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9353B1 -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 - Google Patents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9353B1
KR102079353B1 KR1020180114764A KR20180114764A KR102079353B1 KR 102079353 B1 KR102079353 B1 KR 102079353B1 KR 1020180114764 A KR1020180114764 A KR 1020180114764A KR 20180114764 A KR20180114764 A KR 20180114764A KR 102079353 B1 KR102079353 B1 KR 102079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drain plate
chilled beam
intake grill
beam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4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충회
Original Assignee
(주) 지원에어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지원에어텍 filed Critical (주) 지원에어텍
Priority to KR1020180114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93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9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9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9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natural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4Paints containing biocides, e.g. fungicides, insecticides or pestic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13/2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f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3/166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F24F2003/1667
    • F24F2003/168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2Means for preventing condensation or evacuating condensate
    • F24F2013/228Treatment of condensate, e.g. sterili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드레인플레이트에 수거된 응축수에 의한 세균의 증식을 방지하여, 병원에서도 칠드빔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칠드빔 유니트는, 건물의 천장에 구비되는 빔(Beam) 형태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일(120)과;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실내에 신선한 외기를 토출하는 인덕션노즐(130)과; 상기 본체(11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인덕션노즐(130)을 통해 외기가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취출공간(160)이 형성되며, 중앙을 통해 실내의 내기가 흡기되도록 하는 흡기그릴(140); 및 상기 코일(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12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수거되도록 하는 드레인플레이트(150)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의 일단에, 상기 흡기그릴(140)의 개방으로 상기 본체(110)가 개방되면,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 내에 수거된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힌지부재(15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Chilled Beam Unit For Hospital}
본 발명은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건물 내부를 냉난방하기 위해 설치되는 칠드빔 시스템에 있어서, 응축수가 수거되는 드레인플레이트의 일단에 제2 힌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드레인플레이트에 수거된 응축수를 손쉽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고, 드레인플레이트의 내면에 항균성 코팅층을 형성하여 세균의 번식을 억제하며, 외기를 살균한 후에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높은 위생성과 청결성이 요구되는 병실에도 칠드빔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한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의 건축물에는 실내를 냉난방하기 위한 공조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현대식 건물에서는 공조용 에너지가 전체 건물 에너지 소비량의 40 ~ 50%를 차지하고 있어, 건물 에너지 절감을 위한 방안이 다양하게 강구되고 있다.
최근에 건물에너지 절감 기술로서 칠드빔 공조시스템(Chilled Beam Air Conditioning System)이 주목을 받고 있다.
상기 칠드빔 공조시스템은, 배관을 통해 이송되는 냉수 또는 온수가 건물 천장에 설치된 칠드빔을 통과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이렇게 열교환된 냉기 또는 온기를 실내로 토출한다.
또한 외부로부터 신선공기를 칠드빔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칠드빔 공조시스템은, 일반적인 공조방식과 달리 냉수 또는 온수와 공기를 모두 이용함으로써, 열교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소음이 적으며, 배관 설치면적을 축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정숙한 고속의 유인 기류에 의해 드래프트 현상을 최소화시키고, 실내 전체에 걸쳐 균일한 기류를 형성할 수 있어, 거주공간의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건물 층고를 낮출 수 있고, 시공 및 관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공조 에너지도 절약할 수가 있다.
상기 칠드빔 공조시스템은, 전통적인 공기조화 공조방식에 비해 순환공기 풍량을 75 ~ 85% 감소시켜, 공조 에너지를 약 20%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칠드빔 공조시스템은, 냉수 및 온수를 공급한다는 측면에서는 종래의 복사 냉난방 시스템과 유사하지만, 대류에 의한 열교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에서 종래의 공조방식과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상기 칠드빔 시스템은 현재 유럽을 중심으로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칠드빔 공조시스템에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 1은 이러한 칠드빔 공조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일반적인 칠드빔 공조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칠드빔 유니트(100)와, 외기처리용 공기조화기(300) 및 냉온수공급기(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칠드빔 유니트(100)에 공급된 외기는 다수의 인덕션노즐(Induction Nozzle)을 통과하면서 유인효과를 발생시키게 되고, 이러한 인덕션노즐의 유인작용에 의해 실내공기가 칠드빔유니트(100)의 내부로 유입되어 냉온수코일을 통과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신선외기와 실내공기가 유인챔버 및 유인슬롯에서 혼합된 후, 칠드빔유니트(100)의 인덕션노즐을 통해 실내(200)로 공급된다.
