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447B1 -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447B1
KR102076447B1 KR1020190072887A KR20190072887A KR102076447B1 KR 102076447 B1 KR102076447 B1 KR 102076447B1 KR 1020190072887 A KR1020190072887 A KR 1020190072887A KR 20190072887 A KR20190072887 A KR 20190072887A KR 102076447 B1 KR102076447 B1 KR 102076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ent
parts
weight
extract
kil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2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방한식
Original Assignee
방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한식 filed Critical 방한식
Priority to KR10201900728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체에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면서 발모촉진,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추출물로 두피를 보호하고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정제수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제1제; 녹차추출물, 참미역추출물, 라미나리아 클로우스토니추출물, 검정콩추출물, 하수오뿌리추출물, 복령추출물, 뽕나무껍질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 쑥추출물, 지황뿌리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참깨추출물 및 1,2-헥산다이올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제2제; 글리세린,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멘톨 및 향료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제3제; 카퍼트리이펩타이드-1,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9,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9,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3,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제4제; 미네랄워터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제5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에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면서 발모촉진,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추출물로 두피를 보호하고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천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부작용이 없으며, 비듬 및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그 효과가 지속적이고, 모발과 두피의 건강을 저해하는 오염물질, 피지 및 모낭충 등이 두피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모발과 두피 및 두피 속까지 청결하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Stimulating Hair Growth and Preventing Alopecia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에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면서 발모촉진,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추출물로 두피를 보호하고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발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완충작용과 자외선 차단, 한냉, 마찰 등 외부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며, 신체에 불필요한 비소, 수은, 아연 등의 중금속을 흡수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기능이 있다. 현재에는 이러한 기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새로운 이미지를 연출하고 자기만의 개성과 자신감을 창출하는 미용적인 측면의 기능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모발의 성장은 보통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와 같은 일련의 주기를 연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이루어진다. 또한, 탈모의 원인은 유전과 질병, 호르몬 변화, 정신적 충격과 스트레스, 영양결핍과 갱년기 장애, 화학제와 특정 의약품 남용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하여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젊은 남성들뿐만 아니라 여성층에서도 사회적 활동이 증가함에 따라 탈모예방과 양모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사회적 활동의 지속적인 증가, 사회 문화적 요인의 꾸준한 변화에 따라 이러한 관심은 더욱 높아질 것으로 생각된다.
발모제의 유형은 크게 모발의 혈액순환을 촉진하거나 영양을 공급하는 것,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것, 지방분을 줄여주거나, 환원효소를 억제하는 방법에 의한 것으로 나눌 수 있지만, 이들은 모두 큰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발모제로서 미국식품의약청(FDA)에서 인정한 약품으로 미녹시딜과 프로페시아가 있다. 미녹시딜은 원래 혈압강화제로서 이약을 사용한 환자들에게 발모가 촉진되는 것이 확인되어 바르는 발모제로서 개발되었으나, 독자적으로는 효과가 불충분하여 트레티노인 등의 피부 자극제를 적용한 수 사용하여야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MSD사에서 개발한 프로페시아는 5-알파-환원효소의 작용을 저해하는 DHT의 생성을 억제하여, 남성형 탈모를 예방하고 치료하는 효과를 갖는 경구용 탈모 치료제이나, 장기 복용 시 생식 능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다.
종래의 발모촉진제로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Minoxidil)"은 원래 혈관 이완 작용을 하는 고혈압 치료제로 이용되었으나, 머리 팔 다리 등의 전신에 털이 2cm 내지 4cm까지 자라는 부작용이 생기고, 약물의 사용 중지 시 수 개월 내에 털이 빠지게 되는데 착안하여 바르는 발모 촉진제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미녹시딜은 일반적으로 남성 호르몬성 탈모증에 사용되고 있으며 두정부 탈모증에는 그 효과가 인증되나 측두부 탈모증에는 효과가 거의 미미하다. 또한 과다 사용 때에 저혈압이나 심혈관계 합병증을 유발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남성 호르몬인 안드로젠의 생성, 결합과 대사를 억제하는 항안드로젠 약물을 이용하는 "프로페시아(Propecia)"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으로의 전환을 차단하는 5알파-리덕타아제 효소 억제제(5-Alpha Reductase Enzyme Inhibitor)로서 전립선 비대를 치료하는 데 쓰여 왔던 프로스카(Proscar)와 동일한 약물인데, 임신 중인 원숭이에게 경구 투여시 태아에서 특이적인 외부 생식기 기형 유발이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약물은 남성에게 사용했을 때 여성화를 초래할 수 있고, 여성에서도 임신 중에는 남자 태아의 여성화를 유발, 선천성 기형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어 임신부에게는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탈모 예방제나 발모제를 적용할 경우 체내 항상성의 불균형으로 인하여 각종 부작용이 관찰되곤 하는데 대표적으로 성기능 감소나 알레르기, 우울증, 국소염증 등의 예기 하지 않은 각종 부작용이 발생한다.
