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970B1 -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 - Google Patents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970B1
KR102076970B1 KR1020180108823A KR20180108823A KR102076970B1 KR 102076970 B1 KR102076970 B1 KR 102076970B1 KR 1020180108823 A KR1020180108823 A KR 1020180108823A KR 20180108823 A KR20180108823 A KR 20180108823A KR 102076970 B1 KR102076970 B1 KR 102076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undry
frame
pair
main body
drying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8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범수
Original Assignee
안범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범수 filed Critical 안범수
Priority to KR1020180108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7/00Supporting means, other than simple clothes-lines, for linen or garments to be dried or aired 
    • D06F57/08Folding st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olders For Apparel And Elements Relating To Apparel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에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측과 하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프레임이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절첩되며, 상기 제1프레임은, 일부분이 상측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이 거치되는 제2프레임이 본체부의 상단, 하단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세탁물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LAUNDRY CLOTHES RACK OF EASY TO LOADING LAUNDRY}
본 발명은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세탁물이 거치되는 제2프레임이 본체부의 상단, 하단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세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에 관한 것이다.
세탁물 건조대는, 세탁을 마친 의류를 걸어 말리기 위한 골조 구조물을 의미하는 것으로써, 천장에 장착되는 천장형 세탁물 건조대와 접혀진 상태로 보관되고 사용시에 펼쳐서 사용하는 스탠드형 세탁물 건조대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정에서 사용하는 건조대는 스탠드형 세탁물 건조대로, 많은 양의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넓은 건조틀이 마련된 상단과, 적은양의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는 작은 건조틀이 마련된 하단과, 상단과 하단을 연결하는 지지대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세탁물 건조대는 접혀진 상태로 보관할 수 있기 때문에 보관이 용이하여 많은 사람들에게 사용되고 있으나, 하단의 건조틀에 세탁물을 거치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장시간 허리를 굽혀야 하거나 무릎을 꿇고 세탁물을 거치해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서, 본 발명자는 세탁물 건조대의 하단 건조틀이 세탁물 건조대의 상단, 하단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됨으로써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세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탁물이 거치되는 제2프레임이 본체부의 상단, 하단으로 이동되도록 마련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세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에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측과 하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프레임이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절첩되며, 상기 제1프레임은, 일부분이 상측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에 의해 달성된다.
삭제
또한, 상기 제1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중심축과,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프레임이 탈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세탁물이 거치되는 제2프레임이 본체부의 상단, 하단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세탁물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의 확장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의 고정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의 제2프레임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의 제1프레임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의 세탁물 거치 과정을 간략하게 설명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를 측면에서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의 확장부가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의 고정부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의 제2프레임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의 제1프레임의 동작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100)는 본체부(110)와,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과, 확장부(14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후술하는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금속관이나 충분한 인장, 압축강도를 가지는 비철금속관이나,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부(110)는 더 상세하게, 중심축(111)과, 지지부(112)와, 연결부(113)와, 고정부(114)를 포함할 수 있다.
중심축(111)은 수평으로 설치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원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서, 중심축(111)의 일단과 타단에는 후술하는 지지부(112)가 결합될 수 있다.
지지부(112)는 중심축(111)을 지지하도록 구비된 것으로서,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한쌍으로 설치된다.
예컨대, 지지부(112)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원 기둥 형상으로 마련되어 중심축(111)의 일단과 타단에 한쌍으로 결합된다. 이때 지지부(112)는 중심축(111)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지지부(112)는 한쌍으로 마련되는데, 한쌍의 일단은 중심축(111)에 각각 연결되고 한쌍의 타단은 벌어져 지면에 각각 안착되므로, 상술한 지지부(112)에 따르면 중심축(111)이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연결부(113)는 지지부(112)와, 후술하는 제1프레임(120)과 상기 제2프레임(130)을 연결하는 것으로써, 지지부(112)와,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에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예컨대, 연결부(113)의 일단은 지지부(112)의 일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13)는 한쌍으로 마련되어 지지부(112)와 제1프레임(120), 지지부(112)와 제2프레임(130)을 각각 연결한다.
한편, 제1프레임(120)에 설치된 연결부(113)는 외력으로 인하여 회동됨으로써 절첩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1프레임(120)에 설치된 연결부(113)는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중앙부분이 절첩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가 연결부(113)에 외력을 가하는 경우 연결부(113)의 중앙부분은 회동되면서 하측 방향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연결부(113)의 타단이 연결부(113)의 일단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술한 과정에 따르면 연결부(113)가 절첩될 수 있다.
고정부(114)는 후술하는 제2프레임(130)이 탈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것으로서, 중심축(111)의 하단과 지지부(112)에 각각 설치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114)는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된 사각기둥으로 마련되고 고정부(114)의 양면에는 제2프레임(130)이 탈 부착될 수 있도록 제2프레임(130)의 일단부의 외면에 대응되는 함몰홈이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부(114)의 형상에 의하면, 제2프레임(130)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114)는 상술한 사각기둥 형상이나 일단부의 외면에 대응되는 함몰홈의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제2프레임(130)이 탈 부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부(114)에 제2프레임(130)이 삽입되는 경우, 제2프레임(130)이 외력으로 인하여 고정부(114)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114)와 제2프레임(130)을 고정하는 고정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고정부재(미도시)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고정부재(미도시)는 이에 반드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2프레임(130)이 고정부(114)에 삽입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과 재질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제1프레임(120)은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본체부(110)의 상측에 한 쌍으로 수평 배치된다.
