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528B1 -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528B1
KR102079528B1 KR1020180065730A KR20180065730A KR102079528B1 KR 102079528 B1 KR102079528 B1 KR 102079528B1 KR 1020180065730 A KR1020180065730 A KR 1020180065730A KR 20180065730 A KR20180065730 A KR 20180065730A KR 102079528 B1 KR102079528 B1 KR 1020795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ge
time
information
code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7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9109A (ko
Inventor
신경수
이석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랩컨버전스
Priority to KR10201800657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52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91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91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5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5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8Control and interface arrangements therefor, e.g. drivers or device-embedded control circuitry
    • G06F3/0383Signal control means within the pointing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5/0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 G06T5/40Image enhancement or restoration using histogram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41Trajec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전자펜에 의하여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종이에서 필기를 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에서 필기 궤적이 디지털적으로 복원되어 표시된 페이지에서 시간에 따라 페이지를 분리하여 필기 궤적이 겹쳐 보이게 하지 않거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페이지를 분리하여 필기 궤적이 겹쳐 보이게 하지 않는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page displaying writing with electronic pen}
본 발명은 전자펜에 의하여 필기된 필기 궤적을 디지털적으로 복원하여 표시된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필기의 겹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페이지를 분리하여 표시하는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종이에서 전자펜이 필기를 하는 경우, 전자펜에 부착된 카메라를 이용하여 필기 궤적에 따라 코드를 획득하고, 이를 기초로 스마트폰의 어플리케이션에서 필기 궤적을 디지털 적으로 표시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코드는 디지털적이므로 한정된 코드 범위를 갖게 되고, 특히, 인쇄된 종이 또는 노트는 대량 생산될 수 밖에 없어 노트는 동일한 코드가 부여될 수 밖에 없다.
이 경우, 동종의 여러 노트에 필기를 하는 경우, 동일한 페이지에는 여러 노트에 필기된 필기가 중복적으로 복원된다. 이 경우, 필기가 겹쳐서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일한 페이지에서 시간에 따라 페이지를 분리하여 겹쳐 보이게 하지 않는 것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페이지를 분리하여 겹쳐 보이게 하지 않는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은 전자펜이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로부터 획득한 코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물에서의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궤적이 표시되는 페이지를 분리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코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드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인쇄물 표식 정보, 상기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 상기 전자펜이 상기 인쇄물로부터 상기 소정의 코드를 독출하는 시간에 관한 타임 스탬프 정보 및 상기 인쇄물에서의 필기가 이루어진 좌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에 대응되는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서 상기 코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직전의 필기 궤적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와 상기 검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따른 시간 차이가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초과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를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상기 인쇄물에서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페이지에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은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분리 전의 페이지 및 상기 분리된 페이지에서 필기 궤적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에 상기 페이지 분리 시의 타임 스탬프 정보의 시간 축에 페이지 분리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은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페이지 분리 마크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분리 전의 페이지와 상기 분리된 페이지를 병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은 전자펜이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로부터 획득한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물에서의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코드 정보는 상기 인쇄물 표식 정보, 상기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 상기 코드 정보 획득시 생성된 타임 스탬프 정보 및 상기 인쇄물에서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필기 궤적이 표시된 페이지에서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을 상기 필기 궤적이 표시된 페이지 화면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선택된 시간에 대한 페이지 분리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페이지 화면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은 상기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의 시간 축에 표시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에서 상기 표시된 표시자의 시간에 표시된 필기 궤적의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선이 상기 페이지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은 상기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의 시간 축에서 상기 선택된 시간에 페이지 분리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페이지 분리 마크를 제거하는 경우, 분리 전의 페이지와 상기 분리된 페이지를 병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우, 동일한 페이지에 디지털적으로 복원된 필기 궤적이 겹쳐지지 않기 때문에, 동종의 다수의 코드가 인쇄된 노트를 혼용하여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경우, 동일한 페이지에서 겹쳐 보이는 경우,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분리된 페이지를 간단하게 병합하여 하나의 페이지로 재구성할 수 있어 사용자 선택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분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분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히스토그램의 예를 나타내고, 도 6은 병합된 페이지가 표시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분리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쇄물은 지면의 어느 위치에 필기가 이루어지는지를 추적하기 위한 디지털 코드 값을 일정 크기 단위로 재구성한 코드가 인쇄된 종이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전자펜은 코드가 인쇄된 종이로부터 코드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코드 정보로부터 필기 정보를 생성하여 연결된 장치로 송신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다른 실시예로, 전자펜은 전자펜은 코드가 인쇄된 종이로부터 코드 정보를 독출하고, 독출된 코드 정보를 연결된 장치로 송신할 수도 있다.
