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6267B1 -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6267B1
KR102076267B1 KR1020170023117A KR20170023117A KR102076267B1 KR 102076267 B1 KR102076267 B1 KR 102076267B1 KR 1020170023117 A KR1020170023117 A KR 1020170023117A KR 20170023117 A KR20170023117 A KR 20170023117A KR 102076267 B1 KR102076267 B1 KR 102076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wire
facility
unit
switch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411A (ko
Inventor
김광수
최종권
윤현식
백주혁
Original Assignee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3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6267B1/ko
Priority to IL257088A priority patent/IL257088B2/en
Priority to US15/883,063 priority patent/US10490370B2/en
Priority to TW107103277A priority patent/TWI746783B/zh
Priority to CN201810151199.6A priority patent/CN108459495B/zh
Publication of KR20180096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6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6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12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with means, e.g. feelers, which in case of the presence of a body part of a person in or near the danger zone influence the control or operation of the mach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7/00Switches having flexible operating part adapted only for pulling, e.g. cord, chain
    • H01H17/02Details
    • H01H17/06Movable parts
    • H01H17/08Operating part, e.g. cord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9/00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3/00Safety devices acting in conjunction with the control or operation of a machine; Control arrangements requiring the simultaneous use of two or more parts of the body
    • F16P3/008Devices for directly stopping or interrupting the drive or gear in case of danger to the machine, e.g. devices with clu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7/00Switches having flexible operating part adapted only for pulling, e.g. cord, chain
    • H01H17/16Switches having flexible operating part adapted only for pulling, e.g. cord, chain having a single flexible operating part adapted for pulling at one end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01H3/0226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operated by a pull co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9/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fferent basic types of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and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not covered by any single one of the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7/00Switches having flexible operating part adapted only for pulling, e.g. cord, chain
    • H01H17/02Details
    • H01H17/06Movable parts
    • H01H17/08Operating part, e.g. cord
    • H01H17/10Operating part, e.g. cord adapted for operation by a part of the human body other than the hand, e.g. by foo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2003/323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the mechanisms being adjust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6Indicators for switching condition, e.g. "on" or "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Auxiliary Devices For Machine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공간에 설치되어 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당김에 의해 작동 가능한 스위치 유닛, 및 장력이 가해지도록 작업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측이 스위치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비상정지 장치와, 와이어를 당기거나 미는 방식으로 작업공간의 원하는 위치에서 설비를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 방법이 제시된다.

Description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Emergency Off Apparatu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작업공간의 원하는 위치에서 설비를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나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각 공정은 해당 공정의 진행에 최적 조건을 제공하도록 마련된 각 공정 설비에서 수행된다. 이들 공정 설비는 메커니즘이 복잡하며, 설치 및 운용에 많은 비용이 든다. 또한, 이들 공정 설비는 작동을 정지하기 위한 조작 과정이 상당히 복잡하다. 따라서, 이들 공정 설비는 가동을 긴급히 정지시키기 위한 비상정지 스위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한다.
비상정지 스위치는 가급적이면 신속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공정 설비의 본체에 단순하고 직관적인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통상적이다.
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1은 라인 전체를 정지하는 스위치와 개별 기기를 정지하는 스위치를 모두 구비하여 작업자가 상황에 맞게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는 비상정지 스위치 유닛에 관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복수의 푸시 버튼이 전부 눌린 상태에서 반도체 제조 장치의 작동을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작업자의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EMO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특허문헌 3은 버튼커버를 구비하여 작업자의 실수로 버튼이 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비상차단유닛에 관한 것이다.
한편, 작업자가 공정 설비의 본체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을 때, 공정 설비의 가동을 긴급히 정지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하기의 특허문헌 4는 무선 신호를 발생하여 공정 설비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는 휴대형 EMO 스위치를 가진 긴급 차단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특허문헌에 따르면, 긴급 상황시 작업자가 어느 위치에서나 휴대형 EMO 스위치를 눌러 공정 설비의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특허문헌 4의 긴급 차단 시스템은 작업자가 휴대형 EMO 스위치를 직접 휴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작업자가 공정 설비를 조작하거나 이동하는 중에 휴대형 EMO 스위치를 누르지 않도록 신경써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KR 20-0464758 Y1 KR 10-2006-0012465 A KR 10-2006-0108978 A KR 10-2011-0038787 A
본 발명은 스위치 유닛을 증설하지 않으면서 작업공간의 모든 위치에서 설비를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자가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긴급 상황에서 작업자가 직관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는, 작업공간에 설치되어 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당김에 의해 작동 가능한 스위치 유닛; 및 장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측이 상기 스위치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유닛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각각의 스위치 유닛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닛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작업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더미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유닛과 상기 와이어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안전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작업공간에 설치되는 안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안내 유닛을 지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 단부가 상기 스위치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닛은 복수개 구비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는 동선을 따라 설치되거나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공간 전체를 둘러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유닛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와이어와 상기 스위치 유닛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며, 장착된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연결 유닛을 통하여 상기 스위치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몸체; 상기 스위치몸체에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며, 당김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몸체를 온(ON)시키는 정지스위치; 및 상기 정지스위치의 단부에 형성되는 와이어걸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스위치몸체에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며, 누름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몸체를 오프(OFF)시키는 복구스위치; 및 상기 스위치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정지스위치의 당김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정지스위치가 상기 와이어에 의해 기준힘 이상으로 당겨지면 상기 스위치몸체를 온시키고, 상기 복구스위치의 누름에 의해 상기 스위치몸체를 오프시킬 수 있다.