즉, 신선외기가 칠드빔유니트(100) 내의 인덕션노즐을 통과하면서 유인챔버 및 유인슬롯에서 부압(Negative Pressure)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부압으로 인하여 실내공기가 칠드빔유니트(100) 내부로 유인되고, 유인챔버 및 유인슬롯에서 신선외기와 혼합된 후 실내(200)로 공급된다.
상기 칠드빔유니트(100)에 공급되는 신선외기를 1차 공기(Primary Air), 칠드빔유니트(100)로 유인되는 실내공기를 2차 공기(Secondary Air)라 하면, 칠드빔유니트(100)에 대한 유인성능을 나타내는 유인비(Induction Ratio, IR)는 다음의 식으로 표시할 수 있다.
유인비(IR)= 2차 공기량/1차 공기량
즉 유인비가 높을수록 신선외기(1차 공기)에 대한 실내공기(2차 공기)의 양이 많아지므로, 냉난방 효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칠드빔 유니트는, 유인비 향상을 통한 냉난방 효율의 향상에만 집중되어 왔고, 열교환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에 대한 처리는 미흡한 실정에 있다.
즉, 종래의 칠드빔 유니트(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 코일(140)의 하방에 응축수를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드레인패널(150)이 구비되어 있지만, 상기 드레인패널(150)이 칠드빔유니트(10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드레인패널(150)에 수거된 응축수가 오염된 실내공기와 접촉하면서 각종 곰팡이균이나 세균이 번식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렇게 드레인패널(150)에 곰팡이균이나 세균이 번식하게 되면,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에 세균이 같이 포함되어 실내공기를 오염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환자가 입원해 있는 병실의 경우에는, 세균에 의한 2차 의료사고를 발생시키는 심각한 문제점을 야기하게 된다.
한편, 배수펌프를 이용하여 상기 드레인패널(150)에 수거된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도 있지만, 위와 같은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는 없다.
따라서 칠드빔 시스템이 가지고 있는 많은 장점에서도 불구하고, 고도의 위생과 청결이 요구되는 병원에서는 칠드빔 시스템을 적용하기가 매우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456869호(2014.10.31. 공고)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0-1597753호(2016.02.26.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병원등과 같이 높은 위생과 청결이 요구되는 건물에서도 칠드빔 시스템을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드레인플레이트에 수거된 응축수를 손쉽게 제거하고, 드레인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드레인플레이트에서 곰팡이균 및 세균이 번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살균하여 공급함으로써 위생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신선한 외기와, 배관부로부터 공급되는 냉수 또는 온수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는 칠드빔(Chilled Beam) 시스템에 구비되는 칠드빔 유니트에 있어서, 건물의 천장에 구비되는 빔(Beam)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일과; 상기 본체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실내에 신선한 외기를 토출하는 인덕션노즐과; 상기 본체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인덕션노즐을 통해 외기가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취출공간이 형성되며, 중앙을 통해 실내의 내기가 흡기되도록 하는 흡기그릴; 및 상기 코일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수거되도록 하는 드레인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드레인플레이트의 일단에, 상기 흡기그릴의 개방으로 상기 본체가 개방되면,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 내에 수거된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힌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는 본체에 대해 착탈식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에, 수거된 응축수와 오염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세균의 번식을 방지하는 항균성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팅층은, 인체에 무해한 옻칠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설치되어 응축수가 일측으로 수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상기 흡기그릴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흡기그릴이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힌지부재; 및 상기 흡기그릴의 타단에 구성되어 상기 흡기그릴의 고정 및 개방을 단속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흡기그릴의 상단에, 상기 본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때 상단에 드레인플레이트의 하단을 받쳐 상기 드레인플레이트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취출공간은, 본체의 하단부에 일정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유도면을 구비하고, 흡기그릴은, 상기 본체의 유도면과 대응되는 위치에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유도면; 및 상기 제2유도면의 끝단에서 수평으로 일정길이 형성되어, 상기 취출공간을 통해 취출되는 외기가 설치면의 벽면 측으로 취출되도록 지지하는 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칠드빔 유니트와 공기조화기 사이 또는 칠드빔 유니트의 내부에, 살균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살균부는, 냉음극관 자외선 살균램프 또는 포토 플라즈마 이오나이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응축수를 수거하기 위한 드레인플레이트의 일단에 제2힌지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드레인플레이트를 제2힌지부재를 