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541B1 - 휴대용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541B1
KR102077541B1 KR1020150144970A KR20150144970A KR102077541B1 KR 102077541 B1 KR102077541 B1 KR 102077541B1 KR 1020150144970 A KR1020150144970 A KR 1020150144970A KR 20150144970 A KR20150144970 A KR 20150144970A KR 102077541 B1 KR102077541 B1 KR 10207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tray
electronic device
housing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4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45054A (ko
Inventor
최종민
조성건
김웅찬
박대형
조성주
최영식
양순웅
이민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44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541B1/ko
Priority to US15/270,449 priority patent/US10082834B2/en
Priority to CN202110544493.5A priority patent/CN113395077A/zh
Priority to AU2016339490A priority patent/AU2016339490B2/en
Priority to PCT/KR2016/011130 priority patent/WO2017065448A1/en
Priority to DE202016008889.1U priority patent/DE202016008889U1/de
Priority to CN202410095180.XA priority patent/CN117895959A/zh
Priority to CN202110960743.3A priority patent/CN113630136B/zh
Priority to EP21192085.5A priority patent/EP3936975A1/en
Priority to CN201680060114.2A priority patent/CN108141240A/zh
Priority to EP20217078.3A priority patent/EP3826189A1/en
Priority to EP16855665.2A priority patent/EP3342049A4/en
Publication of KR201700450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5054A/ko
Priority to US16/039,845 priority patent/US10310562B2/en
Priority to US16/387,044 priority patent/US10656681B2/en
Priority to AU2020200240A priority patent/AU202020024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541B1/ko
Priority to US16/860,557 priority patent/US11119541B2/en
Priority to US17/401,935 priority patent/US11899500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58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the mounting of internal components, e.g. disc drive or any other functional mo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3/00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 G06K13/02Conveying record carriers from one station to another, e.g. from stack to punching mechanism the record carrier having longitudinal dimension comparable with transverse dimension, e.g. punched card
    • G06K13/08Feeding or discharging cards
    • G06K13/0806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 G06K13/0812Feeding or discharging cards using an arrangement for ejection of an inserted card the ejection arrangement utilizing a push bar for manipulation by hand in order to eject the inserted car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001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 G06K7/00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plurality of cards in the same insertion slot
    • G06K7/0043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galvanic contacts, e.g. card connectors for ISO-7816 compliant smart cards or memory cards, e.g. SD card readers the connector being capable of simultaneously receiving a plurality of cards in the same insertion slot the plurality of cards being cards of different formats, e.g. SD card and memory sti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04B1/3818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insertion or removal of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정면을 형성하는 정면 (front) 유리 커버;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정면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후면 커버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separately) 형성되고, 제1 크기의 제1 오프닝 및 상기 제1 오프닝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제2 오프닝을 포함하는 베젤; 상기 공간 내에 내장되고, 상기 정면 커버를 통하여 노출된 화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공간 내로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메모리 카드 또는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공간 내로의 삽입시 상기 트레이를 홀드하는 제1 멤버, 및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하여 삽입되는 외부 부재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멤버가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외부로 릴리즈하기 위한 제2 멤버; 및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 2 멤버와 접촉하는 제 1 단부, 및 상기 외부 부재와 접촉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방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 장치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으로, 예를 들면, 저장 매체를 수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 장치라 함은, 가전제품으로부터,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 영상/음향 장치, 데스크톱 / 랩톱 컴퓨터, 차량용 내비게이션 등,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저장된 정보를 음향이나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초고속, 대용량 무선통신이 보편화되면서, 최근에는, 이동통신 단말기 하나에 다양한 기능이 탑재되고 있다. 예를 들면, 통신 기능뿐만 아니라, 게임과 같은 엔터테인먼트 기능, 음악/동영상 재생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능, 모바일 뱅킹 등을 위한 통신 및 보안 기능, 일정 관리나 전자 지갑 등의 기능이 하나의 전자 장치에 집약되고 있는 것이다.
전자 수첩,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이동통신 단말기, 태블릿 PC와 같이 휴대하고 다니면서 사용하는 전자 장치들을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와 배터리를 탑재하고 있으며, 바형, 폴더형, 슬라이딩형의 외관을 가지고 있었다. 최근에는 전자통신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전자 장치가 소형화되어, 손목(wrist)이나 두부(head)와 같은 신체의 일부에 착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가 상용화되기에 이르렀다. 또한, 전자 장치의 디자인을 중시하는 사용자의 선호도에 따라, 금속 소재로 이루어진 케이스 또는 케이스의 일부(예: 케이스의 테두리)를 구비한 전자 장치가 등장하고 있고, 배터리가 전자 장치에서 탈착되지 않고 전자 장치의 내부에 일체로 고정되는 전자 장치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는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SIM car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card)나 메모리 카드 등 저장 매체를 이용하여 사용자 인증 등의 보안 기능이나 저장 용량을 확장하는데 활용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는 소켓이 설치되어 저장 매체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는데, 전자 장치의 구조에 따라 저장 매체를 트레이에 장착하여 전자 장치의 내부로 삽입할 수 있다.