스트로크(stroke)는 전자펜을 이용하여 인쇄물에 필기한 하나의 획을 의미한다. 전자펜은 펜팁에 의한 압력을 센싱하고, 그 이후 압력이 센싱되지 않을 때까지 인쇄물의 코드를 독출한다. 이 경우가 연결된 장치에서 복원할 필기의 한 스트로크가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이하, '페이지 관리 장치'라고 합니다)는 전자펜이 생성한 필기 정보를 수신하여 필기 궤적을 생성하여, 이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다르게는 페이지 관리 장치는 전자펜이 독출한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코드 정보로부터 필기 정보를 생성하여 이에 기초하여 필기 궤적을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코드 관련 정보는 전자펜이 독출한 코드 정보일 수도 있고, 전자펜이 독출한 코드 정보로부터 생성한 필기 정보일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단계 110에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페이지 관리 장치는 필기 궤적이 표시되는 페이지를 분리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한다. 페이지 관리 장치는 화면을 통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를 이를 통하여 페이지를 자동으로 분리하기 위한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분리를 위한 인터페이스 화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사용자가 원하는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가 있다.
단계 12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전자펜으로부터 코드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페이지 관리 장치는 코드 관련 정보가 전자펜이 생성한 필기 정보가 아닌 전자펜이 독출한 코드 정보인 경우에는, 코드 정보로부터 필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코드 관련 정보는 인쇄물 표식 정보(예를 들어 북 정보),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 전자펜이 인쇄물로부터 소정의 코드를 독출하는 시간에 관한 타임 스탬프 정보 및 인쇄물에서의 필기가 이루어진 위치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단계 13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인쇄물 표식 정보,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 타임 스탬프 정보 및 좌표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14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추출된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에 대응되는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서 코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직전의 필기 궤적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검출한다. 기존의 페이지 화면에는 이전의 필기 궤적이 표시되어 있고, 필기 궤적에 관한 필기 데이터는 페이지 관리 장치에 저장되어 있다.
필기 데이터는 북코드, 북의 가로 및 세로 크기 정보를 갖는 북 정보 테이블, 북코드 및 페이지 정보를 갖는 페이지 정보 테이블, 및 북코드, 페이지 정보, 타임 스탬프 정보 및 좌표 정보를 갖는 스트로크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페이지 관리 장치는 이전 스트로크의 필기 데이터에서 최후 시간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검출한다.
단계 15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와 검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따른 시간 차이가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초과하는지 비교한다.
단계 16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비교 결과,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를 분리하여 표시한다.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를 분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페이지 번호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고, 원래 페이지 번호에 하위 레벨의 번호가 부가되어 부여된다. 즉, 하나의 페이지가 두 개 이상의 페이지로 분리되어 보이는 것이다. 페이지 관리 장치는 분리되는 영역은 추출한 좌표를 기초로 분리한다. 분리된 페이지의 크기는 원 페이지에서 분리된 크기 그대로의 크기일 수도 있고, 원 페이지와 동일한 크기일 수도 있다. 분리된 페이지들은 하나의 화면에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표시된다.
단계 17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추출된 인쇄물에서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분리된 페이지에 필기 궤적을 렌더링하여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분리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a)에서는 화면의 페이지(301)에 기존의 필기 궤적(11)이 표시되어 있고, 설정된 시간 간격 후에 (b)와 같이 실제의 인쇄물 페이지(302)에 전자펜(303)이 새로운 필기(20)를 하게 되면, (c)와 같이 페이지가 분리되고, 분리된 페이지(3012)에 (b)에서의 필기(20)가 렌더링되어 필기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에 관한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서 필기 궤적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출한다. 만약, 단계 410이 도 1의 단계 170의 다음 단계인 경우에는, 페이지 관리 장치는 화면에 표시된 분리 전의 페이지 및 상기 분리된 페이지에서 필기 궤적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42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가로축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세로축은 작성된 필기 스트로크의 수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단계 410 및 단계 420은 도 1의 단계 110보다 이전의 단계일 수도 있고, 독립적인 단계일 수도 있다.
