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977B1 -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 - Google Patents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977B1
KR102080977B1 KR1020170127153A KR20170127153A KR102080977B1 KR 102080977 B1 KR102080977 B1 KR 102080977B1 KR 1020170127153 A KR1020170127153 A KR 1020170127153A KR 20170127153 A KR20170127153 A KR 20170127153A KR 102080977 B1 KR102080977 B1 KR 102080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work
separator
fixed
connection bar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7617A (ko
Inventor
김영학
김민재
Original Assignee
김영학
김민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학, 김민재 filed Critical 김영학
Priority to KR102017012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977B1/ko
Publication of KR2019003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고정구에 있어서, 거푸집에 걸림결속되게 지그재그로 접혀 거푸집끼움결속편이 포함되는 관통거푸집결속구와 상기 관통거푸집결속구에서 연장형성되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연결바, 상기 연결바의 단부에 결속되어 철근에 꼬임결박되는 꼬임결박연성와이어 및 상기 관통거푸집결속구에 거푸집 두께보다 큰 길이의 위치에 콘크리트의 양생 후 관통거푸집결속구의 회전절단을 위하여 형성한 회전절단홈으로 구성하여서, 철근고정구의 철근 결속을 꼬임결박연성와이어의 트위스팅 과정을 통하여 신속하고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Description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Apparatus Separating out Iron bar Fixing Device}
본 발명은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형의 상부에 둥근십자홈과, 상부보다 더큰 직경을 갖는 원통사이에 형성되는 결합시야빗면으로 구성되는 고정분리구 및 상기 고정분리구에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연결바로 구성되어, 거푸집에 걸림결속되어 고정시키는 거푸집고정구를 회전절단시키는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콘크리트는 철근과 시멘트몰탈로 이루어져 벽체 또는 슬라브를 구성하는 구조물을 말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철근콘크리트는 거푸집을 틀을 형성하고, 상기 커푸집 내부에 철근을 배근한 후 시멘트몰탈을 타설하여 벽체 또는 슬라브를 형성하는 것이다.
한편, 통상 아파트는 벽체를 이용하여 건물을 하중을 버틸 수 있게 벽체를 내력벽으로 시공하여 실시하고 있으나, 벽체가 내력벽으로 시공되어 있을 경우 아파트의 구조변경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어 아파트 내부의 벽체는 내력벽이 아닌 건식벽체로 시공한 무량판이 적용되어 실시되고 있다.
상기 무량판은 건축구조의 한 종류로, 수직재의 기둥에 연결되어 하중을 지탱하고 있는 수평구조 부재인 보가 없이 기둥과 슬라브로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무량판 건축구조는 슬라브에 발생하는 하중이 곧바로 기둥을 통하여 바닥에 전달되어 지반으로 내려가도록 하는 방식으로 보를 설치하기 위하여 50∼70㎝의 공간을 별도로 확보하지 않아도 되므로 층의 높이를 줄일 수 있어 제한된 높이에서 아파트의 층수를 늘릴 수 있어 아파트의 원가저하에 매우 유익한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무량판 건축구조에 적용되는 슬라브가 두께가 두꺼워집에 따라 이를 경량화할 수 있게 철근 사이에 감량볼을 설치하여 채워지는 시멘트몰탈을 줄여 경량화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슬라브의 경량화를 위하여 감량볼을 사용하게 되면 시멘트몰탈의 타설시 비중 차이에 따라 상기 감량볼에 의한 부력이 발생하여 배근된 철근이 들려 슬라브의 상면으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상기 철근을 거푸집에 고정하는 철근고정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철근고정구는 거푸집에 끼움결속되는 거푸집고정구와 상기 거푸집고정구에서 연장 연성된 연결바 및 상기 연결바에서 연장형성되어 철근을 결박하는 철근결박바로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철근고정구는 슬라브가 시공되는 아래층에서 거푸집에 구멍을 뚫고 철근고정구를 끼워서 거푸집고정구가 거푸집에 고정되게 하고 연결바가 상면으로 노출되게 한 후 철근결박바로 철근을 결박하여 철근을 결속하였다.
