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662B1 -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662B1
KR102080662B1 KR1020130014874A KR20130014874A KR102080662B1 KR 102080662 B1 KR102080662 B1 KR 102080662B1 KR 1020130014874 A KR1020130014874 A KR 1020130014874A KR 20130014874 A KR20130014874 A KR 20130014874A KR 102080662 B1 KR102080662 B1 KR 102080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alignment
insulating film
circuit board
flexible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48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1564A (ko
Inventor
이정윤
최경훈
김정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148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662B1/ko
Publication of KR2014010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1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05Flexible printed circuits [FP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tructure Of Printed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절연필름; 상기 제1 절연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정렬 체크부를 구비하는 제1 패턴층; 및 상기 제1 절연필름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정렬 체크부의 위치에 상응하여 제1 개방부가 형성되는 제1 그라운드층을 포함하는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과 접합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은, 제2 절연필름; 상기 제2 절연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정렬 체크부를 구비하는 제2 패턴층; 및 상기 제2 절연필름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정렬 체크부의 위치에 상응하여 제2 개방부가 형성되는 제2 그라운드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FLEXIBLE PCB AND CAMERA MODUL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휴대폰의 사이즈 및 두께는 줄어들고 있지만 내부 부품의 데이터 처리량은 증가하고 있으며 부품들이 휴대폰 내부에 매우 촘촘하게 배치되어 부품간 EMI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모듈에서도 여러 가지 EMI를 줄이는 방법으로 설계가 되고 있다. 이런 EMI 저감 방법 중 하나로 신호 배선을 한 층에 하고 인접 층을 모두 그라운드로 덮는 방법이 있다.
다른 PCB와 접합하는 형태 (ACF /Hot bar 공법)의 모듈에서 역시 커넥터 패드(Pad) 반대면을 모두 그라운드 층으로 배선할 경우 접합공정 (ACF /Hot bar 공법)에서 그라운드층 때문에 패턴 정렬(Pattern Alignment)를 확인하기 쉽지 않다.
관련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06-0080809호(2006. 07. 11 공개,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 칩과 메모리 칩을 연결하는 연결인쇄회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패턴층과 그라운드층의 접합시 패턴의 정렬을 확인하여 접합 공정에서 정렬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절연필름; 상기 제1 절연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정렬 체크부를 구비하는 제1 패턴층; 및 상기 제1 절연필름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정렬 체크부의 위치에 상응하여 제1 개방부가 형성되는 제1 그라운드층을 포함하는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과 접합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은, 제2 절연필름; 상기 제2 절연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정렬 체크부를 구비하는 제2 패턴층; 및 상기 제2 절연필름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정렬 체크부의 위치에 상응하여 제2 개방부가 형성되는 제2 그라운드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제1 정렬 체크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그라운드층은 복수의 상기 제1 정렬 체크부의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1 개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2 정렬 체크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층은 복수의 상기 제2 정렬 체크부의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 개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정렬 체크부는 상기 제1 패턴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정렬 체크부는 상기 제2 패턴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이용하여 패턴층과 그라운드층의 접합시 패턴의 정렬을 확인하여 접합 공정에서 정렬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성회로기판의 다른 연성회로기판의 접합시에도 패턴 정렬을 확인하여 정렬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두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두 연성회로기판이 접합된 것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은 절연필름(10), 패턴층(20), 및 그라운드층(30)을 포함한다.
절연필름(10)의 일면에는 접합을 위한 패턴(21)이 형성된 패턴층(20)이 구비되고, 절연필름(10)의 타면에는 EMI(electro magnetic interference) 차단을 위한 접지층으로 그라운드층(30)이 형성된다.
그라운드층(30)이 절연필름(10)을 모두 커버하도록 형성되면 패턴층(20)이 형성된 방향에서 보았을 때, 절연필름(10)의 일면에 형성된 패턴층(20)이 보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성회로기판은 패턴층(20)에 정렬 체크부(22)를 구비하고, 그라운드층(30)에 개방부를 포함한다.
패턴층(20)은 절연필름(10)의 일면에 다른 연성회로기판과의 접합을 위한 패턴(21)을 구비하고, 패턴(21)의 일측에는 정렬 체크부(22)가 형성된다.
정렬 체크부(22)는 패턴층(20)이 그라운드층(30)과 접합하여, 패턴층(20)에 형성된 패턴(21)의 정렬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정렬 체크부(22)에 상응하여 그라운드층(30)에는 개방부가 형성되어 패턴층(20)에 형성된 정렬 체크부(22)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개방부는 그라운드층(30)의 일측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패턴층(20)에 형성된 정렬 체크부(22) 및 그라운드층(30)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에서 패턴층(20)의 정렬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정렬 체크부(22)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렬 체크부(22)는 패턴(21)의 양측, 즉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고, 이에 상응하여 그라운드층(30)에도 개방부가 좌측 및 우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패턴(21)의 좌우측에 구비된 정렬 체크부(22) 및 정렬 체크부(22)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그라운드층(30)에 형성된 개방부를 통하여 패턴층(20)의 패턴(21)의 정렬을 확인한다.
이때, 정렬 체크부(2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턴(21)의 일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운드층(30)의 개방부는 일측으로 돌출된 정렬 체크부(22)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카메라 모듈은 두 개의 연성회로기판의 접합에 의한 구성을 포함한다.