기준으로 일정각도 회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드레인플레이트에 수거된 응축수를 손쉽게 제거 및 청소할 수 있어 드레인플레이트를 항상 청결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플레이트를 본체에 대해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드레인플레이트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고, 새로운 드레인플레이트로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플레이트에 수거된 응축수에 의해 각종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하여 위생성 및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플레이트에 일정각도 기울기를 갖도록 구배를 주어 응축수가 일측으로 수집되도록 함으로써, 응축수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드레인플레이트의 표면에 항균성을 가지면서 인체에 무해한 옻칠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드레인플레이트에 수거된 응축수에서 각종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높은 병원 등과 같이 높은 위생성 및 청결도가 요구되는 장소에서도 칠드빌 시스템을 안심하고 적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조화기를 통과한 외기를 살균처리한 후 칠드빔 유니트에 공급함으로써, 청정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칠드빔 공조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칠드빔 유니트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칠드빔 유니트가 적용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칠드빔 유니트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칠드빔 유니트의 구성도로서, 5a는 측단면도이고, 5b는 정단면도이며, 5c는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칠드빔 유니트에 의한 실내의 기류분포를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7c는 본 발명에 따른 흡기그릴 및 드레인플레이트의 개방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칠드빔 공조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실내공간 즉, 천장의 일측에 구성되는 칠드빔 유니트(10)와, 상기 칠드빔 유니트(10)로 신선한 외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조화기(20)와, 상기 칠드빔 유니트(10) 내에 냉수 또는 온수를 제공하는 배관부(30), 및 상기 칠드빔유니트(10)와 공기조화기(20) 사이에 구성되어 상기 칠드빔 유니트(10)로 제공되는 신선한 외기를 살균처리하기 위한 살균부(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해, 건물의 실내로 청정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으므로, 병원 등과 같이 높은 위생과 청결이 요구되는 건물에서도 칠드빔 시스템을 안심하고 적용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기(20)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배관부(30)는, 실내의 냉방 또는 난방에 따라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공급한다.
상기 칠드빔 유니트(10)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의 천장 등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조화기(20)를 통해 제공되는 살균처리된 신선한 외기를 실내로 토출시킴과 함께, 실내공기를 흡입하는 대류현상에 의해 공기조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칠드빔 유니트(10)는, 본체(110)와, 코일(120)과, 인덕션노즐(130)과, 흡기그릴(140) 및 드레인플레이트(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흡기그릴(140)의 형상은, 장방형이나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본체(110)는, 천장에 구성되는 마감패널 등에 밀착되는 하단고정부(112) 및 상기 하단고정부(112)의 상단에 구성되는 상부함체(1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110)를 하단고정부(112) 및 상부함체(114)로 구분한 것은 코일(120) 및 흡기그릴(140)의 구성에 대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경우에 따라 상기 하단고정부(112) 및 상부함체(114)의 구조는 변경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하단고정부(112)는, 상기 상부함체(114)의 하방에 구비되고, 하단 중앙에는 흡기그릴(140)이 구비된다.
상기 하단고정부(112)의 하단부에는, 흡기그릴(140)의 양단 사이에 형성되어 인덕션노즐(130)을 통해 신선한 외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취출공간(160)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하단고정부(112)의 양단 각각에는, 상기 흡기그릴(140)의 양단이 위치되어 고정 또는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힌지(1122) 및 고정부재(1124)가 구비된다.
상기 힌지부재(1122)는, 상기 하단고정부(112)와 흡기그릴(140)의 어느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흡기그릴(140)이 일정각도 회동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하단고정부(112)의 내부가 개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124)는, 상기 하단고정부(112)와 흡기그릴(140)의 다른 일단 즉, 힌지부재(1122)와 대향되는 위치에 구성되어, 상기 흡기그릴(140)이 하단고정부(112)의 하단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고정력을 제공한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하단고정부(112)의 흡기그릴(140) 사이에 힌지부재(1122)를 생략하고, 양단 각각에 고정부재(1124)를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단고정부(112)의 하단 양측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출공간(160)을 통해 취출되는 외기가 실내의 천장에 근접되는 방향으로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유도면(1126)이 구비된다.