전자 장치에는 트레이를 전자 장치에서 배출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된 경우, 이러한 홀을 통해 외부로부터 물, 먼저 등 이물질이 전자 장치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전자 장치에 형성된 홀을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방진 구조를 가진 전자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portable terminal)는, 전자 장치의 정면을 형성하는 정면 (front) 유리 커버;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정면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후면 커버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separately) 형성되고, 제1 크기의 제1 오프닝 및 상기 제1 오프닝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제2 오프닝을 포함하는 베젤; 상기 공간 내에 내장되고, 상기 정면 커버를 통하여 노출된 화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공간 내로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메모리 카드 또는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공간 내로의 삽입시 상기 트레이를 홀드하는 제1 멤버, 및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하여 삽입되는 외부 부재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멤버가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외부로 릴리즈하기 위한 제2 멤버; 및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멤버와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외부 부재와 접촉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방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제1 오프닝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제1 멤버; 메모리 카드 또는 SIM 카드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제1 멤버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레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 오프닝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2 오프닝;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오프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을 따라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에 접촉하는 방수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부분의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릴리즈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오프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오프닝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오프닝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진 제2 오프닝;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삽입/ 배출되는 트레이; 상기 제2 오프닝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오프닝 내에서 왕복 이동되는 핀; 및 상기 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제공되는 트레이의 헤드; 상기 트레이의 헤드에 형성되는 트레이 홀; 및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제2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방수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 오프닝의 내면 사이를 밀봉하고, 상기 트레이 홀은 상기 제2 오프닝과 정렬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2 오프닝의 일부분을 밀봉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제2 오프닝을 통해 베젤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방수 부재는 외력을 받은 경우 제2 오프닝에서 이동되어, 트레이에 외력을 전달하여 트레이가 베젤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2 오프닝에 외부 부재가 삽입되어 트레이가 외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크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트레이가 제1 멤버에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트레이가 제1 멤버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태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이 제2 오프닝에 조립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멤버와 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1 멤버와 회로 기판이 베젤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제1 멤버에 트레이가 수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제1 멤버에 트레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멤버와 트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트레이가 베젤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트레이가 베젤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의 제2 오프닝에 제1 부분이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2 오프닝에 제1 부분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2 오프닝에 제1 부분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2 오프닝에 제1 부분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트레이가 베젤에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제1 부분이 제2 오프닝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동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회동부가 회동하여 트레이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실시예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및/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A 또는 B" 또는 "A 및/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을, 순서 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 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 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하드웨어적 또는 소프트웨어적으로 "~에 적합한," "~하는 능력을 가지는," "~하도록 변경된," "~하도록 만들어진," "~를 할 수 있는," 또는 또는 "~하도록 설계된"과 상호 호환적으로(interchangeably) 사용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웨어러블 장치는 액세서리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형(예: 스킨 패드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형 회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 보안 컨트롤 패널, 미디어 박스(예: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예: XboxTM, PlayStationTM),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드론(drone), 금융 기관의 ATM,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 (예: 전구, 각종 센서,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 경보기, 온도조절기, 가로등, 토스터,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 건물/구조물 또는 자동차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하거나, 또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2 오프닝에 외부 부재가 삽입되어 트레이가 외부로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정면을 형성하는 정면(front) 유리 커버(103),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커버 및 상기 정면 유리 커버(103) 및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의해 형성된 공간을 둘러싸는 베젤(10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면 유리 커버(103)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정면 유리 커버(103)는 유리 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지 않고, 강화 플라스틱 등 투명성을 가지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베젤(101)은 상기 후면 커버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separately)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101)은 제1 크기의 제1 오프닝, 및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오프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오프닝은 상기 제1 오프닝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젤(101)은 플라스틱(plastic) 재질,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베젤(101)은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젤(101)과 상기 후면 커버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베젤(101)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후면 커버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금속 재질의 베젤(101)는 상기 전자 장치(100)의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간에는 회로 기판이 구비되고, 상기 회로 기판은 상기 전자 장치(100)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제어부, 통신회로부 등을 탑재되고, 이어폰 잭, USB 커넥터와 연결되는 각종 연결단자들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베젤(101)에는 키패드, 수화부(111), 마이크 홀(107) 등 다양한 입출력 장치, 근조도 센서 등 다양한 센서 및 카메라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및 트레이(10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상기 공간 내에 내장되고, 상기 정면 유리 커버(103)를 통하여 노출된 화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정면 유리 커버(103)의 후면에 구비되고, 터치 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면 유리 커버(103)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을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정면 유리 커버는 상기 터치 패널과 일체로 구성되어 입력 장치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면 유리 커버(103)의 일면은 곡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면 유리 커버(103)의 양측면은 휘어지게 되어, 상기 정면 유리 커버(103)의 전면 뿐만 아니라 양측면에 영상 또는 아이콘 등 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05)는 저장 매체를 수용하는 홈을 포함하고, 베젤(101)의 일면, 예를 들면, 상기 베젤(101)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저장 매체(S)는 에스디 카드(secure digital card; SD card)나 마이크로 에스디 카드(micro SD card) 등 메모리 카드 또는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subscriber identity module card; SIM car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105)의 외측면은 상기 베젤(101)의 일면에 대응되는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젤(101)과 함께 상기 전자 장치(100)의 외형과 일체화된 외관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105)의 외측면에는 후술할 베젤(101)의 제2 오프닝에 대응하여 상기 트레이(105)를 인출하기 위한 트레이 홀(15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101)에 장착된 상기 트레이(105)를 상기 베젤(101)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트레이 홀(151)에는 외부 부재(109)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외부 부재(109)는 상기 트레이 홀(151)에 대응되는 로드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사용자가 그립할 수 있는 그립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클립, 펜, 상기 전자 장치에 탑재된 전자펜 또는 상기 제2 오프닝에 설치된 스위치 등 상기 제2 오프닝에 삽입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부 부재(109)가 상기 트레이 홀(151)에 삽입되면서 힘을 가하면, 상기 트레이(105)는 상기 베젤(101)에서 분리되면서 상기 베젤(101)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예와 유사한 및/또는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200)는 베젤(201), 디스플레이(203) 및 트레이(205, 206)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젤(201)의 상측면에는 이어폰 잭과 연결되는 제1 연결단자(215) 및 유에스비(USB) 단자와 연결되는 제2 연결단자(2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03)는 상기 베젤(201)의 전면을 이루면서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트레이(205, 206)들은 상기 베젤(201)의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트레이(205, 206)들 각각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205, 206)들은 서로 다른 저장 매체를 수용하여 상기 베젤(201)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트레이(205, 206)들은 메모리 카드를 수용하는 제1 트레이(205) 및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수용하는 제2 트레이(206)를 구비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트레이(205)는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수용하고, 상기 제2 트레이(206)는 메모리 카드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트레이(205) 및 상기 제2 트레이(206) 각각은 메모리 카드와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가 모두 구비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는 제1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와 제2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를 구비하고, 상기 제1 트레이(205) 및 상기 제2 트레이(206) 각각은 제1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와 제2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각각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레이(205)에는 제1 트레이 홈(25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트레이 홈(251)과 상기 제2 트레이 홈(261)의 내경이 동일하여 하나의 외부 부재가 상기 제1 트레이 홈(251) 및 상기 제2 트레이 홈(261)에 삽입되어 상기 제1 트레이(205)와 상기 제2 트레이(206)를 상기 베젤(201)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네트워크 환경(19) 내의 전자 장치(11)(예: 상술한 전자 장치(100, 200))가 기재된다. 