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742B1 - 화차 제동시스템 - Google Patents

화차 제동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742B1
KR102075742B1 KR1020150106638A KR20150106638A KR102075742B1 KR 102075742 B1 KR102075742 B1 KR 102075742B1 KR 1020150106638 A KR1020150106638 A KR 1020150106638A KR 20150106638 A KR20150106638 A KR 20150106638A KR 102075742 B1 KR102075742 B1 KR 102075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ranch pipe
braking
adapter
control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6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3662A (ko
Inventor
이정우
박덕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은기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은기공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은기공
Priority to KR1020150106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742B1/ko
Publication of KR20170013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36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7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1/00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ing or retard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ations of apparatus of different kinds or types
    • B61H11/06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ing or retard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ations of apparatus of different kinds or types of hydrostatic, hydrodynamic, or aerodynamic brakes
    • B61H11/08Applications or arrangements of braking or retard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ations of apparatus of different kinds or types of hydrostatic, hydrodynamic, or aerodynamic brakes comprising a pump or the like circulating fluid, braking being effected by throttling of the circul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차 제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은 기관실에 구비된 제동밸브의 조작에 의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제동관, 상기 제동관에 제1 지관을 통해 연결된 응하중밸브, 상기 제1 지관에 연결된 제2 지관이 연결되는 하부 말단부가 굴절 형성된 엘보우 브래킷이 하부에 장착되는 어댑터가 측면에 체결된 제1 제어밸브, 상기 제1 제어밸브의 어댑터에 체결된 제1 보조공기통, 상기 제1 지관에 연결된 제3 지관이 연결된 중계밸브, 상기 중계밸브에 연결된 제4 지관이 연결되는 하부 말단부가 굴절 형성된 엘보우 브래킷이 하부에 장착되는 어댑터가 측면에 체결된 제2 제어밸브, 상기 제2 제어밸브의 어댑터에 체결되며, 중계밸브와 응하중밸브에 각기 연결된 제5 지관이 연결된 제2 보조공기통 및 상기 제1,2 보조공기통을 관통하여 제1,2 제어밸브에 연결된 제6,7 지관이 연결된 복식제동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화차 제동시스템{GOODS TRAIN BRAKING SYSTEM}
본 발명은 화차 제동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화차의 제동에 대해서는 (특허문헌 1)과 (특허문헌 2)에서 구체적으로 개시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화차를 제동하기 위한 제동장치는 압축공기를 이용한 공기압 제동장치가 적용되고 있으며, 통상적인 제어동작은 기관차에 구비된 제동밸브를 조작하게 되면, 각 화차에 제동관을 통하여 전달되는 압축공기의 감압신호가 각 화차에 취부되어 제동통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밸브에 전달됨에 따라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기관실에는 공기압축기에서 발생한 압축공기에 의한 압력신호가 제동관을 통하여 각 화차에 구비된 제동장치에 전달되며, 기관실에 구비된 제동밸브를 운전자가 회전 조작하게 되면, 제동관을 통하여 감압된 압력신호가 제어밸브에 전달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동관을 통해 전달되는 감압신호는 막판식으로 구성된 제어밸브에 입력되어 제동통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제어밸브는 충기, 완해 및 제동작용을 위해 각 밸브들을 제어하게 되는 삼동밸브와 초기제동시에 신속히 제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감압유지를 위한 신속작용밸브와 영차 및 공차를 구별하기 위한 하중감지밸브가 구비되어 영차 및 공차에 따라 제동력을 발생하기 위한 중계밸브와 제동통의 완해시에 각 화차의 제어공기 충기시간을 균일하게 하기 위한 충기지연밸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삼동밸브에는 제동관의 압축공기의 입력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밸브 및 제어공기통의 압축공기를 완해하기 위한 완해밸브가 장착된다.
이러한 제어밸브는 제동을 위하여 제동관을 통해 감압신호가 전달되면, 삼동밸브의 막판조립체 상부가 감압되어, 하부의 제어공기와의 압력차이가 발생하여 막판조립체가 상향동작하게 된다. 상기 막판조립체의 상향동작에 의해 제동통충기밸브가 개방되면서 막판조립체 하부의 제어공기가 신속작용밸브로 전달된다.