즉, 카메라 모듈은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제2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제2 연성회로기판은 서로 접합한다.
이때,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제2 연성회로기판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연성회로기판 외 제2 연성회로기판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 연성회로기판은 제1 절연필름(100), 제1 패턴층(200), 및 제1 그라운드층(300)을 포함한다.
제1 패턴층(200)은 제1 절연필름(100)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패턴(210) 및 제1 패턴(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정렬 체크부(220)를 포함한다.
제1 패턴층(200)은 제1 절연필름(100)의 일면에 다른 연성회로기판과의 접합을 위한 제1패턴을 구비하고, 패턴의 일측에는 제1 정렬 체크부(220)가 형성된다.
제1 정렬 체크부(220)는 제1 패턴층(200)이 제1 그라운드층(300)과 접합하여, 제1 패턴층(200)에 형성된 패턴의 정렬을 확인하기 위한 것이다.
제1 정렬 체크부(220)에 상응하여 제1 그라운드층(300)에는 제1 개방부가 형성되어 제1패턴층에 형성된 제1 정렬 체크부(220)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제1 개방부는 제1 그라운드층(300)의 일측의 일부를 제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턴층(200)에 형성된 제1 정렬 체크부(220) 및 제1 그라운드층(300)에 형성된 제1 개방부를 통하여 외부에서 제1 패턴층(200)의 정렬을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정렬 체크부(220)는 복수로 구비되고, 제1 그라운드층(300)은 복수의 제1 정렬 체크부(220)의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1 개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제2 연성회로기판에 각각 정렬 체크부 및 개방부를 포함함으로써,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제2 연성회로기판의 접합 공정에서 패턴의 정렬을 확인하여 접합함으로써, 정렬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제2 연성회로기판의 접합은 ACF(Anisotropic Conductive Film) 필름에 의하여 접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절연필름
20: 패턴층
21: 패턴
22: 정렬 체크부
30: 그라운드층
100: 제1 절연필름
200: 제1 패턴층
210: 제1 패턴
220: 제1 정렬 체크부
300: 제1 그라운드층
400: 제2 절연필름
500: 제2 패턴층
510: 제2 패턴
520: 제2 정렬 체크부
600: 제2 그라운드층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제1 절연필름; 상기 제1 절연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1 패턴과 상기 제1 패턴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정렬 체크부를 구비하는 제1 패턴층; 및 상기 제1 절연필름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정렬 체크부의 위치에 상응하여 제1 개방부가 형성되는 제1 그라운드층을 포함하는 제1 연성회로기판; 및
    상기 제1 연성회로기판과 접합되는 제2 연성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연성회로기판은,
    제2 절연필름;
    상기 제2 절연필름의 일면에 형성되는 제2 패턴과 상기 제2 패턴의 일측에 형성된 제2 정렬 체크부를 구비하는 제2 패턴층; 및
    상기 제2 절연필름의 타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정렬 체크부의 위치에 상응하여 제2 개방부가 형성되는 제2 그라운드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체크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1 그라운드층은 복수의 상기 제1 정렬 체크부의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1 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렬 체크부는 복수로 구비되고,
    상기 제2 그라운드층은 복수의 상기 제2 정렬 체크부의 위치에 상응하는 복수의 제2 개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렬 체크부는 상기 제1 패턴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정렬 체크부는 상기 제2 패턴의 일측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30014874A 2013-02-12 2013-02-12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80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74A KR102080662B1 (ko) 2013-02-12 2013-02-12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4874A KR102080662B1 (ko) 2013-02-12 2013-02-12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564A KR20140101564A (ko) 2014-08-20
KR102080662B1 true KR102080662B1 (ko) 2020-02-24

Family

ID=5174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4874A KR102080662B1 (ko) 2013-02-12 2013-02-12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662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9432B1 (ko) * 2005-05-26 2012-03-26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0952824B1 (ko) * 2008-06-18 2010-04-15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1564A (ko) 2014-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2394B2 (en) Device for protecting an electronic component
KR100948635B1 (ko) 인쇄회로기판
KR101813782B1 (ko) 표시 모듈
US20090207367A1 (en) Display device
US9980398B2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101324595B1 (ko) 조립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휴대 단말기용 메인 보드
JP2006324406A (ja) フレックスリジッド多層配線板
JP6160308B2 (ja) 積層基板
JP2018170521A (ja) 樹脂多層基板と回路基板の接合構造
RU2382404C2 (ru) Система защиты аппаратных средств в форме печатных плат, сформированных глубокой вытяжкой в получаши
KR102229847B1 (ko) 리셉터클 커넥터
WO2015196666A1 (zh) 耳机插座组件和电子设备
JP4696924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
JP2006196835A (ja) 実装基板及びこれを備えたカメラモジュール
KR102080662B1 (ko) 연성회로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TW201901911A (zh) 電子裝置及其電路基板
CN105636338A (zh) 柔性电路板走线结构及移动终端
CN105828521A (zh) 印刷电路板的布局方法及印刷电路板
US10561024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corresponding secured connection method
JP2013110287A (ja) 電子部品モジュール
US20180168045A1 (en) Electronic Module
US20090000810A1 (en) Printed circuit board
KR100674303B1 (ko) 플라잉 테일 형태의 경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커버레이 성형방법
CN210042351U (zh) 一种pcb单板和pcb拼版
CN102541318A (zh) 触控面板走线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