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476B1 -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 Google Patents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476B1
KR102078476B1 KR1020180122994A KR20180122994A KR102078476B1 KR 102078476 B1 KR102078476 B1 KR 102078476B1 KR 1020180122994 A KR1020180122994 A KR 1020180122994A KR 20180122994 A KR20180122994 A KR 20180122994A KR 102078476 B1 KR102078476 B1 KR 102078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witch
seat
forming
bas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헌
Original Assignee
김재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헌 filed Critical 김재헌
Priority to KR102018012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4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04Movable or exchangeable mountings for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2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on press brakes without making use of clamping means
    • B21D5/0209Tool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좌석이 일렬로 붙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철의 시트를 프레스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여러 개의 좌석이 일렬로 붙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철 시트의 프레스 성형 시 베이스 금형측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스위치 금형을 이용하여 좌석의 수를 가변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금형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하벌의 금형 상에서 좌석의 수가 다른 전철 시트를 성형할 수 있는 등 금형의 구매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라인 가동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한편, 베이스 금형측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동시에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스위치 금형을 포함하는 새로운 타입의 금형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시트 소재의 프레스 성형 시 스위치 금형을 이용하여 1차 클램핑한 후에 베이스 금형을 이용하여 2차 프레스 성형하는 2단계의 프레스 과정을 통해 전철 시트를 성형할 수 있는 등 시트 성형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MOLDING DEVICE FOR FORMING SUBWAY SEAT}
본 발명은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러 개의 좌석이 일렬로 붙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철의 시트를 프레스 성형하는 금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철 시트는 여러 명의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벤치(Bench)형태로 제작되며, 이러한 전철 시트는 전철 내부에 측벽을 따라 나란하게 설치된다.
보통 전철 시트는 등판과 좌판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고, 각각의 등판과 좌판은 평평한 철판에 여러 개의 스프링을 부착한 후, 그 위에 엷은 스폰지층과 천으로 된 외피를 씌운 구조로 이루어진다.
최근의 전철 시트는 화재 시 승객의 안전과 화재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난연성이 기본적으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전철의 경량화를 통한 연비 효율 향상과 환경보호를 위해 무게가 가볍고 생산성이 우수한 얇은 금속판 소재로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와 같은 전철 시트는 하나의 강판을 프레스 금형장치로 가공하여 등판과 좌판을 일체로 성형하면서 여러 명의 승객이 앉을 수 있는 다열의 좌석을 형성하며, 좌판의 선단부는 후방으로 굴곡시킴과 더불어 등판의 선단부는 하향으로 굴곡시킨 구조로 제작된다.
일 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191010호에는 철도차량 등에 사용되는『객석용 의자』가 개시되어 있다.
한편, 전철 시트는 대형 전동차, 중형 전동차 및 소형 전동차를 각각 사용하는 노선에 따라 다양한 갯수의 좌석을 가지는 구조로 제작된다.
예를 들면, 서울지하철 1∼8호선 및 분당선, 중앙선, 공항철도 등 대형 전동차를 사용하는 노선은 전철 시트 1개당 7개의 좌석이 갖추어져 있어서 7명의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인천, 광주, 대전, 대구지하철과 부산지하철 2∼3호선의 경우에는 중형 전동차로 전철 시트 1개당 6개의 좌석이 갖추어져 있어서 6명의 승객이 앉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이 다양한 갯수의 좌석을 가지는 전철 시트를 제작을 위해서는 해당 갯수의 좌석 캐비티를 갖춘 금형장치를 개별적으로 각각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전철 시트 제작과 관련하여 과다한 금형장치 구매 비용을 필요로 하는 등 경제적인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고, 전철 시트 제작 라인에서 전철 시트 사양 변경 시 사양에 맞는 금형장치로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라인 가동율이 저하되는 등 생산성 측면에서 불리한 점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20-019101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여러 개의 좌석이 일렬로 붙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 전철 시트의 프레스 성형 시 베이스 금형측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스위치 금형을 이용하여 좌석의 수를 가변적으로 성형할 수 있는 새로운 타입의 금형장치를 구현함으로써, 한벌의 금형 상에서 좌석의 수가 다른 전철 시트를 성형할 수 있는 등 금형의 구매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할 뿐만 아니라 라인 가동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베이스 금형측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동시에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스위치 금형을 포함하는 새로운 타입의 금형장치를 구현함으로써, 시트 소재의 프레스 성형 시 스위치 금형을 이용하여 1차 클램핑한 후에 베이스 금형을 이용하여 2차 프레스 성형하는 2단계의 프레스 과정을 통해 전철 시트를 성형할 수 있는 등 시트 성형품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의 