상기 신속작용밸브를 거친 제어공기는 대기압 상태에 있던 작용공기통 내에서 확산되면서 감압되어 중계밸브의 막판조립체 및 개폐밸브에 작용하게 된다. 중계밸브로 전달된 압력신호에 의해 상향동작하는 개폐밸브에 의해 압축공기로 충전된 보조공기통은 개방되어 제동통으로 압축공기가 전달하여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제동 완해시에는 막판조립체 상부로 압축공기가 유입되므로 막판조립체는 하향동작하여 막판조립체 하부의 제어공기충기역지밸브, 급동공기배기밸브 및 제동통배기밸브는 개방되며, 급동공기충기밸브와 제동통충기밸브는 폐쇄된다.
이와 같은 밸브들의 동작에 의해 제동과정에서 감압된 상태의 제어공기통과 보조공기통은 재충기가 이루어지며, 제어공기에 의해 충기가 이루어졌던 작용공기통은 압축공기가 배기되어 대기압 상태가 된다.
KR 20-0229986 Y1 KR 20-0233995 Y1
상기 (특허문헌 2)에 따르면, 원활한 제동 또는 제동 완해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압력의 압축공기로 동작해야 한다. 즉 공기통들은 제어밸브의 기계적인 특성들을 고려하여 그 용량을 적절히 결정해야만 정확한 작용시간을 보장할 수가 있으며, 제동에 신뢰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그러나 공기통들이 제어밸브와의 설치 여건상 소정의 거리를 두고 배관되어 설치되며, 또한 차량의 종류 또는 제동시스템의 구조에 따라서 각 공기통의 설치위치가 달라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적용되는 제동시스템에 따라 배관의 길이가 다르므로 배관 용량이 달라져 제동통에 작용하게 되는 보조공기통의 출력압이 다르게 되며, 또한 압축공기의 전달 작용시간이 다르게 되어 제동 동작에 신뢰성을 저하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다수 배관의 연결 작업시에 작업과정에서 배관 내부로 칩과 같은 오염물질이 유입될 가능성이 커지므로 제동장치의 오동작이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허문헌 2)는 제동장치에 필요한 다수의 공기통을 일체로 구성함으로써, 공기통 배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압축공기의 전달 작용시간의 지연현상과 배관 용량이 달라짐에 따라 보조공기통의 출력압이 달라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발명은 관점을 달리하여 화차 제동시스템의 전반적인 개선을 통해 더욱 향상된 제동이 가능하고, 또한 구형의 제어밸브는 물론이고, 신형(막판식)의 제어밸브를 용이하게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의 관점은, 화차의 제동이 복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제동성을 용이하게 향상시키도록 하고, 각 구성 간 결합관계를 개선하여 다양한 종류의 제어밸브를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화차 제동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은 기관실에 구비된 제동밸브의 조작에 의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제동관;
상기 제동관에 제1 지관을 통해 연결된 응하중밸브;
상기 제1 지관에 연결된 제2 지관이 연결되는 하부 말단부가 굴절 형성된 엘보우 브래킷이 하부에 장착되는 어댑터가 측면에 체결된 제1 제어밸브;
상기 제1 제어밸브의 어댑터에 체결된 제1 보조공기통;
상기 제1 지관에 연결된 제3 지관이 연결된 중계밸브;
상기 중계밸브에 연결된 제4 지관이 연결되는 하부 말단부가 굴절 형성된 엘보우 브래킷이 하부에 장착되는 어댑터가 측면에 체결된 제2 제어밸브;
상기 제2 제어밸브의 어댑터에 체결되며, 중계밸브와 응하중밸브에 각기 연결된 제5 지관이 연결된 제2 보조공기통; 및
상기 제1,2 보조공기통을 관통하여 제1,2 제어밸브에 연결된 제6,7 지관이 연결된 복식제동통;
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관은 공기정화기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제1 플랜지;
상기 제1 플랜지와 대칭 형성되며, 제1 플랜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된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2 플랜지와 교차방향으로 형성되며, 엘보우 브래킷이 체결되는 제3 플랜지;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제1,3 플랜지에 가스켓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제1,2 보조공기통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와 제1,2 제어밸브를 통해 연통하게 형성되어 복식제동통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1,2 제어밸브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제동관의 공기를 제1,2 제어밸브에 공급하는 제3 유로;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화차 제동시스템이 복식으로 구성됨으로써, 공차와 영차 등의 상황별 제동력을 달리할 수 있어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어댑터를 이용하여 제어밸브와 보조공기통을 용이하게 탈부착 가능함으로써, 정기점검 및 보수 등이 용이하게 진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어댑터로 인해 구형 화차 제동장치에 신형의 막판식 제어밸브를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또한 엘보우 브래킷을 이용하여 제동관에 연결되는 지관의 배관방향을 용이하게 변경 가능함으로써, 화차의 연결상태에 따른 탄력적 대응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의 공차 충기/완해위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의 공차 제동위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의 공차 제동랩위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의 영차 충기/완해위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의 영차 제동위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의 영차 제동랩위치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용 제어밸브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용 제어밸브를 분해하여 나타내 보인 분해 사시도.
