 형성한 잠금부 설치홈(322)과, 상기 제1 수직 프레임(314)이 삽입되도록 형성한 제1 수직 프레임 삽입홀(322a)과, 상기 제2 조인트 몸체부(321)의 양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하여 형성되고, 내측에 관통공(323a)을 형성한 제2 조인트 프레임(323)과, 상기 제2 조인트 프레임(323)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길이 연장하여 형성된 복수의 제2 수직 프레임(324)과, 제1 몸체부(100)의 몸통부(110)와 치합하여 상기 몸통부(11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제1 몸체 지지대(325)와, 상기 제1 몸체부(100)의 걸림돌기(315)와 선택적으로 잠금 또는 잠금 해제되도록 걸림홈(326a)을 구비한 잠금부(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 수직 프레임(324)은 제1 조인트부(310)의 관통공(316)을 통해 상기 제1 조인트부(31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고정핀(317)과 와셔(318)를 통해 결합하여 상기 제1 조인트부(310)가 제2 조인트부(320)의 상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 수직 프레임(324)에는 스프링(미도시)을 설치하여 제1 조인트부(310)와 제2 조인트부(320)가 탄성력에 의해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326)는 제1 조인트부(310)와 제2 조인트부(320)가 밀착된 잠금 상태 또는 분리된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동작하는 구성으로서, 가압력이 입력되면 잠금 상태를 유지하여 상기 걸림돌기(315)와 걸림홈(326a)이 치합된 상태를 유지되도록 하고, 다시 가압력이 입력되면 잠금 해제되어 상기 걸림돌기(315)와 걸림홈(326a)이 분리되도록 하는 푸시락 스위치이다.
또한, 상기 잠금부(326)는 사용자가 제1 몸체부(100)를 가압하여 잠금 해제시킬 수 있지만, 피규어를 일정 높이에서 자유낙하 시켜 상기 제1 몸체부(100)의 자중에 의한 가압력이 상기 잠금부(326)에 전달되도록 하여 잠금이 해제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보조 스위치(400)가 추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조 스위치(400)는 피규어가 낙하하면, 자중에 의해 이동할 수 있도록 무게추(410)와, 상기 무게추(410)의 동작과 연동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래치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보조 스위치(400)는 상기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가 결합된 잠금 상태에서 자중에 의한 가압력을 통해 상기 무게추(410)가 이동하여 래치부(420)의 위치가 변경되면,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일정 위치를 유지하던 예를 들면, 팔 연결부(133)를 잠금 해제시켜 팔부(130)의 위치가 변경되도록 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액션 피규어의 동작과정을 설명한다.
우선, 도 1과 같이 직립된 차렷 자세를 유지하도록 제1 몸체부(100)는 몸통부(110)를 중심으로 머리부(120)와 팔부(13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고, 제2 몸체부(200)는 다리부(210)가 직선을 유지도록 설정하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를 조인트부(300) 측으로 이동시켜 서로 밀착한 다음 잠금부(326)를 가압하여 상기 제1 및 제2 몸체부(100, 200)가 상기 조인트부(300)를 중심으로 밀착된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머리부(120)와 팔부(130) 중 적어도 하나는 보조 스위치(400)에 의해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잠금부(326)에 의한 고정을 통해 제1 조인트부(310)의 다리부 지지대(319)는 다리부(210)에 형성된 다리 홈부(210a)에 삽입되어 상기 다리부(21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와이어 견인부(212)와 치합하여 상기 다리부(21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제2 조인트부(320)의 제1 몸체 지지대(325)는 몸통부 프레임(110a)과 치합하여 상기 몸통부(11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피규어를 일정 높이에서 자유 낙하시키고, 상기 피규어의 하부가 지면과 충돌하면, 제1 몸체부(110)의 자중에 의해 걸림돌기(315)는 잠금부(326)로 가압력을 전달하게 되고, 상기 가압력에 의해 잠금부(326)는 잠금 해제된다.