전자 장치(11)는 버스(11a), 프로세서(11b), 메모리(11c), 입출력 인터페이스(11e), 디스플레이(11f), 및 통신 인터페이스(11g)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1)는, 구성요소들(11a-11g)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버스(11a)는, 예를 들면, 구성요소들(11b-11g)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 및/또는 데이터)을 전달하는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b)는, 중앙처리장치,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b)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1c)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c)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11c)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프로그램(18)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c)는, 예를 들면, 내장 메모리 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내장 메모리는, 예를 들면, 휘발성 메모리(예: DRAM, SRAM, 또는 SD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 (SSD)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플래시 드라이브(flash drive), 예를 들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 Mini-SD,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외장 메모리는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전자 장치(11)와 기능적으로 또는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그램(18)은, 예를 들면, 커널(18a), 미들웨어(18b),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18c),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또는 "어플리케이션")(18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널(18a), 미들웨어(18b), 또는 API(18c)의 적어도 일부는, 운영 시스템으로 지칭될 수 있다. 커널(18a)은, 예를 들면, 다른 프로그램들(예: 미들웨어(18b), API(18c),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d))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a), 프로세서(11b), 또는 메모리(11c)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8a)은 미들웨어(18b), API(18c),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d)에서 전자 장치(11)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함으로써, 시스템 리소스들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8b)는, 예를 들면, API(18c)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d)이 커널(18a)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8b)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d)으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우선 순위에 따라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미들웨어(18b)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18d) 중 적어도 하나에 전자 장치(11)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a), 프로세서(11b), 또는 메모리(11c)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작업 요청들을 처리할 수 있다. API(18c)는 어플리케이션(18d)이 커널(18a) 또는 미들웨어(18b)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영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1e)는, 예를 들면,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1)의 다른 구성요소(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전자 장치(11)의 다른 구성요소(들)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사용자 또는 다른 외부 기기로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f)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CD),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f)는, 예를 들면, 사용자에게 각종 콘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f)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의 일부를 이용한 터치, 제스쳐, 근접, 또는 호버링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g)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1)와 외부 장치(예: 제 1 외부 전자 장치(12), 제 2 외부 전자 장치(13), 또는 서버(14))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1g)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5)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예: 제 2 외부 전자 장치(13) 또는 서버(14))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 Advance),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블루투스, 블루투스 저전력(BLE),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자력 시큐어 트랜스미션(Magnetic Secure Transmission), 라디오 프리퀀시(RF), 또는 보디 에어리어 네트워크(BA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은 GNSS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 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일 수 있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GPS"는 "GNSS"와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15)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텔레폰 네트워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외부 전자 장치(12, 13) 각각은 전자 장치(1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13), 또는 서버(14)에서 실행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다른 장치(예: 전자 장치(12, 13), 또는 서버(14))에게 요청할 수 있다.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2, 13), 또는 서버(14))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트레이가 제1 멤버에 분리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트레이가 제1 멤버에 장착되는 모습을 나태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예와 유사한 및/또는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300)는 하우징(301), 회로 기판(302), 지지부(또는 후면 커버, 전면 커버)(303), 트레이(305) 및 핀(30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1)은 상기 베젤(301a)과 상기 후면 커버와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외형을 이루면서 상기 전자 장치의 기계적인 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302)은 상기 하우징(301)에 수용되고,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통신 모듈, 메모리, 오디오 모듈, 전원관리 모듈 등의 집적회로 칩, 저장 매체용 소켓, 각종 센서 및 커넥터, 안테나 장치나 외부 기기 접속용 커넥터 등의 전자 부품들이 탑재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3)는 상기 하우징(301)에 수용되면서 볼트 결합 방식을 통해 상기 하우징(301)의 내측면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3)는 상기 하우징(301)의 기계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내부의 각종 전자 부품들을 서로에 대하여 보호, 격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회로 기판(302)에는 집적 회로 칩 등 각종 전자 부품들이 탑재되는 바, 상기 하우징(301)의 전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미도시)와 전자 부품들이 접촉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의 손상을 유발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3)는 상기 회로 기판(302)과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 부품들이 상기 디스플레이에 직접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03)는 상기 전자 부품들이 작동하면서 발생되는 전자기파를 차폐하여 다른 전자 부품들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지지부(303)가 상기 회로 기판(302)과 상기 디스플레이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는 다른 전자 부품들의 전자기파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정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303)는 상기 회로 기판(302)을 장착, 고정할 수 있는 각종 구조물들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디스플레이를 지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의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303)는 상기 후면 커버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303)는 상기 베젤(301a)과 함께 상기 전자 장치의 외관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303)는 상기 전면 커버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베젤(301a)의 외측면에는 제1 오프닝(311)이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305)가 상기 제1 오프닝(311)을 경유하여 상기 베젤(301a)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젤(301a)에는 상기 제1 오프닝(311)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2 오프닝(3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프닝(312)에는 외부 부재(109, 도 1)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핀(307)은 상기 제2 오프닝(312)에 삽입되어 상기 제2 오프닝(312)의 일부분을 밀봉할 수 있다. 상기 핀(307)은 제1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핀(307)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제1 멤버(304)는 상기 하우징(301)의 내측면과 상기 회로 기판(302)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회로 기판(302)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멤버(304)는 상기 트레이(305)에 수용된 저장 매체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멤버(304)에는 상기 제1 멤버(304)에 장착된 트레이(305)를 상기 제1 멤버(304)에서 분리하도록 하는 제2 멤버(3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멤버(345)는 상기 제1 멤버(304)의 내측면과 인접하게 구비되면서 상기 제2 멤버(34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 멤버(345)는 상기 제1 멤버(304)의 내측면과 인접하게 구비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 멤버(304)의 외측면과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307)은 상기 제2 멤버(345)의 일단과 접할 수 있고, 상기 제2 멤버(345)에 힘을 전달하여 상기 제2 멤버(345)를 상기 제2 멤버(345)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트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405)는 저장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35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405)는 상기 메모리 카드 또는 상기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수용부(351)는 제1 저장 매체가 수용되는 제1 수용 공간(353), 제2 저장 매체가 수용되는 제2 수용 공간(354) 및 상기 제1 수용공간(353)과 상기 제2 수용 공간(354)를 분리하는 구획부(352)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저장 매체는 메모리 카드이고, 상기 제2 저장 매체는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일 수 있다. 반대로, 상기 제1 저장 매체는 사용자 식별 모듈 카드이고, 상기 제2 저장 매체는 메모리 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2 저장 매체는 메모리 카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405)에는 상기 제1 저장 매체와 상기 제2 저장 매체가 모두 수용되어 상기 제1 저장 매체와 상기 제2 저장 매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트레이(405)에는 상기 제1 저장 매체 또는 상기 제2 저장 매체 중 어느 하나만이 수용되더라도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트레이(305)의 일단(355)에는 상기 제2 오프닝(312)에 대응되는 트레이 홀(356)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핀(예: 제1 부분(307))는 상기 제2 오프닝(312, 도 5)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307)은 상기 제1 부분(307)의 일단로부터 연장된 제 2 단부(372) 및 상기 제1 부분(307)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방수 부재(37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방수 부재(375)은 제1 방수 부재(375)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307)은 플라스틱 재질 또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307)은 상기 제1 부분(307)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방수 부재의 일부분(375a)이 상기 홈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부분(307)의 단면의 장직경(R2)은 상기 제1 부분(307)의 단면의 단직경(R1)보다 작게 형성되어 상기 제1 부분(307)의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307)의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제1 부분(307)이 상기 제2 오프닝(312, 도 5)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 부분(307)의 중심에 대해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1 부분(307)의 단면이 타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원형 또는 다각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307)은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단부는 상기 외부 부재의 눌림에 의하여 상기 제2 멤버와 접촉할 수 있고, 제2 단부(372)는 상기 외부 부재에 의하여 눌릴 수 있다.