도 10 내지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용 제어밸브를 일부 절개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발명의 특이성 및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구체적인 내용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기관실에는 화차의 제동을 위한 제동밸브(Braking valve: BV)가 구비되며, 상기 제동밸브(BV)를 조작하면, 압축공기가 제동관(Brake pipe: BP)을 통하여 제어밸브(Control valve: CV)에 전달되어 제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밸브(CV)는 막판식으로 구성되어 제동통(Brake cylinder)을 제어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하나의 제어밸브(CV)에 보조공기통(Auxiliary air reservoir: AR) 및 단식제동통(Single brake cylinder) 등이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은 제동관(BP)에 지관(Branch pipe)을 통해 연결되는 제어밸브(CV)를 복식으로 구성하고, 복식의 제어밸브(CV)에 보조공기통(AR)을 각기 연결한 후 중계밸브(Relay valve)와 응하중밸브(Variable load valve), 그리고 복식제동통(Double brake cylinder)을 연결하여 구성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복식의 제어밸브(CV)와 보조공기통(AR)을 각각 제1,2 제어밸브 및 제1,2 보조공기통으로 지칭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은 공차와 영차에 따른 제동력을 달리하여 효율적인 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공차시 제1 제어밸브, 제1 보조공기통 및 복식제동통을 이용하여 화차를 제동하게 되고, 영차시에는 중계밸브에 의해 제1,2 제어밸브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제1,2 제어밸브, 제1,2 보조공기통 및 복식제동통을 이용하여 화차를 제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 제어밸브는 어댑터(Adaptor) 및 엘보우 브래킷(Elbow bracket)을 포함한다. 상기 어댑터와 엘보우 브래킷은 보조공기통과 제동관을 상기 제1,2 제어밸브에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한 일종의 매개체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은 다양한 종류의 제어밸브, 예컨대, 구형의 제어밸브는 물론이고, 신형(막판식)의 제어밸브를 구형의 화차 제동시스템에 용이하게 적용 가능하며, 엘보우 브래킷을 이용하여 제동관에 연결되는 지관의 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밸브에 대해 구형 또는 신형(막판식)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어느 하나의 제어밸브를 다른 하나의 제어밸브와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정한 명칭의 밸브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또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제어밸브를 도시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로 한정하는 것도 아님을 사전에 밝혀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6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은 제동관(10)에 제1 지관(11)을 연결하고, 상기 제1 지관(11)을 응하중밸브(20)에 연결하여 상기 제동관(10)과 응하중밸브(20)를 연결하게 된다. 그리고 제1 지관(11)에는 제1 제어밸브(30)를 제동관(10)과 연결하기 위한 제2 지관(12) 및 중계밸브(40)를 연결하기 위한 제3 지관(13)이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제1 지관(11)은 공기정화기(10a)가 설치되어 제동관(10)을 통해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상기 제2 지관(12)은 제1 제어밸브(30)에 장착된 엘보우 브래킷(31)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엘보우 브래킷(31)이 하부에 장착된 어댑터(32)는 제1 보조공기통(33)이 체결된다. 즉 상기 어댑터(32)는 제1 제어밸브(30)와 제1 보조공기통(33)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이고, 엘보우 브래킷(31)은 상기 제1 제어밸브(30)와 제2 지관(12)을 연결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의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함을 사전에 밝혀둔다.