또한, 탈모는 복합적인 시스템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에 호르몬 억제 등의 협소적인 치료는 근시안적인 처방에 불과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 밖에도 천연 식물 추출물을 기본으로 조성물 사용법 또는 모발 이식법 등이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천연 식물 추출물의 경우, 모발 또는 탈모증의 상태가 개인마다 다양하기 때문에 모발 성장에 긍정적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고, 피부자극 또는 불쾌한 냄새 등으로 인해서 장기간에 걸친 지속 사용에 어려움이 있으며, 모발 이식법 역시 식모 후 탈리 현상, 추가 이식 수술의 필요성, 고비용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미녹시딜 제제 또는 프로페시아 제제가 갖는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으면서도, 기타 천연 식물 추출물 조성물이나 모발 이식법에 비해서 효과 및 효능이 우수하며, 두피와 모발에 대한 보호기능과 함께 영양공급기능을 갖는 조성물의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4175호(2014.08.0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33130호(2013.11.26.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3181호(2013.05.1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64255호(2015.10.29. 공고)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인체에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면서 발모촉진,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추출물로 두피를 보호하고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는 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무해한 천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부작용이 없고, 비듬 및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그 효과가 지속적으로 구현되도록 한 것이 다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탈모를 촉진시키는 지루성 피부염, 건선, 아토피 등의 피부질환, 염증성 질환 등을 유발하는 외부 오염물질과 피지, 모낭충 등을 두피와 모공 및 모낭에서 제거하기 위한 것이 또 다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정제수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제1제; 녹차추출물, 참미역추출물, 라미나리아 클로우스토니추출물, 검정콩추출물, 하수오뿌리추출물, 복령추출물, 뽕나무껍질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 쑥추출물, 지황뿌리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참깨추출물 및 1,2-헥산다이올이 혼합되어 제조되는 제2제; 글리세린,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멘톨 및 향료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제3제; 카퍼트리이펩타이드-1,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9,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9,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3,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제4제; 미네랄워터가 혼합되어 제조되는 제5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제는 45 내지 60 중량부의 정제수가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제2제는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녹차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참미역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라미나리아 클로우스토니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검정콩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하수오뿌리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복령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뽕나무껍질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소나무잎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쑥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지황뿌리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측백나무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참깨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1,2-헥산다이올이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제3제는 10 내지 20 중량부의 글리세린,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멘톨,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향료가 혼합되어 제조되고, 상기 제4제는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카퍼트리이펩타이드-1, 0.07 내지 0.17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9,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9, 0.07 내지 0.17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3, 0.15 내지 0.20 중량부의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가 혼합되어 제조되며, 상기 제5제로서, 25 내지 35 중량부의 미네랄워터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45 내지 60 중량부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1제를 계량하여 제1가마에 투입하고, 상기 제1가마에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녹차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참미역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라미나리아 클로우스토니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검정콩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하수오뿌리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복령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뽕나무껍질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소나무잎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쑥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지황뿌리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측백나무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참깨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1,2-헥산다이올을 포함하는 제2제를 각각 계량하고 투입하여 제2제가 제1제에 혼합되도록 분산시켜 수상 용해시키고, 10 내지 20 중량부의 글리세린,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멘톨,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향료를 포함하는 제3제를 제2가마에 투입하여 혼합되도록 분산시켜 유상 용해시키며, 상기 수상 용해로 분산된 제1제 및 제2제가 투입된 제1가마에 제2가마에서 유상 용해로 분산된 제3제를 투입하여 혼합되도록 분산시키고,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카퍼트리이펩타이드-1, 0.07 내지 0.17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9,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9, 0.07 내지 