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4758Y1 -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 Google Patents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4758Y1
KR200464758Y1 KR2020110007773U KR20110007773U KR200464758Y1 KR 200464758 Y1 KR200464758 Y1 KR 200464758Y1 KR 2020110007773 U KR2020110007773 U KR 2020110007773U KR 20110007773 U KR20110007773 U KR 20110007773U KR 200464758 Y1 KR200464758 Y1 KR 2004647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emergency stop
ems
emo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77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현승
Original Assignee
황현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승 filed Critical 황현승
Priority to KR20201100077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47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47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47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H01H3/022Emergency operating parts, e.g. for stop-switch in dangerous condi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5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 H01H13/56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single operating member the contact returning to its original state upon the next application of operating for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18Distinguishing marks on switches, e.g. for indicating switch location in the dark; Adaptation of switches to receive distinguishing mar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20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 H01H9/28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 H01H9/287Interlocking, locking, or latching mechanisms for locking switch parts by a key or equivalent removable member wherein the operating part is made inaccessible or more difficult to access by a lid, cover or guard, e.g. lockable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24Avoid unwanted operation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긴급을 요하거나 비상사태 등 기계 설비의 가동을 긴급히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 사용되는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은 비상정지 스위치의 용도가 구분된 라인 전체를 정지하는 EMO(Emergency Off) 스위치와 라인의 개별 기기를 정지하는 EMS(Emergency Stop) 스위치; 상기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를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홀이 각각 형성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고 조립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가 각각 장착되어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를 보호하는 가드; 및 상기 가드와 패널의 조립홀을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된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에 나사결합되어 패널에 조립하는 조립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비상정지 스위치유닛{EMERGENCY STOP SWITCH UNIT}
본 고안은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긴급을 요하거나 비상사태 등 기계 설비의 가동을 긴급히 정지시킬 필요가 있을 때에 사용되는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력을 동력으로 하여 가동되는 기계 설비는 전원을 개폐하는 메인 스위치 이외에도 긴급을 요하거나 비상사태에서 모든 시스템의 가동이나 해당 설비의 가동을 긴급히 정지시키는데 사용되는 비상정지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비상정지 스위치는 반도체 제조장비와 같은 고가의 장비, 시스템의 가동을 정지시키는 데에 복잡한 조작과정이 필요한 장비 또는 엄격한 환경 유지를 요하는 제조 설비에 필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 비상정지 스위치는 설비의 과부하로 인한 전기적 소손 우려 혹은 고장을 발견하거나 운용상 심각한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때에 조작함으로써, 설비의 가동을 신속히 중단시켜 설비를 보호할 수 있고, 아울러 제조상의 문제점에 대한 즉각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비상정지 스위치는 가급적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어야 하므로 기계를 운용하는 작업자의 측근에 설치된다.
이 비상정지 스위치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일반적인 제조업체의 제조공정은 거의 모두 분업화되어 있어, 제조현장에서는 각 공정간을 컨베이어 등의 이송수단으로 연결하여 제조공정 전체를 하나의 일관된 라인으로 구성함으로써 작업진행의 효율을 극대화시켜 생산성 향상을 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산라인에서는 전체 생산라인 중 하나의 공정부분에서 잘못된 작업이 진행되면 이후의 공정에서도 바른 작업을 실시할 수 없고 자동화에 의해서 무조건 작업을 진행시킨다 해도 불량품이 계속 생산되기 때문에 생산라인 전체를 일시에 정지시키는 시스템이 필요하였고, 생산라인에서 불시에 불의의 사고가 발생하였을 시에도 라인의 가동정지가 필요하므로 공장의 생산라인 곳곳에는 라인 전체를 일시에 비상정지시킬 수 있는 비상정지 스위치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개개의 설비에 있어서도 작업자의 부상 또는 기기의 이상작동에 의해 설비의 작동을 재빠르게 비상정지시키기 위해 비상정지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이 비상정지 스위치가 라인 전체를 일시에 비상정지시키는 용도와 개개의 설비에 대해 비상정지시키는 용도로 구분되어 있음에도 종래의 비상정지 스위치는 그 용도가 따로 구분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라인 전체를 일시에 비상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개개의 설비에 대해 비상정지시키는 용도의 비상정지 스위치를 잘못 조작하거나, 반대로 개개의 설비에 대해 비상정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에 라인 전체를 일시에 비상정지시키는 용도의 비상정지 스위치를 잘못 조작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용도가 구분되는 비상정지 스위치를 사용자의 오조작에 의해 개개의 설비가 정지되어야 하는데 라인 전체가 정지하거나, 라인 전체가 정지해야 하는데 일부 설비만 정지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상가동 중이던 기계 설비가 과실로 인한 비상정지 스위치의 오조작에 의해서 갑자기 정지된다면 제조되고 있던 당해 제품의 손상에 따른 물류의 피해를 입게 된다.