상기 중계밸브(40)는 제1,3 지관(11)(13)에 의해 제동관(10)에 연결되며, 다른 한편으로 제4 지관(14)을 통해 제2 제어밸브(30a)와 연결된다. 즉 제1 지관(11)에 연결된 제3 지관(13)이 중계밸브(40)에 연결되어 상기 중계밸브(40)와 제동관(10)을 연결하게 되며, 상기 중계밸브(40)에 연결된 제4 지관(14)이 제2 제어밸브(30a)의 엘보우 브래킷(31)에 연결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제2 제어밸브(30a)와 중계밸브(40)가 연결된다.
상기 제2 제어밸브(30a)는 제1 제어밸브(30)와 동일하게 어댑터(32)를 통해 제2 보조공기통(34)이 연결되며, 이때의 상기 제2 보조공기통(34)은 중계밸브(40)와 응하중밸브(20)의 밸런스밸브(20a)에 각기 연결된 제5 지관(15)이 연결된다.
한편 상기 제1,2 제어밸브(30)(30a)는 복식제동통(50)이 연결되는데, 이러한 연결은 제1,2 보조공기통(33)(34)을 관통하여 제1,2 제어밸브(30)(30a)에 연결된 제6,7 지관(16)(17)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에 따르면, 공차시에는 상기 제1 제어밸브(30) 및 이와 연동하는 복식제동통(50)을 이용하여 화차를 제동하게 되고, 영차시에는 중계밸브(40)에 의해 제1,4 지관(11)(14)이 연결되어 제1,2 제어밸브(30)(30a) 및 이와 연동하는 복식제동통(50)을 모두 이용하여 화차를 제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밸브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이때의 상기 제어밸브는 제1 제어밸브를 기준으로 설명함을 밝혀둔다.
도 7 내지 11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용 제1 제어밸브(30)는 일 측면에 어댑터(32)가 플랜지(Flange) 체결된다. 상기 어댑터(32)는 전체적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양측에 각각 원판형의 플랜지가 대칭 형성되어 제1 제어밸브(30)와 제1 보조공기통에 체결되는데, 이를 이하에서는 제1,2 플랜지(32a)(32b)로 지칭하게 된다.