단계 43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에 페이지 분리 시의 타임 스탬프 정보의 시간 축에 페이지 분리 마크를 표시한다.
단계 430은 단계 410 및 단계 420이 도 1의 단계 110보다 이전의 단계인 경우에는, 도 1의 단계 170후의 단계이다.
단계 44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페이지 분리 마크를 제거하는 경우, 분리 전의 페이지와 분리된 페이지를 병합하여 표시한다. 이는 분리된 페이지를 병합하는 단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임 히스토그램의 예를 나타내고, 도 6은 병합된 페이지가 표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시간 10 ~40은 설정된 시간을 초과한 경우이고, 따라서, 시간 40에서 필기가 이루어진 경우, 페이지는 분리되고, 이 시점에 페이지 분리 마크(501)이 생성된다. 사용자가 페이지 분리 마크를 제거하는 경우, 도 3에서 분리되었던 페이지(3011, 3012)는 도 6과 같이 다시 병합된 페이지(601)가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은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페이지가 분리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라면, 도 7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지정된 부분에서 페이지가 분리되는 방법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계 710에서, 페이지 표시 장치는 필기 궤적이 표시된 페이지에서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720에서, 페이지 표시 장치는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가로축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세로축은 작성된 필기 스트로크의 수를 나타낸다.
단계 730에서, 페이지 표시 장치는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을 상기 필기 궤적이 표시된 페이지 화면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한다.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의 시간 축에 표시자를 표시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표시자의 시간에 표시된 필기 궤적의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선이 페이지에 표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페이지 화면(800)에서 필기 궤적에 따라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802)이 표시되어 있으며, 타임 히스토그램(802)의 시간 축에 표시자(803)가 구비도어 있으며, 표시자의 시간에 표시된 필기 궤적의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선(804)이 표시되어 있다. 사용자는 구분선(804)으로 분리할 영역을 직관적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된다.
단계 740에서, 페이지 표시 장치는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선택된 시간에 대한 페이지 분리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시간을 기준으로 페이지 화면을 분리하여 표시한다. 도 1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를 분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페이지 번호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고, 원래 페이지 번호에 하위 레벨의 번호가 부가되어 부여된다. 즉, 하나의 페이지가 두 개 이상의 페이지로 분리되어 보이는 것이다.
단계 75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에 페이지 분리 시의 타임 스탬프 정보의 시간 축에 페이지 분리 마크를 표시한다.
단계 760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페이지 분리 마크를 제거하는 경우, 분리 전의 페이지와 분리된 페이지를 병합하여 표시한다. 이는 분리된 페이지를 병합하는 단계이다.
단계 750 내지 단계 760의 단계 도 4의 단계 430 및 440과는 동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페이지 분리 장치의 블록 다이어그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페이지 분리 장치(910)는 인터페이스부(911), 수신부(920), 제어붐(913), 저장부(914), 페이지 분리부(915), 필기 렌더링부(916) 및 페이지 병합부(917)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부(911)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필기 궤적이 표시되는 페이지를 분리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한다. 인터페이스부(911)는 화면을 통하여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사용자를 이를 통하여 페이지를 자동으로 분리하기 위한 시간 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수신부(912)는 전자펜(920)으로부터 코드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페이지 관리 장치(910)는 코드 관련 정보가 전자펜이 생성한 필기 정보가 아닌 전자펜이 독출한 코드 정보인 경우에는, 코드 정보로부터 필기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코드 관련 정보는 인쇄물 표식 정보(예를 들어 북 정보),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 전자펜이 인쇄물로부터 소정의 코드를 독출하는 시간에 관한 타임 스탬프 정보 및 인쇄물에서의 필기가 이루어진 위치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913)는 인쇄물 표식 정보,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 타임 스탬프 정보 및 좌표 정보를 추출한다. 그 후, 제어부(913)는 추출된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에 대응되는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서 코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직전의 필기 궤적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검출한다. 기존의 페이지 화면에는 이전의 필기 궤적이 표시되어 있고, 필기 궤적에 관한 필기 데이터는 저장부(914)에 저장되어 있다.
