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355B1 - 선박용 사일렌서 - Google Patents

선박용 사일렌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355B1
KR102077355B1 KR1020150155578A KR20150155578A KR102077355B1 KR 102077355 B1 KR102077355 B1 KR 102077355B1 KR 1020150155578 A KR1020150155578 A KR 1020150155578A KR 20150155578 A KR20150155578 A KR 20150155578A KR 102077355 B1 KR102077355 B1 KR 1020773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upply
cap
fan
noise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3281A (ko
Inventor
염기홍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5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3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532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32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3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3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21/00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 B63H21/12Use of propulsion power plant or units on vessels the vessels being motor-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62Flow guides, obstructions, deflecto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05Flow throttling or guiding
    • F02M35/1211Flow throttling or guiding by using inserts in the air intake flow path, e.g. baffles, throttles or orifices; Flow gui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2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 F02M35/1288Intake silencers ; Sound modulation, transmission or amplification combined with or integrated into other devices ; Plurality of air intake silen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xhaust Silencer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용 사일렌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하향 돌출된 상부 테두리면,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하향 돌출 형 상부 핀 등을 구비하는 상부 캡을 마련하는 조치>, <상향 돌출된 하부 테두리면,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상향 돌출 형 하부 핀 등을 구비하는 하부 캡을 마련하는 조치>, <상기 상부 테두리면, 하부 테두리면, 상부 핀, 하부 핀 등이 미로형으로 엇갈려 겹쳐지도록 상부 캡과 하부 캡을 결합시키는 조치>, <하부 캡의 내부공간 안에 팬 댐퍼를 수용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 <소음 차단 룸의 추가 배치 없이도, 상/하부 테두리면 및 상/하부 핀의 미로형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에어 공급 팬 측 출력소음의 전체적인 이동경로 증가조치를 통해, 소음의 불필요한 외부출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 <상부 캡 및 하부 캡의 결합 조치 및 팬 댐퍼의 하부 캡 내부수용 조치를 통해, 전체적인 합체 구조물의 합체 높이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해당 합체 구조물의 진동내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 <합체 구조물의 합체 높이를 최소화시켜, 지지체의 설치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소음 차단 룸의 추가 배치를 생략시켜, 이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자재/구조물 소모량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흡음재가 과다 사용되는 문제점, 룸 루버를 추가로 채용/운용해야 하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는 이점> 등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용 사일렌서{Silencer for a ship}
본 발명은 에어 공급용 팬 등과 같은 선박기기에 사용되는 선박용 사일렌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하향 돌출된 상부 테두리면,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하향 돌출 형 상부 핀 등을 구비하는 상부 캡을 마련하는 조치>, <상향 돌출된 하부 테두리면,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상향 돌출 형 하부 핀 등을 구비하는 하부 캡을 마련하는 조치>, <상기 상부 테두리면, 하부 테두리면, 상부 핀, 하부 핀 등이 미로형으로 엇갈려 겹쳐지도록 상부 캡과 하부 캡을 결합시키는 조치>, <하부 캡의 내부공간 안에 팬 댐퍼를 수용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 <소음 차단 룸의 추가 배치 없이도, 상/하부 테두리면 및 상/하부 핀의 미로형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에어 공급 팬 측 출력소음의 전체적인 이동경로 증가조치를 통해, 소음의 불필요한 외부출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 <상부 캡 및 하부 캡의 결합 조치 및 팬 댐퍼의 하부 캡 내부수용 조치를 통해, 전체적인 합체 구조물의 합체 높이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해당 합체 구조물의 진동내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 <합체 구조물의 합체 높이를 최소화시켜, 지지체의 설치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소음 차단 룸의 추가 배치를 생략시켜, 