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7250B1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7250B1
KR102077250B1 KR1020180009609A KR20180009609A KR102077250B1 KR 102077250 B1 KR102077250 B1 KR 102077250B1 KR 1020180009609 A KR1020180009609 A KR 1020180009609A KR 20180009609 A KR20180009609 A KR 20180009609A KR 102077250 B1 KR102077250 B1 KR 102077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region
support
stud
t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9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647A (ko
Inventor
심혁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9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72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6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6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7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25Arrangements thereof in the tread patterns, e.g. irre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14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 B60C11/16Anti-skid inserts, e.g. vulcanised into the tread band of plug form, e.g. made from metal, textile
    • B60C11/1637Attachment of the plugs into the tread, e.g. screw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4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oad vehicles, e.g. passenger c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고 스터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트레드부에 대응되고 상기 스터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착홀 및 상기 장착홀에 배치되고 상기 스터드를 장착 후 차량의 주행 시 상기 스터드에 응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응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들이 운행하는 차량은 많은 부품들로 이루어져 있고, 그 중 타이어는 실질적으로 차량의 구동에 큰 영향을 주고, 특히 사용자의 안전 확보를 위한 핵심 부품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특히, 산업의 발전으로 인하여 물류의 이동 증가, 개인의 업무량등의 증가로 인한 이동량 증가 및 가족 생활 증가로 인한 자동차 운행량은 갈수록 늘고 있는 추세이다.
한편, 타이어는 노면과의 마찰을 통하여 주행 안전을 유지할 수 있는데, 노면 상태에 따라 운전자의 의도에 따라 주행이 제어되지 않을 경우, 즉, 타이어가 노면상에서 원하는 대로 제어되지 않을 때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이 문제될 수 있다.
특히, 빙판이나 눈위에서의 차량 주행 시 타이어의 제어를 통한 안정성 향상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차량에 장착되고 스터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트레드부에 대응되고 상기 스터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착홀 및 상기 장착홀에 배치되고 상기 스터드를 장착 후 차량의 주행 시 상기 스터드에 응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응력 제공부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개시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홀은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영역보다 상기 타이어의 중심축에 가깝게 위치하는 지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력 제공부는 상기 지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공부는 상기 지지 영역의 바닥면에 배치되고,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응력 제공부와 이격된 이격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은 바닥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응력 제공부는 상기 지지 영역의 삽입부에 일 영역이 삽입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는 상기 응력 제공부로부터 직접적으로 응력을 제공받는 응력 전달 영역 및 상기 응력 전달 영역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응력 제공부로부터 적어도 직접적인 응력 제공을 받지 않는 인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는 차량 및 주행자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터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에서 스터드를 제거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타이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의 타이어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3의 타이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ⅩⅩ-ⅩⅩ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8 및 도 19의 A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ⅩⅩⅡ-ⅩⅩ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19의 타이어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 및 도 2의 A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Ⅳ-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스터드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3에서 스터드를 제거한 상태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180), 장착홀(120) 및 응력 제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TD)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TD)는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TD)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평면 형태가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에 도시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그루브(115)가 트레드부(TD)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115)는 트레드부(TD)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TD)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루브(1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1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11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115)는 일 방향 및 이와 교차하는 다른 일 방향으로 형성된 그루브(1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1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그루브(115)는 타이어(1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1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 1의 원주 방향(RT)으로 길이를 갖는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115)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2 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로 이격된 4개의 그루브(115)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4개의 그루브(115)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개수의 그루브(1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115)에 의하여 트레드부(TD)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TD)의 인접한 2개의 패턴들이 그루브(115)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180)은 트레드부(TD)와 연결된다. 사이드월(180)의 영역 중 트레드부(TD)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1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1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1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19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100)는 바디 플라이(1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170)는 타이어(1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7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17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미도시)는 타이어(1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플라이(150)는 바디 플라이(170)와 트레드부(TD)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160)이 캡플라이(150)와 바디 플라이(17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160)은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1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TD)와 노면이 접하는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16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홀(120)은 타이어(100)에 스터드(ST)를 장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터드(ST)는 장착홀(120)에 배치되어 일부, 즉 예를들면 핀부(TU)가 장착홀(120)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이어(1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핀부(TU)의 적어도 일 영역이 외부, 구체적 예로서 노면과 접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스터드(ST)를 설명한 후에 스터드(ST)가 배치되는 장착홀(12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터드(ST)는 본체부(MU), 핀부(TU) 및 지지부(S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는 하나 이상의 스터드(ST)가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100)는 복수의 스터드(S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2개의 스터드(ST)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3 개 이상의 스터드(ST)가 포함될 수 있고, 타이어(100)의 크기, 구조 또는 사용 조건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스터드(ST)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스터드(ST)를 구비하는 타이어(100)는 스노우 타이어일 수 있다.
본체부(MU)는 스터드(ST)의 중심을 이루는 부재일 수 있다. 본체부(MU)는 스터드(ST)의 강성을 유지하도록 내구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MU)는 금속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알루미늄 또는 스틸 재질을 함유할 수 있고, 상기의 재료의 합금을 이용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MU)는 플라스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고강도 플라스틱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MU)는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본체부(MU)는 기둥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본체부(MU)는 회전체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장착홀(120)에 스터드(ST)를 적용 시 장착홀(120)의 내면과 용이하게 밀착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본체부(MU)의 밀림으로 인한 타이어(100)의 변형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MU)는 폭이 상이한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핀부(TU)와 가까운 영역의 폭이 지지부(SU)와 가까운 영역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핀부(TU)는 본체부(MU)의 내부의 일부와 접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핀부(TU)가 길게 연장된 구조를 갖고, 핀부(TU)가 본체부(MU)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핀부(TU)가 길게 연장되어 본체부(MU)의 내부를 관통하여 지지부(MU)의 일 영역과 접하거나 지지부(MU)의 내부에까지 삽입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체부(MU)는 회전체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원기둥과 유사한 형태의 외형을 가질 수 있다.
핀부(TU)는 본체부(MU)와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핀부(TU)는 본체부(MU)의 일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핀부(TU)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는데, 도 4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갖고, 전술한 것과 같이 본체부(MU)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의 내부와 접하도록 본체부(MU)의 내부에 삽입될 수도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핀부(TU)는 본체부(MU)의 상면과 접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핀부(TU)는 스터드(ST)를 타이어에 적용 시 노면과 접하여 마찰이 발생할 수 있다. 핀부(TU)는 강성이 우수한 재질로 형성할 수 있고, 예를들면 금속 재질, 구체적으로 스틸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핀부(TU)는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강도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핀부(TU)는 탄성이 있는 재질, 예를들면 고무 재질을 함유할 수도 있다.
지지부(SU)는 본체부(MU)의 면 중 상기 핀부(TU)가 배치되는 면의 반대면과 연결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SU)는 넓은 면적을 갖는 플레이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원형 플레이트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SU)는 본체부(MU)보다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본체부(MU)보다 큰 지름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지지부(SU)와 본체부(MU)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SU)의 바닥면, 예를들면 본체부(MU)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의 주변 영역의 측면은 경사부 또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SU)의 바닥면, 예를들면 본체부(MU)를 향하는 면의 반대면은 평탄면을 가질 수 있다.