상기 제 2 단부(372)는 상기 제2 오프닝(312, 도 5)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게 되어 상기 제2 오프닝(312, 도 5)의 내측단에 걸릴 수 있다. 즉, 상기 제 2 단부(372)는 상기 제1 부분(307)이 상기 제2 오프닝(312, 도 5)을 관통하여 상기 베젤(301a)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방수 부재(375)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상기 방수 부재(375)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가진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방수 부재(375)는 상기 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는 제1 돌출부(375a) 및 상기 제1 돌출부(375a)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37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375a)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홈에 부착되거나 상기 제1 부분(307)과 함께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상기 제1 부분(307)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375b)는 상기 제1 돌출부(375a)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요소들이 조립되는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이 제2 오프닝에 조립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부분(307)은 상기 하우징(301)의 내부로부터 상기 하우징(301)의 외부 방향으로 상기 제2 오프닝(312)에 삽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단부(372, 도 12)가 상기 제2 오프닝(312)의 내측단에 걸릴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멤버와 회로 기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제1 멤버와 회로 기판이 하우징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멤버(304)은 상기 회로 기판(302)에 탑재되어 상기 회로 기판(3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멤버(304)는 상기 회로 기판(302)과 함께 상기 하우징(301)의 내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멤버(304)는 상기 제1 오프닝(311)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멤버(345)는 상기 제1 부분(307)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6은 도 14에 도시된 제1 멤버에 트레이가 수납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4에 도시된 제1 멤버에 트레이가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305)는 상기 제1 오프닝 (311)을 경유하여 상기 제1 멤버(304)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305)가 상기 제1 멤버(304)에 완전히 장착된 후, 상기 트레이(305)에 수용된 저장 매체는 상기 제1 멤버(304)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상기 회로 기판(30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멤버와 트레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예와 유사한 및/또는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트레이(405), 제1 멤버(404) 및 제2 멤버(441)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트레이(405)가 상기 제1 멤버(404)에서 배출되는 작동 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트레이(405)가 상기 제1 멤버(404)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멤버(441)가 제1 방향(①)으로 상기 외부 부재에 의해 눌리게 되면, 상기 제2 멤버(441)가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멤버(441)의 일부분이 상기 트레이(405)에 상기 제1 방향(①)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②)으로 힘을 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트레이(405)는 상기 제2 방향(②)으로 상기 제1 멤버(404)에서 배출될 수 있다.
도 19는 도 18에 도시된 트레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8에 도시된 트레이가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8에 도시된 트레이가 하우징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405)는 저장 매체를 수용하는 수용부(452), 상기 수용부(452)로부터 연장된 연장부(453), 및 상기 연장부(453)에 돌출 형성되는 다른(another) 방수 부재(455)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다른 방수 부재(455)는 제2 방수 부재(455)로 지칭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53)는 상기 수용부(452)와 상기 트레이의 헤드(451)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연장부(453)는 상기 연장부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는 트레이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른 방수 부재(455)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트레이 홈에 수용되는 제1 트레이 방수 부재(455a) 및 상기 제1 트레이 방수 부재(455a)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트레이 방수 부재(45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트레이 방수 부재(455a)는 접착제에 의해 상기 트레이 홈에 부착되거나 상기 연장부와 함께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상기 연장부(45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405)가 상기 제1 오프닝(411)을 통해 상기 하우징(401)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제2 트레이 방수 부재(455b)는 상기 제1 오프닝(411)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제1 오프닝(411)를 통해 외부로부터 물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헤드(451)은 상기 연장부(453)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의 헤드(451)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하우징(401)의 외관과 조화를 이룰 수 있다. 또한, 금속 재질의 트레이의 헤드(451)은 전자 장치의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트레이의 헤드(451)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부(452)와 상기 연장부(453)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트레이의 헤드(451)와 함께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수용부(452)와 상기 연장부(453)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플라스틱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의 제2 오프닝에 제1 부분이 조립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2 오프닝에 제1 부분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2 오프닝에 제1 부분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이다. 도 25는 도 22에 도시된 전자 장치의 제2 오프닝에 제1 부분이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2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부분(407)은 상기 제2 오프닝(412)에 삽입되어 상기 제1 부분(407)이 상기 제2 오프닝(412)의 일부분과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407)은 방수 부재(475)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부분(407)은 상기 제1 부분(407)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여 상기 방수 부재의 일부분(475a)이 상기 홈에 수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방수 부재(475)는 상기 홈에 수용되는 제1 돌출부(475a) 및 상기 제1 돌출부(475a)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돌출부(475b)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돌출부(475b)는 상기 제2 오프닝(412)의 내벽에 밀착되어 상기 제2 오프닝(412)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하우징(401)의 내부로 물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트레이가 하우징에서 배출되는 방법(S10)은 상기 제2 오프닝(412)에 상기 외부 부재(409)를 삽입시키는 동작(S11), 상기 외부 부재(409)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부분(예: 핀(407))에 힘을 인가하는 동작(S12), 상기 제1 부분(예: 핀(407))이 상기 제2 오프닝에서 이동하는 동작(S13), 상기 제1 부분(407)이 상기 제2 멤버(441)에 힘을 인가하여 상기 제2 멤버(441)가 상기 트레이(405)에 힘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인가하는 동작(S14) 및 상기 트레이(405)를 상기 하우징(40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작(S15)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2 오프닝(412)에 상기 외부 부재(409)를 삽입시키는 동작(S11)은 외부 부재(409)가 상기 트레이의 헤드(451)에 형성된 트레이 홈을 경유하여 상기 제2 오프닝(412)에 삽입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외부 부재(409)를 이용하여 상기 제1 부분(407)에 힘을 인가하는 동작(S12)은 상기 외부 부재(409)가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상기 방수 부재(475)에 힘을 가하는 동작일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407)이 상기 제2 오프닝에서 이동하는 동작(S13)는 상기 제2 돌출부(475b)가 상기 제2 오프닝(412)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는 동작으로서, 상기 제2 돌출부(475b)가 상기 제2 오프닝(412)의 내벽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되더라도 상기 제2 돌출부(475b)가 상기 제1 돌출부(475a)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홈에서 이탈되지 않고 상기 제1 부분(407)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삭제
상기 제2 멤버(441)가 상기 트레이(405)에 힘을 인가하는 동작(S14)은 상기 외부 부재(409)로부터 힘을 전달받은 상기 제1 부분(407)이 상기 제2 멤버(441)에 힘을 전달한 후, 상기 제1 부분(407)로부터 힘을 전달받은 제2 멤버(441)가 상기 트레이(405)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예: 상기 하우징(401)의 외측방향)으로 상기 트레이(405)에 힘을 인가하는 동작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멤버(441)가 상기 트레이(405)에 힘을 직접적으로 인가하는 동작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2 멤버(441)와 상기 트레이(405) 사이에 매개체(예: 후술할 회동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2 멤버(441)가 상기 매개체를 통해 간접적으로 상기 트레이(405)에 힘을 인가할 수 있다.