일 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프레스 설비에 설치되어 여러 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성형하는 금형장치로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를 가짐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금형 홀을 가지면서 프레스 설비 작동 시에 상하 작동하는 상부 베이스 금형과,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과 한벌의 금형을 이룸과 더불어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를 가짐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금형 홀을 가지면서 프레스 설치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베이스 금형과,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측의 금형 홀에 각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동시에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제1스위치 금형 및 제2스위치 금형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스위치 금형과 제2스위치 금형을 교대로 사용하여 한벌의 금형 상에서 좌석의 수가 다른 여러 사양의 전철 시트를 성형할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제1스위치 금형은 상부 베이스 금형 및 하부 베이스 금형에 갖추어져 있는 좌석 캐비티의 일부분을 이루는 서브 좌석 캐비티를 각각 가지는 동시에 베이스 금형측에 체결가능한 플랜지를 각각 가지는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스위치 금형은 상부 베이스 금형 및 하부 베이스 금형에 체결가능한 플랜지를 각각 가지는 동시에 서브 좌석 캐비티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를 가지는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의 저면과 하부 베이스 금형의 상면에는 좌석 캐비티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상기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프레스 설비에 설치되어 여러 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성형하는 금형장치로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를 가짐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금형 홀을 가지면서 프레스 설비 작동 시에 상하 작동하는 상부 베이스 금형과,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과 한벌의 금형을 이룸과 더불어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를 가짐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금형 홀을 가지면서 프레스 설치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베이스 금형과,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측의 금형 홀에 각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동시에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 및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과, 상기 하부 베이스 금형측의 금형 홀 내에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결합이 가능한 동시에 분리가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 및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과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을 교대로 사용하여 한벌의 금형 상에서 좌석의 수가 다른 여러 사양의 전철 시트를 성형할 수 있는 동시에 시트 소재를 1차 클램핑하여 규제한 후에 시트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2단계의 프레스 공법으로 성형할 수 있도록 된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은 상부 베이스 금형 및 하부 베이스 금형에 갖추어져 있는 좌석 캐비티의 일부분을 이루는 서브 좌석 캐비티를 각각 가지는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은 블록 폭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를 가지는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의 저면과 하부 베이스 금형의 상면에는 좌석 캐비티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상기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하부 베이스 금형의 양쪽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부 베이스 금형에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와 서로 짝을 이루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를 가지면서 시트 소재에 대한 시트 형상의 프레스 성형에 앞서 시트 소재를 클램핑하여 규제하는 1차 클램핑 금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여러 개의 좌석이 일렬로 붙어 있는 구조의 전철 시트 성형을 위한 베이스 금형과 베이스 금형측에 조립 및 분해가 용이하고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스위치 금형을 조합한 새로운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를 적용함으로써, 한벌의 금형 상에서 좌석의 수가 다른 다양한 사양의 전철 시트, 예를 들면 7개의 좌석이 갖추어져 있는 전철 시트 또는 8개의 좌석이 갖추어져 있는 전철 시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 따라서 금형의 구매 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 라인 가동율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베이스 금형측에 조립 및 분해가 가능한 동시에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하고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동작이 가능한 스위치 금형을 적용함으로써, 시트 소재에 대한 프레스 성형 시 스위치 금형으로 1차 클램핑하여 시트 소재의 유동을 규제한 다음, 베이스 금형으로 시트 형상을 프레스 성형하는 2단계의 프레스 공법으로 전철 시트를 제작함으로써, 시트 소재 유동으로 인한 성형 불량을 배제할 수 있고 보다 정밀하고 균일하게 성형할 수 있는 등 시트 성형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a 및 도 5b와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를 이용하여 성형한 전철 시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공지의 프레스 설비에 설치되어 여러 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프레스 성형하는 금형장치로서, 교체 가능한 스위치 금형을 사용하여 좌석의 수를 달리하는 다양한 사양의 전철 시트를 한벌의 금형에서 성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프레스 설비(미도시)의 