차량 주행 시 스터드(ST)는 타이어(100)의 장착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120)은 메인 영역(121) 및 지지 영역(12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121)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지지 영역(122)은 메인 영역(121)보다 타이어의 중심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영역(122)은 전술한 도 1의 중심축(AX)과 메인 영역(12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영역(121)은 스터드(ST)를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메인 영역(121)은 스터드(ST)의 본체부(MU)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MU)가 기둥일 경우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메인 영역(1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121)은 스터드(ST)의 본체부(MU)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크거나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메인 영역(121)의 폭(W)을 스터드(ST)의 본체부(MU)의 폭보다 작도록 하여 스터드(ST)가 장착홀(120)에 배치 시 스터드(ST)를 통하여 장착홀(120)의 메인 영역(121)의 내주면에 압력을 가하여 스터드(ST)와 메인 영역(121)이 서로 압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 영역(122)은 메인 영역(1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영역(122)은 지지부(SU)에 대응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영역(122)에 지지부(SU)가 배치되도록 지지 영역(122)은 지지부(SU)와 유사한 형태, 예를들면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121)은 폭(W)을 가질 수 있고, 지지 영역(122)은 메인 영역(121)의 폭(W)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영역(122)은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는 장착홀(120)에 배치되고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ST)에 응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스터드(ST)가 노면과 접할 때 스터드(ST)는 응력 제공부(130)로부터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을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는 장착홀(120)의 지지 영역(1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는 적어도 장착홀(120)의 지지 영역(12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130)는 지지 영역(1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돌출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두께(T1)는 지지 영역(1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의 최대 두께일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두께(T1)은 지지 영역(122)의 깊이(H)보다는 작을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30 내지 70 퍼센트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두께(T1)가 지지 영역(122)의 깊이(H)의 30 퍼센트보다 작을 경우 차량 주행 시 응력 제공부(130)가 스터드(ST)의 지지부(SU)에 효과적으로 응력을 제공하기 힘들다. 또한 돌출 두께(T1)가 지지 영역(122)의 깊이(H)의 70 퍼센트를 초과할 경우 스터드(ST)를 장착홀(120)에 배치 시 지지부(SU)가 지지 영역(122)에 용이하게 수용되지 않거나 지지 영역(122)의 손상이나 변형을 발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지지 영역(122)의 바닥에 일 영역이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 영역(122)의 바닥면에 그루브 형태의 삽입부(125)가 형성되고, 응력 제공부(130)의 일 영역이 삽입부(125)에 삽입될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는 삽입부(125)에 포함된 영역의 삽입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두께(T2)는 지지 영역(1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부터 삽입부(125)에 삽입된 영역의 최대 두께일 수 있다.
삽입부(125)에 응력 제공부(130)의 삽입 두께(T2)가 삽입되도록 하여 응력 제공부(130)가 지지 영역(122)에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타이어(100)가 노면과 접촉하여 스터드(ST)에 응력 제공부(130)가 응력을 반복적으로 제공 시 응력 제공부(130)의 이탈이나 파손을 용이하게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의 전체의 최대 두께(T)는 돌출 두께(T1) 및 삽입 두께(T2)의 합일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의 폭(D)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130)의 폭(D)은 지지부(SU)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SU)는 응력 제공부(130)를 통하여 응력을 받는 응력 전달 영역(SU1) 및 인접 영역(SU2)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U)의 영역 중 응력 전달 영역(SU1)은 응력 제공부(130)의 상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스터드(ST)는 노면과 접하고, 스터드(ST)의 핀부(TU)는 노면으로부터 응력을 받고, 지지부(SU)는 응력 제공부(130)로부터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지지부(SU)의 인접 영역(SU2)은 적어도 응력 제공부(130)와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SU)의 영역 중 인접 영역(SU2)은 응력 제공부(130)의 상면과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인접 영역(SU2)은 적어도 응력 제공부(130)로부터 직접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 주행 시 지지부(SU)의 응력 전달 영역(SU1)에 응력 제공부(130)를 통하여 집중된 응력이 제공되고, 구체적으로 지지부(SU)에 대한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스터드(ST)의 노면에 대한 응력을 받을 때에도 스터드(ST)가 지지 영역(122)의 하부로 박히거나 위치 변동되어 스터드(ST)의 기능 상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지지부(SU)의 중앙에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 전달 영역(SU1)은 지지부(SU)의 중앙을 포함하고, 인접 영역(SU2)은 지지부(SU)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SU)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SU2)은 응력 전달 영역(SU1)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가 지지 영역(122)에 배치 시, 지지 영역(122)은 응력 제공부(130)와 대응되지 않는 이격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격 영역(SA)은 응력 제공부(130)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응력 제공부(130)가 지지부(SU)의 응력 전달 영역(SU1)에 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인접 영역(SU2)에는 직접적인 응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이러한 이격 영역(SA)에서는 응력 제공부(130)가 스터드(ST)의 지지부(SU)에 대응되지 않아 지지부(SU)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응력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SU)의 영역 중 일 영역에 대한 응력 집중을 통하여 스터드(ST)에 대한 노면 방향으로의 지지 특성을 향상하여 스터드(ST)의 장착홀(120)내에서의 비정상적 하강, 박힘 또는 위치 변경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SU)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응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지지부(SU)에 대한 즉각적 응력 제공이 가능할 수 있고, 지지부(SU)의 주변 영역, 예를들면 이격 영역(SA)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응력이 제공되지 않도록 응력 제공부(130)와 대응하지 않아 응력 집중을 통한 즉각적 스터드에 대한 지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노면과 타이어(100)의 접촉 시 지지부(SU)와 응력 제공부(130)의 접촉 시 발생한 열이 이격 영역(SA)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고 지지부(SU)에 가해진 잔여 응력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스터드(ST) 또는 지지 영역(122)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중앙의 영역보다 주변의 영역의 두께가 작을 수 있다. 즉, 응력 제공부(130)의 최대 두께(T)는 중앙의 영역에 대응하는 두께이고, 주변의 영역의 두께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중앙의 영역에서 주변의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 단면이 타원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응력 제공부(130)의 상면의 영역 중 중앙에 인접한 영역은 지지부(SU)의 바닥면과 접하면서 차량 주행 시 지지부(SU)에 가한 응력을 제공하고, 이와 인접한 응력 제공부(130)의 상면의 영역은 지지부(SU)의 바닥면과 점진적으로 이격되어 간격이 커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응력 제공부(130)의 상면의 중앙에 인접한 영역이 지지부(SU)의 응력 전달 영역(SU1)에 응력을 용이하게 전달하고, 인접 영역(SU2)와는 이격되어 응력 제공부(130)가 직접적으로 응력을 제공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는 스터드(ST)의 지지부(SU)에 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금속 재질, 구체적으로 스틸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강도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자성이 있는 재질을 함유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응력 제공부(130)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금속의 스터드(ST)가 배치되면 응력 제공부(130)와 스터드(ST)가 안정적으로 자력에 의하여 스터드(ST)의 위치가 좌우로 변동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스터드를 장착홀에 배치하여 타이어를 장착한 차량 주행 시, 타이어가 노면에 접촉하고 스터드가 노면과 마찰을 하여 타이어의 미끄러짐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예를들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를 눈길에서 스노우 타이어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스터드에 대응하는 장착홀을 갖고, 장착홀에는 응력 제공부가 배치된다.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가 노면과 접하여 노면으로부터 응력을 받고, 이에 의하여 스터드가 장착홀의 내부로 깊이 박혀 스터드의 핀부가 노면과 접하지 않을 정도가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응력 제공부가 스터드의 지지부와 접하면서 강한 응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터드가 깊이 박히거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터드의 성능을 유지하여 타이어를 통한 안정적 주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가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을 받는 응력 전달 영역과 이와 인접하고 적어도 응력 제공부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는 인접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선택적인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응력을 제공하여 지지부의 노면 방향으로의 지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응력의 집중을 통한 스터드의 유지 효과 및 타이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제공부와 적어도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이 응력 전달 영역에 효과적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전달 영역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 전달 영역에 전달된 응력이 타이어와 노면의 접촉이 없을 때는 인접 영역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고,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으로 인하여 지지부가 장착홀의 지지 영역에 대한 손상을 발생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가 지지 영역에 배치 시 주변에 이격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응력 전달 영역에 효과적으로 응력을 전달하고, 예를들면 지지부의 중앙 영역을 포함한 영역에 응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타이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1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미도시), 장착홀(120') 및 응력 제공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장착홀(120')은 타이어(100')에 스터드(미도시)를 장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터드(미도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7에 도시하지 않았다.
