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219B1 - 프린터 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219B1
KR102078219B1 KR1020180016568A KR20180016568A KR102078219B1 KR 102078219 B1 KR102078219 B1 KR 102078219B1 KR 1020180016568 A KR1020180016568 A KR 1020180016568A KR 20180016568 A KR20180016568 A KR 20180016568A KR 102078219 B1 KR102078219 B1 KR 1020782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emperature
printing
nozz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6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0544A (ko
Inventor
이진규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16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219B1/ko
Priority to US16/620,817 priority patent/US10953658B2/en
Priority to PCT/KR2019/001560 priority patent/WO2019156496A1/ko
Publication of KR20190100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0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2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2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1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106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using only liquids or viscous materials, e.g. depositing a continuous bead of viscou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33Y40/10Pre-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05Means for applying layers
    • B29C64/209Heads;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55Enclosures for the building material, e.g. powde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2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64/295Heat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21Fee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64Conditioning of environ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30/00Apparatus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 A23P2020/253Coating food items by printing onto them; Printing layers of food produ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oxicology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기 인쇄 재료를 외부로 송출하는 압출부를 구비하는 재료 수용 유닛,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재료 수용 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인쇄 재료를 인쇄 영역으로 분출하는 노즐부와, 상기 인쇄 영역에서의 제1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조절부를 구비하는 프린팅 유닛 및 상기 재료 수용 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인쇄 재료를 상기 프린팅 유닛의 노즐부로 안내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제2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조절부를 구비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린터 장치{APPARATUS FOR PRINTING}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프린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3차원 프린터 기술은 Computer Aided Design(CAD)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도면에 대응되는 출력물을 절삭가공없이 층층이 쌓는 방식으로 복잡한 구조물을 빠른 시간 안에 제작할 수 있는 기술이다. 최근 이 기술은 시제품 제작을 넘어서, 의료, 자동차, 선박, 신발 등의 산업에 활발하게 활용되고 있다.
3D 프린터는 광경화수지에 레이져 광을 주사하여 주사된 부분이 경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SLA 방식(StereoLithography Apparatus)과, SLA 방식에서 광경화수지 대신에 기능성 고분자 또는 금속분말을 사용하며 레이저 광선을 주사하여 고결시켜 성형하는 원리를 이용한 SLS방식(Slective Laser Sintering)과, FDM방식(Fused Deposition Modeling)과, 광경화수지가 저장된 저장조의 하부로 광을 조사하여 부분적으로 경화되는 원리를 이용한 DLP방식(Digital Light Processing)이 있다.
이러한 3차원 프린터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출력물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기술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식품 재료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식품 재료용 프린터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기 인쇄 재료를 외부로 송출하는 압출부를 구비하는 재료 수용 유닛,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재료 수용 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인쇄 재료를 인쇄 영역으로 분출하는 노즐부와, 상기 인쇄 영역에서의 제1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조절부를 구비하는 프린팅 유닛 및 상기 재료 수용 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인쇄 재료를 상기 프린팅 유닛의 노즐부로 안내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제2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조절부를 구비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료 수용 유닛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인쇄 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재료 수용 유닛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인쇄 재료의 제3 온도를 조절하는 제3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유닛은 상기 인쇄 영역과 상기 노즐부 사이의 사이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고, 상기 사이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환경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내면(內面)의 적어도 일부에 나선구조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이송 유닛과 연결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인쇄 재료를 분출하는 노즐 헤드와, 상기 노즐 헤드의 제4 온도를 조절하는 제4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4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노즐 헤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열전소자(peltier)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재료 수용 유닛과 프린팅 유닛을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배치시킴으로써, 인쇄 재료를 효율적으로 프린팅 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고, 인쇄 과정에서 재료의 교반 또는 압출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식재료 특성에 대응되는 온도로 인쇄 재료를 공급, 이송, 분출할 수 있어 인쇄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프린터 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재료 수용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이송 유닛의 일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노즐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직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막, 영역, 구성요소들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들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예컨대, 본 명세서에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었다고 할 때,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된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간접적으로 전기적 연결된 경우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장치(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프린터 장치(10)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재료 수용 유닛(1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이송 유닛(120)의 일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의 노즐부(131)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장치(10)는 재료 수용 유닛(110), 프린팅 유닛(130) 및 이송 유닛(120)을 구비할 수 있다.