상기 트레이(405)를 상기 하우징(401)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동작(S15)는 상기 제2 멤버(441)로부터 힘을 인가받은 트레이(405)가 상기 제2 방향으로 배출되는 동작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부분(407)이 상기 제2 오프닝(412)을 밀봉하여 외부로부터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아울러 상기 제2 오프닝(412)을 통해 이동하여 상기 트레이(405)가 상기 하우징(401)에서 배출되는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도시된 제1 부분이 제2 오프닝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7 및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501), 제1 부분(507) 및 제2 멤버(54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예와 유사한 및/또는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507)은 홈(574), 제 2 단부(572) 및 방수 부재(57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방수 부재(575)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링(575)의 단면은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부분(507)이 상기 제2 오프닝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방수 부재(575)는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벽과 밀착되어 상기 제2 오프닝으로부터 이물질이 상기 하우징(501)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핀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베젤(601), 핀(607), 제2 멤버(641) 및 방수 부재(608)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예와 유사한 및/또는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상기 핀(607)은 제2 오프닝(612)에 삽입되어 제1 방향(①)의 외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2 멤버(641)에 외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방수 부재(608)는 상기 제2 오프닝(612)의 내벽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 오프닝(612)의 내벽에는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방수 부재(608)의 일부분(681)이 상기 그루브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방수 부재(608)는 상기 그루브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오프닝(612)의 내벽에 결합되는 제1 방수 구조(681)와 상기 제1 방수 구조(681)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된 제2 방수 구조(68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수 구조(683)는 상기 제1 방수 구조(68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핀(607)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다.
도 3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제1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예와 유사한 및/또는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수 부재(608a)는 제1 방수 구조(681a) 및 제2 방수 구조(683b)를 구비하고, 상기 제2 오프닝(612)의 내측단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수 부재(608a)가 상기 제2 오프닝(612)의 내측단에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 방수 구조(681a)를 수용하는 그루브를 제작하기 용이할 수 있다.
도 3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수 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예와 유사한 및/또는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3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는 하우징(701), 핀(707), 제2 멤버(741) 및 방수 부재(70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부재(708)는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벽에 인접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방수 부재(708)는 상기 제2 오프닝의 입구에 부착되는 제1 방수 구조(781) 및 상기 제1 방수 구조(781)로부터 연장되어 돌출 형성되는 제2 방수 구조(78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수 구조(783)는 상기 핀(707)의 외주면을 따라 밀착되어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해 상기 하우징(701)의 내부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방수 부재(708)는 상기 제2 오프닝의 외측에 구비됨에 따라, 방수 부재의 파손시 방수 부재(708)의 교체가 용이할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또 다른 하나에 따른 전자 장치의 회동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에 도시된 회동부가 회동하여 트레이가 배출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선행 실시예와 유사한 및/또는 선행 실시예를 통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는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의 참조번호를 동일하게 부여하거나 생략하고, 그 상세한 설명 또한 생략될 수 있다
도 32 및 도 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오프닝을 구비하는 하우징(801), 트레이(805), 핀(807) 및 회동부(8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핀(807)는 하우징(801)에 형성된 제2 오프닝(812)에 구비되어 상기 제2 오프닝(812)의 일부분을 밀봉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부(804)는 상기 제2 오프닝(812)과 상기 제1 오프닝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회동부(804)는 상기 핀에 걸리는 제1 회동 부분(843), 상기 제1 회동 부분(843)와 연결되면서 상기 트레이(805)의 일단에 걸리는 제2 회동 부분(845) 및 상기 제1 회동 부분(843)와 상기 제2 회동 부분 사이에 배치되는 제3 회동 부분(8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3 회동 부분(841)는 상기 하우징(801)에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3 회동부(843)가 상기 제3 회동 부분(841)를 중심으로 회동될 수 있다.
외부 부재(미도시)가 상기 제1 방향(①)으로 상기 제2 오프닝(812)에 삽입되면, 상기 외부 부재가 상기 핀(807)을 가압하여 상기 핀(807)이 상기 제2 오프닝(812)에서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핀(807)은 상기 제1 회동 부분(843)에 걸려 상기 제1 회동 부분(843)를 상기 제3 회동 부분(841)에 대해 회동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회동 부분(845)는 상기 트레이(805)의 일단에 힘을 가하게 되어 상기 트레이(805)가 상기 제2 방향(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의 정면을 형성하는 정면 (front) 유리 커버; 상기 전자 장치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커버; 상기 정면 커버 및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둘러싸며, 상기 후면 커버와 일체로 또는 별도로(separately) 형성되고, 제1 크기의 제1 오프닝 및 상기 제1 오프닝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크기보다 작은 제2 크기의 제2 오프닝을 포함하는 베젤; 상기 공간 내에 내장되고, 상기 정면 커버를 통하여 노출된 화면 영역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공간 내로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메모리 카드 또는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홈을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트레이가 상기 공간 내로의 삽입시 상기 트레이를 홀드하는 제1 멤버, 및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하여 삽입되는 외부 부재에 의한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1 멤버가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외부로 릴리즈하기 위한 제2 멤버; 및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외력에 의하여 상기 제2 멤버와 접촉하는 제1 단부, 및 상기 외부 부재와 접촉하는 제2 단부, 및 상기 제1 단부 및 상기 제2 단부 사이에 방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 및 상기 제1 부분 사이의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방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 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홈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홈에 수용되어 상기 제1 부분에 결합되는 제1 돌출부; 및 상기 제1 돌출부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제2 오프닝의 상기 내면에 접촉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회동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의 일단을 밀어 상기 트레이의 상기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외부로 릴리즈하기 위한 회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오프닝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동부에서 상기 회동이 생성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는 제1 회동 부분; 상기 트레이의 상기 일단에 연결되는 제2 회동 부분; 및 상기 제1 회동 부분과 상기 제2 회동 부분의 사이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젤에 결합되는 제3 회동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트레이는, 상기 메모리 카드 또는 상기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트레이의 일단 사이에, 상기 제1 오프닝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다른(another) 방수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제1 오프닝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제1 멤버; 메모리 카드 또는 SIM 카드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제1 멤버에 장착 또는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레이; 상기 하우징에 상기 제1 오프닝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2 오프닝;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오프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의 외주면의 일부 영역을 따라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에 접촉하는 방수 부재가 형성되고,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릴리즈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부로 릴리스되도록 상기 외력을 상기 트레이에 전달하기 위한 제2 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부분은, 상기 외력을 상기 제2 멤버에 전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내부 방향의 단부는 상기 제2 오프닝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부분의 상기 외주면 또는 상기 제2 오프닝의 상기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오프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오프닝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오프닝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진 