반도체 제조 공정을 예로 들어, 웨이퍼의 노광 중에 예기치 않은 비상정지 스위치의 오작동으로 노광 장비가 정지된다면, 노광이 중단된 웨이퍼는 재생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새로운 웨이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등으로 작업 능률이 좋지 않게 된다.
또, 에칭 등의 공정에서 비상정지 스위치가 오조작되어 장비의 전체 시스템이 정지된다면 공정 처리가 중단된 웨이퍼는 폐기되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
상기한 비상정지 스위치의 오조작에 의한 피해는 단지 물류 피해에 국한하지 않고, 비상정지 스위치의 오조작에 의해서 비상정지된 기계 설비는 재가동시키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더욱이 기계 설비에 따라 시동 초기(activation) 조건을 새로 부여하여야 하는 기계 설비에 있어서는 더욱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운용자의 노고가 크게 된다.
또한, 비상정지 스위치의 오조작시에는 기계설비의 급격한 제동으로 인한 충격이나 기계 설비를 이루는 어셈블리들이 정해진 위치에서 제동하지 않는 등의 원인으로 인해 기계 설비의 고장이 초래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긴급을 요하는 비상시에 신속한 조작이 가능하면서도 작업 중의 과실로 인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는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을 제공하는데 주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비상정지 스위치의 오조작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제조 물류의 피해를 방지하고, 비상정지된 기계설비의 재가동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 및 노고가 불필요하게 되며, 아울러 급작스런 제동 등에 의해서 유발되는 기계 설비의 고장을 배제할 수 있는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은 비상정지 스위치의 용도가 구분된 라인 전체를 정지하는 EMO(Emergency Off) 스위치와 라인의 개별 기기를 정지하는 EMS(Emergency Stop) 스위치;
상기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를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홀이 각각 형성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고 조립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가 장착되어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를 보호하는 가드;
상기 가드와 패널의 조립홀을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된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에 나사결합되어 패널에 조립하는 조립너트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드에 형성된 조립홀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패널의 표면에 접촉하는 마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패널에 형성된 조립홀과 연통되도록 패널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가드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의 버튼에는 EMO와 EMS 글자가 각각 표시되고, 상기 EMO 스위치가 장착되는 가드와 EMS 스위치가 장착되는 가드의 색깔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드는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고, 가드에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가드의 높이가 EMO 스위치 및 EMS 스위치의 높이보다 0~3mm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에 의하면 긴급을 요하는 비상시에 신속한 조작이 가능하면서도 작업 중의 과실로 인한 오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비상정지 스위치의 오조작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제조 물류의 피해를 방지하고, 비상정지된 기계설비의 재가동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 및 노고가 불필요하게 되며, 아울러 급작스런 제동 등에 의해서 유발되는 기계 설비의 고장을 배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에 의한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의 조립사시도.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비상정지 스위치의 정면도.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한 비상정지 스위치유닛의 조립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비상정지 스위치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비상정지 스위치유닛(10)은 패널(20), EMO 스위치(30a), EMS 스위치(30b), 가드(40), 마찰고무(50) 및 조립너트(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패널(20)에는 EMO(Emergency Off) 스위치(30a)와 EMS(Emergency Stop) 스위치(30b)를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홀(22)이 나란히 형성되고 일측으로는 EMO 스위치(30a)와 EMS 스위치(30b)가 조립된 후 회전하지 않고 고정되도록 상기 조립홀(22)과 연통되는 걸림홈(24)이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 비상정지 스위치는 그 용도에 따라 EMO 스위치(30a)와 EMS 스위치(30b)로 구분되며, 이 EMO 스위치(30b)는 버튼 누름시 시스템이나 라인 전체를 모두 정지하는 스위치이고, EMS 스위치(30b)는 버튼 누름시 개별 기기를 정지하는 스위치로서 그 구조는 동일하다.
상기 EMO 스위치(30a)와 EMS 스위치(30b)는 조작부(31)의 버튼(32)을 누르면 눌러진 상태를 유지하고(push lock),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turn reset) 스위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각 스위치(30a,30b)는 상부의 조작부(31)와 이 조작부(31)의 하부에 결합되는 스위치부(35)로 이루어지고, 스위치부(35)는 콘택트블록 마운팅 어댑터(36)와 이 콘택트블록 마운팅 어댑터(36)에 마운팅되는 다수의 콘택트블록(37)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작부(31)는 상부의 버튼(32)과, 상기 버튼(32)에 결합되어 버튼(32)을 누르면 눌러진 상태를 유지하고,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면 원래의 상태로 복귀하는 작동부(33)로 이루어진다.