상부 가동측에 설치되어 상하 작동하는 상부 베이스 금형(1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저면에는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여러 개의 좌석 캐비티(10a)가 형성되며, 이때의 좌석 캐비티(10a)와 후술하는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b)가 상호 짝을 이루면서 가압되므로서, 그 사이에 위치되는 시트 소재 상에 좌석이 성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일측, 예를 들면 상부 베이스 금형(12)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a) 중에서 가장 끝에 위치되는 좌석 캐비티(10a)의 일부 영역을 차지하면서 이 좌석 캐비티(10a)와 이웃하는 좌석 캐비티(10a)와의 경계라인쪽과 접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사각형 홀 형태의 금형 홀(11a)이 형성되며, 이때의 금형 홀(11a)에는 후술하는 제1스위치 금형(14) 또는 제2스위치 금형(15)이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부 베이스 금형(12)은 프레스 설비의 가동측(미도시)에 조립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상부 베이스 금형(12)을 프레스 설비의 가동측에 조립하는 구조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저면에는 좌석 캐비티(10a)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4변에 배치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이때의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는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와 상호 짝을 이루면서 시트 소재의 가장자리 영역을 눌러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장변(長邊)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는 산을 가운데 두고 양옆에 골이 형성되는 단면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장변(長邊)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는 골을 가운데 두고 양옆에 산이 형성되는 단면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단변(短邊)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는 단일 산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단변(短邊)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는 단일 골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시트 소재의 4변 가장자리 영역은 이러한 위아래의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 사이에 물리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한벌의 금형을 이루면서 프레스 설비의 하부 고정측(미도시)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베이스 금형(13)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저면에는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여러 개의 좌석 캐비티(10b)가 형성되며, 이때의 좌석 캐비티(10b)와 상부 베이스 금형(12)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a)는 서로 짝을 이루면서 가압되어 그 사이에 위치되는 시트 소재 상에 좌석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일측, 예를 들면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b) 중에서 가장 끝에 위치되는 좌석 캐비티(10b)의 일부 영역을 차지하면서 이 좌석 캐비티(10b)와 이웃하는 좌석 캐비티(10b)와의 경계라인쪽과 접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사각형 홀 형태의 금형 홀(11b)이 형성되며, 이때의 금형 홀(11b)에는 제1스위치 금형(14) 또는 제2스위치 금형(15)이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형성되는 금형 홀(11b)은 상부 베이스 금형(12)에 형성되는 금형 홀(11a)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부 베이스 금형(13)은 프레스 설비의 고정측(미도시)에 조립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하부 베이스 금형(13)을 프레스 설비의 고정측에 조립하는 구조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상면에는 좌석 캐비티(10b)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4변에 배치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가 형성되며, 이때의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는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와 상호 짝을 이루면서 시트 소재의 가장자리 영역을 눌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금형 홀(11a,11b)에 각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동시에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제1스위치 금형(14) 및 제2스위치 금형(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스위치 금형(14)은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금형 홀(11a,11b)에 형합 가능한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1스위치 금형(14)은 금형 홀(11a,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블록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17a)를 이용하여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에 볼트 체결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결합되는 제1스위치 금형(14)의 캐비티 면은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캐비티 면과 단차없이 동일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1스위치 금형(14)은 플랜지(17a)에 체결되는 볼트를 해제하게 되면,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스위치 금형(14)의 표면(캐비티 면)에는 상부 베이스 금형(12) 및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a,10b)의 일부분을 이루면서 함께 하나의 좌석을 조성하는 서브 좌석 캐비티(16a)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a,10b) 중에서 가장 끝에 위치되는 좌석 캐비티(10a,10b)와 제1스위치 금형(14)에 형성되어 있는 서브 좌석 캐비티(16a)가 연이어 배치되면서 함께 조합되므로서, 하나의 온전한 좌석 면적이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제1스위치 금형(14)의 블록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가 