재료 수용 유닛(110)은 적어도 하나의 인쇄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부(111)와, 수용부(111) 내에 수용된 인쇄 재료를 외부로 송출하는 압출부(112)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인쇄 재료는 식재료일 수 있다. 식재료는 음식 재료뿐만 아니라, 식품 제조에 필요한 재료들, 예를 들면, 식용 색소, 향신료와 같은 식품 첨가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인쇄 재료는 반드시 식재료일 필요는 없으며, 인쇄가능한 어떠한 재료도 프린터 장치(10)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용부(111)는 적어도 하나의 인쇄 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수용부(111)는 일측에 수용부(111) 내부로 압력을 인가하는 압출부(112)가 배치되며, 일측에 대향되는 타측에 인쇄 재료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배출구는 외부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어 이송 유닛(120)과 연결될 수 있다.
압출부(112)는 수용부(111)의 일측에 배치되어, 배출구로 인쇄 재료가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압력을 인가할 수 있다. 압출부(112)는 플런저(plunger) 형태로 수용부(111) 내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압출부(112)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모터,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또는 리니어 액츄에이터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압출부(112)는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식재료 특성에 대응되는 압출 속도로 인쇄 재료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인쇄 재료는 재료 특성에 의해 점성이 다를 수 있는데, 압출부(112)는 이에 대응되는 압출 속도로 압력을 인가함으로써, 효율적으로 인쇄 재료를 외부로 송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료 수용 유닛(110)은 교반부(113) 및 제3 온도조절부(11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교반부(113)는 수용부(111)와 연결되어 수용부(111)를 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교반부(113)는 수용부(111) 내에 수용된 인쇄 재료를 혼합시킬 수 있다. 교반부(113)는 예를 들면, 오비탈 쉐이커(orbital shake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오비탈 쉐이커는 수평궤적 운동을 하는 쉐이킹 플랫폼 위에 플라스크(flask), 비이커(beaker), 또는 테스트 튜브(test tube) 등과 같은 시료 용기를 고정시키고 나서 쉐이킹 플랫폼을 수평궤적에 따라 운동시켜, 시료 용기에 수용된 액체, 고체 또는 액체와 고체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시료를 원형으로 유동시키면서 혼합시키는 장치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교반부(113)는 오비탈 쉐이커에 상기한 수용부(111)를 고정시키고 수평 궤적에 따라 운동시킴으로써, 수용부(111) 내부에 수용된 인쇄 재료를 혼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교반부(113)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장치(10)는 수용부(111) 내의 인쇄 재료를 균일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다.
한편, 제3 온도조절부(114)는 수용부(111)에 수용된 인쇄 재료의 제3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3 온도조절부(114)는 수용부(111) 내에 수용된 인쇄 재료를 가열하여 인쇄 재료의 점성을 감소시켜 유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3 온도조절부(114)는 식재료 특성에 따라 수용부(111)의 제3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제3 온도조절부(114)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수용부(111)의 제3 온도를 감지하는 제3 온도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온도값에 기초하여 제3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재료 수용 유닛(110)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에는 서로 다른 인쇄 재료가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재료 수용 유닛(110)은 공간적으로 프린팅 유닛(130)과 분리 배치됨으로써, 교반 과정 또는 압출 과정이 프린팅 과정과 서로 간섭되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이송 유닛(120)은 재료 수용 유닛(110)으로부터 프린팅 유닛(130)으로 인쇄 재료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 유닛(120)은 이송관(121)과 제2 온도조절부(122)를 구비할 수 있다.