필기 데이터는 북코드, 북의 가로 및 세로 크기 정보를 갖는 북 정보 테이블, 북코드 및 페이지 정보를 갖는 페이지 정보 테이블, 및 북코드, 페이지 정보, 타임 스탬프 정보 및 좌표 정보를 갖는 스트로크 테이블을 포함하고 있다.
제어부(913)는 이전 스트로크의 필기 데이터에서 최후 시간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검출하고,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와 검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따른 시간 차이가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초과하는지 비교한다.
페이지 분리부(915)는 비교 결과,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를 분리하여 표시한다.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를 분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페이지 번호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고, 원래 페이지 번호에 하위 레벨의 번호가 부가되어 부여된다. 즉, 하나의 페이지가 두 개 이상의 페이지로 분리되어 보이는 것이다. 페이지 관리 장치는 분리되는 영역은 추출한 좌표를 기초로 분리한다. 분리된 페이지의 크기는 원 페이지에서 분리된 크기 그대로의 크기일 수도 있고, 원 페이지와 동일한 크기일 수도 있다. 분리된 페이지들은 하나의 화면에 병렬적으로 배치되어 표시된다.
필기 렌더링부(916)는 추출된 인쇄물에서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분리된 페이지에 필기 궤적을 렌더링하여 표시한다.
제어부(913)는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서 필기 궤적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가로축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세로축은 작성된 필기 스트로크의 수를 나타낸다.
그 후, 제어부(913)는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에 페이지 분리 시의 타임 스탬프 정보의 시간 축에 페이지 분리 마크를 표시한다.
페이지 병합부(917)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페이지 분리 마크를 제거하는 경우, 분리 전의 페이지와 분리된 페이지를 병합하여 표시한다. 지금까지의 실시예는 페이지 관리 장치(910)가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페이지가 분리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지정된 부분에서 페이지 관리 장치(910)가 페이지를 분리하는 실시예에 관한 것이다.
제어부(913)는 필기 궤적이 표시된 페이지에서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출하여,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을 생성한다. 가로축은 시간의 흐름을 나타내고 있으며, 세로축은 작성된 필기 스트로크의 수를 나타낸다.
제어부(913)는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을 필기 궤적이 표시된 페이지 화면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한다. 그 후, 제어부(913)는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의 시간 축에 표시자를 표시하고, 이에 대응하여 표시자의 시간에 표시된 필기 궤적의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선을 페이지에 표시한다.
페이지 분리부(915)는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선택된 시간에 대한 페이지 분리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하는 경우, 선택된 시간을 기준으로 페이지 화면을 분리하여 표시한다. 위에서 말한바와 같이, 새로운 페이지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페이지를 분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운 페이지 번호가 부여되는 것은 아니고, 원래 페이지 번호에 하위 레벨의 번호가 부가되어 부여된다. 즉, 하나의 페이지가 두 개 이상의 페이지로 분리되어 보이는 것이다.
제어부(913)는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에 페이지 분리 시의 타임 스탬프 정보의 시간 축에 페이지 분리 마크를 표시한다.
페이지 병합부(917)는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페이지 분리 마크를 제거하는 경우, 분리 전의 페이지와 분리된 페이지를 병합하여 표시한다.