상기 잠금부(326)가 잠금 해제되면, 걸림홈(326a)과 치합된 걸림돌기(315)의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이때 상기 잠금부(326)에 내재된 스프링의 탄성력은 상기 걸림돌기(315)를 상방향으로 가압한다.
또한, 상기 잠금부(326)의 잠금이 해제되면, 제1 조인트부(310)는 제2 조인트부(320)의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가 분리된다.
이때, 상기 제1 조인트부(310)에 의해 고정된 다리부(210)는 잠금 해제되어 스프링(220)의 탄성력과 와이어(230)를 통해 미리 설정된 자세가 되도록 변형된다.
또한, 상기 제2 조인트부(320)에 의해 고정된 몸통부(110)도 잠금 해제되어 제1 몸체 결합부(318, 318a)를 중심으로 회동하여 미리 설정된 형상으로 변형된다.
또한, 상기 피규어의 하부가 지면과 충돌하면, 보조 스위치(400)는 자중에 의해 이동하여 잠금 상태가 해제되고, 래치부(420)와 연동된 팔 연결부(133)의 잠금 상태도 함께 해제되어 미리 설정된 자세가 되도록 변형된다.
따라서, 피규어의 위치이동시 자중에 의해 잠금 상태가 해제되면, 피뷰어의 자세가 자동으로 변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도면번호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기재한 것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예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술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해석은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100 : 제1 몸체부 110 : 몸통부
110a : 몸통부 프레임 120 : 머리부
121 : 머리 관절부 130 : 팔부
131 : 팔 관절부 132 : 힌지부
133 : 팔 연결부 200 : 제2 몸체부
210 : 다리부 210a : 다리 홈부
211 : 다리 관절부 212 : 와이어 견인부
220 : 스프링 230 : 와이어
240 : 디스플레이부 300 : 조인트부
310 : 제1 조인트부 311 : 제1 조인트 몸체부
312 : 제1 조인트 프레임 313 : 관통공
314 : 제1 수직 프레임 315 : 걸림돌기
316 : 관통공 317 : 고정핀
317a : 와셔 318, 318a : 제1 몸체 결합부
319 : 다리부 지지대 320 : 제2 조인트부
321 : 제2 조인트 몸체부 322 : 잠금부 설치홈
322a : 제1 수직 프레임 삽입홈 323 : 제2 조인트 프레임
323a : 관통공 324 : 제2 수직 프레임
325 : 제1 몸체 지지대 326 : 잠금부
326a : 걸림홈 400 : 보조 스위치
410 : 무게추 420 : 래치부

Claims (11)

  1. 제1 몸체부(100);
    상기 제1 몸체부(100)와 분리하여 배치한 제2 몸체부(200); 및
    상기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의 일부와 각각 치합하면, 잠금부(326)를 통해 상기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가 일정 자세를 유지하도록 고정된 잠금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잠금부(326)가 잠금 해제되면 상기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가 서로 분리 및 이격되도록 동작하는 조인트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조인트부(300)는 제1 몸체부(100)와 결합하는 제1 조인트부(310)와, 상기 제1 조인트부(310)와 대향하여 설치되고, 제2 몸체부(200)와 결합하는 제2 조인트부(320)와, 상기 제1 조인트부(310)가 제2 조인트부(320)상에서 미리 설정된 경로를 따라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복수의 수직 프레임(314, 324)과, 상기 제1 조인트부(310)와 제2 조인트부(320)가 밀착된 잠금 상태 또는 분리된 잠금 해제 상태가 되도록 동작하는 잠금부(326)를 구비하며,
    상기 조인트부(300)가 분리되면, 상기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는 조인트부(300)를 중심으로 이동 또는 회동중 적어도 하나의 동작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 피규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100)는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120, 1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 피규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100)는 상기 구성요소(120, 130)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절부(121, 13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 피규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200)는 변위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 피규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200)는 상기 구성요소(210)의 위치가 변위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관절부(2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 피규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200)는 상기 구성요소(210)가 일정 위치를 유지하도록 상기 조인트부(300)와 치합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상기 구성요소(210)의 위치가 변위하면 회전하여 일측에 연결된 와이어(230)를 통해 상기 구성요소(210)의 일부가 상기 관절부(211)를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견인력을 제공하는 와이어 견인부(2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 피규어.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몸체부(200)는 일측에 동작에 따른 효과가 시각적으로 표시되도록 일정 형상으로 구성한 디스플레이부(2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 피규어.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326)는 가압력이 입력되면 잠금 상태를 유지하고, 다시 가압력이 입력되면 잠금 해제되는 푸시락 스위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 피규어.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부(326)는 제1 몸체부(100)의 자중에 의한 가압력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 피규어.