이러한 제1프레임(120)은 지지부(112)에 회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일부분이 절첩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1프레임(120)은 금속관이나 충분한 인장, 압축강도를 가지는 비철금속관이나 스테인레스 또는 알루미늄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1프레임(120)은 상술한 재질에 제한되지 않고 세탁물이 거치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재질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제1프레임(12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구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마련된 기본골격에 복수개의 거치봉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프레임(120)은 'ㄷ'자 형으로 마련될 수 있고, 마주보는 내측면에는 내측면의 횡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거치봉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거치봉은 내측면의 횡방향에 제한되지 않고 세탁물이 거치될 수 있는 위치라면 어떠한 방향으로 배치되더라도 무방하다.
도 6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20)은 지지부(112)에 한쌍으로 설치되며 회동가능하게 마련되어 절첩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제1프레임(120)에 외력을 가하면 지지부(112)에 연결된 부분과, 제1프레임(120)의 일부분이 함께 회동되면서 도 6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절첩될 수 있다.
이때, 제1프레임(120)에 결합되는 연결부(113)도 함께 절첩되므로 제1프레임(120)은 완전히 절첩되어 지지부(112)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제1프레임(120)에는 세탁물이 거치되는데, 일반적으로 세탁물은 바람이나 외력에 의하여 쉽게 제1프레임(120)에서 이탈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이 제1프레임(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실리콘이 제1프레임(120)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이 제1프레임(120)에 도포되는 경우 세탁물과 제1프레임(12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이 바람이나 외력에 의하여 이탈되는 것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120)에 도포된 실리콘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는 세탁물과의 마찰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제2프레임(130)은 세탁물이 거치되는 또 다른 공간이 마련되는 것으로서, 제1프레임(120)의 하단에 한쌍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제2프레임(1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으로 마련된 기본 골격에 복수개의 거치봉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1프레임(120)의 하단에 제1프레임(120)과 평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평행이란 이들이 수학적으로 평행하게 배치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육안으로 평행해 보이는 정도이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적용됨에 있어서 충분하다.
상술한 제2프레임(130)은 지지부(112)에 연결된 고정부(114)에 삽입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하여 이탈되어 중심축(111)에 설치된 고정부(114)로 이동될 수 있다.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130)은 지지부(112)에 연결된 고정부(114)에서 이탈되어 중심축(111) 하단에 배치된 고정부(114)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프레임(120)은 절첩된 상태여야 한다. 이러한 제1프레임(120)의 절첩상태에 따르면, 제2프레임(130)이 제1프레임(120)에 간섭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제2프레임(130)에는 제1프레임(120)과 같이, 세탁물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면에 실리콘이 도포될 수 있으며, 실리콘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상술한 제2프레임(130)에 따르면,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이 본체부(110)의 상측과 하측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2프레임(130)을 본체부(110)의 상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서있는 상태에서 세탁물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허리를 굽히거나 무릎을 꿇지 않아도 사용자가 편리하게 세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확장부(140)는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을 확장하는 것으로서, 제1프레임(130)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된다.
이러한 확장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130)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고 제1프레임(120)의 임의의 부분에 결합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확장부(140)는 상술한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세탁물을 거치할 수 있고 제2프레임(130)에 결합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한편, 도 3에는 확장부(140)가 제1프레임(120)의 측면에 결합되었으나 세탁물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제1프레임(120)의 선단, 후단 및 양측면에 결합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이불과 같이 크기가 큰 세탁물의 경우 사용자는 2개의 확장부(140)를 제1프레임(120)의 선단 및 후단에 결합하여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의 길이를 길이방향을 따라 확장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크기가 큰 세탁물이라도 바닥에 닿지 않고 안전하게 거치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확장부(140)는 필요에 따라 제2프레임(130)에도 결합될 수 있으며, 제1프레임(120)과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연결부재는 도3에 도시된 형상에 제한되지 않고 확장부(140)와 제1프레임(120)을 연결하여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형상으로 마련되더라도 무방하다.
상술한 확장부(140)에 따르면,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이 확장될 수 있으므로, 세탁물의 크기에 따라 효과적으로 세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체부(110)와,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과, 확장부(14)를 포함하는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100)에 따르면, 제2프레임(130)이 본체부(110)의 상단, 하단으로 이동되어 고정부(114)에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세탁물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금부터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100)의 세탁물 거치 과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의 세탁물 거치 과정을 간략하게 도시한 것이다.
도 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120)은 본체부(110)에 고정되고, 제2프레임(130)은 지지부(112)에 설치된 고정부(114)에 삽입되어 결합된 상태가 기본적인 결합상태이다.