각각 형성되며, 이때의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는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장변(長邊)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이루면서 일렬로 나란하게 연이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제2스위치 금형(15)은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금형 홀(11a,11b)에 형합 가능한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제2스위치 금형(15)은 금형 홀(11a,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블록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17b)를 이용하여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에 볼트 체결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결합되는 제2스위치 금형(15)의 캐비티 면은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캐비티 면과 단차없이 동일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제2스위치 금형(15)은 플랜지(17b)에 체결되는 볼트를 해제하게 되면,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제2스위치 금형(15)은 제1스위치 금형(14)과 교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스위치 금형(15)의 표면에는 블록 폭 가장자리 부분에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가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부 베이스 금형(12)측의 제2스위치 금형(15)에 형성되는 단일 산 형상의 단면을 갖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와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제2스위치 금형(15)에 형성되는 단일 골 형상의 단면을 갖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가 그 사이에 위치되는 시트 소재의 단변쪽 가장자리 영역을 위아래에서 물어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렬로 나란하게 붙어 있는 여러 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의 제작 시, 한벌의 금형장치만으로 두 종류의 좌석 수를 갖춘 전철 시트, 예를 들면 8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와 7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제작하는 경우,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금형 홀(11a,11b)에 제1스위치 금형(14)을 각각 결합하고, 시트 소재(100)(이때의 시트 소재는 상하부 베이스 금형에 있는 8개의 좌석 캐비티를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의 투입 후에 프레스 설비를 가동시키게 되면, 제1스위치 금형(14), 즉 서브 좌석 캐비티(16)를 갖는 제1스위치 금형(14)을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합형 작동과 동시에 각 베이스 금형이 가지고 있는 좌석 캐비티(10a,10b)에 의해,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좌석(110)을 갖춘 전철 시트(12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 소재(100)에 대한 프레스 성형 후에 취출되는 성형품(130)에서 후속 공정의 커팅 공정을 통해 가장자리의 스크랩(140)을 제거함과 더불어 벤딩 공정을 통해 좌석측 및 등받이측의 단부를 벤딩 성형하면 전철 시트(120)가 완성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7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제작하는 경우,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금형 홀(11a,11b)에 결합되어 있던 제1스위치 금형(14)을 분리하고,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금형 홀(11a,11b)에 제2스위치 금형(15)을 결합한 상태에서, 즉 제1스위치 금형(14)을 제2스위치 금형(15)으로 교체한 상태에서, 시트 소재(이때의 시트 소재는 상하부 베이스 금형에 있는 7개의 좌석 캐비티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의 투입 후에 프레스 설비를 가동시키게 되면, 제2스위치 금형(15), 즉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를 갖는 제2스위치 금형(15)을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합형 작동과 동시에 각 베이스 금형이 갖는 좌석 캐비티(10a,10b)을 통해, 도 6a 및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7개의 좌석(110)을 갖춘 전철 시트(120)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시트 소재(100)에 대한 프레스 성형 후에 취출되는 성형품(130)에서 후속 공정의 커팅 공정을 통해 가장자리의 스크랩(140)을 제거함과 더불어 벤딩 공정을 통해 좌석측 및 등받이측의 단부를 벤딩 성형하면 전철 시트(120)가 완성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스위치 금형(14)과 제2스위치 금형(15)을 교체 사용하는 것만으로 한번의 금형장치에서 7개 또는 8개의 좌석을 갖춘 두가지 사양의 전철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및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와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프레스 설비(미도시)의 상부 가동측에 설치되어 상하 작동하는 상부 베이스 금형(12)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저면에는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여러 개의 좌석 캐비티(10a)가 형성되며, 이때의 좌석 캐비티(10a)와 후술하는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b)가 상호 짝을 이루면서 가압되므로서, 그 사이에 위치되는 시트 소재 상에 좌석이 성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일측, 예를 들면 상부 베이스 금형(12)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a) 중에서 가장 끝에 위치되는 좌석 캐비티(10a)의 일부 영역을 차지하면서 이 좌석 캐비티(10a)와 이웃하는 좌석 캐비티(10a)와의 경계라인쪽과 접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사각형 홀 형태의 금형 홀(11a)이 형성되며, 이때의 금형 홀(11a)에는 후술하는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 또는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이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부 베이스 금형(12)은 프레스 설비의 가동측(미도시)에 조립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상부 베이스 금형(12)을 프레스 설비의 가동측에 조립하는 