즉 상기 제1 플랜지(32a)는 제1 제어밸브(30)의 측부(30b)에 볼트(Bolt), 너트(Nut) 및 와셔(Washer)의 조합으로 체결되고, 제1 보조공기통에 제2 플랜지(32b)가 동일한 조합으로 체결된다. 이때 상기 제2 플랜지(32b)는 제1 플랜지(32a)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된다. 따라서 어댑터(32)의 내부에 형성되어 제1 보조공기통(33)의 공기를 제1 제어밸브(30)에 공급하는 유로는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플랜지(32a)는 제1 제어밸브(30)와의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32d)이 구비되며, 이를 볼트가 관통하여 체결됨으로써, 기밀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어댑터(32)는 제1,2 플랜지(32a)(32b)와 교차방향으로 사각형상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엘보우 브래킷(31)이 체결되는데, 이를 이하에서는 제3 플랜지(32c)로 지칭하게 되며, 상기 제3 플랜지(32c) 역시 엘보우 브래킷(31)과의 사이에 개재되는 가스켓(32d)이 구비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2,3 플랜지(32a)(32b)(32c)를 통해 제1 보조공기통(33)과 제1 제어밸브(30),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밸브(30)와 엘보우 브래킷(31)을 서로 연결하는 어댑터(32)는 상기 제1 보조공기통(33)의 공기와 제동관(10)의 공기를 제1 제어밸브(30)에 공급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제어밸브(30)에서 배출된 공기를 복식제동통(50)에 공급할 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유로는 제1 보조공기통(33)의 공기를 제1 제어밸브(30)에 공급하는 제1 유로(32e), 상기 제1 제어밸브(30)에서 배출된 공기를 복식제동통(50)에 공급하는 제2 유로(32f) 및 제동관(10)의 공기를 제1 제어밸브(30)에 공급하는 제3 유로(32g)로 구성되며,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2 유로(32e)(32f)의 경우, 어댑터(32)의 내부에 경사지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엘보우 브래킷(31)은 도면상 상단부(31a)가 어댑터(32)의 제3 플랜지(32c)에 볼트와 와셔의 조합으로 체결되며, 하부 말단부(31b)가 굴절 형성되어 제동관(10)에 연결된다. 따라서 엘보우 브래킷(31)은 제동관(10)의 위치에 따라 상단부(31a)를 제3 플랜지(32c)에 탈부착하는 방법으로 하부 말단부(31b)의 위치를 자유롭게 변경 가능하며, 이에 따라 화차의 연결상태에 따른 배관방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차 제동시스템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제동관 11 : 제1 지관
12 : 제2 지관 13 : 제3 지관
14 : 제4 지관 15 : 제5 지관
16 : 제6 지관 17 : 제7 지관
20 : 응하중밸브 20a : 밸런스밸브
30 : 제1 제어밸브 30a: 제2 제어밸브
30b : 측부 31 : 엘보우 브래킷
31a : 상단부 31b : 말단부
32 : 어댑터 32a : 제1 플랜지
32b : 제2 플랜지 32c : 제3 플랜지
32d : 가스켓 32e : 제1 유로
32f : 제2 유로 32g : 제3 유로
33 : 제1 보조공기통 34 : 제2 보조공기통
40 : 중계밸브 50 : 복식제동통

Claims (5)

  1. 기관실에 구비된 제동밸브의 조작에 의해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제동관(Brake pipe);
    상기 제동관에 제1 지관(Branch pipe)을 통해 연결된 응하중밸브(Variable load valve);
    상기 제1 지관에 연결된 제2 지관이 연결되는 하부 말단부가 굴절 형성된 엘보우 브래킷(Elbow bracket)이 하부에 장착되는 어댑터(Adaptor)가 측면에 체결된 제1 제어밸브(First control valve);
    상기 제1 제어밸브의 어댑터에 체결된 제1 보조공기통(First auxiliary air reservoir);
    상기 제1 지관에 연결된 제3 지관이 연결된 중계밸브(Relay valve);
    상기 중계밸브에 연결된 제4 지관이 연결되는 하부 말단부가 굴절 형성된 엘보우 브래킷이 하부에 장착되는 어댑터가 측면에 체결된 제2 제어밸브(Second control valve);
    상기 제2 제어밸브의 어댑터에 체결되며, 중계밸브와 응하중밸브에 각기 연결된 제5 지관이 연결된 제2 보조공기통(Second auxiliary air reservoir); 및
    상기 제1,2 보조공기통을 관통하여 제1,2 제어밸브에 연결된 제6,7 지관이 연결된 복식제동통(Double brake cylinder);으로 이루어지는데,
    상기 어댑터는,
    제1 플랜지와;
    상기 제1 플랜지와 대칭 형성되며, 제1 플랜지보다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게 형성된 제2 플랜지; 및
    상기 제1,2 플랜지와 교차방향으로 형성되며, 엘보우 브래킷이 체결되는 제3 플랜지;를 포함하는 화차 제동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지관은 공기정화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차 제동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제1,3 플랜지에 가스켓(Gasket)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차 제동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어댑터는 제1,2 보조공기통으로부터 공기를 공급받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와 제1,2 제어밸브를 통해 연통하게 형성되어 복식제동통에 공기를 공급하는 제2 유로; 및
    상기 제1,2 제어밸브와 연통하게 형성되어 제동관의 공기를 제1,2 제어밸브에 공급하는 제3 유로;
    를 포함하는 화차 제동시스템.