세탁물을 거치하기 전, 사용자는 도 7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제1프레임(120)을 회동시켜 절첩시킨다. 이후, 지지부(112)에 설치된 고정부(114)에서 제2프레임(130)을 인출하여 중심축(111)의 하단에 설치된 고정부(114)에 삽입하여 고정시킨다.
이때, 제1프레임(120)이 절첩되어 있으므로 제2프레임(130)은 제1프레임(120)에 간섭되지 않고 이동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따르면, 제2프레임(130)이 본체부(110)의 상측에 위치되므로 사용자는 서 있는 상태로 제2프레임(130)에 세탁물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다.
제2프레임(130)에 세탁물을 모두 거치한 후에는 제2프레임(130)을 본체부(110) 상측에 위치한 고정부(114)에서 인출하여 다시 하측 고정부(114)에 삽입한다. 이에 따르면 세탁물이 거치된 제2프레임(130)은 본체부(110)의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절첩된 상태의 제1프레임(120)에 외력을 가하여 다시 수평한 상태로 만든다. 이러한 동작에 의하면 본체부(110)의 상단에는 세탁물을 거치할 수 있는 공간이 재생성 될 수 있다.
상기 과정에 따르면 사용자는 본체부(110) 상측에 위치한 수평한 상태의 제1프레임(120)에 남은 세탁물을 거치할 수 있으므로 허리를 굽히거나 무릎을 꿇지 않아도 제1프레임(120)과 제2프레임(130)에 세탁물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과정에 따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의 세탁물 거치 과정에 의하면, 제1프레임(120)이 절첩되고 제2프레임(130)이 본체부(110)의 상단, 하단으로 이동되어 고정됨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도 세탁물을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그리고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
110: 본체부
111: 중심축
112: 지지부
113: 연결부
114: 고정부
120: 제1프레임
130: 제2프레임
140: 확장부

Claims (5)

  1.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며,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제1프레임; 및
    상기 제1프레임의 하단에 한 쌍으로 배치되며, 상기 본체부의 상측과 하측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마련되되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이 마련되는 제2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양측에 한쌍으로 설치되며 상기 중심축을 지지하는 지지부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연결부와, 한 쌍으로 마련되어 일단은 상기 지지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2프레임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연결부는,
    상기 제1프레임이 하측으로 회동되도록 절첩되며,
    상기 제1프레임은,
    일부분이 상측으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에 탈부착 가능하게 마련되며, 세탁물이 거치되는 공간을 확장하는 확장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중심축과,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프레임이 탈 부착되도록 마련되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
KR1020180108823A 2018-09-12 2018-09-12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 KR102076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823A KR102076970B1 (ko) 2018-09-12 2018-09-12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8823A KR102076970B1 (ko) 2018-09-12 2018-09-12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970B1 true KR102076970B1 (ko) 2020-04-07

Family

ID=70291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8823A KR102076970B1 (ko) 2018-09-12 2018-09-12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97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912Y1 (ko) * 1991-05-04 1993-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부 지지장치
KR20000008465U (ko) * 1998-10-15 2000-05-15 김주선 빨래 건조대
KR100795671B1 (ko) * 2007-02-01 2008-01-21 강수원 걸이틀의 높낮이가 가변되는 빨래건조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4912Y1 (ko) * 1991-05-04 1993-07-26 삼성전자 주식회사 광픽업의 대물렌즈 구동부 지지장치
KR20000008465U (ko) * 1998-10-15 2000-05-15 김주선 빨래 건조대
KR100795671B1 (ko) * 2007-02-01 2008-01-21 강수원 걸이틀의 높낮이가 가변되는 빨래건조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94860B2 (en) Foldable bed frame
KR101064261B1 (ko) 접을 수 있는 침대 프레임
KR102076970B1 (ko) 세탁물 거치가 용이한 세탁물 건조대
KR101654597B1 (ko) 간편한 접철식 빨래 건조대
KR20210101821A (ko) 건조대 겸용 세탁물바구니
JP2010057719A (ja) 折畳式物干台
KR101736395B1 (ko) 전신 거울용 걸이장치
KR100838268B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
KR102247771B1 (ko) 세탁물건조대
KR200458584Y1 (ko) 접이식 빨래건조대의 보조걸이대
KR101305050B1 (ko) 분리식 세탁물 건조대
CN206070204U (zh) 立式便携烘干衣架
JP2015009017A (ja) 窓枠取付形物干し装置
US2151510A (en) Radiator drier
KR200354714Y1 (ko) 세탁물 건조걸이
JP2015216966A (ja) 折り畳み式物干し具
KR101692536B1 (ko) 접고 펼칠 수 있는 세탁물 건조대
KR20090010005U (ko) 행거봉 거치구
CN111411498A (zh) 熨烫架
JP3211627U (ja) 折り畳み式物干し具
KR101686334B1 (ko) 바구니 수납형 세탁물 건조대
CN204662100U (zh) 一种a型晾衣架
KR100859421B1 (ko) 빨래의 날림방지용 협지수단을 갖는 접철식 빨래 건조대
JP3218824U (ja) 物干し装置
CN217298364U (zh) 一种折叠式晾衣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