상부함체(114)는 상기 본체(11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구성되는 코일(120)을 지지한다.
또한, 상부함체(114)는, 중앙을 기준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코일(120)이 고정되고, 상기 코일(120)의 일측 즉, 외측방향으로는 다수의 인덕션노즐(130)이 구비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함체(114)의 내부 양측에 고정된 다수의 인덕션노즐(130)을 통해 토출된 외기가, 하단고정부(112)의 취출공간(160)의 형상에 의해 천장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한 후 벽면을 타고 수직으로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실내 전체에 걸쳐 기류를 균일하고 안정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코일(12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함체(114)에 일단이 고정되고, 배관부(30)를 통해 제공되는 냉수 또는 온수에 의해, 인덕션노즐(130)을 통해 토출되는 외기 또는 흡기그릴(140)을 통해 흡기되는 내기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인덕션노즐(130)은, 상기 본체(110)의 상부함체(114) 양단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배치되어, 외부에서 제공되는 외기가 취출공간(160)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도록 유도한다.
상기 인덕션노즐(130)은, 상단부가 상기 상부함체(114)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광하협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인덕션노즐(130)을 통해 토출되는 외기의 토출압력을 향상시킨다.
상기 흡기그릴(14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하단고정부(112) 중앙부에 구성되어 실내공기가 중앙부로 흡기되도록 한다.
상기 흡기그릴(140)은, 받침부재(142)와, 제2유도면(144) 및 날개면(1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재(142)는, 상기 흡기그릴(14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일 경우, 드레인플레이트(150)의 하단을 받쳐 본체(110)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드레인플레이트(150)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유도면(144)은, 상기 받침부재(142)의 양단 각각에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인덕션노즐(130)을 통해 토출되는 외기가 천장측과 수직벽면을 타고 흐르도록 유도한다.
상기 제2유도면(144)은, 상기 본체(110)의 하단고정부(112)에 형성된 유도면(1126)과 동일 또는 유사한 기울기로 형성된다.
상기 날개(146)는, 상기 제2유도면(144)의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돌출되어, 외기가 유도면(1126) 및 제2유도면(144)의 사이 공간을 따라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배기되면서, 외기의 배기방향이 수평이 되도록 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가 실내의 천장 및 수직 벽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흡기그릴(140)은, 일단이 힌지부재(1122)에 의해 본체(110)에 일정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타단이 고정부재(1124)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흡기그릴(140)이 상기 본체(110)의 하단에서 일정각도로 개방 또는 폐쇄되어, 상기 본체(110) 내부에 대한 유지보수 작업이 원활하게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는, 상기 코일(120)의 하방에 구성되어 열교환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가 실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응축수가 수거되도록 한다.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는, 상기 코일(120)에서 발생되는 응축수가 용이하게 수거되도록 함체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에 수거된 응축수를 주기적으로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관 및 배수펌프가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의 일단에는,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가 일정각도 회전되도록 하여, 본체(110)에서 흡기그릴(140)을 개방시키면 상기 흡기그릴(140)과 동반 회전함으로써, 작업자가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에 수거된 응축수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힌지부재(152)가 구비된다.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가 제2힌지부재(152)에 의해 일정각도 회전되어,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에 수거된 응축수를 작업자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에 수거된 응축수가 오염공기와 접촉하여 각종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병실에서 세균에 의한 2차 의료사고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는 본체(110)에 대해 착탈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의 표면에는, 수거된 응축수에서 세균이 증식되지 않도록 항균성의 코팅층(154)이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154)은 드레인플레이트(150)이 내부면에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코팅층(154)은 옻칠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옻은 옻나무에서 추출한 진액을 정제한 천연도료로써, 도포 및 건조를 수차례 반복하여 옻칠을 완성한다.
상기 옻은, 항균, 방부, 방수, 방습, 내열의 효과가 있고, 친환경 천연도료이므로 인체에 무해하다는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환자가 입원해 있는 병실과 같이 고도의 위생성과 청결성이 요구되는 장소에도 칠드빔 시스템을 적용할 수가 있다.