이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자재/구조물 소모량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흡음재가 과다 사용되는 문제점, 룸 루버를 추가로 채용/운용해야 하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는 이점> 등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할 수 있는 선박용 사일렌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선박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에 대한 규제가 대폭 강화되면서, 각종 선박기기, 예컨대, 에어 공급용 팬, 엔진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을 저감시켜줄 수 있는 사일렌서 기술 또한 폭 넓은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예를 들어, 국내공개특허 제10-2013-35405호(명칭: 선박용 소음기)(2013.4.9.자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301608호(명칭: 선박 엔진의 배기관용 소음기)(2013.8.29.자 공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14-49692호(명칭: 선박용 배기가스 소음기)(2014.4.28.자 공개) 등에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사일렌서의 일례가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선박에 배치된 선박기기, 예컨대, <모터(17) 및 팬 블레이드(18)로 구성된 에어 공급 팬(22)>이 팬 바디(16) 내에서 작동하고, 이 에어 공급 팬(22)에 의해 흡입된 에어가 화살표를 따라 엔진 계통(20) 측으로 공급되는 경우, 선박용 사일렌서(10) 측에서는 팬 바디(16)의 입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에어 공급 팬(22)에 의해 발생된 소음의 외부 출력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경우, 종래의 선박용 사일렌서(10)는 에어의 유입통로를 제공하면서, 에어 공급 팬(22)에 의해 발생된 소음의 외부 출력을 차단시키는 헤드(13)와, 헤드(13)의 하단 부위에 배치되면서, 헤드(13)와 팬 바디(16)를 일체로 연결하며, 자신의 내부공간(15)을 통해, 에어의 유입통로 및 팬 댐퍼(14)의 작용영역을 제공하는 팬 댐퍼 바디(21)가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때, 팬 댐퍼 바디(21)에 장착되어 있던 팬 댐퍼(14) 측에서는 엔진 계통(20) 측으로 흡입되던 에어가 긴급히 차단되어야 할 상황(예컨대, 엔진의 셧-오프 상황 등)이 도래하는 경우, 엑추에이터(19)의 제어에 따라, 팬 댐퍼 바디(21)의 내부공간(15)으로 신속히 회전하여, 해당 내부공간(15)을 폐쇄시키는 동작을 취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 외부의 에어가 엔진 계통(2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견고하게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기 헤드(13), 팬 댐퍼(14), 팬 댐퍼 바디(21) 등의 자체 구조만으로는 에어 공급 팬(22)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규제조건에 맞추어 심화 차단시키기가 매우 어려웠기 때문에,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일련의 수용공간이 정의된 소음차단 룸(11)을 추가 배치하고, 이 소음차단 룸(11)의 수용공간 내에, 헤드(13), 팬 댐퍼(14), 팬 댐퍼 바디(21), 팬 바디(16) 등의 구조물들을 일체로 탑재/배치시킴으로써, 에어 공급 팬(22)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이 소음차단 룸(11)의 추가 차단 작용에 의해 좀더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 경우, 소음차단 룸(11)에 배치되어 있던 룸 루버(12)(Room louver) 측에서는 외부 에어의 소음차단 룸(11) 내부로의 유입통로를 제공하는 역할, 외부 습기(예컨대, 빗물 등)의 소음차단 룸(11) 내부로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 등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소음차단 룸(11)의 일부, 헤드(13)의 일부, 팬 댐퍼(14)의 일부 등에 다수의 흡음재(도시 안됨)를 추가로 삽입/장착하고, 이를 통해, 사일렌서(10)의 전체적인 소음차단 성능이 좀더 향상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체제 하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헤드(13), 팬 댐퍼(14), 팬 댐퍼 바디(21), 팬 바디(16) 등의 구조물들을 일체로 탑재/배치시킬 수 있는 소음차단 룸(11)을 추가로 배치하고, 이를 통해, 에어 공급 팬(22)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심화 차단시키게 되는 바, 이 경우, 운영주체 측에서는 소음차단 룸(11)의 추가 배치로 인해, 전체적인 자재/구조물 소모량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흡음재가 과다 사용되는 문제점 등은 물론, 룸 루버(12)를 추가로 채용/운용해야 하는 심각한 문제점까지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종래의 체제 하에서, 선박용 사일렌서(10)에 소속된 팬 댐퍼 바디(21) 측에서는 팬 댐퍼(14)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보장하기 위하여, 자가 내부공간(15)의 가로/세로 사이즈를 최소한 팬 댐퍼(14)의 사이즈 이상으로 유지시켜야 하는 바, 이 상황 하에서, 팬 댐퍼 바디(21)가 팬 바디(16)의 상부에 적층 형성되는 경우,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헤드(13), 팬 댐퍼 바디(21), 팬 바디(16) 등의 합체 높이 H가 높아지고, 그에 비례하여, 사일렌서(10)의 에어 흡입 높이 역시, 높아짐으로써, 전체적인 합체 구조물의 기계적/물리적인 안정성이 크게 낮아지는 문제점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물론, 이처럼, 헤드(13), 팬 댐퍼 바디(21), 팬 바디(16) 등의 합체 높이 H가 높아지고, 그에 비례하여, 사일렌서(10)의 에어 흡입 높이 역시 높아지게 되는 경우, 헤드(13), 팬 댐퍼 바디(21), 팬 바디(16) 등이 결합된 합체 구조물은 진동에 매우 취약한 문제점을 고스란히 드러낼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해당 합체 구조물 측에서는 선체(또는, 선체에 배치된 각종 기기) 측으로부터 각종 진동(예컨대, 엔진의 가동에 의한 진동, 발전기의 가동에 의한 진동, 프로펠러의 가동에 의한 진동 등)이 가혹하게 가해지는 경우, 큰 손상을 입을 수밖에 없게 된다.