이송관(121)은 인쇄 재료가 이송되는 통로로서, 내면의 적어도 일부에 나선구조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 재료는 재료 수용 유닛(110)의 압출부(112)로부터 인가되는 압력에 의해 이송관(121)을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송관(121)의 내면에 나선구조의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 인쇄 재료가 효과적으로 프린팅 유닛(130)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송관(121)은 열 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송관(121)은 금(Au), 은(Ag), 구리(Cu), 알루미늄(Al)과 같이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관(121)은 제2 온도조절부(122)로부터 공급되는 열이 이송관(121) 전반에 걸쳐 균일성을 갖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온도조절부(122)는 이송관(121)의 제2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2 온도조절부(122)는 줄 히팅(Joule heating)을 이용할 수 있다. 제2 온도조절부(122)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열선으로 이루어져 이송관(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피치(pitch)를 갖도록 이송관(121)을 감쌀 수 있다. 제2 온도조절부(122)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송관(121)의 제2 온도를 감지하는 제2 온도센서부로부터 생성된 온도값에 기초하여 제2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2 온도조절부(122)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일정한 간격으로 이송관(121)과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제2 온도조절부(122)는 동일한 온도를 갖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 개의 제2 온도조절부(122)는 인쇄 재료가 이동하는 각 위치에서의 요구되는 온도를 갖도록 각각 제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재료 수용 유닛(110)에 인접한 제2 온도조절부(122)의 온도는 이송관(121)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는 제2 온도조절부(122)의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제어함으로써, 재료 수용 유닛(110)으로부터 좀 더 효과적으로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또는, 이와 반대로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린팅 유닛(130)은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재료 수용 유닛(110)으로부터 제공받은 인쇄 재료를 인쇄 영역으로 분출하는 노즐부(131)와, 인쇄 영역(PA)에서의 제1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조절부(132)를 구비할 수 있다.
노즐부(13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관(1315), 노즐 헤드(1311) 및 제4 온도조절수단(1313)을 구비할 수 있다. 공급관(1315)은 이송 유닛(120)과 연결되어 이송 유닛(120)에 의해 이송된 인쇄 재료를 노즐 헤드(1311)로 공급할 수 있다. 노즐 헤드(1311)는 공급관(1315)로부터 공급되는 인쇄 재료를 분출할 수 있다. 이러한 노즐부(131)는 위치 조절 수단(135)에 연결될 수 있는데, 위치 조절 수단(135)은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X축, Y축, Z축의 방향을 따라 상기한 노즐부(13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 장치(10)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구비하고, 제어부(미도시)에 저장된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노즐부(131)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미도시)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4 온도조절수단(1313)은 노즐 헤드(1311)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노즐 헤드(1311)의 제4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인쇄 재료가 토출될 때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4 온도조절수단(1313)은 노즐 헤드(1311)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열전 소자(peltier)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열전 소자란 펠티에 효과를 이용하여 온도를 조절하는 수단을 의미한다. 펠티에 효과란, 어떤 종류의 금속을 짝지어 전류를 흐르게 하면 한쪽 접점은 발열하고, 다른 쪽 접점은 흡열(냉각)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열전 소자(Thermoelectric module)는 n, p 형 열전 반도체(Thermoelectric semiconductor)를 전기적으로는 직렬로, 열적으로는 병렬로 되도록 Γ형으로 연결한 모듈의 형태로 사용된다. 즉, p형 소자와 n형 소자를 금속전극에 접합시킨 Γ형 직렬회로에서, p-n상(couple) 양분지단의 전극을 각각 -, +로 되도록 전류를 n형에서 p형으로 흘리면, p형 소자 내의 정공은 -극으로, n형 소자 내의 전자는 +전극으로 이끌리게 된다. 이때 정공과 전자 모두 일 측의 p-n접합부 전극으로부터 열을 갖고 타 측의 양분지단 전극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부의 접합부는 냉각되어 주위로부터 열을 흡수하고, 하부의 양분지단은 열을 방출한다. 이러한 현상을 펠티에(Peltier) 효과라고 하며, 전자냉각의 원리가 될 뿐만 아니라 히트 펌프(heat-pump)의 역할도 수행한다.