차량 주행 시 스터드(미도시)는 타이어(100')의 장착홀(120')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120')은 메인 영역(121') 및 지지 영역(12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121')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지지 영역(122')은 메인 영역(121')보다 타이어의 중심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영역(122')은 타이어(100')의 중심축과 메인 영역(12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영역(121')은 스터드(미도시)를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영역(122')은 메인 영역(1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121')은 폭(W)을 가질 수 있고, 지지 영역(122')은 메인 영역(121')의 폭(W)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영역(122')은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는 장착홀(120')에 배치되고 타이어(1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미도시)에 응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스터드가 노면과 접할 때 스터드(ST')는 응력 제공부(130')로부터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을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는 장착홀(120')의 지지 영역(1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는 적어도 장착홀(120')의 지지 영역(12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130')는 지지 영역(1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돌출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두께(T1')는 지지 영역(1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의 최대 두께일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두께(T1')은 지지 영역(122')의 깊이(H')보다는 작을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30 내지 70 퍼센트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두께(T1')가 지지 영역(122')의 깊이(H')의 30 퍼센트보다 작을 경우 차량 주행 시 응력 제공부(130')가 스터드(ST')의 지지부(SU')에 효과적으로 응력을 제공하기 힘들다. 또한 돌출 두께(T1')가 지지 영역(122')의 깊이(H')의 70 퍼센트를 초과할 경우 스터드(ST')를 장착홀(120')에 배치 시 지지부(SU')가 지지 영역(122')에 용이하게 수용되지 않거나 지지 영역(122')의 손상이나 변형을 발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지지 영역(122')의 바닥에 일 영역이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 영역(122')의 바닥면에 그루브 형태의 삽입부(125')가 형성되고, 응력 제공부(130')의 일 영역이 삽입부(125')에 삽입될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는 삽입부(125')에 포함된 영역의 삽입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두께(T2)는 지지 영역(1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부터 삽입부(125')에 삽입된 영역의 최대 두께일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의 전체의 최대 두께(T)는 돌출 두께(T1) 및 삽입 두께(T2)의 합일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의 폭(D')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130')의 폭(D)은 스터드의 지지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스터드의 지지부는 응력 제공부를 통하여 응력을 받는 응력 전달 영역 및 인접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의 영역 중 응력 전달 영역은 응력 제공부의 상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스터드는 노면과 접하고, 스터드의 핀부는 노면으로부터 응력을 받고, 지지부는 응력 제공부로부터 응력을 받을 수 있다.
지지부의 인접 영역은 적어도 응력 제공부와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의 영역 중 인접 영역은 응력 제공부의 상면과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인접 영역은 적어도 응력 제공부로부터 직접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 주행 시 지지부의 응력 전달 영역에 응력 제공부(130')를 통하여 집중된 응력이 제공되고, 구체적으로 지지부에 대한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스터드의 노면에 대한 응력시에도 스터드가 지지 영역(122')의 하부로 박히거나 위치 변동되어 스터드의 기능 상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지지부의 중앙에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 전달 영역은 스터드의 지지부의 중앙을 포함하고, 인접 영역은 지지부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스터드의 지지부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전달 영역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가 지지 영역(122')에 배치 시, 지지 영역(122')은 응력 제공부(130')와 대응되지 않는 이격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격 영역(SA)은 응력 제공부(130')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응력 제공부(130')가 지지부(SU)의 응력 전달 영역(SU1)에 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인접 영역(SU2)에는 직접적인 응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이러한 이격 영역(SA)에서는 응력 제공부(130')가 스터드의 지지부에 대응되지 않아 지지부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응력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스터드의 지지부의 영역 중 일 영역에 대한 응력 집중을 통하여 스터드에 대한 노면 방향으로의 지지 특성을 향상하여 스터드의 장착홀(120')내에서의 비정상적 하강, 박힘 또는 위치 변경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응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지지부에 대한 즉각적 응력 제공이 가능할 수 있고, 지지부의 주변 영역, 예를들면 이격 영역(SA)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응력이 제공되지 않도록 응력 제공부(130')와 대응하지 않아 응력 집중을 통한 즉각적 스터드에 대한 지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노면과 타이어(100')의 접촉 시 스터드의 지지부와 응력 제공부(130')의 접촉 시 발생한 열이 이격 영역(SA)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고 스터드의 지지부에 가해진 잔여 응력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스터드 또는 지지 영역(122')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응력 제공부(130')는 기둥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중앙의 영역 및 주변의 영역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즉, 응력 제공부(130')의 두께(T')는 중앙의 영역에 대응하는 두께이고, 주변의 영역의 두께는 이와 동일할 수 있다.
응력 제공부(130')는 스터드의 지지부에 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금속 재질, 구체적으로 스틸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강도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130')는 자성이 있는 재질을 함유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응력 제공부(130')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금속의 스터드가 배치되면 응력 제공부(130')와 스터드가 안정적으로 자력에 의하여 스터드(ST')의 위치가 좌우로 변동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스터드에 대응하는 장착홀을 갖고, 장착홀에는 응력 제공부가 배치된다.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가 노면과 접하여 노면으로부터 응력을 받고, 이에 의하여 스터드가 장착홀의 내부로 깊이 박혀 스터드의 핀부가 노면과 접하지 않을 정도가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응력 제공부가 스터드의 지지부와 접하면서 강한 응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터드가 깊이 박히거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터드의 성능을 유지하여 타이어를 통한 안정적 주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가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을 받는 응력 전달 영역과 이와 인접하고 적어도 응력 제공부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는 인접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선택적인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응력을 제공하여 지지부의 노면 방향으로의 지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응력의 집중을 통한 스터드의 유지 효과 및 타이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제공부와 적어도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이 응력 전달 영역에 효과적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전달 영역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 전달 영역에 전달된 응력이 타이어와 노면의 접촉이 없을 때는 인접 영역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고,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으로 인하여 지지부가 장착홀의 지지 영역에 대한 손상을 발생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가 지지 영역에 배치 시 주변에 이격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응력 전달 영역에 효과적으로 응력을 전달하고, 예를들면 지지부의 중앙 영역을 포함한 영역에 응력을 전달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Ⅸ-Ⅸ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A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ⅩⅠ-ⅩⅠ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K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280), 장착홀(220) 및 응력 제공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타이어(2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2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TD)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TD)는 타이어(2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TD)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평면 형태가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9에 도시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그루브(215)가 트레드부(TD)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215)는 트레드부(TD)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TD)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루브(2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2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21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215)는 일 방향 및 이와 교차하는 다른 일 방향으로 형성된 그루브(2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2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그루브(215)는 타이어(2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2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 8의 원주 방향(RT)으로 길이를 갖는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215)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9 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로 이격된 4개의 그루브(215)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4개의 그루브(215)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개수의 그루브(2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215)에 의하여 트레드부(TD)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TD)의 인접한 2개의 패턴들이 그루브(215)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280)은 트레드부(TD)와 연결된다. 사이드월(280)의 영역 중 트레드부(TD)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2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2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2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2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29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200)는 바디 플라이(2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270)는 타이어(2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2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7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27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미도시)는 타이어(2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플라이(250)는 바디 플라이(270)와 트레드부(TD)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260)이 캡플라이(250)와 바디 플라이(27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260)은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2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TD)와 노면이 접하는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26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홀(220)은 타이어(200)에 스터드(ST)를 장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터드(ST)는 장착홀(220)에 배치되어 일부, 즉 예를들면 핀부(미도시)가 장착홀(220)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이어(2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핀부(미도시)의 적어도 일 영역이 외부, 구체적 예로서 노면과 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200)는 하나 이상의 스터드(ST)가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200)는 복수의 스터드(S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2개의 스터드(ST)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3 개 이상의 스터드(ST)가 포함될 수 있고, 타이어(200)의 크기, 구조 또는 사용 조건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스터드(ST)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스터드(ST)를 구비하는 타이어(200)는 스노우 타이어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0에 스터드(ST)를 도시하고, 도 11에는 스터드(ST)를 도시하지 않았다.
스터드(ST)는 본체부(미도시), 핀부(미도시) 및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 주행 시 스터드(ST)는 타이어(200)의 장착홀(220)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220)은 메인 영역(221) 및 지지 영역(22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221)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지지 영역(222)은 메인 영역(221)보다 타이어의 중심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영역(222)은 전술한 도 8의 중심축(AX)과 메인 영역(22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영역(221)은 스터드(ST)를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메인 영역(221)은 스터드(ST)의 본체부(미도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미도시)가 기둥일 경우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메인 영역(2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221)은 스터드(ST)의 본체부(미도시)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크거나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메인 영역(221)의 폭(W)을 스터드(ST)의 본체부(미도시)의 폭보다 작도록 하여 스터드(ST)가 장착홀(220)에 배치 시 스터드(ST)를 통하여 장착홀(220)의 메인 영역(221)의 내주면에 압력을 가하여 스터드(ST)와 메인 영역(221)이 서로 압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 영역(222)은 메인 영역(2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영역(222)은 지지부(미도시)에 대응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영역(222)에 지지부(미도시)가 배치되도록 지지 영역(222)은 지지부(미도시)와 유사한 형태, 예를들면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221)은 폭(W)을 가질 수 있고, 지지 영역(222)은 메인 영역(221)의 폭(W)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영역(222)은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응력 제공부(230)는 장착홀(220)에 배치되고 타이어(2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ST)에 응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스터드(ST)가 노면과 접할 때 스터드(ST)는 응력 제공부(230)로부터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을수 있다.