당연히, 이와 같은 진동에 의한 합체 구조물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해당 합체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는 별도의 지지체를 추가 설치하여야 하는 데,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헤드(13), 팬 댐퍼 바디(21), 팬 바디(16) 등의 합체 구조물은 그 합체 높이 H가 매우 높기 때문에,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지지체를 추가 설치하는데 있어서도, 많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별다른 조치가 취해지지 않는 한, 진동에 의한 합체 구조물의 손상 문제점을 고스란히 감수할 수밖에 없게 된다.
국내공개특허 제10-2013-35405호(명칭: 선박용 소음기)(2013.4.9.자 공개) 국내등록특허 제10-1301608호(명칭: 선박 엔진의 배기관용 소음기)(2013.8.29.자 공고) 국내공개특허 제10-2014-49692호(명칭: 선박용 배기가스 소음기)(2014.4.28.자 공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향 돌출된 상부 테두리면,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하향 돌출 형 상부 핀 등을 구비하는 상부 캡을 마련하는 조치>, <상향 돌출된 하부 테두리면,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상향 돌출 형 하부 핀 등을 구비하는 하부 캡을 마련하는 조치>, <상기 상부 테두리면, 하부 테두리면, 상부 핀, 하부 핀 등이 미로형으로 엇갈려 겹쳐지도록 상부 캡과 하부 캡을 결합시키는 조치>, <하부 캡의 내부공간 안에 팬 댐퍼를 수용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고, 이를 통해,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 <소음 차단 룸의 추가 배치 없이도, 상/하부 테두리면 및 상/하부 핀의 미로형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에어 공급 팬 측 출력소음의 전체적인 이동경로 증가조치를 통해, 소음의 불필요한 외부출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 <상부 캡 및 하부 캡의 결합 조치 및 팬 댐퍼의 하부 캡 내부수용 조치를 통해, 전체적인 합체 구조물의 합체 높이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해당 합체 구조물의 진동내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 <합체 구조물의 합체 높이를 최소화시켜, 지지체의 설치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소음 차단 룸의 추가 배치를 생략시켜, 이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자재/구조물 소모량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흡음재가 과다 사용되는 문제점, 룸 루버를 추가로 채용/운용해야 하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는 이점> 등을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에어 공급 팬을 구비한 팬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향 돌출된 상부 테두리면 및 상기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상부 핀을 구비하는 상부 캡과; 상기 팬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상부 캡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팬 바디 및 상부 캡을 연결하면서, 상기 에어 공급 팬 측으로 흡입되는 에어의 긴급 차단을 위한 팬 댐퍼 및 상기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하부 핀, 그리고, 상향 돌출된 하부 테두리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테두리면, 하부 테두리면, 상부 핀 및 하부 핀이 엇갈려 겹쳐지도록 상기 상부 캡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통로 및 상기 에어 공급 팬 측으로 흡입되는 에어의 흡입통로를 제공하는 하부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사일렌서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는 <하향 돌출된 상부 테두리면,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하향 돌출 형 상부 핀 등을 구비하는 상부 캡을 마련하는 조치>, <상향 돌출된 하부 테두리면,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상향 돌출 형 하부 핀 등을 구비하는 하부 캡을 마련하는 조치>, <상기 상부 테두리면, 하부 테두리면, 상부 핀, 하부 핀 등이 미로형으로 엇갈려 겹쳐지도록 상부 캡과 하부 캡을 결합시키는 조치>, <하부 캡의 내부공간 안에 팬 댐퍼를 수용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소음 차단 룸의 추가 배치 없이도, 상/하부 테두리면 및 상/하부 핀의 미로형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에어 공급 팬 측 출력소음의 전체적인 이동경로 증가조치를 통해, 소음의 불필요한 외부출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 <상부 캡 및 하부 캡의 결합 조치 및 팬 댐퍼의 하부 캡 내부수용 조치를 통해, 전체적인 합체 구조물의 합체 높이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해당 합체 구조물의 진동내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 <합체 구조물의 합체 높이를 최소화시켜, 지지체의 설치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소음 차단 룸의 추가 배치를 생략시켜, 이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자재/구조물 