상기 코팅층(154)은, 드레인플레이트(150)의 표면에 옻을 도포한 후 150 ~ 250℃에서 1 ~ 2시간 동안 열에 구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코팅층(154)은 옻에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에 수거된 응축수에서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는 다른 항균성 도료가 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식의 드레인플레이트(150)를 구비함으로써, 응축수를 용이하게 제거하고 청소할 수 있으므로, 위생성 및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드레인플레이트(150)를 본체(110)에 대해 착탈식으로 구성함으로써, 드레인플레이트(150)를 손쉽게 청소 및 교체할 수가 있다.
또한, 칠드빔 유니트(10)에 결로현상을 체크하는 별도의 결로센서를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설치된다.
즉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의 높이(H)보다 타측(도면에서 오른쪽)의 높이(h)가 낮도록 설치되어 한쪽으로 응축수가 수집되도록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칠드빔 유니트(10)와 공기조화기(20) 사이에 살균부(40)가 더 설치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살균부(40)는 칠드빔 유니트(1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살균부(40)는 냉음극관 자외선 살균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냉음극관 자외선 살균램프는, 순간적인 살균이 가능하기 때문에 약품처리에 의한 살균방법보다 효과가 빠르고 잔류물질이 발생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살균부(40)는 포토 플라즈마 이오나이저(Photo Plasma Ionizer)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포토 플라즈마 이오나이저는, 저농도의 오존을 발생시켜 공기 중에서 살균과 탈취작용을 수행하며 잔류오존은 산소로 환원시킨다.
상기한 냉음극관 자외선 살균램프 및 포토 플라즈마 이오나이저 자체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10)에 의하면, 공기조화기(20)를 통과한 신선한 외기가 본체(110)의 일측에 구성된 흡기구를 통해 공급된다.
이렇게 흡기된 외기는, 본체(110)의 상부함체(114)에 구비된 다수의 인덕션노즐(130)를 통해 실내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인덕션노즐(130)을 통해 토출되는 외기는, 본체(110)의 하단고정부(112)와 흡기그릴(140) 사이에 구성된 취출공간(160)을 따라 양쪽으로 토출되어, 각각 천장을 따라 양쪽으로 유동한 후 수직벽면을 따라 아래쪽으로 유동한다.
또한 실내의 공기는 칠드빔 유니트(10)의 중앙에 구성된 흡기그릴(140)로 흡기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 전체에 걸쳐 균일하고 효율적인 기류가 형성되어 공조효율을 향상시킬수가 있다.
한편, 상기 칠드빔 유니트(10)에 대한 유지보수를 위해, 상기 칠드빔 유니트(10)의 중앙에 구비된 흡기그릴(140)의 일단에 있는 고정부재(1124)를 해체시키면, 상기 흡기그릴(140)의 타단에 구성된 힌지부재(1122)를 중심으로 회동이 이루어져 상기 칠드빔 유니트(10)의 내부가 개방된다.
이때, 상기 힌지부재(1122)를 중심으로 흡기그릴(140)이 회동되면, 받침부재(142)에 의한 드레인플레이트(150)의 받침력이 해제됨에 따라, 드레인플레이트(150)가 그 일단에 구성된 제2힌지부재(152)를 중심으로 회동된다.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가 회동되어 개방되면, 드레인플레이트(150)에 수거된 응축수를 제거하고 청소를 할 수 있다.