상기 설비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몸체는 각 설비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일체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비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몸체는 상기 설비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스위치몸체는 하나의 설비를 개별 제어하거나, 복수개의 설비를 그룹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설치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통로를 가지는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의 통로를 지나도록 상기 와이어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비상정지 방법은, 작업공간에 설치된 설비를 정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몸체 및 장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되어 일 단부가 상기 스위치몸체에 연결된 와이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설비를 가동하는 과정; 및 상기 와이어로 상기 스위치몸체를 작동시켜 상기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몸체는 일측에 정지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정지스위치에 연결되며, 상기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밀어 상기 정지스위치를 당기는 과정; 상기 정지스위치가 기준힘 이상으로 당겨지면 상기 스위치몸체를 온(ON)시키는 과정; 상기 스위치몸체에서 상기 설비로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은, 하나의 와이어로 하나의 스위치몸체를 작동시켜 복수개의 설비를 모두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설비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몸체는 상기 설비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복수개 배치되어 각각의 스위치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은, 각각의 와이어로 각각의 스위치몸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복수개의 설비를 개별 또는 그룹별로 정지시키거나 각각의 와이어로 각각의 스위치몸체를 모두 작동시켜 복수개의 설비를 모두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몸체는 타측에 복구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설비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기 복구스위치를 눌러 상기 스위치몸체를 오프(OFF)시키는 과정; 및 상기 스위치몸체에서 상기 설비로 복구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스위치 유닛을 증설하지 않으면서 작업공간의 모든 위치에서 설비를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는데, 작업자의 동선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모든 위치에서, 작업공간을 둘러 설치된 와이어를 당기거나 미는 직관적인 동작으로, 와이어에 연결된 한 쌍의 스위치 유닛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하여, 작업공간의 모든 위치에서 설비를 신속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예컨대 반도체나 표시장치 등을 제조하기 위하여 공정 설비를 가동하는 중에 작업자가 스위치 유닛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더라도 스위치 유닛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기거나 밀어 공정 설비를 긴급하게 정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몸에 휴대용 스위치를 상시 장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없고, 긴급 상황에서 작업자가 스위치가 설치된 위치로 이동하거나, 또는, 작업자가 장비하고 있는 스위치를 꺼내거나 찾는 등의 동작 없이 와이어를 당기거나 밀어 신속하게 공정 설비를 정지시킬 수 있다.
특히, 작업자의 상지나 하지 중 어느 것을 사용하더라도 와이어를 밀거나 당기기가 용이하기 때문에 긴급한 상황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가 작업공간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위치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연결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내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가 작업공간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가 작업공간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의 스위치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의 연결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의 안내 유닛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변형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가 작업공간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는 작업공간(10)에 설치되어 설비(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기준힘 이상의 당김에 의해 작동 가능한 스위치 유닛(100), 기준힘 미만의 장력이 가해지도록 팽팽히 당겨진 긴장 상태로 작업공간(10)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측이 스위치 유닛(1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와이어(300)를 포함한다. 또한, 비상정지 장치는 와이어(300)와 스위치 유닛(100)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며, 와이어(300)에 걸린 장력의 크기를 조절 가능하도록 장착된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유닛(200), 와이어(300)의 경로를 안내하도록 작업공간(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안내 유닛(4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작업공간(10)은 설비(A) 예컨대 반도체나 표시장치의 제조를 위한 공정 설비가 설치된 공간, 설비를 조작하기 위하여 설비 부근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는 동선, 및 설비 또는 공정과 관련하여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설비 주변의 모든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작업공간(10)에서 설비가 가동되어 반도체나 표시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각종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물론, 작업공간(10)은 여러 산업 분야의 다양한 공정을 수행하는 각종 설비가 설치된 공간 및 그 주변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설비(A)는 작업공간(10)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고, 하나 또는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설비의 외측을 둘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 유닛(100)은 작업공간에 설치되어 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당김에 의하여 작동하는데, 예컨대 와이어(300)에 의해 후술하는 정지스위치(120)가 당겨지면 설비의 작동을 긴급히 정지시키는 신호를 생성하여 설비로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 유닛(100)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스위치 유닛(100)은 두 개 이하의 개수로 구비될 수 있고, 더욱 상세하게는, 두 개의 스위치 유닛(100)이 구비되어 한 쌍을 이루도록 서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스위치 유닛(100)이 구비될 수도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스위치 유닛(100)은 스위치몸체(110), 정지스위치(120), 와이어걸이(121), 작동표시부(130), 복구스위치(140) 및 지지 패널(150)을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몸체(110)는 작업자(미도시)의 상지나 하지 중 적어도 하나가 접촉 가능하도록 소정의 높이에 설치될 수 있다. 스위치몸체(110)는 설비(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온(ON) 상태에서 설비(A)를 긴급히 정지시키는 정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고, 오프(OFF) 상태에서 설비(A)의 긴급정지 상태를 해제시키도록 복구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스위치몸체(110)와 설비(A)는 유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무선통신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설비(A)는 스위치몸체(110)로부터 정지신호를 입력받아 가동을 즉시 정지할 수 있고, 복구신호를 입력받아 재가동하거나 작동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설비(A)가 하나인 경우, 스위치몸체(110)는 하나 설치될 수 있다. 설비(A)가 복수개일 때, 스위치몸체(110)는 하나 설치되며, 각 설비(A)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일체로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설비(A)가 복수개일 때, 스위치몸체(110)는 설비(A)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되는데, 스위치몸체(110)의 개수를 설비(A)의 개수만큼 설치하는 경우 각각의 스위치몸체(110)가 각각 하나의 설비(A)를 개별 제어할 수 있고, 스위치몸체(110)의 개수를 설비(A)의 개수보다 적게 설치하는 경우 각 스위치몸체(110)가 복수개의 설비(A)를 복수개의 그룹으로 묶어 이들을 그룹 제어할 수 있다.