상기 버튼(32)은 사람 눈에 잘 뜨이도록 적색을 띄며, 버튼(32)의 상면에는 EMO 스위치(30a)와 EMS 스위치(30b)를 구분할 수 있도록 'EMO'와 'EMS' 글자가 표시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작동부(33)에는 외주면에 나사부(34)가 형성된다.
상기 콘택트블록 마운팅 어댑터(36)는 상부는 작동부(33)의 하부와 결합하고, 하부에는 다수의 콘택트블록(37)이 마운팅된다.
상기 다수의 콘택트블록(37)은 누르면 접점이 떨어지는 NC(Normal Close)접점 구조를 갖는 콘택트블록과, 누르면 접점이 붙는 NO(Normal Open)접점 구조를 갖는 콘택트블록의 조합으로 이루어진다.
가드(40)는 상기 패널(20)의 표면에 부착되고 내부에 EMO 스위치(30a)와 EMS 스위치(30b)가 장착되어 EMO 스위치(30a)와 EMS 스위치(30b)를 보호하되, 상기 버튼(32)의 누름이 용이하도록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된다.
상기 가드(40)에 각 스위치(30a,30b)가 장착된 상태에서 버튼(32)을 누르지 않은 경우 스위치(30a,30b)와 가드(40)의 높이 차는 가드(40)가 0~3mm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즉 스위치(30a,30b)가 더 높은 경우는 가드(40)보다 돌출되어 부주의로 눌러질 수 있고, 가드(40)가 3mm이상 높은 경우는 비상시에 쉽게 버튼(32)을 누르지 못할 경우가 생긴다.
상기 가드(40)에는 각 스위치(30a,30b)를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홀(42)이 형성되고, 조립홀(42)이 형성된 가드(40)의 저면에는 상기 걸림홈(24)과 대응된 위치에 걸림돌기(44)가 형성된다.
상기 가드(40)의 색깔로 스위치(30a,30b)의 용도를 구분할 수 있도록 EM0 스위치(30a)가 장착되는 가드(40)와 EMS 스위치(30b)가 조립되는 가드(40)의 색깔을 서로 다르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홀(42) 외측의 가드(40)의 저면(패널의 표면과 접촉하는 면)에는 마찰고무(50)가 부착되어 상기 가드(40)가 패널(20)에 접촉한 경우 마찰에 의해 잘 움직이지 않게 된다.
조립너트(60)는 상기 조작부(31)가 가드(40) 및 패널(20)의 조립홀(42,22)을 관통하여 패널(20) 아래로 돌출된 경우 작동부(3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34)에 나사결합되어 스위치(30a,30b)를 패널(20)에 조립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조립은 먼저 가드(40)를 패널(20)의 표면에 접촉한 후 각 조립홀(42,22)을 일치시키고 걸림돌기(44)가 걸림홈(24)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 가드(40)의 저면에 부착된 마찰고무(50)는 패널(20)에 형성된 조립홀(22)의 외주면에 접촉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조작부(31)의 작동부(33)를 가드(40)와 패널(20)의 조립홀(42,22)에 관통시켜 패널(40)의 아래로 돌출시킨다.
이때 버튼(32)의 표시된 'EM0'와 'EMS' 글자가 정면에 오도록 한다.
다음 아래도 돌출된 작동부(33)에 형성된 나사부(34)에 조립너트(60)를 나사결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다음 작동부(33)의 하부에 스위치부(35)를 결합하면 비상정지 스위치유닛(10)의 조립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EMO 스위치(30a)와 EMS 스위치(30b)가 한 패널(20)에 조립되면 마찰고무(50)가 가드(40)와 패널(30) 사이에 개재되고, 걸림돌기(44)가 걸림홈(24)에 끼워져, 버튼(32)을 누르거나 원위치하기 위하여 버튼(32)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스위치(30a,30b)가 회전하지 않고 고정된다.
상기한 비상정지 스위치유닛(10)을 라인의 설비에 설치하면, 버튼(32)에 표시된 글자나 가드(40)의 색깔로 스위치(30a,30b)의 용도를 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다.
따라서 비상 상황에 따라 라인 전체를 정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EMO 스위치(30a)를 누르고 개개의 설비를 정지하고자 할 경우에는 EMS 스위치(30b)를 누르면 된다.