제2 오프닝;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삽입/ 배출되는 트레이; 상기 제2 오프닝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오프닝 내에서 왕복 이동되는 핀; 및 상기 핀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 사이에 위치하는 제1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제공되는 트레이의 헤드; 상기 트레이의 헤드에 형성되는 트레이 홀; 및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에 제공되는 제2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 방수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외주면과 상기 제1 오프닝의 내면 사이를 밀봉하고, 상기 트레이 홀은 상기 제2 오프닝과 정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은, 상기 제2 오프닝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제2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오프닝의 내측단에 걸리게 되어, 상기 핀이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방수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일단부에 제공되어, 상기 트레이의 헤드와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시, 상기 트레이를 홀드하는 제1 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 장치는, 상기 트레이에 힘을 전달하는 제2 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멤버는,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해 이동되는 제1 멤버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은, 상기 핀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방수 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홈에 수용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그리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기재된 기술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0: 전자 장치 301: 하우징
301a: 베젤 311: 제1 오프닝
312: 제2 오프닝 304: 제1 멤버
305: 트레이 307: 제1 부분

Claims (40)

  1. 휴대용 전자 장치(portable terminal)에 있어서,
    제1 사이즈의 제1 오프닝과, 상기 제1 오프닝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즈의 제2 오프닝을 포함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된 소켓;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고, 메모리 카드 또는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을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소켓이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외부로 릴리즈하게 하는 릴리즈(release); 및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sealing member)는,
    외부 부재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는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에 외력이 가해짐에 따라 상기 릴리즈와 접촉하는 제2 단부를 포함하는 핀 부재(pin portion); 및
    탄성 물질(resilient material)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핀 부재에 배치된 방수 부재(waterproof member)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부재는,
    제1 방수부; 및
    상기 제1 방수부의 제1 외경(first outer diameter)보다 더 큰 제2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 방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 및 상기 핀 부재 사이 공간의 적어도 일부분을 밀봉하도록 형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부는, 상기 핀 부재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형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홈(groove)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방수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홈 내에 형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측정된 상기 제1 방수부의 폭은 상기 밀봉 부재의 이동 방향을 따라 측정된 상기 제2 방수부의 폭보다 크게 형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회동에 의하여 상기 트레이의 일단을 밀어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전자 장치의 상기 외부로 릴리즈하기 위한 회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오프닝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회동부의 회동을 생성하도록 배치된 휴대용 전자 장치.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는,
    상기 밀봉 부재와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1 회동 부분;
    상기 트레이의 일단에 대응하게 배치되는 제2 회동 부분; 및
    상기 제1 회동 부분과 상기 제2 회동 부분의 사이의,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제3 회동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의 이동에 의해 제1 회동 부분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제3 회동 부분이 회전하고, 상기 제3 회동 부분이 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2 회동 부분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트레이를 배출시키는 휴대용 전자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메모리 카드 또는 상기 SIM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수용홈을 포함하는 수용부; 및
    상기 수용부와 상기 트레이의 일단 사이에 배치된 다른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방수 부재는 상기 제1 오프닝의 내벽에 접촉되도록 형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메모리 카드 또는 상기 SIM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상기 수용홈을 포함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와 상기 트레이의 일단 사이에 배치된 다른 방수 부재; 및
    상기 트레이의 일단에 형성된 트레이 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제1 오프닝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상기 제1 오프닝으로 삽입되고, 상기 트레이 홀은 상기 제2 오프닝에 대응하게 형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트레이 홀 및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해 삽입되는 외부 부재와 접촉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제2 오프닝의 내경(inner diameter)보다 큰 외경(outer diameter)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제2 오프닝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고,
    상기 제1 단부가 상기 제2 오프닝에 삽입된 때, 상기 제2 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내벽에 걸리는(stopped) 휴대용 전자 장치.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소켓으로부터 가장 먼 한 단부에 배치된 전면부 커버와, 상기 전면부 커버에 형성된 제3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때, 상기 제3 오프닝은 상기 제2 오프닝에 인접하게 또는 대응하게 배치되고,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릴리즈된 때, 상기 제3 오프닝은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릴리즈된 거리만큼 상기 제2 오프닝으로부터 분리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때 상기 전면부 커버를 수용하는 홈부(recessed portion)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오프닝과 상기 제2 오프닝이 상기 홈부에 배치된 휴대용 전자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커버는 상기 제1 오프닝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때, 상기 전면부 커버는 상기 홈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부 커버의 외측면은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에 대응되는 평면 또는 곡면을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때, 상기 하우징의 외측면과 함께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외관을 형성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7.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 오프닝의 내측면에 접촉하는 트레이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 방수 부재는 상기 수용홈과 상기 전면부 커버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수용홈과 상기 전면부 커버 사이에 배치된 휴대용 전자 장치.
  19.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때, 상기 제2 오프닝의 길이 방향에서, 상기 릴리즈로부터 상기 트레이까지의 거리는 상기 핀 부재의 길이보다 작은 휴대용 전자 장치.
  2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프닝은,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릴리즈하기 위해 상기 방수 부재가 이동하는 양(amount of travel)에 적어도 대응하는 길이를 가진 휴대용 전자 장치.
  2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내측으로부터 또는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부터 상기 제2 오프닝으로 삽입 가능한 휴대용 전자 장치.
  22.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제1 오프닝을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소켓;
    메모리 카드 또는 SIM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카드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고,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하여 상기 소켓에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트레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오프닝에 인접하게 형성된 제2 오프닝; 및
    외력에 의해 상기 제2 오프닝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하우징에 수용된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에 접촉하게 형성된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밀봉 부재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릴리즈되도록 설정된 휴대용 전자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외부로 릴리스되도록 상기 외력을 상기 트레이에 전달하기 위한 릴리즈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4.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외력을 상기 릴리즈로 전달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5.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는 상기 밀봉 부재의 한 단(an end)은 상기 제2 오프닝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진 휴대용 전자 장치.
  26. 제23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밀봉 부재의 외주면에 형성된 휴대용 전자 장치.