구조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저면에는 좌석 캐비티(10a)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4변에 배치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미도시)가 형성되며, 이때의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는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상면과 클램핑 금형(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와 상호 짝을 이루면서 시트 소재의 가장자리 영역을 눌러줄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장변(長邊)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는 산을 가운데 두고 양옆에 골이 형성되는 단면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장변(長邊)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는 골을 가운데 두고 양옆에 산이 형성되는 단면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한편,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단변(短邊)측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는 단일 산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클램핑 금형(21)의 블록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는 단일 골 형상의 단면으로 이루어지게 되므로서, 시트 소재의 4변 가장자리 영역은 이러한 위아래의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 사이에 물리면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한벌의 금형을 이루면서 프레스 설비의 하부 고정측(미도시)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베이스 금형(13)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저면에는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여러 개의 좌석 캐비티(10b)가 형성되며, 이때의 좌석 캐비티(10b)와 상부 베이스 금형(12)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a)는 서로 짝을 이루면서 가압되어 그 사이에 위치되는 시트 소재 상에 좌석을 성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일측, 예를 들면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b) 중에서 가장 끝에 위치되는 좌석 캐비티(10b)의 일부 영역을 차지하면서 이 좌석 캐비티(10b)와 이웃하는 좌석 캐비티(10b)와의 경계라인쪽과 접하는 위치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대략 사각형 홀 형태의 금형 홀(11b)이 형성되며, 이때의 금형 홀(11b)에는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 또는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이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게 되는 동시에 상하로 슬라이드 동작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형성되는 금형 홀(11b)은 상부 베이스 금형(12)에 형성되는 금형 홀(11a)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하부 베이스 금형(13)은 프레스 설비의 고정측(미도시)에 조립되는 구조로 설치되며, 이렇게 하부 베이스 금형(13)을 프레스 설비의 고정측에 조립하는 구조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상면에는 장변쪽의 좌석 캐비티(10b)의 가장자리를 따라 2변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가 형성되며, 이때의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는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 및 클램핑 금형(21)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와 상호 짝을 이루면서 시트 소재의 가장자리 영역을 눌러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금형 홀(11a,11b)에 각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하여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 및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과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과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과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은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금형 홀(11a,11b)에 형합 가능한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은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금형 홀(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블록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17a)를 이용하여 상부 베이스 금형(12)측에 볼트 체결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되는 한편,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은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금형 홀(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슬라이드 핀(22), 즉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속하면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슬라이드 핀(22)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예를 들면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의 저면은 슬라이드 핀(22)의 상단에 접촉되어 받쳐진 상태로 탄력 지지되면서 상하부 베이스 금형(12,13)의 합형 및 이형 작동 시에 이와 연계적으로 동작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은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하강 작동 시 아래쪽으로 함께 이동하게 되고,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상승 작동 시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은 스프링(미도시)의 힘을 이용한 복원력을 받아 탄력적으로 상승하는 슬라이드 핀(22)에 의해 위로 올려지면서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프레스 설비의 가동 시에 상하부 베이스 금형(12,13)과 연계적으로 작동하도록 가동형 슬라이드 핀(22)을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에 설치하는 구조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는 구조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채택될 수 있다.