  11. 제1항 내지 제7항, 제9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100) 및 제2 몸체부(200)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몸체부(100)와 제2 몸체부(200)가 일정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고, 자중에 의한 가압력을 이용하여 잠금 해제되는 보조 스위치(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션 피규어.
KR1020180077017A 2018-07-03 2018-07-03 액션 피규어 KR102080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017A KR102080992B1 (ko) 2018-07-03 2018-07-03 액션 피규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017A KR102080992B1 (ko) 2018-07-03 2018-07-03 액션 피규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050A KR20200004050A (ko) 2020-01-13
KR102080992B1 true KR102080992B1 (ko) 2020-05-22

Family

ID=69153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017A KR102080992B1 (ko) 2018-07-03 2018-07-03 액션 피규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99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6552A (en) 1983-12-29 1985-07-02 Mattel, Inc. Animated figure toy having a telescoping appendag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47573U (ko) * 1989-09-18 1991-05-02
KR200188967Y1 (ko) 1998-04-09 2000-09-01 최신규 인형의 관절장치
BR0316190A (pt) 2002-11-12 2005-09-27 Mattel Inc Brinquedo móvel e junta para um brinquedo
JP2009247656A (ja) * 2008-04-08 2009-10-29 Tomy Co Ltd 玩具の関節構造
KR100884653B1 (ko) * 2008-05-14 2009-02-23 조충호 허벅지부재의 상방향 동작을 자유롭게 하는 고관절부재가구비된 구체관절인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6552A (en) 1983-12-29 1985-07-02 Mattel, Inc. Animated figure toy having a telescoping appendage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03047573 UR
등록특허공보 제10-0884653호(2009.2.23. 공고) 1부.*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9-247656호(2009.10.29. 공개)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050A (ko) 2020-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33090B2 (en) Dolls and doll stands
EP2358452B1 (en) Doll with dress that transforms to wings
JP6303051B1 (ja) 人形玩具
CN101554532A (zh) 玩具的关节构造
JP3192453U (ja) 合体変形玩具
JP6971175B2 (ja) 人形玩具
CN108290073B (zh) 人形玩具
KR102080992B1 (ko) 액션 피규어
US2700846A (en) Changeable feature doll
JP6481013B1 (ja) 変形玩具、及び変形玩具セット
US20190262730A1 (en) Toy figurine having alternative movement configurations
CN115052671A (zh) 形态变化玩具
US6419546B1 (en) Doll movable structure for loin and groin
JP3887374B2 (ja) 形態変形玩具
CN114712865B (zh) 模型部件和人形玩具
US3099894A (en) Stuffed animated toy animal
JP7129525B2 (ja) 人型玩具
CN202146609U (zh) 一种弹性开闭的玩具
CN208287487U (zh) 一种变形玩具套装
CN209596553U (zh) 可变化面部表情的玩具
CN202020911U (zh) 一种组合玩具机器人
JP6077219B2 (ja) 玩具
US2336467A (en) Puppet for stop-motion photography and anchoring means therefor
KR101223971B1 (ko) 문자 학습용 로봇 완구
CN208711010U (zh) 一种变装人偶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