정지스위치(120)는 스위치몸체(110)의 일측에 신축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와이어(300)의 당김에 의해 작동하여 스위치몸체(110)를 온(ON) 시킬 수 있다. 정지스위치(120)는 예컨대 스프링이나 유압 등에 의해 신축 가능한 구조이고, 당김 상태에서 스위치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며 길이가 늘어날 수 있고, 당김이 해제되면 탄성복원력에 의하여 당겨지기 전 길이(초기 길이)로 복원될 수 있다. 스위치몸체(110)는 정지스위치(120)의 당김에 의해 온 상태가 되면, 이후에 정지스위치(120)의 당김이 해제되어도 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정지스위치(120)는 예컨대 12.75kgf 이하 또는 125N 이하의 힘으로 조작되는 경우에 원활하게 신축 및 복원될 수 있다. 이때, 정지스위치(120)는 와이어(300)에 의하여 기준힘 이상으로 당겨지면 스위치몸체(110)를 온 시킬 수 있다. 즉, 정지스위치(120)는 기준힘 이상 12.75kgf 이하 또는 125N 이하의 힘으로 당겨지면 스위치몸체(110)의 외측으로 돌출되면서 스위치몸체(110)를 온 시킬 수 있고, 이후, 힘이 제거되면 당겨지기 전 길이로 복원될 수 있고, 이 때에도 스위치몸체(110)의 온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기준힘은 작업자가 와이어를 당기거나 밀지 않은 상태에서 와이어(300)가 정지스위치(120)에 결합되어 팽팽하게 당겨질 수 있도록 와이어(300)에 가해지는 최소한의 장력을 기준값으로 하는 상대값일 수 있다.
기준힘은 예컨대 3kgf 이상이나 29.4N 이상의 힘일 수 있다. 상술한 값은 작업자가 긴급 상황에서 상지나 하지를 이용하여 와이어(300)를 직접 당기거나 밀어 와이어(300)에 가할 수 있는 소정의 장력값에 해당한다. 정지스위치(120)는 기준힘 미만으로 당겨지는 경우 스위치몸체(110)를 온시키도록 작동하지 않고, 이에,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정지스위치(120)는 단부에 와이어걸이(121)가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와이어가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걸이(121)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컨대 와이어걸이(121)는 아이볼트나 링볼트 등의 구조가 적용될 수도 있다.
작동표시부(130)는 스위치몸체(110)에 장착된 일종의 게이지로서, 정지스위치(120)에 가해지는 힘의 변화를 시각 정보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즉, 작동표시부(130)는 정지스위치(120)의 당김 상태를 표시하는 게이지이다. 작동표시부(130)는 표시화면(131), 기준선(132) 및 동작핀(133)로 구성된다.
표시화면(131)은 스위치몸체(110)의 일측에서 복구스위치(140)측으로 이격되어 스위치몸체(110)의 일면에 장착되고, 정지스위치(120)의 신축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기준선(132)은 정지스위치(120)의 신축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표시화면(131)의 양측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동작핀(133)은 기준선(132)들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표시화면(131)상에 장착될 수 있고, 정지스위치(120)의 당김 및 당김해제 동작에 따라 표시화면(131)상에서 정지스위치(120)의 신축 및 복원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정지스위치(120)가 기준힘 미만으로 당겨지는 동안 기준선(132)들의 내측에 위치하다가 정지스위치(120)가 기준힘 이상으로 당겨지면 기준선(132)들의 외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작동표시부(130)는 별도의 다이얼(미도시) 또는 정지스위치(120)를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동작핀(133)의 위치를 조절하여 영점을 조절할 수 있다. 작동표시부(130)의 영점을 조절하기 위한 구조 및 방식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산업 현장에서 사용되는 각종 게이지의 영점 조절 구조 및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예컨대 와이어(300)를 정지스위치(120)에 장착한 후 와이어(300)가 팽팽하도록 후술하는 연결 유닛(200)을 이용하여 길이를 조절하면, 작업자가 와이어(300)를 당기거나 밀지 않아도, 와이어(300)가 긴장 상태 유지하도록 와이어(300)에 걸리는 장력에 해당하는 소정의 힘이 정지스위치(120)에 가해질 수 있다. 즉, 와이어(300)가 팽팽히 당겨질 수 있도록 와이어(300)에는 상시 최소한의 장력이 가해지고 있으며, 작업자가 와이어(300)를 당기거나 밀지 않아도 정지스위치(120)가 기준힘 미만의 힘으로 당겨지며 동작핀(133)이 기준선(132)측에 가깝게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300)와 정지스위치(120)의 결속이 완료되고, 와이어(300)의 장력 조절이 완료된 후 동작핀(133)의 영점을 조절하여 동작핀(133)을 기준선(132)들의 중앙에 위치시킬 수 있고, 이후, 작동표시부(130)가 정지스위치(120)의 당김 상태를 항상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다.