응력 제공부(230)는 장착홀(220)의 지지 영역(2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력 제공부(230)는 적어도 장착홀(220)의 지지 영역(22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230)는 지지 영역(2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돌출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두께(T1)는 지지 영역(2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의 최대 두께일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두께(T1)은 지지 영역(222)의 깊이(H)보다는 작을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30 내지 70 퍼센트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두께(T1)가 지지 영역(222)의 깊이(H)의 30 퍼센트보다 작을 경우 차량 주행 시 응력 제공부(230)가 스터드(ST)의 지지부(미도시)에 효과적으로 응력을 제공하기 힘들다. 또한 돌출 두께(T1)가 지지 영역(222)의 깊이(H)의 70 퍼센트를 초과할 경우 스터드(ST)를 장착홀(220)에 배치 시 지지부(미도시)가 지지 영역(222)에 용이하게 수용되지 않거나 지지 영역(222)의 손상이나 변형을 발생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응력 제공부(230)는 지지 영역(222)의 바닥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230)와 지지 영역(222)의 바닥면의 사이에 접착부(AH)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들면 접착부(AH)는 접착물질층, 접착테이프등 다양한 형태일 수 있다.
응력 제공부(230)의 폭(D)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230)의 폭(D)은 지지부(미도시)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미도시)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응력 제공부(230)를 통하여 응력을 받는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 및 인접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미도시)의 영역 중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은 응력 제공부(230)의 상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스터드(ST)는 노면과 접하고, 스터드(ST)의 핀부(미도시)는 노면으로부터 응력을 받고, 지지부(미도시)는 응력 제공부(230)로부터 응력을 받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미도시)의 인접 영역(미도시)은 적어도 응력 제공부(230)와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미도시)의 영역 중 인접 영역(미도시)은 응력 제공부(230)의 상면과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인접 영역(미도시)은 적어도 응력 제공부(230)로부터 직접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 주행 시 지지부(미도시)의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에 응력 제공부(230)를 통하여 집중된 응력이 제공되고, 구체적으로 지지부(미도시)에 대한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스터드(ST)의 노면에 대한 응력시에도 스터드(ST)가 지지 영역(222)의 하부로 박히거나 위치 변동되어 스터드(ST)의 기능 상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230)는 지지부(미도시)의 중앙에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은 지지부(미도시)의 중앙을 포함하고, 인접 영역(미도시)은 지지부(미도시)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미도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미도시)은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230)가 지지 영역(222)에 배치 시, 지지 영역(222)은 응력 제공부(230)와 대응되지 않는 이격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격 영역(SA)은 응력 제공부(230)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응력 제공부(230)가 지지부(미도시)의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에 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인접 영역(미도시)에는 직접적인 응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이러한 이격 영역(SA)에서는 응력 제공부(230)가 스터드(ST)의 지지부(미도시)에 대응되지 않아 지지부(미도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응력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미도시)의 영역 중 일 영역에 대한 응력 집중을 통하여 스터드(ST)에 대한 노면 방향으로의 지지 특성을 향상하여 스터드(ST)의 장착홀(220)내에서의 비정상적 하강, 박힘 또는 위치 변경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미도시)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응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지지부(미도시)에 대한 즉각적 응력 제공이 가능할 수 있고, 지지부(미도시)의 주변 영역, 예를들면 이격 영역(SA)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응력이 제공되지 않도록 응력 제공부(230)와 대응하지 않아 응력 집중을 통한 즉각적 스터드에 대한 지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노면과 타이어(200)의 접촉 시 지지부(미도시)와 응력 제공부(230)의 접촉 시 발생한 열이 이격 영역(SA)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고 지지부(미도시)에 가해진 잔여 응력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스터드(ST) 또는 지지 영역(222)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응력 제공부(230)는 기둥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230)는 중앙의 영역 및 주변의 영역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즉, 응력 제공부(230)의 두께(T1)는 중앙의 영역에 대응하는 두께이고, 주변의 영역의 두께는 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230)는 중앙의 영역보다 주변의 영역의 두께가 작을 수 있다. 즉, 응력 제공부(230)의 최대 두께(T)는 중앙의 영역에 대응하는 두께이고, 주변의 영역의 두께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230)는 중앙의 영역에서 주변의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고, 전술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 단면이 타원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응력 제공부(230)는 스터드(ST)의 지지부(미도시)에 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금속 재질, 구체적으로 스틸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230)는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강도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230)는 자성이 있는 재질을 함유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응력 제공부(230)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금속의 스터드(ST)가 배치되면 응력 제공부(230)와 스터드(ST)가 안정적으로 자력에 의하여 스터드(ST)의 위치가 좌우로 변동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스터드에 대응하는 장착홀을 갖고, 장착홀에는 응력 제공부가 배치된다.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가 노면과 접하여 노면으로부터 응력을 받고, 이에 의하여 스터드가 장착홀의 내부로 깊이 박혀 스터드의 핀부가 노면과 접하지 않을 정도가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응력 제공부가 스터드의 지지부와 접하면서 강한 응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터드가 깊이 박히거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터드의 성능을 유지하여 타이어를 통한 안정적 주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가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을 받는 응력 전달 영역과 이와 인접하고 적어도 응력 제공부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는 인접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선택적인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응력을 제공하여 지지부의 노면 방향으로의 지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응력의 집중을 통한 스터드의 유지 효과 및 타이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제공부와 적어도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이 응력 전달 영역에 효과적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전달 영역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 전달 영역에 전달된 응력이 타이어와 노면의 접촉이 없을 때는 인접 영역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고,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으로 인하여 지지부가 장착홀의 지지 영역에 대한 손상을 발생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가 지지 영역에 배치 시 주변에 이격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응력 전달 영역에 효과적으로 응력을 전달하고, 예를들면 지지부의 중앙 영역을 포함한 영역에 응력을 전달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를 지지 영역의 바닥면에 배치하여 장착홀의 구조 변경없이 용이하게 응력 제공부를 배치할 수 있고, 필요 시 응력 제공부를 교체하거나 수리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ⅩⅣ-ⅩⅣ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 및 도 14의 A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ⅩⅥ-ⅩⅥ선을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380), 장착홀(320) 및 응력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타이어(3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3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TD)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TD)는 타이어(3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TD)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평면 형태가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14에 도시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그루브(315)가 트레드부(TD)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315)는 트레드부(TD)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TD)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루브(3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3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31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315)는 일 방향 및 이와 교차하는 다른 일 방향으로 형성된 그루브(3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3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그루브(315)는 타이어(3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3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 13의 원주 방향(RT)으로 길이를 갖는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315)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14 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로 이격된 4개의 그루브(315)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4개의 그루브(315)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개수의 그루브(3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315)에 의하여 트레드부(TD)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TD)의 인접한 2개의 패턴들이 그루브(315)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380)은 트레드부(TD)와 연결된다. 사이드월(380)의 영역 중 트레드부(TD)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3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3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3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39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300)는 바디 플라이(3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370)는 타이어(3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3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37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37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미도시)는 타이어(3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35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플라이(350)는 바디 플라이(370)와 트레드부(TD)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360)이 캡플라이(350)와 바디 플라이(37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360)은 타이어(3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3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TD)와 노면이 접하는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36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홀(320)은 타이어(300)에 스터드(ST)를 장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터드(ST)는 장착홀(320)에 배치되어 일부, 즉 예를들면 핀부(미도시)가 장착홀(320)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이어(3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핀부(미도시)의 적어도 일 영역이 외부, 구체적 예로서 노면과 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하나 이상의 스터드(ST)가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300)는 복수의 스터드(S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2개의 스터드(ST)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3 개 이상의 스터드(ST)가 포함될 수 있고, 타이어(300)의 크기, 구조 또는 사용 조건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스터드(ST)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스터드(ST)를 구비하는 타이어(300)는 스노우 타이어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5에 스터드(ST)를 도시하고, 도 16에는 스터드(ST)를 도시하지 않았다.