즉, 펠티에(Peltier) 효과는 동일한 형상을 갖는 두 개의 서로 다른 금속으로 이루어진 회로에 직류전기를 흘리면 한 접합부에서는 흡열이 일어나고 다른 접합부에서는 발열이 일어나며, 전류의 방향을 반대로 하면 흡열과 발열이 반대로 일어나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는 양단면이 연결된 두 다른 금속에 전기적 부하를 걸었을 때 금속의 각기 다른 양단면에서 발열과 냉각이 동시에 일어나는 현상으로서 수식으로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l Q p l = αab * Tj * I = π * I
여기서, l Qp l = 단위 시간에 발생하는 열량의 절대값, αab = 주위 온도에 따른 a,b 두 금속의 상대 열전능, π = αab * Tj = 펠티에 계수, I = 전류를 나타낸다.
결국 펠티에(Peltier) 효과는 두 가지의 다른 물질들 간의 접합을 거쳐 전류가 흐를 때 일어나는 열의 방출과 흡수를 의미한다. 전류가 어떤 한 방향으로 흐를 때 열이 발생한다면, 전류가 그 반대방향으로 흐르면 열을 흡수하기 때문에, 펠티에(Peltier) 효과는 가역적이다. 접합에 전류가 흐르면 도체에 전류가 흐를 때 생기는 줄(Joule) 열효과에 추가하여, 펠티에(Peltier) 효과에 의한 열 발생이나 흡수가 발생한다.
상기한 열전소자로 이루어진 제4 온도조절수단(1313)은 식재료 특성에 따라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초콜릿과 같은 식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 제4 온도조절수단(1313)은 초콜릿이 굳지 않으면서 토출될 수 있는 적정 온도로 노즐 헤드(1311)를 가열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젤라틴과 같은 식재료를 이용하는 경우에, 제4 온도조절수단(1313)은 젤라틴이 일정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적정 온도로 노즐 헤드(1311)를 냉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식재료 특성에 대응되는 제4 온도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화되어 제어부(미도시)에 저장될 수 있으며, 제어부(미도시)는 이를 이용하여 노즐 헤드(1311)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프린팅 유닛(130)은 인쇄 영역(PA)이 구비되는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플레이트에는 제1 온도조절부(132)가 연결되어, 인쇄 영역(PA)의 제1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온도는 노즐부(131)로부터 분출되어 인쇄된 인쇄 재료가 그 재료특성을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온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온도는 제4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온도는 인쇄된 대상체에 필요한 온도로서, 제4 온도와 다를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프린팅 유닛(130)은 제1 온도를 감지하는 제1 온도센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프린팅 유닛(130)은 인쇄 영역(PA)과 노즐부(131) 사이의 사이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고, 사이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환경유지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유지부(133)는 노즐부(131), 구체적으로 노즐 헤드(1311)와 인쇄 영역(PA) 사이의 공간을 차폐시키는 차폐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경유지부(1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유연한 재질을 갖는 커버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일정한 형상을 갖는 챔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환경유지부(133)는 외부에서 인쇄 과정을 관찰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환경유지부(133)는 단열 재질로 이루어져, 노즐부(131)와 인쇄 영역(PA) 사이공간의 온도가 외부 환경에 의해 변화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환경유지부(133)는 투습이 어려운 재질로 이루어져 사이 공간의 습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환경유지부(133)는 필요에 따라 사이 공간으로 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수분공급수단을 더 구비하여, 습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환경유지부(133)는 노즐부(131)와 인쇄 영역(PA) 사이 공간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 또는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를 더 구비하여, 측정되는 값에 기초하여 사이공간의 환경을 유지할 수 있다.