복구스위치(140)는 스위치몸체(110)에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고, 누름에 의하여 스위치몸체(110)를 오프(OFF)시키는 역할을 한다. 복구스위치(140)는 누름이 해제되면 탄성에 의하여 원래 상태로 복원 가능한 구조로 구비된다. 스위치몸체(110)는 복구스위치(140)의 눌러짐에 의해 오프 상태가 되면, 이후에 복구스위치(140)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어 복구스위치(140)가 원래 상태로 돌출되어 복원되더라도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 패널(150)은 설비에 부착되거나 설비에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고, 스위치몸체(110)를 설치하고자 하는 높이까지 연장될 수 있다. 지지 패널(150)에 스위치몸체(110)가 설치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 연결 유닛(200)을 설명하기 전에 와이어(300)를 먼저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와이어(300)는 장력이 가해지도록 작업공간(10)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측이 스위치 유닛(100)의 와이어걸이(121)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300)는 각각의 스위치 유닛(100)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될 수 있으며, 와이어(300)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 단부가 어느 하나의 스위치 유닛(1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두 개의 스위치 유닛(100)이 구비되는 경우, 와이어(300)의 타 단부는 다른 하나의 스위치 유닛(1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거나 스위치 유닛(100)에서 이격되도록 작업공간(10)에 마련된 더미 유닛(50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와이어(300)의 타 단부가 더미 유닛(500)에 장착되면, 다른 하나의 스위치 유닛(100)은 와이어(300)의 일 단부와 타 단부 사이의 소정 지점에 장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스위치 유닛(100)의 개수가 하나인 경우, 와이어(300)의 일 단부에 스위치 유닛(100)의 정지스위치(120)가 연결될 수 있고, 와이어(300)의 타 단부는 스위치 유닛(100)에서 이격되도록 작업공간(10)에 설치된 더미 유닛(5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더미 유닛(500)과 와이어(300) 사이를 연결하도록 안전 스프링(600)이 장착될 수 있는데, 와이어(300)와 안전 스프링(600)이 직접 장착되거나, 연결 유닛(200)을 통하여 와이어(300)와 안전 스프링(600)이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작업공간(10)의 공간 제약이나 설비의 제어 등과 관련하여 두 개의 스위치 유닛(100)을 사용하지 못하는 환경에서는 하나의 스위치 유닛(100)과 더미 유닛(500)을 사용하여 비상정지 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더미 유닛(500)은 소정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고, 스위치 유닛(100)이 설치된 높이로 연장될 수 있다. 더미 유닛(500)에는 안전 스프링(600)이 탈착 가능하도록 고리(510)가 구비될 수 있다. 안전 스프링(600)은 후술하는 연결 유닛(200)을 대체하여 와이어(300)와 고리(510)를 연결할 수 있고, 또는, 연결 유닛(200)과 함께 직렬로 연결되며 와이어(300)와 고리(510)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술한 변형 예의 구조 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비상정지 장치를 구축할 수 있다.
이같은 실시 예와 비교 예의 연결 구조에서 와이어(300)가 작업자에 의해 당겨지거나 밀리면 스위치 유닛(100)의 정지스위치(120)를 당길 수가 있다. 이에, 와이어(300)에 의해 스위치 유닛(100)을 물리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영역이 작업공간(10) 전체로 확대될 수 있고, 와이어(300)에 의해 한 쌍의 스위치 유닛(100)이 직접적으로 담당할 수 있는 영역이 작업공간(10) 전체로 확대될 수 있다.
특히, 와이어(300)의 상술한 연결 구조에 의하여 와이어(300)의 어느 지점을 당기거나 밀더라도 한 쌍의 스위치 유닛(100) 중 해당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스위치 유닛(100)의 정지스위치(120)를 원활하게 당길 수 있다.
스위치몸체(110)의 개수가 복수개인 경우, 와이어(300)는 스위치몸체(110)의 개수만큼 복수개 배치될 수 있고, 각각의 스위치몸체(11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와이어(300)는 팽팽한 긴장 상태로 있어야 작업자가 당기거나 밀때 즉시 정지스위치(120)를 당길 수 있다. 따라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유닛(200)으로 와이어(300)와 정지스위치(120)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하고, 연결 유닛(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와이어(300)에 걸린 장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3의 (a)는 연결 유닛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의 (b)는 연결 유닛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연결 유닛(200)은 후크 몸체(210), 고정너트(220), 및 와이어 결속구(230)를 포함할 수 있다. 후크 몸체(210)는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된 바 형상이며, 일 단부에 후크가 구비되고, 이를 제외한 나머지 외주면에 나사산이 구비될 수 있다. 고정너트(220)는 후크 몸체(210)의 나사산에 결합될 수 있다.
와이어 결속구(230)는 후크 몸체(210)와 나사 결합되어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고, 중첩된 정도에 따라 연결 유닛(200)의 연장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 결속구(230)는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너트부(231), 너트부(231)의 단부에 형성되며, 내부에 와이어(300)가 통과 가능한 통로를 가진 홀더부(232), 홀더부(232)를 중심으로 너트부(231)의 반대측에서 홀더부(232)에 장착되며, 와이어 지지홀을 구비하는 와이어 지지대(233), 홀더부(232)를 관통하여 통로를 지나는 와이어(300)를 고정시키는 고정볼트(234)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300)는 와이어 지지홀을 통과한 후 홀더부(232)의 통로 내로 삽입되고, 고정볼트(234)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와이어(300)가 홀더부(232)에 결속될 수 있다. 이후, 너트부(231)에 후크 몸체(210)를 삽입하여 나사 결합하면서 너트부(231)와 후크 몸체(210)의 중첩 정도를 조절하여 연결 유닛(200)의 길이를 조절한다. 길이 조절이 완료되면, 고정너트(220)를 너트부(231)측으로 밀착시켜 너트부(231)를 후크 몸체(2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이후, 후크 몸체(210)의 후크를 정지스위치(120)의 와이어걸이(121)에 걸어 연결 유닛(200)을 정지스위치(12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300)는 연결 유닛(200)을 통하여 정지스위치(120)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또한, 연결 유닛(200)을 연결 유닛(200)이 장착된 방향으로 길이 조절하며 와이어(30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다.