이렇게 설치되는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 및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의 캐비티 면은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캐비티 면과 단차없이 동일면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은 플랜지(17a)에 체결되는 볼트를 해제하는 경우, 또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은 슬라이드 핀(22)측과의 접촉 관계를 해제하게 되면,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과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의 표면(캐비티 면)에는 상부 베이스 금형(12) 및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a,10b)의 일부분을 이루면서 함께 하나의 좌석을 조성하는 서브 좌석 캐비티(16a)가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형성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a,10b) 중에서 가장 끝에 위치되는 좌석 캐비티(10a,10b)와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과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에 형성되어 있는 서브 좌석 캐비티(16a)가 연이어 배치되면서 함께 조합되므로서, 하나의 온전한 좌석 면적이 만들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더불어, 상기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과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의 블록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가 각각 형성되며, 이때의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는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장변(長邊)에 형성되어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와 동일한 단면 형상을 이루면서 일렬로 나란하게 연이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과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은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금형 홀(11a,11b)에 형합 가능한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은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금형 홀(11a)에 삽입된 상태에서 블록 길이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형성되는 플랜지(17a)를 이용하여 상부 베이스 금형(12)측에 볼트 체결구조로 결합될 수 있게 되는 한편,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은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금형 홀(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슬라이드 핀(22), 즉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속하면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슬라이드 핀(22)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예를 들면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의 저면은 슬라이드 핀(22)의 상단에 접촉되어 받쳐진 상태로 탄력 지지되면서 상하부 베이스 금형(12,13)의 합형 및 이형 작동 시에 이와 연계적으로 동작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은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하강 작동 시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함께 시트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꽉 잡은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함께 이동하게 됨과 더불어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완전 하강 시에 시트 소재에 대한 좌석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상승 작동 시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은 스프링(미도시)의 힘을 이용한 복원력을 받아 탄력적으로 상승하는 슬라이드 핀(22)에 의해 위로 올려지면서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은 플랜지(17a)에 체결되는 볼트를 해제하는 경우, 또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은 슬라이드 핀(22)측과의 접촉 관계를 해제하게 되면,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으로부터 쉽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은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 및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과 교체 사용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의 표면(캐비티면)에는 블록 폭 가장자리 부분에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가 각각 형성되며, 이에 따라 상부 베이스 금형(12)측의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에 형성되는 단일 골 형상의 단면을 갖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와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에 형성되는 단일 산 형상의 단면을 갖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가 그 사이에 위치되는 시트 소재의 단변쪽 가장자리 영역을 위아래에서 물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는 시트 소재를 프레스 성형하기 앞서 시트 소재의 유동을 규제하는 수단으로 한쌍의 클램핑 금형(21)을 포함한다.
상기 클램핑 금형(21)은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양쪽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부 베이스 금형(13)에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와 서로 짝을 이루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를 가지면서 시트 소재에 대한 시트 형상의 프레스 성형에 앞서 시트 소재를 클램핑하여 시트 소재가 움직이지 못하도록 규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클램핑 금형(21)은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금형 홀(11b)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슬라이드 핀(22), 즉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속하면서 스프링(미도시)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설치되는 슬라이드 핀(22)에 의해 탄력 지지되면서, 예를 들면 클램핑 금형(21)의 저면은 슬라이드 핀(22)의 상단에 접촉되어 받쳐진 상태로 탄력 지지되면서 상하부 베이스 금형(12,13)의 합형 및 이형 작동 시에 이와 연계적으로 동작하면서 상승 또는 하강 작동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클램핑 금형(21)은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하강 작동 시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함께 시트 소재의 가장자리 부분을 꽉 잡은 상태에서 아래쪽으로 함께 이동하게 됨과 더불어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완전 