전술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재료 수용 유닛과 프린팅 유닛을 공간적으로 분리하여 배치시킴으로써, 인쇄 재료를 효율적으로 프린팅 유닛으로 공급할 수 있고, 인쇄 과정에서 재료의 교반 또는 압출에 의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인쇄가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프린터 장치는 식재료 특성에 대응되는 온도로 인쇄 재료를 공급, 이송, 분출할 수 있어 인쇄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프린터 장치
110: 재료 수용 유닛
111: 수용부
112: 압출부
113: 교반부
114: 제3 온도조절부
120: 이송 유닛
121: 이송관
122: 제2 온도조절부
130: 프린팅 유닛
131: 노즐부
132: 제1 온도조절부
133: 환경유지부
135: 위치 조절 수단
1311: 노즐 헤드
1313: 제4 온도조절수단
1315:공급관

Claims (7)

  1. 적어도 하나의 인쇄 재료를 수용하는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 내에 수용된 상기 인쇄 재료를 외부로 송출하는 압출부와, 상기 수용부와 연결되어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인쇄 재료를 교반시키는 교반부를 구비하는 재료 수용 유닛;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재료 수용 유닛으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인쇄 재료를 인쇄 영역으로 분출하는 노즐부와, 상기 인쇄 영역에서의 제1 온도를 조절하는 제1 온도조절부를 구비하는 프린팅 유닛; 및
    상기 재료 수용 유닛으로부터 송출되는 상기 인쇄 재료를 상기 프린팅 유닛의 노즐부로 안내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제2 온도를 조절하는 제2 온도조절부를 구비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압출부는 사전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인쇄 재료의 특성에 대응되는 압출 속도로 상기 인쇄 재료를 외부로 송출하고,
    상기 교반부는 상기 수용부 내의 상기 인쇄 재료를 균일한 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출부가 상기 인쇄 재료를 송출하는 방향과 다른 수평궤적에 따라 상기 수용부를 운동시키는, 프린터 장치.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 수용 유닛은 상기 수용부에 수용된 상기 인쇄 재료의 제3 온도를 조절하는 제3 온도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팅 유닛은 상기 인쇄 영역과 상기 노즐부 사이의 사이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고, 상기 사이 공간의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하는 환경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관은 내면(內面)의 적어도 일부에 나선구조의 요철이 형성된, 프린터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부는 상기 이송 유닛과 연결되는 공급관과, 상기 공급관으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인쇄 재료를 분출하는 노즐 헤드와, 상기 노즐 헤드의 제4 온도를 조절하는 제4 온도조절수단을 구비하는, 프린터 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온도조절수단은 상기 노즐 헤드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열전소자(peltier)를 포함하는, 프린터 장치.
KR1020180016568A 2018-02-09 2018-02-09 프린터 장치 KR1020782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68A KR102078219B1 (ko) 2018-02-09 2018-02-09 프린터 장치
US16/620,817 US10953658B2 (en) 2018-02-09 2019-02-08 Printer apparatus
PCT/KR2019/001560 WO2019156496A1 (ko) 2018-02-09 2019-02-08 프린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6568A KR102078219B1 (ko) 2018-02-09 2018-02-09 프린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0544A KR20190100544A (ko) 2019-08-29
KR102078219B1 true KR102078219B1 (ko) 2020-02-17

Family

ID=675480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6568A KR102078219B1 (ko) 2018-02-09 2018-02-09 프린터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953658B2 (ko)
KR (1) KR102078219B1 (ko)
WO (1) WO20191564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2423A1 (en) * 2018-07-31 2021-11-25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oisture content adjustments in build material transport paths
IL284206B1 (en) * 2018-12-20 2024-05-01 Jabil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temperature maintenance of a printhead fusing coil for additive manufacturing
DE102019202660A1 (de) * 2019-02-27 2020-08-27 Airbus Operations Gmbh 3D-Druckvorrichtung
CN112373027A (zh) * 2020-11-03 2021-02-19 西安昆仑工业(集团)有限责任公司 一种复合挤出3d打印喷头及3d打印机
CN113977942B (zh) * 2021-10-26 2022-08-02 浙江同擎科技有限公司 一种适用于义齿高效打印的基板更换装置