안내 유닛(400)은 복수개 구비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는 동선을 따라 설치되거나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공간 전체를 둘러 설치될 수 있고, 와이어(300)는 안내 유닛(400)을 지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하나의 안내 유닛(400)에 접촉 지지되어 경로가 전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안내 유닛(400)은, 스위치 유닛(100)의 설치 높이에 배치되고, 와이어(300)가 통과 가능한 통로를 가지는 고리(420), 작업공간(10)에 설치되며, 고리(421)가 장착되어 지지되는 브라켓(41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410)의 구조 및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도면과 같이 복수개의 플레이트가 서로 결합되어 3차원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고리(420)는 링 형상의 헤드부(421) 및 이를 제외한 볼트 형상의 바디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가 브라켓(410)의 일측을 관통하여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바디부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너트(430)가 구비되고, 각각 브라켓(410)에 밀착되어 바디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와이어(300)는 헤드부(421)의 통로를 지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헤드부(421)의 평면상 또는 공간상의 배치위치들을 와이어(300)의 굴절 및 높이를 고려하여 정할 수 있고, 이에, 와이어(300)가 파단되지 않고 원활히 움직일 수 있다.
안내 유닛(400)은 작업공간 내에서 작업자가 이동하는 동선 및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공간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이에 와이어(300)가 지지되며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또는 안내 유닛(400)은 작업자가 이동하는 동선 및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공간의 외측을 둘러 감싸도록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이에 와이어(300)가 지지되면서 경로가 안내될 수 있다. 이때, 와이어(300)의 경로를 세이프티 라인이라 하고, 세이프티 라인의 레이아웃에 따라 작업공간(10)내의 모든 위치를 세이프티 라인에 인접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를 설치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우선, 작업공간에 한 쌍의 스위치 유닛(100)를 설치한 후 이들을 와이어로 연결하기 위해 와이어(300)를 각 안내 유닛(400)의 고리(420)에 순서대로 통과시켜 작업공간(10) 내에 배치한다. 이때, 와이어(300)는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가 아닐 수 있다. 이후, 와이어(300)의 양 단부에 각각 연결 유닛(200)을 결속한다. 이후, 어느 하나의 연결 유닛(200)을 어느 하나의 스위치 유닛(100)에 장착한다. 이후, 다른 하나의 연결 유닛(200)을 나머지 스위치 유닛(100)에 장착하고, 이때, 연결 유닛(200)의 길이를 조절하여 와이어(300)를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로 마련한다. 즉, 비상정지 장치가 작업공간(10)에 설치된 상태에서는 와이어(300)는 기준힘 미만의 장력이 가해지도록 팽팽하게 당겨진 긴장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정지스위치(120)의 영점을 조절하여, 비상정지 장치의 설치를 완료하고, 작업자가 공정을 수행하는 중에, 이동 가능한 작업공간의 모든 위치에서 와이어(300)를 당기는 간단한 동작으로 한 쌍의 스위치 유닛(100)를 편리하게 조작할 수 있다.
설치가 완료된 비상정지 장치는 공정 중에 설비의 가동을 긴급히 정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특히, 와이어를 이용하여 최소한의 스위치 유닛(100)만 작업공간(10)에 설치(즉, 스위치 유닛(100)의 설치개수를 하나 또는 두 개로 최소화)하고도 작업공간(10)의 모든 위치에서 스위치 유닛(100)에 대한 접근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가 작동하는 모습의 일 예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가 작동하는 방식을 설명한다.
설비를 가동하는 중에 예컨대 작업자의 신체가 설비에 끼이거나 공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긴급 상황이 되면, 작업자 부근을 지나는 와이어(300)를 기준힘 이상으로 당긴다. 이때, 기준힘은 정지스위치(120)에 와이어(300)가 결속되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에서 작업자가 정지스위치(120)를 당겨 스위치몸체(110)를 온 시킬 수 있는 정도의 힘을 의미한다. 와이어(300)의 일 지점(1)을 당김에 의해 일 지점을 향하여 와이어(300)의 양 단부가 각각 당겨지게 되고, 이같은 와이어(300)의 당김(2)에 의해, 정지스위치(120)가 기준힘 이상으로 당겨지면서 동작핀(133)이 기준선(132)들의 외측으로 이동되고, 정지스위치(120)가 스위치몸체(110)를 온 시키도록 작동하여 설비가 긴급 정지될 수 있다. 이후, 긴급 상황이 해제되면, 복구스위치(140)를 눌러 스위치몸체(110)를 오프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비교 예에 따른 종래의 비상정지 스위치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의 설치 및 작동방식을 대비하여 설명한다.
예컨대 종래에는 설비를 운용하는 작업자의 동선을 포함하여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작업공간의 각 위치마다 비상정지 스위치를 설치하였다. 이는, 설비의 설계 요소 및 운용 방식을 복잡하게 할 뿐 아니라, 비상정지 스위치에 대한 운용 메커니즘을 더욱 복합하게 하는 요인이 된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두 개의 스위치 유닛(100) 및 하나의 와이어(300)를 이용하여 작업공간 전체를 커버하도록 설치한다. 이에, 설비의 설치 및 운용이 종래보다 간단해질 수 있고, 비상 정지와 관련된 운용 메커니즘 또한 간단해질 수 있다. 또한, 작업공간의 어느 위치에서도 신속한 스위치 유닛(100)의 조작이 가능하므로, 작업공간의 모든 위치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비용 증가의 부담 없이 작업공간에 자유롭게 세이프티 라인의 레이아웃을 구축할 수 있다.