  27.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는 제1 오프닝;
    상기 하우징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오프닝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 오프닝보다 작은 사이즈를 가진 제2 오프닝;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삽입 또는 배출되는 트레이;
    상기 제2 오프닝에 수용되어 상기 제2 오프닝 내에서 왕복 이동하는 핀 부재; 및
    상기 핀 부재의 외주면과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핀 부재와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 사이를 밀봉하는 방수 부재로서, 상기 핀 부재에 형성된 상기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트레이는,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일단에 제공되는 헤드; 및
    상기 트레이의 헤드에 형성되는 트레이 홀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가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삽입,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 홀은 상기 제2 오프닝과 정렬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8.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의 한 단부는, 상기 제2 오프닝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상기 핀 부재의 상기 한 단부가 상기 제2 오프닝의 내측단에 걸리게 되어, 상기 핀 부재가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29.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트레이와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와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 사이를 밀봉하는 제2 방수 부재로서, 상기 트레이에 배치된 제2 방수 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방수 부재는, 상기 수용부의 일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트레이의 헤드와 인접하게 배치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0.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가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삽입시, 상기 트레이를 홀드하는 소켓을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1. 제30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상기 제2 오프닝 내에서 이동하는 상기 핀 부재로부터 상기 트레이로 힘을 전달하는 릴리즈를 더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2. 제27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을 포함하고,
    상기 방수 부재의 일부분이 상기 홈에 수용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3.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전면(front surface)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전면 커버;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후면(rear surface)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후면 커버(back cover);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측면(sirde surface)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 제1 오프닝과 제2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오프닝은 제1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제2 오프닝은 상기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즈를 가지는 베젤(bezel);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배치된 디스플레이;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오프닝에 대응하게 정렬된 제1 멤버;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상기 제1 멤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트레이로서, 메모리 카드 또는 SIM 카드 중 적어도 하나가 수용되는 수용홈을 포함하는 상기 트레이;
    상기 전면 커버와 상기 후면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오프닝에 대응하게 정렬된 제2 멤버로서, 외부 부재가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해 삽입됨에 따라 상기 트레이의 일부분을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외부로 릴리즈되도록 배치된 제2 멤버;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오프닝 내부로 배치되고,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핀 부재의 둘레에 배치된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밀봉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핀 부재와 결합하는 제1 방수부; 및
    상기 제1 방수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에 접촉하는 제2 방수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4. 제33 항에 있어서, 외부 부재가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해 삽입되는 동안, 상기 제2 방수부는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5.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해 삽입되는 외부 부재에 의해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휴대용 전자 장치의 내부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밀봉 부재가 상기 제2 멤버와 접촉하고, 상기 제2 멤버의 적어도 일부가 이동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6.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프닝을 통해 삽입되는 외부 부재의 힘(a force associated with the external member)에 의해 상기 핀 부재의 제2 단부가 상기 제2 멤버와 접촉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37.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의 제1 단부는 제1 직경을 자기며, 상기 핀 부재의 제2 단부는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가지는 휴대용 전자 장치.
  38. 제33 항에 있어서, 외부 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제1 방수부의 폭은, 상기 외부 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상기 제2 방수부의 폭보다 큰 휴대용 전자 장치.
  39. 제3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부는 상기 제1 방수부의 제1 외경보다 큰 제2 외경을 가진 휴대용 전자 장치.
  40. 휴대용 전자 장치에 있어서,
    서로 인접하게 형성된 제1 오프닝과 제2 오프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오프닝은 제1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제2 오프닝은 상기 제1 사이즈보다 작은 제2 사이지를 가지고, 상기 제1 오프닝과 상기 제2 오프닝이 내부 공간을 향하게 연장된 하우징;
    상기 제1 오프닝을 통해 상기 내부 공간으로 착탈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입자 식별 모듈 트레이; 및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제2 오프닝 내에 배치되고,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사이에서 상기 핀 부재의 둘레에 배치된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방수 부재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2 오프닝의 내면에 접촉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
KR1020150144970A 2015-10-16 2015-10-16 휴대용 전자 장치 KR102077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70A KR102077541B1 (ko) 2015-10-16 2015-10-16 휴대용 전자 장치
US15/270,449 US10082834B2 (en) 2015-10-16 2016-09-20 Portable electronic device
EP16855665.2A EP3342049A4 (en) 2015-10-16 2016-10-05 Portable electronic device
PCT/KR2016/011130 WO2017065448A1 (en) 2015-10-16 2016-10-05 Portable electronic device
DE202016008889.1U DE202016008889U1 (de) 2015-10-16 2016-10-05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CN202410095180.XA CN117895959A (zh) 2015-10-16 2016-10-05 便携式电子设备
CN202110960743.3A CN113630136B (zh) 2015-10-16 2016-10-05 便携式电子设备
EP21192085.5A EP3936975A1 (en) 2015-10-16 2016-10-05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2110544493.5A CN113395077A (zh) 2015-10-16 2016-10-05 便携式电子设备
EP20217078.3A EP3826189A1 (en) 2015-10-16 2016-10-05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2016339490A AU2016339490B2 (en) 2015-10-16 2016-10-05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1680060114.2A CN108141240A (zh) 2015-10-16 2016-10-05 便携式电子设备
US16/039,845 US10310562B2 (en) 2015-10-16 2018-07-19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6/387,044 US10656681B2 (en) 2015-10-16 2019-04-17 Portable electronic device
AU2020200240A AU2020200240B2 (en) 2015-10-16 2020-01-13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6/860,557 US11119541B2 (en) 2015-10-16 2020-04-28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17/401,935 US11899500B2 (en) 2015-10-16 2021-08-13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4970A KR102077541B1 (ko) 2015-10-16 2015-10-16 휴대용 전자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5417A Division KR102216516B1 (ko) 2020-02-10 2020-02-10 휴대용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5054A KR20170045054A (ko) 2017-04-26
KR102077541B1 true KR102077541B1 (ko) 2020-02-17

Family

ID=58517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4970A KR102077541B1 (ko) 2015-10-16 2015-10-16 휴대용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10082834B2 (ko)
EP (3) EP3342049A4 (ko)
KR (1) KR102077541B1 (ko)
CN (4) CN113630136B (ko)
AU (2) AU2016339490B2 (ko)
DE (1) DE202016008889U1 (ko)
WO (1) WO201706544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238A1 (ko) * 2022-06-24 2023-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디케이터 라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03141B1 (ko) * 2014-08-14 2016-03-14 몰렉스 엘엘씨 전자기기용 인출형 카드 트레이 위치 고정장치
KR102077541B1 (ko) 2015-10-16 2020-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KR102458607B1 (ko) * 2016-05-27 2022-10-25 삼성전자 주식회사 실링 수단을 갖는 전자 장치