스터드(ST)는 본체부(미도시), 핀부(미도시) 및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 주행 시 스터드(ST)는 타이어(300)의 장착홀(320)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320)은 메인 영역(321) 및 지지 영역(32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321)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지지 영역(322)은 메인 영역(321)보다 타이어의 중심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영역(322)은 전술한 도 13의 중심축(AX)과 메인 영역(32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영역(321)은 스터드(ST)를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메인 영역(321)은 스터드(ST)의 본체부(미도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미도시)가 기둥일 경우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메인 영역(3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321)은 스터드(ST)의 본체부(미도시)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크거나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메인 영역(321)의 폭(W)을 스터드(ST)의 본체부(미도시)의 폭보다 작도록 하여 스터드(ST)가 장착홀(320)에 배치 시 스터드(ST)를 통하여 장착홀(320)의 메인 영역(321)의 내주면에 압력을 가하여 스터드(ST)와 메인 영역(321)이 서로 압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 영역(322)은 메인 영역(3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영역(322)은 지지부(미도시)에 대응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영역(322)에 지지부(미도시)가 배치되도록 지지 영역(322)은 지지부(미도시)와 유사한 형태, 예를들면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321)은 폭(W)을 가질 수 있고, 지지 영역(322)은 메인 영역(321)의 폭(W)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영역(322)은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응력 제공부(330)는 장착홀(320)에 형성되고 타이어(3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ST)에 응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스터드(ST)가 노면과 접할 때 스터드(ST)는 응력 제공부(330)로부터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을수 있다.
응력 제공부(330)는 장착홀(320)의 지지 영역(3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력 제공부(330)는 적어도 장착홀(320)의 지지 영역(32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330)는 지지 영역(3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돌출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두께(T1)는 지지 영역(3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의 최대 두께일 수 있다.
응력 제공부(330)는 지지 영역(322)의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응력 제공부(330)는 지지 영역(322)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트레드부(TD)가 상부로, 예를들면 돌출 두께(T1)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에 대한 가류 공정 등의 공정 중에 장착홀(320) 및 응력 제공부(33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서 타이어 제조 공정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돌출 두께(T1)는 지지 영역(322)의 깊이(H)보다는 작을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30 내지 70 퍼센트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두께(T1)가 지지 영역(322)의 깊이(H)의 30 퍼센트보다 작을 경우 차량 주행 시 응력 제공부(330)가 스터드(ST)의 지지부(미도시)에 효과적으로 응력을 제공하기 힘들다. 또한 돌출 두께(T1)가 지지 영역(322)의 깊이(H)의 70 퍼센트를 초과할 경우 스터드(ST)를 장착홀(320)에 배치 시 지지부(미도시)가 지지 영역(322)에 용이하게 수용되지 않거나 지지 영역(322)의 손상이나 변형을 발생할 수 있다.
응력 제공부(330)의 폭(D)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330)의 폭(D)은 지지부(미도시)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지지부(미도시)는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응력 제공부(330)를 통하여 응력을 받는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 및 인접 영역(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미도시)의 영역 중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은 응력 제공부(330)의 상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스터드(ST)는 노면과 접하고, 스터드(ST)의 핀부(미도시)는 노면으로부터 응력을 받고, 지지부(미도시)는 응력 제공부(330)로부터 응력을 받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미도시)의 인접 영역(미도시)은 적어도 응력 제공부(330)와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미도시)의 영역 중 인접 영역(미도시)은 응력 제공부(330)의 상면과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인접 영역(미도시)은 적어도 응력 제공부(330)로부터 직접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 주행 시 지지부(미도시)의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에 응력 제공부(330)를 통하여 집중된 응력이 제공되고, 구체적으로 지지부(미도시)에 대한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스터드(ST)의 노면에 대한 응력시에도 스터드(ST)가 지지 영역(322)의 하부로 박히거나 위치 변동되어 스터드(ST)의 기능 상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330)는 지지부(미도시)의 중앙에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은 지지부(미도시)의 중앙을 포함하고, 인접 영역(미도시)은 지지부(미도시)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미도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미도시)은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330)가 지지 영역(322)에 배치 시, 지지 영역(322)은 응력 제공부(330)와 대응되지 않는 이격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격 영역(SA)은 응력 제공부(330)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응력 제공부(330)가 지지부(미도시)의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에 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인접 영역(미도시)에는 직접적인 응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이러한 이격 영역(SA)에서는 응력 제공부(330)가 스터드(ST)의 지지부(미도시)에 대응되지 않아 지지부(미도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응력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미도시)의 영역 중 일 영역에 대한 응력 집중을 통하여 스터드(ST)에 대한 노면 방향으로의 지지 특성을 향상하여 스터드(ST)의 장착홀(320)내에서의 비정상적 하강, 박힘 또는 위치 변경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미도시)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응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지지부(미도시)에 대한 즉각적 응력 제공이 가능할 수 있고, 지지부(미도시)의 주변 영역, 예를들면 이격 영역(SA)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응력이 제공되지 않도록 응력 제공부(330)와 대응하지 않아 응력 집중을 통한 즉각적 스터드에 대한 지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노면과 타이어(300)의 접촉 시 지지부(미도시)와 응력 제공부(330)의 접촉 시 발생한 열이 이격 영역(SA)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고 지지부(미도시)에 가해진 잔여 응력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스터드(ST) 또는 지지 영역(322)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응력 제공부(330)는 기둥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330)는 중앙의 영역 및 주변의 영역의 두께가 동일할 수 있다. 즉, 응력 제공부(330)의 두께(T1)는 중앙의 영역에 대응하는 두께이고, 주변의 영역의 두께는 이와 동일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330)는 중앙의 영역보다 주변의 영역의 두께가 작을 수 있다. 즉, 응력 제공부(330)의 최대 두께(T)는 중앙의 영역에 대응하는 두께이고, 주변의 영역의 두께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330)는 중앙의 영역에서 주변의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330)는 자성이 있는 재질을 함유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응력 제공부(330)와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금속의 스터드(ST)가 배치되면 응력 제공부(330)와 스터드(ST)가 안정적으로 자력에 의하여 스터드(ST)의 위치가 좌우로 변동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스터드에 대응하는 장착홀을 갖고, 장착홀에는 응력 제공부가 배치된다.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가 노면과 접하여 노면으로부터 응력을 받고, 이에 의하여 스터드가 장착홀의 내부로 깊이 박혀 스터드의 핀부가 노면과 접하지 않을 정도가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응력 제공부가 스터드의 지지부와 접하면서 강한 응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터드가 깊이 박히거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터드의 성능을 유지하여 타이어를 통한 안정적 주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가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을 받는 응력 전달 영역과 이와 인접하고 적어도 응력 제공부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는 인접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선택적인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응력을 제공하여 지지부의 노면 방향으로의 지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응력의 집중을 통한 스터드의 유지 효과 및 타이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제공부와 적어도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이 응력 전달 영역에 효과적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전달 영역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 전달 영역에 전달된 응력이 타이어와 노면의 접촉이 없을 때는 인접 영역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고,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으로 인하여 지지부가 장착홀의 지지 영역에 대한 손상을 발생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가 지지 영역에 배치 시 주변에 이격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응력 전달 영역에 효과적으로 응력을 전달하고, 예를들면 지지부의 중앙 영역을 포함한 영역에 응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응력 제공부를 지지 영역의 바닥면과 일체화되도록 트레드부의 일 영역이 돌출된 형태로 형성하여 타이어 제조 공정의 편의성을 향상하면서 응력 제공부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도 17은 도 13의 타이어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미도시), 장착홀(320') 및 응력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장착홀(320')은 타이어(300')에 스터드(미도시)를 장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터드(미도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7에 도시하지 않았다.
차량 주행 시 스터드(미도시)는 타이어(300')의 장착홀(320')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320')은 메인 영역(321') 및 지지 영역(322')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320')의 메인 영역(321') 및 지지 영역(322')은 전술한 도 13 내지 도 16의 타이어(300)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 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응력 제공부(330')는 장착홀(320')에 배치되고 타이어(3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에 응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스터드가 노면과 접할 때 스터드(미도시)는 응력 제공부(330')로부터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을수 있다.