0.17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3, 0.15 내지 0.20 중량부의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를 포함하는 제3제를 각각 계량한 제4제를 제1제, 제2제 및 제3제가 혼합 분산된 상기 제1가마에 투입하여 혼합하며, 25 내지 35 중량부의 미네랄워터를 포함하는 제5제를 제1제, 제2제, 제3제 및 제4제가 혼합 분산된 상기 제1가마에 투입한 후 분산시켜 제조되는,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제는 40℃의 온도로 15분 동안 가온하면서 수상 용해하고, 상기 제2제는 40℃의 온도로 15분 동안 가온하면서 유상 용해하며, 상기 제1제, 제2제 및 제3제가 혼합 분산된 용액을 30℃의 온도로 냉각시키고, 상기 제4제는 상기 제1제, 제2제 및 제3제가 투입된 가마에 투입하여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며, 상기 제5제는 상기 제1제, 제2제, 제3제 및 제4제가 투입된 가마에 투입하여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상기 교반된 제1제, 제2제, 제3제, 제4제 및 제5제를 탈포한 후 용액을 여과망으로 여과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수상 용해 때에 150rpm으로 교반하고, 상기 유상 용해 때에 150rpm으로 교반하며, 상기 제1가마에 제4제를 투입한 후 100rpm으로 교반하고, 상기 제1가마에 제5제를 투입한 후 150rpm으로 교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인체에 부작용이나 독성이 없으면서 발모촉진,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며, 천연추출물로 두피를 보호하고 모발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고, 인체에 무해한 천연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사용하여 부작용이 없으며, 비듬 및 탈모 방지 효과가 우수하며, 그 효과가 지속적이고, 모발과 두피의 건강을 저해하는 오염물질, 피지 및 모낭충 등이 두피 외부로 배출되도록 유도하여 모발과 두피 및 두피 속까지 청결하게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을 나타낸 성분표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제조 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을 사용한 피험자의 모발상태 및 두피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은 혼합 및 분산하여 사용되는 제1제, 제2제, 제3제, 제4제 및 제5제를 포함한다.
1. 제1제
제1제는 정제수이다. 정제수는 용매제로 사용되고 45 내지 6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제1제로서 정제수는 대략 40℃까지 가온된다.
2. 제2제
제2제는 녹차추출물, 참미역추출물, 라미나리아 클로우스토니추출물, 검정콩추출물, 하수오뿌리추출물, 복령추출물, 뽕나무껍질추출물, 소나무잎추출물, 쑥추출물, 지황뿌리추출물, 측백나무추출물, 참깨추출물 및 1,2-헥산다이올이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녹차추출물은 항산화, 피부건강유지 및 두피모발 보호를 위한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참미역추출물은 피부의 노화방지를 위한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라미나리아 클로우스토니추출물은 향료 및 피부보호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검정콩추출물은 피부 탄력과 스크럽제, 벌킹제 및 점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하수오뿌리추출물은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령추출물은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뽕나무껍질추출물은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소나무잎추출물은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쑥추출물은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지황뿌리추출물은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백나무추출물은 항산화제, 수렴제, 모발컨디셔닝제, 피부유연화제, 보습제 및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참깨추출물은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1,2-헥산다이올은 항균 및 보습을 위한 보존제 기능을 포함하는 용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3. 제3제
제3제는 글리세린,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멘톨 및 향료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글리세린은 보습제로 사용되고 10 내지 2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은 용해화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멘톨은 착향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향료는 착향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4. 제4제
제4제는 카퍼트리이펩타이드-1,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9,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9,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3,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카퍼트리이펩타이드-1는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는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0.07 내지 0.17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9는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9는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5 내지 0.15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3은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07 내지 0.17 중량부가 포함되며, 상기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는 스킨컨디셔닝제로 사용되고 0.15 내지 0.20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5. 제5제
제5제는 미네랄워터가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미네랄워터는 용해된 광물질이나 가스를 다량 함유하는 물로서, 미네랄워터는 다량의 탄산칼슘, 황산마그네슘, 칼륨, 황산나트륨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이산화탄소 및 황화수소 같은 가스가 포함될 수도 있다. 미네랄워터는 용매제로 사용되고 25 내지 35 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추출물들은 다양한 추출방법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추출방법으로는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추출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초임계란 일정한 용매가 특정 온도와 압력을 넘어서면 아무리 압력과 열을 가해도 액체나 기체가 되지 않는 상태를 말하는데, 이러한 초임계 용매는 기체와 액체의 장점을 함께 가지고 있기 때문에, 액체처럼 다른 물질을 쉽게 녹일 수 있으며, 기체와 같이 확산이 매우 뛰어나서 유용한 성분을 녹인 다음, 잔류 물질 없이 완전한 제거가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에서 상기 추출물은 이러한 초임계의 특성을 이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이산화탄소는 화학적 안정성이 뛰어나고, 부식성이 없으며, 인체에 대한 독성이 없기 때문에 초임계 용매로 적합하다. 또한, 임계온도가 실온근처 또는 추출온도에 가깝고, 낮은 임계압력, 큰 용해도, 쉬운 선택, 저렴한 구입비용 등의 여러 장점 때문에 이산화탄소를 초임계 용매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제조방법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서, 먼저, 제1제인 정제수를 45 내지 60 중량부로 계량한 다음 제1가마에 투입하여 대략 40℃까지 가온한다(S1).