또한 드레인플레이트(150)가 착탈식인 경우에는, 드레인플레이트(150)를 떼어내어 청소할 수 있고, 새로운 드레인프레이트(150)로 손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에 항균성 코팅층(154)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에 응축수가 수집되어도 세균이 증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살균부(40)에 의해 청정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함으로써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칠드빔 유니트 (Chilled Beam Unit)
110: 본체
112: 하단고정부
1122: 힌지(Hinge)부재
1124: 고정부재
1126: 유도면
114: 상부함체
120: 코일(Coil)
130: 인덕션노즐(Induction Nozzle)
140: 흡기그릴
142: 받침부재
144: 제2유도면
146: 날개
150: 드레인플레이트(Drain Plate)
152: 제2힌지부재
154: 코팅층

Claims (10)

  1. 공기조화기로부터 공급되는 신선한 외기와, 배관부로부터 공급되는 냉수 또는 온수를 이용하여 실내를 냉난방하는 칠드빔(Chilled Beam) 시스템에 구비되는 칠드빔 유니트(10)에 있어서,
    건물의 천장에 구비되는 빔(Beam) 형태의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에 구비되어 냉수 또는 온수를 선택적으로 제공받아 열교환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코일(120)과;
    상기 본체(110)의 일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 구비되어, 실내에 신선한 외기를 토출하는 인덕션노즐(130)과;
    상기 본체(110)의 하단에 구비되고, 상기 인덕션노즐(130)을 통해 외기가 토출되도록 유도하는 취출공간(160)이 형성되며, 중앙을 통해 실내의 내기가 흡기되도록 하는 흡기그릴(140)와;
    상기 코일(120)의 하단에 구비되어 상기 코일(120)에서 생성되는 응축수가 수거되도록 하는 드레인플레이트(150)와;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의 일단에, 상기 흡기그릴(140)의 개방으로 상기 본체(110)가 개방되면, 일정각도로 회전시켜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 내에 수거된 응축수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제2힌지부재(152);를 구비하고,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는,
    스테인리스 스틸 재질로서, 상기 코일의 하방에 구비되어 열교환에 의해 발생되는 응축수가 실내로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의 내면에는 수거된 응축수와 오염공기와의 접촉에 의한 코팅층(154)이 형성되고,
    상기 코팅층(154)은 인체에 무해한 옻칠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는,
    길이방향으로 일정각도 기울어지도록 설치되어 응축수가 일측으로 수거되도록 하고,
    상기 본체(110)에는,
    상기 흡기그릴(140)의 일단에 구성되어 상기 흡기그릴(140)이 일정각도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힌지부재(1122); 및
    상기 흡기그릴(140)의 타단에 구성되어 상기 흡기그릴(140)의 고정 및 개방을 단속하는 고정부재(1124)가 구비되고;
    상기 흡기그릴(140)의 상단에, 상기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때 상단에 드레인플레이트(150)의 하단을 받쳐 상기 드레인플레이트(15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받침부재(142);가 구비되며,
    상기 취출공간(160)은,
    본체(110)의 하단부에 일정각도의 기울기를 갖는 유도면(1126)을 구비하고,
    상기 흡기그릴(140)은,
    받침부재(142)와, 제2유도면(144) 및 날개(146)를 포함하고, 일단이 힌지부재(1122)에 의해 본체(110)에 일정각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타단이 고정부재(1124)에 의해 상기 본체(110)에 고정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받침부재(142)는,
    상기 흡기그릴(140)의 상단부에 구성되어, 본체(110)에 고정된 상태일 경우, 드레인플레이트(150)의 하단을 받쳐 본체(110)에 별도의 고정부재를 구비하지 않고도 드레인플레이트(150)를 지지하며,
    상기 제2유도면(144)은,
    상기 본체(110)의 하단고정부(112)에 형성된 유도면(1126)과 동일한 기울기로 상기 받침부재(142)의 양단 각각에 일정각도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인덕션노즐(130)을 통해 토출되는 외기가 천장측과 수직벽면을 타고 수평방향으로 흐르도록 유도하며,
    상기 날개(146)는,
    상기 제2유도면(144)의 끝단에서 수평방향으로 일정길이돌출되어, 외기가 유도면(1126) 및 제2유도면(144)의 사이 공간을 따라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배기되면서, 외기가 실내의 천장 및 수직 벽면을 따라 수평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칠드빔 유니트(10)와 공기조화기(20) 사이 또는 칠드빔 유니트(10)의 내부에, 살균부(4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40)는,
    냉음극관 자외선 살균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살균부(40)는,
    포토 플라즈마 이오나이저(Photo Plasma Ionizer)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
KR1020180114764A 2018-09-27 2018-09-27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 KR102079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764A KR102079353B1 (ko) 2018-09-27 2018-09-27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4764A KR102079353B1 (ko) 2018-09-27 2018-09-27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9353B1 true KR102079353B1 (ko) 2020-02-19

Family