응력 제공부(330')는 장착홀(320')의 지지 영역(3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력 제공부(330')는 지지 영역(322')의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응력 제공부(330')는 지지 영역(322')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트레드부(TD)가 상부로, 예를들면 돌출 두께(T1)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에 대한 가류 공정 등의 공정 중에 장착홀(320') 및 응력 제공부(33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서 타이어 제조 공정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응력 제공부(330')의 상면에 자성 재료층(33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330')의 상면에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층을 도포 등의 방법으로 자성 재료층(33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자성체 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자성 재료층(335')을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금속의 스터드(미도시)가 배치될 경우 응력 제공부(330') 및 자성 재료층(335')에 대하여 스터드(미도시)가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스터드(미도시)가 이탈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330')가 지지 영역(322')에 배치 시, 지지 영역(322')은 응력 제공부(330')와 대응되지 않는 이격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스터드에 대응하는 장착홀을 갖고, 장착홀에는 응력 제공부가 배치된다.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가 노면과 접하여 노면으로부터 응력을 받고, 이에 의하여 스터드가 장착홀의 내부로 깊이 박혀 스터드의 핀부가 노면과 접하지 않을 정도가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응력 제공부가 스터드의 지지부와 접하면서 강한 응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터드가 깊이 박히거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터드의 성능을 유지하여 타이어를 통한 안정적 주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가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을 받는 응력 전달 영역과 이와 인접하고 적어도 응력 제공부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는 인접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선택적인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응력을 제공하여 지지부의 노면 방향으로의 지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응력의 집중을 통한 스터드의 유지 효과 및 타이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제공부와 적어도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이 응력 전달 영역에 효과적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전달 영역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 전달 영역에 전달된 응력이 타이어와 노면의 접촉이 없을 때는 인접 영역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고,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으로 인하여 지지부가 장착홀의 지지 영역에 대한 손상을 발생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응력 제공부상에 자성 재료층을 형성하여 스터드가 안정적으로 장착홀에 배치되고 장착홀 내에 스터드가 용이하게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3의 타이어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8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3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미도시), 장착홀(320") 및 응력 제공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장착홀(320")은 타이어(300")에 스터드(미도시)를 장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터드(미도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8에 도시하지 않았다.
차량 주행 시 스터드(미도시)는 타이어(300")의 장착홀(320")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320")은 메인 영역(321") 및 지지 영역(322")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320")의 메인 영역(321") 및 지지 영역(322")은 전술한 도 13 내지 도 16의 타이어(300)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 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응력 제공부(330")는 장착홀(320")에 배치되고 타이어(3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에 응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스터드가 노면과 접할 때 스터드(미도시)는 응력 제공부(330")로부터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을수 있다.
응력 제공부(330")는 장착홀(320")의 지지 영역(3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력 제공부(330")는 지지 영역(322")의 바닥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응력 제공부(330")는 지지 영역(322")의 바닥면에 대응하는 트레드부(TD)가 상부로, 예를들면 돌출 두께(T1)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타이어(300")에 대한 가류 공정 등의 공정 중에 장착홀(320") 및 응력 제공부(330")를 동시에 형성할 수 있어서 타이어 제조 공정의 편의성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응력 제공부(330")의 상면에 제1 자성 재료층(33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330")의 상면에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층을 도포 등의 방법으로 제1 자성 재료층(33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자성체 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제1 자성 재료층(335")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자성 재료층(337")은 장착홀(320")의 적어도 메인 영역(321")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자성 재료층(337")은 메인 영역(321")에 형성되고, 지지 영역(322")의 영역 중 응력 제공부(330")의 측면에 대응하는 영역, 이격 영역(SA)에 대응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자성 재료층(335") 및 제2 자성 재료층(337")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자성 재료층(337")은 제1 자성 재료층(335")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금속의 스터드(미도시)가 배치될 경우 응력 제공부(330") 및 제1 자성 재료층(335")에 대하여 스터드(미도시)가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스터드(미도시)가 이탈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성 재료층(337")을 이용하여 스터드(미도시)의 흔들림이나 좌우 이동을 용이하게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330")가 지지 영역(322")에 배치 시, 지지 영역(322")은 응력 제공부(330")와 대응되지 않는 이격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응력 제공부상에 제1 자성 재료층을 형성하여 스터드가 안정적으로 장착홀에 배치되고 장착홀 내에 스터드가 용이하게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제2 자성 재료층을 메인 영역에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지지 영역에 제2 자성 재료층을 형성하여 스터드가 장착홀 내에서 불필요하게 흔들리거나 좌우 진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관한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0은 도 19의 ⅩⅩ-ⅩⅩ선 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고, 도 21은 도 18 및 도 19의 A에서 본 평면도이고, 도 22는 도 21의 ⅩⅩⅡ-ⅩⅩⅡ선 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9 내지 도 2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480), 장착홀(420) 및 응력 제공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타이어(400)는 중심축(AX)을 중심으로 원주 방향(RT)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타이어(400)는 중심축(AX)으로부터 반경 방향(r)을 기준으로 내측에는 림(미도시)이 결합될 수 있다.
트레드부(TD)는 하나 이상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트레드부(TD)는 타이어(4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노면을 향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트레드부(TD)는 다양한 패턴을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평면 형태가 사각형,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 또는 곡면을 가질 수 있고, 다양한 기하학적 문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도 20에 도시한 것과 같은 하나 이상의 그루브(415)가 트레드부(TD)의 패턴에 인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415)는 트레드부(TD)의 일 영역이 제거된 형태로서 트레드부(TD)의 일 영역의 경계를 형성할 수 있다.
그루브(415)의 개수 및 형태는 타이어(400)의 주행 특성 및 용도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415)는 일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415)는 일 방향 및 이와 교차하는 다른 일 방향으로 형성된 그루브(415)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그루브(415)는 차량의 주행 방향으로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그루브(415)는 타이어(400)의 원주 방향(RT)을 따라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415)는 적어도 제1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도 19의 원주 방향(RT)으로 길이를 갖는 폐곡선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그루브(415)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도 20 에 도시한 것과 같이 서로 이격된 4개의 그루브(415)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4개의 그루브(415)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다양한 개수의 그루브(41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루브(415)에 의하여 트레드부(TD)의 패턴이 구획될 수 있고, 트레드부(TD)의 인접한 2개의 패턴들이 그루브(415)에 의하여 이격될 수 있다.
사이드월(480)은 트레드부(TD)와 연결된다. 사이드월(480)의 영역 중 트레드부(TD)와 연결된 영역의 반대 방향의 영역에는 타이어(400)를 림(미도시)과 안정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비드부(490)가 배치될 수 있다.
비드부(490)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예를들면 스틸 와이어(Steel Wire)에 고무를 피복한 사각 또는 육각 형태의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을 가질 수 있고, 이를 통하여 타이어(400)를 림(미도시)에 안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비드부(490)는 이러한 와이어 다발 형태의 영역에 대한 하중을 분산하고 외부의 충격을 완화하는 완충 영역을 구비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400)는 바디 플라이(47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 플라이(470)는 타이어(400)의 골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고, 타이어(400)가 받는 하중을 지지하고 노면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470)는 코드(cord)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바디 플라이(470)의 내측에 이너 라이너(미도시)가 더 배치될 수 있다. 이너 라이너(미도시)는 타이어(400)의 최내측에 배치되어 공기 누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캡플라이(450)를 포함할 수 있다. 캡플라이(450)는 바디 플라이(470)와 트레드부(TD)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벨트층(460)이 캡플라이(450)와 바디 플라이(470)의 사이에 더 배치될 수 있다. 벨트층(460)은 타이어(4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노면으로부터 타이어(400)가 받는 충격을 완화하고 트레드부(TD)와 노면이 접하는 접지면을 확장하여 접지 특성과 주행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벨트층(460)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복수의 층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장착홀(420)은 타이어(400)에 스터드(ST)를 장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터드(ST)는 장착홀(420)에 배치되어 일부, 즉 예를들면 핀부(미도시)가 장착홀(420)의 외부에 노출되고 타이어(400)를 차량에 장착 후 주행 시 핀부(미도시)의 적어도 일 영역이 외부, 구체적 예로서 노면과 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는 하나 이상의 스터드(ST)가 구비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타이어(400)는 복수의 스터드(ST)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1에 도시된 2개의 스터드(ST)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3 개 이상의 스터드(ST)가 포함될 수 있고, 타이어(400)의 크기, 구조 또는 사용 조건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스터드(ST)가 포함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본 실시예의 스터드(ST)를 구비하는 타이어(400)는 스노우 타이어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21에 스터드(ST)를 도시하고, 도 22에는 스터드(ST)를 도시하지 않았다.