또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휴대형 EMO 스위치를 가지고 다니는 것은 작업자의 EMO 스위치 휴대 여부에 따라 설비의 긴급 정지 여부가 좌우되는 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작업자가 휴대형 EMO 스위치를 휴대하지 않아도 작업공간(10)을 둘러 설치된 와이어(300)을 당기거나 미는 것만으로 설비를 신속히 긴급 정지시킬 수 있다.
특히, 종래와 다르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작업자의 상지나 하지를 이용하여 와이어를 당기거나 밀어 정지스위치를 작동 가능하기 때문에, 스위치를 직접 눌러 작동시키는 방식보다, 비상 상황에서의 대처가 더욱 쉽고 빠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장치는 최소한의 스위치 유닛의 개수 및 와이어를 이용한 단순한 설치구조만으로 일정범위의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작업공간의 모든 위치에서 정지스위치를 작동 가능할 수 있으며, 와이어를 당기는 위치가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더라도 와이어의 양 단부에 각각 정지스위치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방법을 설명한다. 이때, 앞서 설명한 내용과 중복되는 사항은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단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상정지 방법은, 상술한 비상정지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공간에 설치된 설비를 정지시키는 방법으로서, 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몸체 및 장력이 가해지도록 작업공간에 배치되어 일 단부가 스위치몸체에 연결된 와이어를 마련하는 과정, 설비를 가동하는 과정, 와이어로 스위치몸체를 작동시켜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우선, 설비(A)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몸체(110) 및 장력이 가해지도록 작업공간(10)에 배치되어 일 단부가 스위치몸체(110)에 연결된 와이어(300)를 마련한다. 이때, 스위치몸체(110)는 일측에 정지스위치(120)가 장착되고, 와이어(300)는 정지스위치(120)에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설비(A) 및 스위치몸체(110)는 각각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수로 설치될 수 있고, 각 스위치몸체(1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설비(A)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스위치몸체(110)는 타측에는 복구스위치(140)가 장착될 수 있다. 이후, 설비(A)를 가동한다.
설비(A)를 가동하는 중에 작업자의 필요에 의하여 설비(A)를 긴급히 정지시켜야 하는 경우 와이어(300)로 스위치몸체(110)를 작동시켜 설비(A)를 정지시킨다. 예컨대 와이어(300)를 당기거나 밀어 정지스위치(120)를 당겨서 정지스위치(120)가 기준힘 이상으로 당겨지면 스위치몸체(120)를 온(ON)시킬 수 있고, 이때, 스위치몸체(110)에서 설비(A)로 정지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에, 설비(A)가 즉시 정지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설비(A)에 하나의 스위치몸체(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에서는, 하나의 와이어(300)로 하나의 스위치몸체(110)를 작동시켜 복수개의 설비(A)를 모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설비(A)와 복수개의 스위치몸체(110)가 서로 일대일 대응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에서는, 각각의 와이어(300)로 각 스위치몸체(11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복수개의 설비(A)를 개별로 정지시킬 수 있고, 또는, 각각의 와이어(300)로 각 스위치몸체(110)를 모두 작동시켜 복수개의 설비(A)를 모두 정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설비(A)와 복수개의 스위치몸체(110)가 서로 일대일 대응하지 않고 설비(A)의 개수보다 스위치몸체(110)의 개수가 적게 마련되어 적어도 어느 하나의 스위치몸체(110)에 복수개의 설비(A)로 구성된 어느 하나의 그룹이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조에서는, 각각의 와이어(300)로 각 스위치몸체(110)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복수개의 설비(A)를 개별 또는 그룹별로 정지시킬 수 있고, 각각의 와이어(300)로 각 스위치몸체(110)를 모두 작동시켜 복수개의 설비(A)를 모두 정지시킬 수 있다.
설비(A)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과정 이후에, 공정 스케쥴이나 작업자의 판단에 의하여, 긴급정지 상황이 해제되는 경우, 복구스위치(140)를 눌러 스위치몸체(110)를 오프(OFF)시키는 과정, 및 스위치몸체(110)에서 설비(A)로 복구신호를 출력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후, 설비(A)는 복구신호를 입력받아 재가동하거나 작동대기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실시 예에 제시된 구성과 방식은 서로 결합하거나 교차 적용되어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것이고, 이 변형 예들도 본 발명의 범주로 볼 수 있음을 주지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청구범위 및 이와 균등한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해당하는 기술 분야의 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서로 다른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작업공간 100: 스위치 유닛
120: 정지스위치 130: 작동표시부
140: 복구스위치 200: 연결 유닛
300: 와이어 400: 안내 유닛

Claims (17)

  1. 작업공간에 설치되어 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당김에 의해 작동 가능한 스위치 유닛;
    장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되고, 적어도 일측이 상기 스위치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와 상기 스위치 유닛을 연결하도록 장착되고, 장착된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스위치몸체;
    상기 스위치몸체에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며, 당김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몸체를 온(ON)시키는 정지스위치;
    상기 정지스위치의 단부에 형성되는 와이어걸이; 및
    상기 스위치몸체에 신축 가능하게 장착되며, 누름에 의하여 상기 스위치몸체를 오프(OFF)시키는 복구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몸체는 상기 정지스위치의 당김에 의해 온 상태가 되면, 이후에 상기 정지스위치의 당김이 해제되어도 온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복구스위치의 눌러짐에 의해 오프 상태가 되고, 이후에 상기 복구스위치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어 상기 복구스위치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더라도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와이어걸이에 결속될 수 있는 후크 몸체; 및
    상기 후크 몸체와 일부 중첩되고, 중첩된 정도에 따라 상기 후크 몸체의 연장 방향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와이어 결속구;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결속구는,
    상기 후크 몸체와 중첩될 수 있는 너트부;
    상기 너트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통로를 가지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를 중심으로 상기 너트부의 반대측에서 상기 홀더부에 장착되고, 와이어 지지홀을 구비하는 와이어 지지대를 포함하는 비상정지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복수개 구비되어 서로 이격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각각의 스위치 유닛 사이를 연결하는 비상정지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작업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측이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더미 유닛;을 포함하는 비상정지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더미 유닛과 상기 와이어 사이를 연결하여 장착되는 안전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비상정지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업공간에 설치되는 안내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안내 유닛을 지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 단부가 상기 스위치 유닛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되는 비상정지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닛은 복수개 구비되어 작업자가 이동하는 동선을 따라 설치되거나 작업자가 이동 가능한 공간 전체를 둘러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적어도 하나의 안내 유닛에 접촉 지지되는 비상정지 장치.