그러나, 상기 종래 철근고정구는 거푸집고정부가 연결바보다 매우 굵어 거푸집을 제거하면서 분리되지 않아 절단기를 이용하여 거푸집고정부를 절단 분리하여야 하므로 거푸집의 해체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436778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거푸집고정부는 거푸집을 제거하면서 분리되지 않아 절단기를 이용하여 거푸집고정부를 절단 분리하여야 하므로 거푸집의 해체에도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거푸집에 걸림결속되어 고정시키는 거푸집고정구를 회전절단시키는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에 있어서, 결합면에 둥근십자홈과, 상기 결합면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통사이에 형성되는 결합시야빗면으로 구성되는 고정분리구 및 상기 고정분리구에 절단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절단회전수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절단회전수단은 공구와 결합되는 동력연결바 또는 상기 동력연결바와 일체로 수평의 막대가 형성되는 손잡이 또는 상기 동력연결바와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전동장치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거푸집고정부를 절단 분리시 신속하게 회전절단하여 분리할 수 있다. 또한 거푸집고정부를 배출홈 및 배출구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고정구분리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고정구분리구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철근고정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철근고정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따른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따른 사용상태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거푸집(1)에 걸림결속되어 고정시키는 거푸집고정구(30)를 회전절단시키는 거푸집고정구분리구에 있어서, 원형의 상부에 둥근십자홈(11)과, 상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통사이에 형성되는 결합시야빗면(12)으로 고정분리구(10)가 구성된다.
상기 고정분리구(10)에 절단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절단회전수단으로 형성된다.
상기 절단회전수단은 공구와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연결바(13)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거푸집고정구(30)는 거푸집(1)에 삽입되어 고정지지되는 거푸집끼움결속편(32)과 상기 거푸집끼움결속편(32)을 고정하는 결속편물림부(31)가 포함된다.
상기 동력연결바(13)는 탈부착 가능하며, 전동장치(20)에 자동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전동장치(20)는 일반 전동기로써 기어변속이 가능하고 충전이 되는 배터리와 손잡이가 포함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절단회전수단은 상기 동력연결바(13)와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의 막대인 손잡이(14)가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절단회전수단은 상기 동력연결바(13)과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전동장치(20) 형성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고정분리구(10) 내부에 둥근십자홈(11)에 연장되어 분리제거되는 거푸집고정구(30)을 배출되게 배출홈(15) 및 상기 배출홈(15)에 연장된 배출구(17)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거푸집고정구(30)가 거푸집(1)에 걸림결속되어 고정시키며, 상기 거푸집고정구(30)은 거푸집(1)에 삽입되어 고정지지되는 거푸집끼움결속편(32)과 상기 거푸집끼움결속편(32)을 고정하는 결속편물림부(31)가 포함된다. 도 5는 사용상태도로 이를 참조하면, 상기 고정구분리구(10) 상부 결합면에 형성된 둥근십자홈(11)에 거푸집고정구(30)의 거푸집끼움결속편(32) 및 결속편물림부(31)를 삽입한다. 상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통사이에 형성되는 결합시야빗면(12)를 통해서 결합되는 상황을 보면서 실수 없이 삽입하게 된다.
상기 고정분리구(10)에 절단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절단회전수단인 동력연결바(13)가 형성되면, 상기 동력연결바(13)를 공구에 삽입하여 사용한다. 예컨대, 전동장치(20)의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한 삽입홈에 삽입하여 전동장치(20)의 동력을 이용하여 자동방식으로 거푸집고정구(30)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연결바(13)와 일체로 형성되는 전동장치를 통해서 자동방식으로 거푸집고정구(30)를 절단하여 제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연결바(13)와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의 막대로 형성된 손잡이(14)를 통해서 손으로 돌려 거푸집고정구(30)를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구분리구(10) 내부에 둥근십자홈(11)에 연장되어 분리제거되는 거푸집 고정구를 배출되게 배출홈(15) 및 상기 배출홈(15)에 연장된 배출구(17)가 형성되면, 회전절단 분리된 고정구분리구(10)가 배출홈(15)으로 떨어지고 배출구(17)로 쉽게 빼낼 수 있다.
1 : 거푸집
10 : 결속구분리구
11 : 둥근십자홈 12 : 결합시야빗면
13 : 동력연결바 14 : 손잡이
15 : 배출홈 17 : 배출구
20 : 전동장치
30 : 거푸집고정구 31 : 결속편물림부
32 : 거푸집끼움결속편