스터드(ST)는 본체부(미도시), 핀부(미도시) 및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차량 주행 시 스터드(ST)는 타이어(400)의 장착홀(420)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420)은 메인 영역(421) 및 지지 영역(422)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영역(421)은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을 포함하고, 지지 영역(422)은 메인 영역(421)보다 타이어의 중심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지지 영역(422)은 전술한 도 13의 중심축(AX)과 메인 영역(421)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메인 영역(421)은 스터드(ST)를 장착하기 용이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예를들면 메인 영역(421)은 스터드(ST)의 본체부(미도시)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체부(미도시)가 기둥일 경우 기둥과 유사한 형태로 메인 영역(4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421)은 스터드(ST)의 본체부(미도시)와 동일한 폭을 가질 수 있고, 다른 예로서 크거나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들어 메인 영역(421)의 폭(W)을 스터드(ST)의 본체부(미도시)의 폭보다 작도록 하여 스터드(ST)가 장착홀(420)에 배치 시 스터드(ST)를 통하여 장착홀(420)의 메인 영역(421)의 내주면에 압력을 가하여 스터드(ST)와 메인 영역(421)이 서로 압력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
지지 영역(422)은 메인 영역(421)과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영역(422)은 지지부(미도시)에 대응되는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지지 영역(422)에 지지부(미도시)가 배치되도록 지지 영역(422)은 지지부(미도시)와 유사한 형태, 예를들면 원형 플레이트 형태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메인 영역(421)은 폭(W)을 가질 수 있고, 지지 영역(422)은 메인 영역(421)의 폭(W)보다 큰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지지 영역(422)은 높이(H)를 가질 수 있다.
응력 제공부(430)는 장착홀(420)에 배치되고 타이어(4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ST)에 응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스터드(ST)가 노면과 접할 때 스터드(ST)는 응력 제공부(430)로부터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을수 있다.
응력 제공부(430)는 장착홀(420)의 지지 영역(4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력 제공부(430)는 적어도 장착홀(420)의 지지 영역(422)의 바닥면으로부터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430)는 지지 영역(4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돌출 두께(T1)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돌출 두께(T1)는 지지 영역(4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의 최대 두께일 수 있다.
돌출 두께(T1)는 지지 영역(422)의 깊이(H)보다는 작을 수 있고, 선택적 실시예로서 30 내지 70 퍼센트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돌출 두께(T1)가 지지 영역(422)의 깊이(H)의 30 퍼센트보다 작을 경우 차량 주행 시 응력 제공부(430)가 스터드(ST)의 지지부(미도시)에 효과적으로 응력을 제공하기 힘들다. 또한 돌출 두께(T1)가 지지 영역(422)의 깊이(H)의 70 퍼센트를 초과할 경우 스터드(ST)를 장착홀(420)에 배치 시 지지부(미도시)가 지지 영역(422)에 용이하게 수용되지 않거나 지지 영역(422)의 손상이나 변형을 발생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430)는 지지 영역(422)의 바닥에 일 영역이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예를들면 지지 영역(422)의 바닥면에 그루브 형태의 삽입부(425)가 형성되고, 응력 제공부(430)의 일 영역이 삽입부(425)에 삽입될 수 있다.
응력 제공부(430)는 삽입부(425)에 포함된 영역의 삽입 두께(T2)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 두께(T2)는 지지 영역(422)의 바닥면을 기준으로부터 삽입부(425)에 삽입된 영역의 최대 두께일 수 있다.
응력 제공부(430)의 전체의 최대 두께(T)는 돌출 두께(T1) 및 삽입 두께(T2)의 합일 수 있다.
응력 제공부(430)의 폭(D)은 다양할 수 있고,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430)의 폭(D)은 지지부(미도시)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응력 제공부(430)의 상면에 자성 재료층(43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430)의 상면에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층을 도포 등의 방법으로 자성 재료층(43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자성체 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자성 재료층(435)을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금속의 스터드(ST)가 배치될 경우 응력 제공부(430) 및 자성 재료층(435)에 대하여 스터드(ST)가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스터드(ST)가 이탈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미도시)의 영역 중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은 응력 제공부(430)의 상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스터드(ST)는 노면과 접하고, 스터드(ST)의 핀부(미도시)는 노면으로부터 응력을 받고, 지지부(미도시)는 응력 제공부(430)로부터 응력을 받을 수 있다.
도시하지 않았으나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지지부(미도시)의 인접 영역(미도시)은 적어도 응력 제공부(430)와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미도시)의 영역 중 인접 영역(미도시)은 응력 제공부(430)의 상면과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차량 주행 시 인접 영역(미도시)은 적어도 응력 제공부(430)로부터 직접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차량 주행 시 지지부(미도시)의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에 응력 제공부(430)를 통하여 집중된 응력이 제공되고, 구체적으로 지지부(미도시)에 대한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이 집중될 수 있다. 이는 스터드(ST)의 노면에 대한 응력시에도 스터드(ST)가 지지 영역(422)의 하부로 박히거나 위치 변동되어 스터드(ST)의 기능 상실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430)는 지지부(미도시)의 중앙에 대응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은 지지부(미도시)의 중앙을 포함하고, 인접 영역(미도시)은 지지부(미도시)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구체적 예로서 지지부(미도시)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미도시)은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430)가 지지 영역(422)에 배치 시, 지지 영역(422)은 응력 제공부(430)와 대응되지 않는 이격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격 영역(SA)은 응력 제공부(430)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응력 제공부(430)가 지지부(미도시)의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에 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게 하고, 인접 영역(미도시)에는 직접적인 응력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적어도 이러한 이격 영역(SA)에서는 응력 제공부(430)가 스터드(ST)의 지지부(미도시)에 대응되지 않아 지지부(미도시)에 대하여 직접적으로 응력이 가해지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미도시)의 영역 중 일 영역에 대한 응력 집중을 통하여 스터드(ST)에 대한 노면 방향으로의 지지 특성을 향상하여 스터드(ST)의 장착홀(420)내에서의 비정상적 하강, 박힘 또는 위치 변경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미도시)의 중앙 영역에 대하여 응력이 제공되도록 하여 지지부(미도시)에 대한 즉각적 응력 제공이 가능할 수 있고, 지지부(미도시)의 주변 영역, 예를들면 이격 영역(SA)에 대응하는 영역에서는 응력이 제공되지 않도록 응력 제공부(430)와 대응하지 않아 응력 집중을 통한 즉각적 스터드에 대한 지지 효과를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노면과 타이어(400)의 접촉 시 지지부(미도시)와 응력 제공부(430)의 접촉 시 발생한 열이 이격 영역(SA)으로 용이하게 배출되고 지지부(미도시)에 가해진 잔여 응력이 용이하게 배출되어 스터드(ST) 또는 지지 영역(422)의 변형이나 손상을 감소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430)는 중앙의 영역보다 주변의 영역의 두께가 작을 수 있다. 즉, 응력 제공부(430)의 최대 두께(T)는 중앙의 영역에 대응하는 두께이고, 주변의 영역의 두께는 이보다 작을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430)는 중앙의 영역에서 주변의 영역으로 갈수록 폭이 줄어들 수 있다.