하강 시에 시트 소재에 대한 좌석의 성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상승 작동 시 클램핑 금형(21)은 스프링(미도시)의 힘을 이용한 복원력을 받아 탄력적으로 상승하는 슬라이드 핀(22)에 의해 위로 올려지면서 초기 위치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일렬로 나란하게 붙어 있는 여러 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의 제작 시, 한벌의 금형장치만으로 두 종류의 좌석 수를 갖춘 전철 시트, 예를 들면 8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와 7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프레스 성형하여 제작할 수 있게 됨과 더불어 시트 소재에 대한 프레스 성형 시 스위치 금형으로 1차 클램핑하여 시트 소재의 유동을 규제한 상태에서 프레스 공정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서, 도 7a 및 도 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8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제작하는 경우,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금형 홀(11a,11b)에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과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을 각각 결합하고, 시트 소재(100)(이때의 시트 소재는 상하부 베이스 금형에 있는 8개의 좌석 캐비티를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의 투입 후에 프레스 설비를 가동시키게 되면,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과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 즉 서브 좌석 캐비티(16)를 갖는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과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을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합형 작동과 동시에 각 베이스 금형이 가지고 있는 좌석 캐비티(10a,10b)에 의해 8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도 8a 및 도 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7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제작하는 경우,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금형 홀(11a,11b)에 결합되어 있던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과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을 분리하고,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금형 홀(11a,11b)에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을 결합한 상태에서, 즉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과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을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으로 교체한 상태에서, 시트 소재(이때의 시트 소재는 상하부 베이스 금형에 있는 7개의 좌석 캐비티를 커버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의 투입 후에 프레스 설비를 가동시키게 되면,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 즉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를 갖는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을 각각 포함하고 있는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합형 작동과 동시에 각 베이스 금형이 갖는 좌석 캐비티(10a,10b)을 통해 7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기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 및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과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을 교체 사용하는 것만으로 한번의 금형장치에서 7개 또는 8개의 좌석을 갖춘 두가지 사양의 전철 시트를 효율적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교체 사용이 가능한 스위치 금형을 채택하여 여러 개의 좌석 수를 가지는 여러 사양의 전철 시트를 한벌의 금형장치로 제작함으로써, 금형의 수량을 줄일 수 있어 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금형장치 교체에 따른 시간과 노력을 줄일 수 있어 라인 가동율 향상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으며, 또 프레스 설비와 연계적으로 동작하는 슬라이드 타입의 스위치 금형을 채택함으로써, 전철 시트의 본 성형에 앞서 시트 소재의 정위치를 잡아줄 수 있어 시트 성형품의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10a,10b : 좌석 캐비티
11a,11b : 금형 홀
12 : 상부 베이스 금형
13 : 하부 베이스 금형
14 : 제1스위치 금형
15 : 제2스위치 금형
16 : 서브 좌석 캐비티
17a,17b : 플랜지
18 :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
19a :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
19b :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
20a :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
20b :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
21 : 클램핑 금형
22 : 슬라이드 핀

Claims (9)

  1. 프레스 설비에 설치되어 여러 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성형하는 금형장치로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a)를 가짐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금형 홀(11a)을 가지면서 프레스 설비 작동 시에 상하 작동하는 상부 베이스 금형(12);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한벌의 금형을 이룸과 더불어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b)를 가짐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금형 홀(11b)을 가지면서 프레스 설치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베이스 금형(13);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측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금형 홀(11a,11b)에 각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동시에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제1스위치 금형(14) 및 제2스위치 금형(15);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스위치 금형(14)과 제2스위치 금형(15)을 교대로 사용하여 한벌의 금형 상에서 좌석의 수가 다른 여러 사양의 전철 시트를 성형할 수 있고,