그리고 제2제로서,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녹차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참미역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라미나리아 클로우스토니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검정콩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하수오뿌리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복령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뽕나무껍질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소나무잎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쑥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지황뿌리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측백나무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참깨추출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1,2-헥산다이올을 각각 계량하여 제1가마에 투입하여 분산시켜 수상 용해시킨다(S2). 이때, 수상 용해는 대략 15분 동안 150rpm으로 교반한다.
또한, 제3제로서, 10 내지 20 중량부의 글리세린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멘톨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향료를 각각 계량한 다음 제2가마에 투입하여 대략 40℃까지 가온하면서 분산시키는 동안 유상 용해시킨다(S3). 이때, 유상 용해는 대략 15분 동안 150rpm으로 교반한다.
또한, 제2가마에서 유상 용해된 제3제를 제1제와 제2제가 수상 용해된 제1가마에 투입하여 혼합한다(S4).
이후, 분산되어 용해된 제1제, 제2제 및 제3제가 혼합 분산되어 제조된 용액을 1차 냉각 및 탈포하되, 대략 30℃의 온도까지 냉각시킨다(S5).
다음으로, 제4제로서,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카퍼트리이펩타이드-1과, 0.07 내지 0.17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9와,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9와, 0.07 내지 0.17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3과, 0.15 내지 0.20 중량부의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를 각각 계량하여 제1가마에 첨가 및 혼합하여 분산되도록 교반한다(S6). 이때, 제1가마에 제4제가 투입된 후에 대략 10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한다.
그 다음으로, 제5제로서, 25 내지 35 중량부의 미네랄워터를 제1가마에 첨가 및 혼합하여 분산되도록 교반한다(S7). 이때, 제1가마에 제5제가 투입된 후에 대략 10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한다.
나아가, 상기 제1제, 제2제, 제3제, 제4제 및 제5제가 혼합 분산되어 제조된 용액을 탈포한 후 여과망으로 여과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S8).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을 여러 명의 피험자들에게 적용하여 발모상태를 시험하였다.
우선, 피험자들의 모발을 온수로 충분히 적신 후,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을 모발에 발라 거품을 내었고, 이후 모발을 온수로 세척하였다.