  7. 삭제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유닛은,
    상기 스위치몸체에 장착되어 상기 정지스위치의 당김상태를 표시하는 작동표시부;를 포함하는 비상정지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비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몸체는 각 설비를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일체로 제어하는 비상정지 장치.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설비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몸체는 상기 설비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되고,
    각각의 스위치몸체는 하나의 설비를 개별 제어하거나, 복수개의 설비를 그룹 제어하는 비상정지 장치.
  12.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안내 유닛은,
    상기 스위치 유닛의 설치 높이에 배치되고, 상기 와이어가 통과 가능한 통로를 가지는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의 통로를 지나도록 상기 와이어가 배치되는 비상정지 장치.
  13. 청구항 1의 비상정지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공간에 설치된 설비를 정지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설비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몸체 및 장력이 가해지도록 상기 작업공간에 배치되어 일 단부가 상기 스위치몸체에 연결된 와이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설비를 가동하는 과정; 및
    상기 와이어로 상기 스위치몸체를 작동시켜 상기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치몸체는 일측에 정지스위치가 장착되고, 타측에 복구스위치가 장착되고, 상기 정지스위치의 단부에 와이어걸이가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 단부는 연결 유닛의 와이어 지지대에 구비된 와이어 지지홀을 통과하여 상기 연결 유닛의 홀더부에 결속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와이어걸이에 장착되고,
    상기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은,
    상기 와이어를 당기거나 밀어 상기 정지스위치를 당기는 과정;
    상기 정지스위치가 기준힘 이상으로 당겨지면 상기 스위치몸체를 온(ON)시키는 과정;
    상기 정지스위치의 당김을 해제하고, 상기 스위치몸체의 온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고,
    상기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기 복구스위치를 눌러 상기 스위치몸체를 오프(OFF)시키는 과정;
    상기 복구스위치를 원래 상태로 복원시키고, 상기 스위치몸체의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상정지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스위치몸체를 온시키면, 상기 스위치몸체에서 상기 설비로 정지신호를 출력하는 비상정지 방법.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설비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은,
    하나의 와이어로 하나의 스위치몸체를 작동시켜 복수개의 설비를 모두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상정지 방법.
  16.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설비는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몸체는 상기 설비의 개수에 대응하여 복수개 설치되고,
    상기 와이어는 복수개 배치되어 각각의 스위치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은,
    각각의 와이어로 각각의 스위치몸체를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복수개의 설비를 개별 또는 그룹별로 정지시키거나 각각의 와이어로 각각의 스위치몸체를 모두 작동시켜 복수개의 설비를 모두 정지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비상정지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설비를 정지시키는 과정 이후에,
    상기 스위치몸체를 오프시키면, 상기 스위치몸체에서 상기 설비로 복구신호를 출력하는 비상정지 방법.
KR1020170023117A 2017-02-21 2017-02-21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 KR102076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117A KR102076267B1 (ko) 2017-02-21 2017-02-21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
IL257088A IL257088B2 (en) 2017-02-21 2018-01-22 Emergency stop device and method
US15/883,063 US10490370B2 (en) 2017-02-21 2018-01-29 Emergency stop apparatus and method
TW107103277A TWI746783B (zh) 2017-02-21 2018-01-30 緊急停止裝置及其方法
CN201810151199.6A CN108459495B (zh) 2017-02-21 2018-02-13 紧急停止装置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117A KR102076267B1 (ko) 2017-02-21 2017-02-21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411A KR20180096411A (ko) 2018-08-29
KR102076267B1 true KR102076267B1 (ko) 2020-02-12

Family

ID=63167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117A KR102076267B1 (ko) 2017-02-21 2017-02-21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490370B2 (ko)
KR (1) KR102076267B1 (ko)
CN (1) CN108459495B (ko)
IL (1) IL257088B2 (ko)
TW (1) TWI74678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726B1 (ko) 2020-12-08 2021-05-26 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 장비의 긴급 제동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964356B2 (en) * 2018-04-05 2024-04-23 Makita Corporation Hand-held tool
CN110853961B (zh) * 2019-11-21 2020-12-08 文成县意东科技有限公司 一种可安装在地面的脚踏开关
DE102019135227A1 (de) * 2019-12-19 2021-06-24 Becker Mining Systems AG Not-Halt-Schalter und Maschine mit Not-Halt-Schalter