소모량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흡음재가 과다 사용되는 문제점, 룸 루버를 추가로 채용/운용해야 하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는 이점> 등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선박용 사일렌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사일렌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사일렌서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체제 하에서, 선박에 배치된 선박기기, 예컨대, <모터(141) 및 팬 블레이드(142)로 구성된 에어 공급 팬(143)>이 팬 바디(140) 내에서 작동하고, 이 에어 공급 팬(143)에 의해 흡입된 에어가 화살표를 따라 엔진 계통(200) 측으로 공급되는 경우, 본 발명의 선박용 사일렌서(100) 측에서는 팬 바디(140)의 입구에 장착된 상태에서, 에어 공급 팬(22)에 의해 발생된 소음의 외부 출력을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참고로, 상기 도 2에서, 실선 화살표는 에어 공급 팬(143)에 의해 흡입되는 에어의 흡입경로를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는 에어 공급 팬(143)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를 나타낸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선박용 사일렌서(100)는 에어 공급 팬(143)을 구비한 팬 바디(140)의 상부에 배치되면서, 상부 캡 본체(111), 하향 돌출된 상부 테두리면(111a), 하향 돌출 형 상부 핀(112) 등을 구비하는 상부 캡(110)과, 상기 팬 바디(140)의 상부 및 상기 상부 캡(1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팬 바디(140) 및 상부 캡(110)을 연결하면서, 하부 캡 본체(121), 팬 댐퍼(130), 상향 돌출 형 하부 핀(212a), 상향 돌출된 하부 테두리면(123) 등을 구비하는 하부 캡(120)이 체계적으로 조합된 구성을 취하게 된다.
이 경우, 하부 캡 내부공간(122)에 수용되어 있던 팬 댐퍼(130) 측에서는 엔진 계통(200) 측으로 흡입되던 에어가 긴급히 차단되어야 할 상황(예컨대, 엔진의 셧-오프 상황 등)이 도래하는 경우, 엑추에이터(131)의 제어에 따라, 하부 캡 내부공간(122) 안에서 신속히 회전하여, 해당 하부 캡 내부공간(122)을 폐쇄시키는 동작을 취함으로써, 긴급상황 발생 시, 외부의 에어가 엔진 계통(200)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견고하게 차단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 상황 하에서, 상부 캡(110) 및 하부 캡(120)이 상기 상부 테두리면(111a), 하부 테두리면(123), 상부 핀(112), 하부 핀(121a) 등이 엇갈려 겹쳐지도록 상호 결합되면, 해당 결합에 의해 정의되는 각 공간(A1,A2,A3) 측에서는 에어 공급 팬(143)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통로, 에어 공급 팬(143) 측으로 흡입되는 에어의 흡입통로 등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는 상부 캡 본체(111), 하부 캡 본체(121), 팬 댐퍼(130), 상부 핀(112), 하부 핀(121a), 상부 테두리면(111a), 하부 테두리면(123) 등의 일부에 흡음재(400)를 추가 배치하고, 이 흡음재(400)를 통해, 에어 공급 팬(143)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이 좀더 효과적으로 선박용 사일렌서(100) 내에서 흡수될 수 있도록 유도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흡음재(400)로는 예컨대, 고무 패킹이 활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부 캡(110) 및 하부 캡(120)이 상호 결합되어, 소음의 이동통로, 에어의 흡입통로 등을 제공하는 국면에서, 상/하부 캡(110,120) 측 상부 테두리면(111a), 하부 테두리면(123), 상부 핀(112), 하부 핀(121a) 등이 상호 엇갈려 겹쳐지도록 유도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에어 공급 팬(143)으로부터 출력되어, 도 2에 도시된 점선 화살표를 따라 흐르는 소음 측에서는 상/하부 캡(110,120) 측 상부 테두리면(111a), 하부 테두리면(123), 상부 핀(112), 하부 핀(121a) 등에 의해 형성되는 마치 미로와 같은 루트를 복잡하게 통과하면서, 자신의 이동경로가 크게 증가하는 상황에 불가피하게 처할 수밖에 없게 되며, 결국,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별다른 어려움 없이, 에어 공급 팬(143) 측 소음에 대한 흡음면적이 최적의 상태로 증대되는 효과를 자연스럽게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술한 상/하부 캡(110,120) 측 상부 테두리면(111a), 하부 테두리면(123), 상부 핀(112), 하부 핀(121a) 등에 의해 형성되는 마치 미로와 같은 루트를 기반으로 하여, 에어 공급 팬(143) 측 소음에 대한 흡음면적이 최적의 상태로 증대되는 경우,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종래와 같은 별도의 소음 차단 룸을 추가 배치하지 않고서도, 에어 공급 팬(143)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을 손쉽게 심화 차단할 수 있게 되며, 결국, 소음 차단 룸의 추가 배치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자재/구조물 소모량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흡음재가 과다 사용되는 문제점, 룸 루버를 추가로 채용/운용해야 하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팬 댐퍼 바디를 추가 배치하지 아니한 체, 하부 캡 본체(121)에 의해 정의되는 하부 캡 내부공간(122) 안에 팬 댐퍼(130)를 수용하는 조치를 강구하게 된다.