KR101836396B1 (ko) * 2016-06-03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JP2018033084A (ja) * 2016-08-26 2018-03-01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2604966B1 (ko) * 2017-02-24 2023-11-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1116095B2 (en) * 2017-06-21 2021-09-07 Shenzhen Everwin Precision Technology Co Ltd Waterproof card holder, card seat, metal casing and mobile terminal
KR102407592B1 (ko) * 2017-10-25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교체 가능한 센서를 장착하는 전자 장치
CN108322231B (zh) * 2018-03-06 2020-10-09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终端
KR20200111396A (ko) * 2019-03-19 2020-09-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저장 매체용 트레이 구조 및 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0186515A1 (zh) * 2019-03-21 2020-09-24 深圳市和盈互联科技有限公司 带自拆的防水卡托手表
WO2020197441A1 (ru) * 2019-03-28 2020-10-01 Евгений Борисович АЛЕКСАНДРОВ Устройство ввода и отображения информаци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од водой (варианты)
TWI737995B (zh) * 2019-05-15 2021-09-01 台灣奈米碳素股份有限公司 一種用戶識別模組卡以及內建其的無線通訊裝置
CN112583436A (zh) * 2019-09-29 2021-03-30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移动装置
KR20230036475A (ko) * 2021-09-07 2023-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홀을 포함하는 U sim 핀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0652A1 (en) 2009-10-15 2011-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able terminal
US20130267106A1 (en) 2012-04-04 2013-10-1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jecting removable modules from electronic devices
US20150155651A1 (en) 2013-12-03 2015-06-04 Smk Corporation Tray type card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048063A1 (de) * 2000-09-28 2002-04-18 Bosch Gmbh Robert Dichtelement für eine elektrische Steckvorrichtung
US20020119697A1 (en) * 2000-12-27 2002-08-29 Wen-Yao Chan Mobile phone connector
US7238034B2 (en) * 2002-10-03 2007-07-03 Molex Incorporated Memory card connector
JP2006018903A (ja) * 2004-06-30 2006-01-19 Toshiba Corp 電子機器
US8739035B2 (en) * 2006-10-11 2014-05-27 Intel Corporation Controls and indicators with on-screen cognitive aids
KR20080036495A (ko) * 2006-10-23 2008-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착탈장치
US7865210B2 (en) * 2007-01-05 2011-01-04 Apple Inc. Ejectable component assemblies in electronic devices
JP2009042140A (ja) * 2007-08-10 2009-02-26 Seiko Instruments Inc 携帯機器及び携帯時計
US8462514B2 (en) * 2008-04-25 2013-06-11 Apple Inc. Compact ejectable component assemblies in electronic devices
CN101908689B (zh) * 2009-06-08 2012-11-21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连接器盖体结构及具该盖体结构的电子装置
KR101417695B1 (ko) * 2010-08-19 2014-07-08 애플 인크. 휴대용 전자 장치
CN102761027B (zh) * 2011-04-29 2014-10-29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202111267U (zh) * 2011-04-29 2012-01-1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CN102761003B (zh) * 2011-04-29 2014-12-0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子卡连接器
US8767381B2 (en) * 2011-05-31 2014-07-01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jecting removable modules from electronic devices
CN103311715B (zh) * 2012-03-08 2015-08-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保护盖组件、应用保护盖组件的电子装置及使用保护盖组件拆装功能卡的方法
JP5454818B1 (ja) * 2012-09-11 2014-03-26 Smk株式会社 カード収納用トレイ、カード収納構造およびカード収納構造を利用した電子機器
CN202977922U (zh) * 2012-12-03 2013-06-05 北京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sim卡卡座及移动终端
US20140167365A1 (en) 2012-12-18 2014-06-19 Te-Yi Chu Water proof sealing assembly
JP2014182920A (ja) 2013-03-19 2014-09-29 Yamaichi Electronics Co Ltd トレイタイプカードコネクタ
TWI625086B (zh) 2013-06-27 2018-05-21 群邁通訊股份有限公司 晶片卡裝取結構
CN104716501B (zh) 2013-12-13 2017-02-08 谢彩红 具有固持装置的移动终端
CN104797109B (zh) * 2014-01-16 2019-01-25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芯片卡固持结构及应用该结构的电子装置
US9236681B2 (en) 2014-03-21 2016-01-12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Card connector
CN203872233U (zh) * 2014-06-12 2014-10-08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侧出式sim卡座及sim卡座防水结构
KR20160012859A (ko) 2014-07-24 2016-02-03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9350833B2 (en) * 2014-08-15 2016-05-24 Htc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and tray unit thereof
US9658641B2 (en) * 2014-09-29 2017-05-23 Apple Inc. Cosmetically self-centering removable module tray
KR20160045284A (ko) 2014-10-17 2016-04-27 삼성전자주식회사 트레이, 트레이 분리용 지그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6395557B2 (ja) * 2014-10-20 2018-09-26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セット
CN105703149B (zh) 2014-11-26 2017-12-08 富泰华精密电子(郑州)有限公司 具有芯片卡弹出机构的电子装置
CN204316575U (zh) * 2014-12-30 2015-05-06 希姆通信息技术(上海)有限公司 一种卡托的防水结构
CN204374836U (zh) 2015-01-08 2015-06-03 联想(北京)有限公司 电子设备
KR101531176B1 (ko) 2015-01-22 2015-07-03 주식회사 제이앤티씨 트레이형 심 소켓 커넥터
JP6456777B2 (ja) * 2015-06-08 2019-01-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カード保持部材及びカード用コネクタセット
US9627797B2 (en) 2015-07-21 2017-04-18 Apple Inc. Ejection assembly with plug feature
US20170070002A1 (en) * 2015-09-08 2017-03-09 Apple Inc. Sim card connector with integrated ejection mechanism
KR102077541B1 (ko) * 2015-10-16 2020-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전자 장치
KR102396585B1 (ko) * 2015-11-06 2022-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수 구조를 가진 전자 장치
KR101836396B1 (ko) * 2016-06-03 2018-04-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TWI608669B (zh) * 2016-09-07 2017-12-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連接器模組及可攜式電子裝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90652A1 (en) 2009-10-15 2011-04-21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able terminal
US20130267106A1 (en) 2012-04-04 2013-10-10 App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jecting removable modules from electronic devices
US20150155651A1 (en) 2013-12-03 2015-06-04 Smk Corporation Tray type card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49238A1 (ko) * 2022-06-24 2023-12-28 삼성전자 주식회사 인디케이터 라벨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108897A1 (en) 2017-04-20
CN113630136A (zh) 2021-11-09
AU2020200240B2 (en) 2021-01-07
CN113395077A (zh) 2021-09-14
EP3826189A1 (en) 2021-05-26
US10082834B2 (en) 2018-09-25
US20180321711A1 (en) 2018-11-08
US11119541B2 (en) 2021-09-14
KR20170045054A (ko) 2017-04-26
EP3342049A1 (en) 2018-07-04
EP3936975A1 (en) 2022-01-12
US20210373608A1 (en) 2021-12-02
US20200257340A1 (en) 2020-08-13
AU2016339490A1 (en) 2018-03-15
CN117895959A (zh) 2024-04-16
US10656681B2 (en) 2020-05-19
US20190243425A1 (en) 2019-08-08
CN113630136B (zh) 2023-04-18
US10310562B2 (en) 2019-06-04
AU2016339490B2 (en) 2019-10-24
US11899500B2 (en) 2024-02-13
AU2020200240A1 (en) 2020-02-06
CN108141240A (zh) 2018-06-08
WO2017065448A1 (en) 2017-04-20
DE202016008889U1 (de) 2020-06-17
EP3342049A4 (en)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7541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US10700414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KR102500141B1 (ko) 개선된 체결 구조를 갖는 스트랩 및 그것을 포함하는 웨어러블 전자 장치
KR102423134B1 (ko) 복수의 하우징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35011B1 (ko) 액세사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70018646A (ko) 안테나 장치 및 전자 장치
KR102371219B1 (ko) 트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372159B2 (en) Attachable/detachable electronic device
US20180294598A1 (en) Connecting component with waterproof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337326B2 (en) Electronic device with a switch to prevent over-discharging of device battery
US11159034B2 (en) Wireless charging stand, and method for operating electronic device linked thereto
KR102216516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KR102261018B1 (ko) 휴대용 전자 장치
KR20170086269A (ko) 트레이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