    상기 제1스위치 금형(14)은 상부 베이스 금형(12) 및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갖추어져 있는 좌석 캐비티(10a,10b)의 일부분을 이루는 서브 좌석 캐비티(16)를 각각 가지는 동시에 베이스 금형측에 체결가능한 플랜지(17a)를 각각 가지는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스위치 금형(15)은 상부 베이스 금형(12) 및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체결가능한 플랜지(17b)를 각각 가지는 동시에 블록 폭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를 가지는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저면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상면에는 좌석 캐비티(10a,10b)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5. 프레스 설비에 설치되어 여러 개의 좌석을 갖춘 전철 시트를 성형하는 금형장치로서,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a)를 가짐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금형 홀(11a)을 가지면서 프레스 설비 작동 시에 상하 작동하는 상부 베이스 금형(12);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과 한벌의 금형을 이룸과 더불어 일렬로 나란하게 배치되어 있는 좌석 캐비티(10b)를 가짐과 더불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금형 홀(11b)을 가지면서 프레스 설치측에 고정 설치되는 하부 베이스 금형(13);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측의 금형 홀(11a)에 각각 결합 및 분리가 가능한 동시에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 및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
    상기 하부 베이스 금형(13)측의 금형 홀(11b) 내에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결합이 가능한 동시에 분리가 가능하며 선택적으로 교체 사용이 가능한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
    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 및 가동형 제1스위치 금형(19b)과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을 교대로 사용하여 한벌의 금형 상에서 좌석의 수가 다른 여러 사양의 전철 시트를 성형할 수 있는 동시에 시트 소재를 1차 클램핑하여 규제한 후에 시트 형상으로 프레스 성형하는 2단계의 프레스 공법으로 성형할 수 있고,
    상기 고정형 제1스위치 금형(19a)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19b)은 상부 베이스 금형(12) 및 하부 베이스 금형(13)에 갖추어져 있는 좌석 캐비티(10a,10b)의 일부분을 이루는 서브 좌석 캐비티(16a)를 각각 가지는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6. 삭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고정형 제2스위치 금형(20a) 및 가동형 제2스위치 금형(20b)은 블록 폭의 한쪽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를 가지는 띠 형상의 블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 베이스 금형(12)의 저면과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상면에는 좌석 캐비티(10a,10b)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 베이스 금형(13)의 양쪽 옆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동시에 상하 슬라이드 가능한 구조로 설치되고, 상면에는 상부 베이스 금형(13)에 있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와 서로 짝을 이루는 테두리 성형용 요철부(18)를 가지면서 시트 소재에 대한 시트 형상의 프레스 성형에 앞서 시트 소재를 클램핑하여 규제하는 1차 클램핑 금형(2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KR1020180122994A 2018-10-16 2018-10-16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KR102078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94A KR102078476B1 (ko) 2018-10-16 2018-10-16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2994A KR102078476B1 (ko) 2018-10-16 2018-10-16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476B1 true KR102078476B1 (ko) 2020-02-17

Family

ID=696705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2994A KR102078476B1 (ko) 2018-10-16 2018-10-16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4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0826A (zh) * 2021-11-24 2022-03-22 瑞鹄汽车模具股份有限公司 侧围冲压模具的加油口法兰精修切换机构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826A (ja) * 1994-10-04 1996-04-23 Nissan Motor Co Ltd 絞り成形用金型装置及びプレス機械及び絞り成形方法
KR200191010Y1 (ko) 2000-01-06 2000-08-16 김영국 객석용 의자
KR100898057B1 (ko) * 2008-01-31 2009-05-19 명동복 장식 시트 제조용 고주파 금형
JP2014180669A (ja) * 2013-03-18 2014-09-29 Fuji Heavy Ind Ltd 折り曲げ金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826A (ja) * 1994-10-04 1996-04-23 Nissan Motor Co Ltd 絞り成形用金型装置及びプレス機械及び絞り成形方法
KR200191010Y1 (ko) 2000-01-06 2000-08-16 김영국 객석용 의자
KR100898057B1 (ko) * 2008-01-31 2009-05-19 명동복 장식 시트 제조용 고주파 금형
JP2014180669A (ja) * 2013-03-18 2014-09-29 Fuji Heavy Ind Ltd 折り曲げ金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10826A (zh) * 2021-11-24 2022-03-22 瑞鹄汽车模具股份有限公司 侧围冲压模具的加油口法兰精修切换机构
CN114210826B (zh) * 2021-11-24 2023-08-22 瑞鹄汽车模具股份有限公司 侧围冲压模具的加油口法兰精修切换机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476B1 (ko) 전철 시트 성형용 금형장치
WO2013005318A1 (ja) ホットプレス成形方法、及びホットプレス装置
JP2017013113A (ja) 金属板材の成形方法及び金属板材の成形装置
CN208162411U (zh) 一种用于试制汽车制件侧整形的通用模座
CN102205365A (zh) 波纹状翅片制造装置
KR101562849B1 (ko) 열간성형 토션빔 성형기의 추출장치
KR20160077433A (ko) 냉각 조절형 프레스 성형장치 및 프레스 성형방법
CN105817535A (zh) 一种汽车纵梁冲压成型模具
US536161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ess forming
KR101647211B1 (ko) 가변금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성형방법
CN110560561A (zh) 一种压缩机底座的连续冲压模具
CN105964788A (zh) 一种用于汽车后围板焊接件的模具
CN205833959U (zh) 一种用于汽车后围板焊接件的模具
KR20150062028A (ko) 차량용 시트레일 성형용 프레스 가공장치.
CN210523569U (zh) 一种连续折弯模具
CN213223955U (zh) 一种拉延模
KR0182407B1 (ko) 차량의 사이드 멤버 성형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CN210816986U (zh) 一种压缩机底座的连续冲压模具
CN210614826U (zh) 一种用于固定汽车油箱的绑带的加工模具
CN209998186U (zh) 一种用于固定汽车油箱的中段底板的加工模具
CN107552643B (zh) 一种车窗导轨的加工模具
US474661A (en) Gustus holzapfel
CN104707912A (zh) 一种双滑联动成型钣金内卷边的冲压模具
JPH08174086A (ja) 板金のプレス方法
CN212884455U (zh) 汽车前围挡板上部控制板的成型模具总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