다음으로, 브러시를 이용하여 두피를 지압하였고, 다시 한 번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을 피험자들의 모발에 도포한 후 동일 동작을 반복하였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험자의 모발에 샴푸하는 것을 아침, 저녁 및 취침 전 하루 3번 반복 수행하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이 피험자에게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을 이용하게 하였고, 일정 기간이 경과한 후의 피험자의 발모상태 및 두피상태를 시간별로 도 3 내지 도 6에 각각 나타내었다. 상기 도면에 나타난 피험자의 발모상태 및 두피상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의 사용으로 인하여 탈모된 부분이 발모되었다는 것을 육안으로 확연히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45 내지 60 중량부의 정제수를 포함하는 제1제를 계량하여 제1가마에 투입한 후, 40℃의 온도로 15분 동안 가온하면서 150rpm으로 교반하여 수상 용해시키고,
    상기 제1가마에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녹차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참미역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라미나리아 클로우스토니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검정콩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하수오뿌리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복령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뽕나무껍질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소나무잎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쑥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지황뿌리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측백나무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참깨추출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1,2-헥산다이올을 포함하는 제2제를 각각 계량하고 투입하여 제2제가 제1제에 혼합되도록 분산시킨 후, 40℃의 온도로 15분 동안 가온하면서 150rpm으로 교반하여 유상 용해시키며,
    10 내지 20 중량부의 글리세린,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05 내지 0.15 중량부의 멘톨, 0.05 내지 0.15 중량부의 향료를 포함하는 제3제를 제2가마에 투입하여 혼합되도록 분산시켜 150rpm으로 교반하여 유상 용해시키고,
    상기 수상 용해로 분산된 제1제 및 제2제가 투입된 제1가마에 제2가마에서 유상 용해로 분산된 제3제를 투입하여 혼합되도록 분산시킨 후, 상기 제1제, 제2제 및 제3제가 혼합 분산된 용액을 30℃의 온도로 냉각시키며,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카퍼트리이펩타이드-1, 0.07 내지 0.17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9, 0.05 내지 0.15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19, 0.07 내지 0.17 중량부의 알에이치-폴리펩타이드-3, 0.15 내지 0.20 중량부의 알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2로 각각 계량된 제4제를 제1제, 제2제 및 제3제가 혼합 분산된 상기 제1가마에 투입하여 실온에서 10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면서 혼합하며,
    25 내지 35 중량부의 미네랄워터를 포함하는 제5제를 제1제, 제2제, 제3제 및 제4제가 혼합 분산된 상기 제1가마에 투입하여 실온에서 10분 동안 150rpm으로 교반하여 분산시키고,
    상기 교반된 제1제, 제2제, 제3제, 제4제 및 제5제를 탈포한 후 용액을 여과망으로 여과하여 제조하는,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삭제
KR1020190072887A 2019-06-19 2019-06-19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6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87A KR102076447B1 (ko) 2019-06-19 2019-06-19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2887A KR102076447B1 (ko) 2019-06-19 2019-06-19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6447B1 true KR102076447B1 (ko) 2020-02-11

Family

ID=69569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2887A KR102076447B1 (ko) 2019-06-19 2019-06-19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64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3181B1 (ko) 2012-08-09 2013-05-10 최한섭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101333130B1 (ko) 2012-01-02 2013-11-26 손정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424175B1 (ko) 2012-12-26 2014-08-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검은콩, 하수오, 감태 및 다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 및 발모 효능이 증진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64255B1 (ko) 2015-07-08 2015-10-29 (주)에스씨중앙연구소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130B1 (ko) 2012-01-02 2013-11-26 손정화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101263181B1 (ko) 2012-08-09 2013-05-10 최한섭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101424175B1 (ko) 2012-12-26 2014-08-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검은콩, 하수오, 감태 및 다시마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능 및 발모 효능이 증진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64255B1 (ko) 2015-07-08 2015-10-29 (주)에스씨중앙연구소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42528B (zh) 草本养发防脱去屑洗发原液及制作方法
KR101004288B1 (ko) 블렌딩 아로마 오일의 효능이 증진되는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TWI754607B (zh) 脫髮預防調配物及其用途
CN110403882A (zh) 一种具有生发护发作用的洗发香波
KR20090120726A (ko) 샴푸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3217B1 (ko) 탈모예방 및 육모촉진 두발제품 조성물
KR100874225B1 (ko) 발모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제품
JP3995720B2 (ja) 化粧用ボディーケア調製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64255B1 (ko)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983629A (zh) 一种纯天然染发养发药泥及其制备方法
CN107913228A (zh) 含生姜的无硅油保健洗发水及其制备工艺
KR102076447B1 (ko) 발모촉진 및 탈모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1354517A (ja) 皮膚外用剤
US10111827B2 (en) Hair loss prevention and restoration solution
JP3505200B2 (ja) 育毛剤
JP2015501803A (ja) 二酸化塩素含有育毛溶液及びその調製並びに使用方法
CN115068396A (zh) 一种促进毛囊活力坚固发根防脱发洗发水
JPS6156118A (ja) 養毛化粧料
JP2004292359A (ja) 縮毛用シャンプー
KR101371771B1 (ko) 거품식 워터리스 샴푸 조성물
JP3382148B2 (ja) 頭部用外用剤
KR102359906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5179334A (ja) 高麗人参抽出物含有化粧料組成物
KR20120121272A (ko) 고추, 검정깨, 치자, 백급, 쪽풀을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특허
KR20120046564A (ko)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