물론, 이 상황 하에서, 상부 캡(110) 및 하부 캡(120) 합체 구조물은 전체적인 높이를 낮춘 매우 컴팩트(Compact)한 구조를 형성하게 되며, 결국, 상부 캡(110), 하부 캡(120), 팬 바디(140) 등으로 이루어진 합체 구조물 역시 그 높이 H를 매우 낮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당연히,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 고유의 구조를 통해, 상부 캡(110), 하부 캡(120), 팬 바디(140) 등으로 이루어진 합체 구조물의 높이 H가 낮아지게 되는 경우, 운영주체(예컨대,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전체적인 합체 구조물의 기계적/물리적인 안정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 합체 구조물의 진동(예컨대, 엔진의 가동에 의한 진동, 발전기의 가동에 의한 진동, 프로펠러의 가동에 의한 진동 등)에 대한 내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 등은 물론, 지지체(300)의 추가 설치 편리성이 크게 향상되는 이점까지도 폭 넓게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하향 돌출된 상부 테두리면(111a), 에어 공급 팬(143)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하향 돌출 형 상부 핀(112) 등을 구비하는 상부 캡(110)을 마련하는 조치>, <상향 돌출된 하부 테두리면(123), 에어 공급 팬(143)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상향 돌출 형 하부 핀(121a) 등을 구비하는 하부 캡(120)을 마련하는 조치>, <상기 상부 테두리면(111a), 하부 테두리면(123), 상부 핀(112), 하부 핀(121a) 등이 미로형으로 엇갈려 겹쳐지도록 상부 캡(110)과 하부 캡(120)을 결합시키는 조치>, <하부 캡(120)의 내부공간(122) 안에 팬 댐퍼(130)를 수용하는 조치> 등을 유연하게 취하기 때문에, 본 발명의 구현환경 하에서, 운영주체(예컨대, 선박 운영주체, 선박기기 운영주체, 엔진 운영주체 등) 측에서는, <소음 차단 룸의 추가 배치 없이도, 상/하부 테두리면(111a,123), 상/하부 핀(112,121a) 등의 미로형 결합을 기반으로 하는 에어 공급 팬(143) 측 출력소음의 전체적인 이동경로 증가조치를 통해, 소음의 불필요한 외부출력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이점>, <상부 캡(110) 및 하부 캡(120)의 컴팩트한 결합 조치 및 팬 댐퍼(130)의 하부 캡 내부수용 조치를 통해, 전체적인 합체 구조물의 합체 높이를 최소한으로 감소시킴으로써, 해당 합체 구조물의 진동내성을 강화시킬 수 있는 이점>, <합체 구조물의 합체 높이를 최소화시켜, 지지체(300)의 설치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 <소음 차단 룸의 추가 배치를 생략시켜, 이에 기인한 각종 문제점(예컨대, 전체적인 자재/구조물 소모량이 대폭 증가하는 문제점, 전체적인 선박공간 운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 흡음재가 과다 사용되는 문제점, 룸 루버를 추가로 채용/운용해야 하는 문제점 등)을 손쉽게 회피할 수 있는 이점> 등을 별다른 어려움 없이, 효과적으로 향유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선박기기가 필요한 여러 분야에서, 전반적으로 유용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100: 선박용 사일렌서
110: 상부 캡
111: 상부 캡 본체
111a: 상부 테두리면
112: 상부 핀
120: 하부 캡
121: 하부 캡 본체
121a: 하부 핀
122: 하부 캡 내부공간
123: 하부 테두리면
130: 팬 댐퍼
131: 엑추에이터
140: 팬 바디
141: 모터
142: 팬 블레이드
143: 에어 공급 팬
200: 엔진 계통
300: 지지체
400: 흡음재

Claims (2)

  1. 에어 공급 팬을 구비한 팬 바디의 상부에 배치되며, 하향 돌출된 상부 테두리면 및 상기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상부 핀을 구비하는 상부 캡과;
    상기 팬 바디의 상부 및 상기 상부 캡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팬 바디 및 상부 캡을 연결하면서, 상기 에어 공급 팬 측으로 흡입되는 에어의 긴급 차단을 위한 팬 댐퍼 및 상기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경로 증가를 유도하기 위한 하부 핀, 그리고, 상향 돌출된 하부 테두리면을 구비하고, 상기 상부 테두리면, 하부 테두리면, 상부 핀 및 하부 핀이 엇갈려 겹쳐지도록 상기 상부 캡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의 이동통로 및 상기 에어 공급 팬 측으로 흡입되는 에어의 흡입통로를 제공하는 하부 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사일렌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팬 댐퍼, 상부 핀, 하부 핀, 상부 테두리면, 하부 테두리면에는 상기 에어 공급 팬 측으로부터 출력되는 소음을 흡수하기 위한 흡음재가 추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사일렌서.