구체적 예로서 응력 제공부(430)는 도 22에 도시한 것과 같이 그 단면이 타원과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이를 통하여 응력 제공부(430)의 상면의 영역 중 중앙에 인접한 영역은 스터드(ST)의 지지부(미도시)의 바닥면과 접하면서 차량 주행 시 지지부(미도시)에 가한 응력을 제공하고, 이와 인접한 응력 제공부(430)의 상면의 영역은 지지부(미도시)의 바닥면과 점진적으로 이격되어 간격이 커질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응력 제공부(430)의 상면의 중앙에 인접한 영역이 지지부(미도시)의 응력 전달 영역(미도시)에 응력을 용이하게 전달하고, 인접 영역(미도시)과는 이격되어 응력 제공부(430)가 직접적으로 응력을 제공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430)는 도 11에 도시한 것과 같이 기둥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응력 제공부(430)는 스터드(ST)의 지지부(미도시)에 응력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도록 강성이 높은 재질로 형성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금속 재질, 구체적으로 스틸 재질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430)는 고강도 플라스틱 재질 또는 고강도 세라믹 재료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430)는 자성이 있는 재질을 함유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응력 제공부(430) 및 자성 재료층(435)이 함께 선택적인 실시예로서 금속의 스터드(ST)가 배치되면 스터드(ST)의 위치가 좌우로 변동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스터드에 대응하는 장착홀을 갖고, 장착홀에는 응력 제공부가 배치된다.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가 노면과 접하여 노면으로부터 응력을 받고, 이에 의하여 스터드가 장착홀의 내부로 깊이 박혀 스터드의 핀부가 노면과 접하지 않을 정도가 될 수 있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응력 제공부가 스터드의 지지부와 접하면서 강한 응력을 제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스터드가 깊이 박히거나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스터드의 성능을 유지하여 타이어를 통한 안정적 주행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지지부가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을 받는 응력 전달 영역과 이와 인접하고 적어도 응력 제공부를 통하여 직접적으로 응력을 받지 않는 인접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선택적인 영역에만 집중적으로 응력을 제공하여 지지부의 노면 방향으로의 지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고, 응력의 집중을 통한 스터드의 유지 효과 및 타이어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제공부와 적어도 이격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이 응력 전달 영역에 효과적으로 집중되도록 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인접 영역은 응력 전달 영역의 주변에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응력 전달 영역에 전달된 응력이 타이어와 노면의 접촉이 없을 때는 인접 영역으로 분산되도록 할 수 있고, 응력 제공부를 통한 응력으로 인하여 지지부가 장착홀의 지지 영역에 대한 손상을 발생하는 것을 감소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가 지지 영역에 배치 시 주변에 이격 영역이 형성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지지부의 응력 전달 영역에 효과적으로 응력을 전달하고, 예를들면 지지부의 중앙 영역을 포함한 영역에 응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응력 제공부상에 자성 재료층을 형성하여 스터드가 안정적으로 장착홀에 배치되고 장착홀 내에 스터드가 용이하게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도 23은 도 19의 타이어의 변형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3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타이어(400")는 트레드부(TD), 사이드월(미도시), 장착홀(420") 및 응력 제공부(430")를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상이한 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장착홀(420")은 타이어(400")에 스터드(미도시)를 장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터드(미도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8에 도시하지 않았다.
차량 주행 시 스터드(미도시)는 타이어(400")의 장착홀(420")에 배치될 수 있다.
장착홀(420")은 메인 영역(421") 및 지지 영역(422")을 포함할 수 있다.
장착홀(420")의 메인 영역(421") 및 지지 영역(422")은 전술한 도 19 내지 도 22의 타이어(400)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 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응력 제공부(430")는 장착홀(420")에 배치되고 타이어(400")를 장착한 차량의 주행 시 스터드)에 응력을 전달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스터드가 노면과 접할 때 스터드(미도시)는 응력 제공부(430")로부터 노면 방향으로의 응력을 받을수 있다.
응력 제공부(430")는 장착홀(420")의 지지 영역(422")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응력 제공부(430")는 전술한 도 19 내지 도 22의 타이어(400)에서 설명한 내용과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적용할 수 있는 바 더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는 응력 제공부(430")의 상면에 제1 자성 재료층(435")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들면 응력 제공부(430")의 상면에 페라이트 분말을 포함하는 층을 도포 등의 방법으로 제1 자성 재료층(435")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예로서 자성체 플레이트를 포함하도록 제1 자성 재료층(435")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자성 재료층(437")은 장착홀(420")의 적어도 메인 영역(421")에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2 자성 재료층(437")은 메인 영역(421")에 형성되고, 지지 영역(422")의 영역 중 응력 제공부(430")의 측면에 대응하는 영역, 이격 영역(SA)에 대응하는 영역에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제1 자성 재료층(435") 및 제2 자성 재료층(437")이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자성 재료층(437")은 제1 자성 재료층(435")과 동일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고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금속의 스터드(미도시)가 배치될 경우 응력 제공부(430") 및 제1 자성 재료층(435")에 대하여 스터드(미도시)가 안정적으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스터드(미도시)가 이탈되는 것을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자성 재료층(437")을 이용하여 스터드(미도시)의 흔들림이나 좌우 이동을 용이하게 감소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예로서 응력 제공부(430")가 지지 영역(422")에 배치 시, 지지 영역(422")은 응력 제공부(430")와 대응되지 않는 이격 영역(SA)을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대한 구체적 설명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타이어는 응력 제공부상에 제1 자성 재료층을 형성하여 스터드가 안정적으로 장착홀에 배치되고 장착홀 내에 스터드가 용이하게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제2 자성 재료층을 메인 영역에 형성하고, 선택적으로 지지 영역에 제2 자성 재료층을 형성하여 스터드가 장착홀 내에서 불필요하게 흔들리거나 좌우 진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실시예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 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 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200, 300, 400, 500: 타이어
TD: 트레드부
ST: 스터드
120, 220, 320, 420, 520: 장착홀
130, 230, 330, 430, 530: 응력 제공부

Claims (5)

  1. 차량에 장착되고 스터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적어도 차량 주행 시 노면과 접하는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인접하고 노면과 이격되는 영역을 포함하는 사이드월;
    상기 트레드부에 대응되고 상기 스터드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장착홀; 및
    상기 장착홀에 배치되고 상기 스터드를 장착 후 차량의 주행 시 상기 스터드에 응력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응력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장착홀은 노면을 향하는 메인 영역 및 상기 메인 영역과 연결되고 상기 메인 영역보다 상기 타이어의 중심에 가깝게 형성되는 지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영역에 상기 응력 제공부가 배치되고, 상기 지지 영역은 적어도 상기 응력 제공부와 인접한 영역에 상기 응력 제공부와 대응하지 않는 이격 영역을 포함하는 타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메인 영역의 폭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응력 제공부는 상기 지지 영역의 바닥면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는 타이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은 바닥에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응력 제공부는 상기 지지 영역의 삽입부에 일 영역이 삽입된 형태를 포함하는 타이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터드는 상기 응력 제공부로부터 직접적으로 응력을 제공받는 응력 전달 영역 및 상기 응력 전달 영역의 주변에 형성되고 상기 응력 제공부로부터 적어도 직접적인 응력 제공을 받지 않는 인접 영역을 포함하도록 형성된 타이어.
KR1020180009609A 2018-01-25 2018-01-25 타이어 KR102077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609A KR102077250B1 (ko) 2018-01-25 2018-01-25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9609A KR102077250B1 (ko) 2018-01-25 2018-01-25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47A KR20190090647A (ko) 2019-08-02
KR102077250B1 true KR102077250B1 (ko) 2020-02-14

Family

ID=6761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9609A KR102077250B1 (ko) 2018-01-25 2018-01-25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725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206402A (ja) * 1982-05-25 1983-12-01 Ohtsu Tire & Rubber Co Ltd スパイクタイヤ
JPS61186605U (ko) * 1985-05-15 1986-11-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647A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2529B2 (ja) 機能部品取付台座、及び、タイヤ
KR20160022057A (ko) 스노 타이어의 트레드 커프
KR102077250B1 (ko) 타이어
KR102069271B1 (ko) 타이어 소음 저감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KR102005516B1 (ko) 타이어
KR101843141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102007923B1 (ko) 타이어
KR101747138B1 (ko) 스터드 타이어의 트레드 블록
CN108349305B (zh) 充气轮胎
KR102001983B1 (ko) 타이어
KR102135890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101773122B1 (ko) 타이어
KR102673126B1 (ko) 타이어
KR102129580B1 (ko)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KR102243506B1 (ko) 타이어
KR102361671B1 (ko)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KR102006903B1 (ko) 타이어
KR102547341B1 (ko) 방열판 및 방열판이 장착된 타이어
KR102280795B1 (ko) 타이어
KR102268664B1 (ko) 타이어
KR101972567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187261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제조 방법
KR20210103316A (ko) 타이어휠 및 타이어 세트
KR102015869B1 (ko) 타이어
KR20210054819A (ko)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