또한, 가드(40)가 스위치(30a,30b)보다 3mm 이내로 돌출되어 있어, 버튼의 누름이 용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 및 작용에서 입증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비상정지 스위치유닛(10)은 종래의 비상정지 스위치가 갖고 있는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본 고안의 비상정지 스위치유닛(10)은 비상정지 스위치의 용도를 눈으로 확인하여 라인 전체나 개개의 설비를 비상 정지시키는 것으로, 사용자 과실로 인한 버튼(32)의 누름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비상정지 스위치의 오조작으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제조 물류의 피해를 방지하고, 비상정지된 기계설비의 재가동에 소요되는 많은 시간 및 노고가 불필요하게 되며, 아울러 급작스런 제동 등에 의해서 유발되는 기계 설비의 고장을 배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0: 스위치 유닛 20: 패널
30a,30b: 스위치 40: 가드
50: 마찰고무 60: 조립너트

Claims (5)

  1. 비상정지 스위치의 용도가 구분된 라인 전체를 정지하는 EMO(Emergency Off) 스위치와 라인의 개별 기기를 정지하는 EMS(Emergency Stop) 스위치;
    상기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를 조립할 수 있도록 조립홀이 각각 형성되는 패널;
    상기 패널의 표면에 부착되고 조립홀이 형성되며 내부에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가 각각 장착되어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를 보호하는 가드;
    상기 가드와 패널의 조립홀을 관통하여 아래로 돌출된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에 나사결합되어 패널에 조립하는 조립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가드는 전면과 양측면이 개방되고, 가드에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가 장착된 상태에서 가드의 높이가 EMO 스위치 및 EMS 스위치의 높이보다 0~3mm 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에 형성된 조립홀의 외주면에 부착되어 패널의 표면에 접촉하는 마찰부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에 형성된 조립홀과 연통되도록 패널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위치의 가드에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EMO 스위치와 EMS 스위치의 버튼에는 EMO와 EMS 글자가 각각 표시되고, 상기 EMO 스위치가 장착되는 가드와 EMS 스위치가 장착되는 가드의 색깔이 서로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5. 삭제
KR2020110007773U 2011-08-26 2011-08-26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KR2004647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773U KR200464758Y1 (ko) 2011-08-26 2011-08-26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7773U KR200464758Y1 (ko) 2011-08-26 2011-08-26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64758Y1 true KR200464758Y1 (ko) 2013-01-16

Family

ID=5136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7773U KR200464758Y1 (ko) 2011-08-26 2011-08-26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47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411A (ko) 2017-02-21 2018-08-29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
KR102233524B1 (ko) * 2020-10-02 2021-03-29 (주)엔씨테크 듀얼 이엠오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7036A (ja) * 2002-12-25 2004-07-22 Omron Corp 押釦スイッチのガード機構
KR20060089897A (ko) * 2005-02-03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설비의 제어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07036A (ja) * 2002-12-25 2004-07-22 Omron Corp 押釦スイッチのガード機構
KR20060089897A (ko) * 2005-02-03 2006-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제조 설비의 제어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411A (ko) 2017-02-21 2018-08-29 에이피시스템 주식회사 비상정지 장치 및 방법
US10490370B2 (en) 2017-02-21 2019-11-26 Ap Systems Inc. Emergency stop apparatus and method
KR102233524B1 (ko) * 2020-10-02 2021-03-29 (주)엔씨테크 듀얼 이엠오 스위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186564A1 (en) Monitored adaptable emergency off-switch
US20210101783A1 (en) Inspection control system for an elevator system and method for switching an elevator system between a normal mode and an inspection mode
EP3163390A1 (en) Safety controller module
CA2916124C (en) Pressure-actuated safety switch with monitoring function
AU2010310881B2 (en) Remote isol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080078658A1 (en) Safety switch
KR200464758Y1 (ko) 비상정지 스위치유닛
WO2012142674A2 (en) Remote isol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US20150108840A1 (en) Remote isol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KR20080028355A (ko) 파워 컨트롤러 조립체 및 방법
WO2012035803A1 (ja) スイッチ
US10310484B2 (en) Device and method for failsafe monitoring of a moving machine part
AU2014100216A4 (en) Remote isolatio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JP5692787B2 (ja) 乗客コンベアの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プログラム
CN108091502B (zh) 一种急停按钮开关
EP3452876B1 (de) Steuerungssystem für elektrisch gesteuerte anlagen
AU2021236563B2 (en) An equipment isolation switch assembly
US9115848B1 (en) Emergency safety switch
CN108700863B (zh) 安全开关设备
JP2008226604A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CN108025885B (zh) 用于接地故障检测的装置和方法
CN102412079A (zh) 具有机械式信号显示部的按键
KR102222269B1 (ko) 휴즈 블럭 안전 잠금 장치
CN106255928B (zh) 用于对运动机器部件进行故障安全监控的装置及方法
DE102010060323A1 (de) Schaltanordnung zur Überwachung der Funktion einer Sicherheitsschalt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