KR1020150155578A 2015-11-06 2015-11-06 선박용 사일렌서 KR1020773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78A KR102077355B1 (ko) 2015-11-06 2015-11-06 선박용 사일렌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55578A KR102077355B1 (ko) 2015-11-06 2015-11-06 선박용 사일렌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81A KR20170053281A (ko) 2017-05-16
KR102077355B1 true KR102077355B1 (ko) 2020-02-13

Family

ID=59035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5578A KR102077355B1 (ko) 2015-11-06 2015-11-06 선박용 사일렌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35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7443A (ja) 2011-11-17 2013-06-27 Aichi Tokei Denki Co Ltd 消音器及び消音器付超音波流量計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0724U (ko) * 2009-04-23 2010-11-0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엔진룸 환기팬이 선체 외부에 설치된 초대형 원유운반선
KR101339421B1 (ko) 2011-09-30 2013-12-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소음기
KR101301608B1 (ko) 2012-05-18 2013-08-29 김영철 선박 엔진의 배기관용 소음기
KR20140000363U (ko) * 2012-07-06 2014-01-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음향 절연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용 흡입부 루버
KR20140049692A (ko) 2012-10-18 2014-04-28 (주)보원 선박용 배기가스 소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27443A (ja) 2011-11-17 2013-06-27 Aichi Tokei Denki Co Ltd 消音器及び消音器付超音波流量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3281A (ko) 2017-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057B1 (ko) 건설 기계
RU2007113912A (ru) Корпус с вентиляторным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ем
JP6247718B2 (ja) 低騒音型発電装置
US9249719B2 (en) Turbine device
KR102077355B1 (ko) 선박용 사일렌서
JP2017002506A (ja) エンジンを備えた建設機械
JP2005248934A (ja) ダクトファン
JP5062305B2 (ja) ダクトファン
JP2005139952A (ja) 空冷式インタークーラを備えた建設機械
JP4203381B2 (ja) 防音型エンジン駆動作業機
JP4521867B2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KR102573809B1 (ko) 선박 연돌장치
KR20140000363U (ko) 음향 절연부가 구비된 공기조화기용 흡입부 루버
JP2016226115A (ja) 発電装置
JP4639121B2 (ja) 車輌用の洗車機の送風機
JP2005306259A (ja) 船舶におけるエンジンケーシング
JP2011026970A (ja) 送風装置
JP2009052856A (ja) 空気調和機の室外機
JP6327270B2 (ja) ターボ過給機付エンジン
KR100821733B1 (ko) 공기 조화기
CN112688481B (zh) 一种具有隔音降噪功能的高散热型电机
US20220307518A1 (en) Electric Tool
KR200426891Y1 (ko) 선박의 스모크 저감성능 개선을 위한 연돌구조
RU2012136419A (ru) Способ вентиляции сильно загроможденного помещ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4726518B2 (ja) 送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