EP4316840A1 (en) * 2022-08-03 2024-02-07 Sartorius Stedim Fmt Sas Sterile enclosure and a method of printing and culturing a biological three-dimensional structur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17B1 (ko) 2014-05-09 2016-07-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전소자를 활용한 3d 프린터
KR101694733B1 (ko) 2015-04-10 2017-01-12 한국광기술원 3d 프린터를 이용한 팬텀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101776616B1 (ko) * 2015-10-02 2017-09-11 주식회사 쓰리디컨트롤즈 금속 분말 함유 원료를 이용한 3차원 프린팅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9067A (ko) * 2013-05-24 2016-01-25 내츄럴 머신즈 인코포레이티드 적층가공 3차원 인쇄기술을 사용하여 식품을 가공하기 위한 장치, 방법 및 시스템
KR20150139216A (ko) * 2014-06-03 2015-12-11 (주)하이비젼시스템 삼차원 프린터의 노즐부 냉각 장치
KR101712359B1 (ko) * 2014-12-12 2017-03-06 김형석 3차원 프린터의 원료 공급 장치
KR20160118606A (ko) * 2015-04-02 2016-10-12 (주)하이비젼시스템 삼차원 프린터의 내부 온도 유지 장치
KR101725876B1 (ko) * 2015-08-10 2017-04-12 주)봇메이커 나선형 공급관로가 형성된 3차원 프린터 공급노즐
KR101765316B1 (ko) * 2015-12-21 2017-08-07 충남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3d 출력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9717B1 (ko) 2014-05-09 2016-07-15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열전소자를 활용한 3d 프린터
KR101694733B1 (ko) 2015-04-10 2017-01-12 한국광기술원 3d 프린터를 이용한 팬텀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조 방법
KR101776616B1 (ko) * 2015-10-02 2017-09-11 주식회사 쓰리디컨트롤즈 금속 분말 함유 원료를 이용한 3차원 프린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094562A1 (en) 2020-03-26
US10953658B2 (en) 2021-03-23
WO2019156496A1 (ko) 2019-08-15
KR20190100544A (ko) 2019-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8219B1 (ko) 프린터 장치
US20170271843A1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with laser assembly
US20140042657A1 (en) Printed circuit board with integrated temperature sensing
EP3012079A1 (en) Curing apparatus for 3d printer, using ultraviolet light emitting diode
US20170056970A1 (en) Control of a three-dimensional printing process using estimated thermal parameters
US6917638B2 (en) Heat radiator for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king it
CN108367354A (zh) 用于借助层构造技术和可控制的粉末隆起制造3d成型件的方法和装置
US2020004741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Heat For Improved Extrudate Flow In Three-Dimensional (3D) Printing
US20170082564A1 (en) Heat flow distribution measurement device
KR101968120B1 (ko) 열유속센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이용하는 열류발생장치
JP2017185778A (ja) 3d印刷装置およびプリントヘッドモジュール
US20230081209A1 (en) 3d printing device having an advantageous geometry of the build area
KR102182703B1 (ko) 인쇄 헤드 모듈
ES2841915T3 (es) Impresión 3D en metal con precalentamiento local
US10723068B2 (en) Additive manufacturing by selective liquid cooling
JP6218891B1 (ja) 樹脂成形装置、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及び製品の製造方法
US20220402209A1 (en) 3d printer with advantageous irradiation device, and method
US20190307025A1 (en) Active thermal management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 of achieving device-to-device isothermalization
US20180361667A1 (en) Print Beds, 3-D Printer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s for Regulation of a Temperature of a Print Bed
KR102244425B1 (ko) 반송 장치, 수지 성형 장치 및 수지 성형품의 제조 방법
US10843407B2 (en) Three-dimensional printing system
KR20150139216A (ko) 삼차원 프린터의 노즐부 냉각 장치
US6829263B1 (en) Semiconductor laser
KR102449501B1 (ko) 3d 프린터의 lcd 패널 냉각 장치
US11911825B2 (en) Fusing electronic components into three-dimensional objects via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