ID=6966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4764A KR102079353B1 (ko) 2018-09-27 2018-09-27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93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4543A (zh) * 2020-11-12 2021-02-09 苏州市洋基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外气恒温恒湿的空调冷凝水回收系统
CN112432356A (zh) * 2020-11-19 2021-03-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抗菌装置及家用电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736A (ja) * 2003-12-17 2005-07-0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室内機
JP2008116083A (ja) * 2006-11-01 2008-05-22 Mitsubishi Heavy Ind Ltd ドレンパ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KR20090103360A (ko) * 2008-03-28 2009-10-01 (주)코리아마그네슘 옻이 코팅된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00242726A1 (en) * 2007-04-03 2010-09-30 Valtion Teknillinen Tutkimuskeskus Supply air device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air in a supply air device
KR101456869B1 (ko) 2013-03-19 2014-10-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인 성능이 향상된 칠드빔 유인구조물
KR101597753B1 (ko) 2014-07-23 2016-02-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칠드빔 공조설비와 소화설비의 통합 시스템
KR101628152B1 (ko) * 2015-06-11 2016-06-08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제습용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외기전담 공기조화기 및 상기 외기전담 공기조화기와 칠드 빔을 조합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US20160303271A1 (en) * 2010-11-18 2016-10-20 Oy Halton Group Ltd. Air Purif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80736A (ja) * 2003-12-17 2005-07-07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室内機
JP2008116083A (ja) * 2006-11-01 2008-05-22 Mitsubishi Heavy Ind Ltd ドレンパ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US20100242726A1 (en) * 2007-04-03 2010-09-30 Valtion Teknillinen Tutkimuskeskus Supply air device and method for purification of air in a supply air device
KR20090103360A (ko) * 2008-03-28 2009-10-01 (주)코리아마그네슘 옻이 코팅된 제품 및 그의 제조방법
US20160303271A1 (en) * 2010-11-18 2016-10-20 Oy Halton Group Ltd. Air Purification Devices Methods And Systems
KR101456869B1 (ko) 2013-03-19 2014-10-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유인 성능이 향상된 칠드빔 유인구조물
KR101597753B1 (ko) 2014-07-23 2016-02-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칠드빔 공조설비와 소화설비의 통합 시스템
KR101628152B1 (ko) * 2015-06-11 2016-06-08 주식회사 두인이엔지 제습용 히트파이프를 이용한 에너지 절약형 외기전담 공기조화기 및 상기 외기전담 공기조화기와 칠드 빔을 조합하는 공기조화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44543A (zh) * 2020-11-12 2021-02-09 苏州市洋基机电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外气恒温恒湿的空调冷凝水回收系统
CN112432356A (zh) * 2020-11-19 2021-03-0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抗菌装置及家用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0583B1 (ko) 출입자 살균소독실
WO2013039329A2 (ko) 나노 증기를 이용한 강제증발식 가습기
KR102079353B1 (ko) 병원용 칠드빔 유니트
JP2023525761A (ja) 空気を浄化するためのシステム、装置、及び方法
KR200439228Y1 (ko) 광 플라즈마 살균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
KR20120041031A (ko) 실내 공기 정화장치
RU2600792C1 (ru) Рециркулятор вентилируемого воздуха
JP2004159730A (ja) 無菌病室
KR20090127454A (ko) 구조개선된 냉온풍기
US20200217523A1 (en) An air treatment system
KR101565067B1 (ko) 가습 기능을 갖는 전열교환식 공기순환장치
KR101597324B1 (ko) 공기조화기
EP3410024A1 (de) Klimatisierungsvorrichtung mit befeuchtung und deren verwendung
CA3092226A1 (en) System, components thereof, and methods for reducing risk of transmission of airborne infectious disease in enclosed spaces
CN110537057A (zh) 一种空调
JP7101456B2 (ja) 空間を調節するための装置
CN113445629A (zh) 一种可拆装的隔离区进出通道模块
JP2013174391A (ja) 空調装置および空調装置の運転方法
US20210308612A1 (en) Decontamination of objects
JP6374268B2 (ja) 気化式加湿器及びその運転方法
JP4966632B2 (ja) 細胞培養施設
JP6186590B2 (ja) 液体微細化装置及びサウナ装置
JP2010249510A (ja) イオン発生装置を備えた電気機器
US20230018712A1 (en) Hydroxyl ion generator apparatuses for ceiling mount or walk through
Kaushal et al. Environmental control including ventilation in hospit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