Claims (2)

  1. 거푸집에 걸림결속되어 고정시키는 거푸집고정구를 회전절단시키는 거푸집고정구분리구에 있어서;
    원형의 상부에 둥근십자홈(11)과, 상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원통사이에 형성되는 결합시야빗면(12)으로 고정분리구(10)가 구성되고;
    상기 고정분리구(10)에 절단회전동력을 전달하는 절단회전수단으로 형성되되,
    상기 절단회전수단은
    공구와 결합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연결바(13)와
    상기 동력연결바(13)와 일체로 연결되며, 회전시키기 위한 수평의 막대인 손잡이(14)와,
    상기 동력연결바(13)과 일체로 연결되어 회전시키는 전동장치(20)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고;

    상기 거푸집고정구(30)는 거푸집(1)에 삽입되어 고정지지되는 거푸집끼움결속편(32)과 상기 거푸집끼움결속편(32)을 고정하는 결속편물림부(31)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분리구(10) 내부에 둥근십자홈(11)에 연장되어 분리제거되는 거푸집고정구(30)을 배출되게 배출홈(15) 및 상기 배출홈(15)에 연장된 배출구(17)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
  2. 삭제
KR1020170127153A 2017-09-29 2017-09-29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 KR102080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153A KR102080977B1 (ko) 2017-09-29 2017-09-29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7153A KR102080977B1 (ko) 2017-09-29 2017-09-29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617A KR20190037617A (ko) 2019-04-08
KR102080977B1 true KR102080977B1 (ko) 2020-02-24

Family

ID=66164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7153A KR102080977B1 (ko) 2017-09-29 2017-09-29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97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9894A (ja) * 2009-02-17 2010-09-02 Fumito Yamashita セパレータ切断工具
KR101645007B1 (ko) * 2015-03-11 2016-08-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
JP6033127B2 (ja) * 2013-03-06 2016-11-30 一般財団法人ファインセラミックスセンター 窒素酸化物分解材料及びその利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33127Y2 (ja) * 1981-03-10 1985-10-03 株式会社三声 プラツトフオ−ムテニスコ−トの床部排水構造
KR200436778Y1 (ko) 2007-01-05 2007-10-02 미래테크(주) 콘크리트 거푸집 분리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9894A (ja) * 2009-02-17 2010-09-02 Fumito Yamashita セパレータ切断工具
JP6033127B2 (ja) * 2013-03-06 2016-11-30 一般財団法人ファインセラミックスセンター 窒素酸化物分解材料及びその利用
KR101645007B1 (ko) * 2015-03-11 2016-08-02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쐐기 분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쐐기 분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7617A (ko) 2019-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69133A2 (en) Permanent plastic formwork system
CN104712079B (zh) 基于粗糙面连接的装配式聚丙烯纤维污泥陶粒混凝土墙体及其施工方法
KR20110130239A (ko) 합성 현장 타설 말뚝 및 이 시공방법
KR101451167B1 (ko) 중공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결합체 및 그의 접합 방법
JP2008127897A (ja) 型枠保持具及びこの型枠保持具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並びにこの構築方法により構築されるコンクリート構造物
KR20130095153A (ko) 제거 가능한 프리스트레싱 강관 쏘일 네일링 구조
KR102080977B1 (ko) 거푸집 고정구 분리구
CN205677249U (zh) 一种浇筑混凝土构造柱下料斗
US20050257459A1 (en) Rebar reinforced masonry wall system and method
CN107762135B (zh) 建筑物外墙脚手架连墙件的施工方法
JP5639349B2 (ja) トレミー管の連結構造
KR100932299B1 (ko) 철근 콘크리트 공사에서 부분 철거와 철근 연장을 위한 매설물 장치
CN106499180B (zh) 一种新型外模板加固及外脚手架拉结装置及其施工方法
KR100773773B1 (ko) 연결고리 설치용 앵커
CN108104135A (zh) 基坑支护格构柱的施工方法
CN209990023U (zh) 一种套筒灌浆用封堵装置
KR101933535B1 (ko) 인서트형 철근고정구
KR101087041B1 (ko) 공동주택용 매입형배전박스의 밀착구조
KR102118589B1 (ko) 전단보강재로 제작된 합성phc말뚝 및 이를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KR20190037615A (ko) 연성와이어 결박형 철근고정구
KR20080112699A (ko) 철근 지지 스페이서
KR20100020155A (ko) 거푸집 추락 방지 장치
KR20170113862A (ko) 콘크리트 몰탈 타설량을 줄여주는 담장 및 비내력벽 건축용 블럭
KR20190037616A (ko) 연성와이어 결박형 철근고정구의 시공방법
KR101162152B1 (ko) 집수정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