KR1020150106638A 2015-07-28 2015-07-28 화차 제동시스템 KR1020757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638A KR102075742B1 (ko) 2015-07-28 2015-07-28 화차 제동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6638A KR102075742B1 (ko) 2015-07-28 2015-07-28 화차 제동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662A KR20170013662A (ko) 2017-02-07
KR102075742B1 true KR102075742B1 (ko) 2020-02-10

Family

ID=58108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6638A KR102075742B1 (ko) 2015-07-28 2015-07-28 화차 제동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74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69220B (zh) * 2019-03-26 2020-02-11 北京交通大学 一种基于双空气制动管的重载列车循环制动方法及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431B1 (ko) * 1998-02-25 2001-12-28 안원기 화차용제동장치
KR200466726Y1 (ko) * 2012-05-07 2013-05-06 주식회사 주은기공 화차제동장치
KR200479656Y1 (ko) 2015-04-30 2016-02-22 주식회사 주은기공 화차 제동장치용 제어밸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60817A (en) * 1997-11-03 1999-10-05 Walbro Corporation Control valve and system for fuel vapor recovery
KR200229986Y1 (ko) 2001-02-15 2001-07-19 대금산업 주식회사 화차 제동장치용 막판식 제어밸브
KR200233995Y1 (ko) 2001-03-02 2001-09-26 대금산업 주식회사 일체형 공기통이 구비된 공압식 화차 제동장치
CA2781758C (en) * 2009-11-25 2014-02-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Brake control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431B1 (ko) * 1998-02-25 2001-12-28 안원기 화차용제동장치
KR200466726Y1 (ko) * 2012-05-07 2013-05-06 주식회사 주은기공 화차제동장치
KR200479656Y1 (ko) 2015-04-30 2016-02-22 주식회사 주은기공 화차 제동장치용 제어밸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3662A (ko) 2017-0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970270A (zh) 汽车的制动设备
CN107226077B (zh) 一种机车及其气控后备制动控制系统
CN104428180B (zh) 用于轨道车辆制动器的控制阀装置
CN104203676B (zh) 保持制动缸压力的系统
US10464543B2 (en) Electro-pneumatic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braking of a railway vehicle
CN109204373B (zh) 轨道车辆用集成空气制动装置
CN101058312B (zh) 中继阀
AU2015265495A1 (en) Electro-pneumatic braking system for a railway vehicle
BR112017022959B1 (pt) Dispositivo para o controle de uma instalação de freio para um veículo utilitário e instalação de freio
CN104149813A (zh) 一种轨道车辆及其缓解停放制动系统
CN105393018A (zh) 空气弹簧以及铁道车辆
CN108290560B (zh) 用于轨道车辆的带有直通式电空制动机的压缩空气制动装置
CN209037583U (zh) 一种轨道车辆救援用停放制动控制系统
CN106660536A (zh) 车辆的具有集成的紧急气源压力容器的压缩空气装置
KR102075742B1 (ko) 화차 제동시스템
CN204095829U (zh) 一种铺轨机空气制动系统
JP2015085909A (ja) 車両用ブレーキ装置
US2041884A (en) Brake mechanism
CN101638088B (zh) 用于汽车的压力介质操作的制动装置
CN103370242B (zh) 用于车辆压缩空气供给装置的多回路保险阀和用于运行多回路保险阀的方法
CN105752106A (zh) 轨道非标车辆空气制动系统
CN101380947B (zh) 用于商用车的辅助制动装置
KR200479656Y1 (ko) 화차 제동장치용 제어밸브
CN202927307U (zh) 汽车气制动管路连接用管接头
CN101915360A (zh) 高压气体长管半挂车后端集成汇流排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