CN111599614A (zh) * 2020-05-11 2020-08-28 肇庆宏旺金属实业有限公司 一种全线急停装置及其急停操作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0811A1 (en) * 2001-05-18 2002-11-21 Hall Jeffrey S. Dual directional cable actuated emergency stop device
JP2004204933A (ja) * 2002-12-25 2004-07-22 Kurimoto Ltd 非常停止装置
KR200419121Y1 (ko) * 2006-03-15 2006-06-15 웅지산전(주) 비상 풀코드 스위치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1976A (en) 1980-11-07 1982-05-22 Hitachi Ltd Safety device for moving large sized device
US5730170A (en) * 1996-09-30 1998-03-24 Sanchez; Robert M. Emergency gas or fuel shut-off device
CN2291717Y (zh) * 1996-11-26 1998-09-16 张理政 紧急压扣安全开关
DE60015688T2 (de) * 1999-09-30 2005-12-01 Eja Ltd., Hindley Green Seilbetätigte Schalteinrichtung und deren Bereitstellung
SE0004747D0 (sv) * 2000-12-20 2000-12-20 Mtm I Aarjaeng Ab Lyftanordning
US7022930B2 (en) * 2003-12-04 2006-04-04 Honeywell International Inc. Single directional cable actuated emergency stop device
KR20060012465A (ko) 2004-08-03 2006-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Emo 스위치
DE102004056725A1 (de) * 2004-11-19 2006-06-01 Siemens Ag Verriegelungsvorrichtung und Einschubrahmen mit einer Verriegelungsvorrichtung
KR20060108978A (ko) 2005-04-14 2006-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증착설비의 비상차단유닛
GB0620540D0 (en) * 2006-10-17 2006-11-22 Idem Safety Switches Ltd Safety switch
DE202007013591U1 (de) * 2007-09-28 2008-01-10 Bernstein Ag Schnellspanneinrichtung
US7900344B2 (en) * 2008-03-12 2011-03-08 Commscope, Inc. Of North Carolina Cable and connector assembly apparatus
KR20110038787A (ko) 2009-10-09 2011-04-15 세메스 주식회사 긴급 차단 시스템
DE102010045629A1 (de) * 2010-09-17 2012-03-22 Georg Schlegel Gmbh & Co. Kg Einreihige NOT-AUS-Schalter-Kontaktvorrichtung
TWM419211U (en) * 2011-06-16 2011-12-21 Qing-Xi Lv Pull switch structure improvement
KR200464758Y1 (ko) 2011-08-26 2013-01-16 황현승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JP5894408B2 (ja) * 2011-10-21 2016-03-30 新明和工業株式会社 昇降機の停止調整装置を備えた機械式駐車設備
CN202394728U (zh) * 2011-12-12 2012-08-22 广东联邦家私集团有限公司 机械式应急开关
EP2654056A1 (en) * 2012-04-17 2013-10-23 ABB Technology AG Emergency opening device
US9912136B1 (en) * 2016-06-23 2018-03-06 RIOK Enterprises LLC Guide wire assembly
CN205863026U (zh) * 2016-08-12 2017-01-04 连云港远洋流体装卸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码头系泊的电动绞缆机构的拉线式脚踏开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70811A1 (en) * 2001-05-18 2002-11-21 Hall Jeffrey S. Dual directional cable actuated emergency stop device
JP2004204933A (ja) * 2002-12-25 2004-07-22 Kurimoto Ltd 非常停止装置
KR200419121Y1 (ko) * 2006-03-15 2006-06-15 웅지산전(주) 비상 풀코드 스위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6726B1 (ko) 2020-12-08 2021-05-26 한국클라우드컴퓨팅연구조합 장비의 긴급 제동을 위한 원격 제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411A (ko) 2018-08-29
IL257088B2 (en) 2023-08-01
CN108459495B (zh) 2023-07-25
TW201832263A (zh) 2018-09-01
IL257088A (en) 2018-03-29
TWI746783B (zh) 2021-11-21
US20180240623A1 (en) 2018-08-23
CN108459495A (zh) 2018-08-28
US10490370B2 (en) 2019-11-26
IL257088B1 (en) 2023-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6267B1 (ko)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
US20100187456A1 (en) Adjustment Device for an Open-Close Valve
KR101850492B1 (ko) 조작 장치 및 그 조작 장치를 구비한 이동 장치
CN106885033B (zh) 无线阀致动器系统和方法
US20130338830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ogramming an handling apparatus
WO2006036115A1 (en) Device
JP2010223910A (ja) 原子力プラントの安全系操作装置
JP6430145B2 (ja) 回路遮断器装置と配電ユニット
JP4200889B2 (ja) ロボットシステム
JP2010264527A (ja) 姿勢可変型直接教示モジュール
US20150239673A1 (en) Drive isol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conveyors
KR102155564B1 (ko) 에너지절약형 다수공장 에어콤프레서 원격 제어장치
AU2016102337A4 (en) A remote isolation system
JP2008112329A (ja) 遠隔監視システム
KR101521820B1 (ko) 전선 포설 로봇의 운영 시스템
JP2005267297A (ja) Plc更新方法
KR101332060B1 (ko) 인공위성 진동 시험용 위치 조절 장치
KR102658575B1 (ko) Ble통신모듈을 이용한 건물의 무선전력제어 시스템
US7738998B2 (en) Robot device
KR101572625B1 (ko) 점검 및 보조제어 기능을 보유한 무대장치
CN205441743U (zh) 一种胶带机机尾控制装置
JP2009036384A (ja) 空気調和機
JP2009026002A (ja) 作業札、電源制御装置、発電プラント
JP4043164B2 (ja) 空気調和システム
KR101428581B1 (ko) 센서를 이용한 컨트롤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