페이지 분리 장치: 910 전자펜: 920
인터페이스부-911 수신부-920 제어부-913
저장부- 914 페이지 분리부-915
필기 렌더링부-916 페이지 병합부-917

Claims (6)

  1. 전자펜이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로부터 획득한 코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물에서의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필기 궤적이 표시되는 페이지를 분리하기 위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전자펜으로부터 코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코드 관련 정보로부터 상기 인쇄물 표식 정보, 상기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 상기 전자펜이 상기 인쇄물로부터 상기 소정의 코드를 독출하는 시간에 관한 타임 스탬프 정보 및 상기 인쇄물에서의 필기가 이루어진 좌표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에 대응되는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에서 상기 코드 관련 정보를 수신하기 직전의 필기 궤적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와 상기 검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따른 시간 차이가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초과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비교 결과, 상기 설정된 소정의 시간 간격을 초과하는 경우, 현재 화면에 표시된 페이지를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상기 인쇄물에서의 좌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분리된 페이지에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에 표시된 상기 분리 전의 페이지 및 상기 분리된 페이지에서 필기 궤적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에 상기 페이지 분리 시의 타임 스탬프 정보의 시간 축에 페이지 분리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페이지 분리 마크를 제거하는 경우, 상기 분리 전의 페이지와 상기 분리된 페이지를 병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
  4. 전자펜이 소정의 코드가 인쇄된 인쇄물로부터 획득한 코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코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인쇄물에서의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코드 정보는 상기 인쇄물 표식 정보, 상기 인쇄물의 페이지 정보, 상기 코드 정보 획득시 생성된 타임 스탬프 정보 및 상기 인쇄물에서의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필기 궤적이 표시된 페이지에서의 타임 스탬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된 타임 스탬프 정보에 기초하여 타임 히스토그램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을 상기 필기 궤적이 표시된 페이지 화면의 소정의 영역에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선택된 시간에 대한 페이지 분리 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선택된 시간을 기준으로 상기 페이지 화면을 분리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의 시간 축에 표시자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에서 상기 표시된 표시자의 시간에 표시된 필기 궤적의 영역을 구분하는 구분선이 상기 페이지에 표시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된 타임 히스토그램의 시간 축에서 상기 선택된 시간에 페이지 분리 마크를 표시하는 단계; 및
    사용자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타임 히스토그램에서 상기 페이지 분리 마크를 제거하는 경우, 분리 전의 페이지와 상기 분리된 페이지를 병합하여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 관리 방법.
KR1020180065730A 2018-06-07 2018-06-07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KR1020795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730A KR102079528B1 (ko) 2018-06-07 2018-06-07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730A KR102079528B1 (ko) 2018-06-07 2018-06-07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109A KR20190139109A (ko) 2019-12-17
KR102079528B1 true KR102079528B1 (ko) 2020-02-20

Family

ID=69056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730A KR102079528B1 (ko) 2018-06-07 2018-06-07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52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0766A (ja) 2011-08-30 2013-03-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コンピュータ装置、シートセット、シート、及びプログラム
JP2013238917A (ja) 2012-05-11 2013-11-28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処理方法
JP2016162073A (ja) 2015-02-27 2016-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子筆記処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50766A (ja) 2011-08-30 2013-03-14 Dainippon Printing Co Ltd コンピュータ装置、シートセット、シート、及びプログラム
JP2013238917A (ja) 2012-05-11 2013-11-28 Toshiba Corp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処理方法
JP2016162073A (ja) 2015-02-27 2016-09-0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電子筆記処理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9109A (ko) 2019-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0834B1 (en) Handwriting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with character segmentation user interface
CN102339275B (zh) 电子书籍批注处理方法及装置
US9360955B2 (en) Text entry for electronic devices
US9329704B2 (en) Information input apparatus, information input system, and information input method
JP4753842B2 (ja) アイデア抽出支援システム及び方法
US7321692B2 (en) Method,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a memory
JP2015158900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8205415B (zh) 文本选择方法和装置
JP6151989B2 (ja) 情報提示装置、情報提示システム、情報提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310971B2 (en) Document viewing device for display document data
US20170344206A1 (en) Writ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CN110390376B (zh) 点阵标签的生成方法及系统
JP6136967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00013B2 (ja) 電子機器および手書き文書処理方法
KR102079528B1 (ko) 전자펜에 의한 필기 궤적을 표시하는 페이지의 관리 방법 및 그 장치
JP2001167227A (ja) 情報端末装置
KR101399401B1 (ko) 터치스크린 단말기를 이용한 전자서명 시스템 및 그 방법
JP5708113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04679723A (zh) 一种文本的对照显示方法、系统和装置
JP2013016079A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ノート
JP2014038411A (ja) パスワード生成システム、制御プログラム
JP5703972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5776382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ノート
JP6244647B2 (ja) コンピュータ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768523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