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310B1 - 횡단 배수로 - Google Patents

횡단 배수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310B1
KR102075310B1 KR1020190101451A KR20190101451A KR102075310B1 KR 102075310 B1 KR102075310 B1 KR 102075310B1 KR 1020190101451 A KR1020190101451 A KR 1020190101451A KR 20190101451 A KR20190101451 A KR 20190101451A KR 102075310 B1 KR102075310 B1 KR 102075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pipe
inclination
drain
road
ti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1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환
Original Assignee
김재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재환 filed Critical 김재환
Priority to KR102019010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E03F3/046Open sewage cha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6Methods of, or installations for, laying sewer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기울기에 맞도록 손쉽게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횡단 배수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는 배수관체(30)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완성된 횡단 배수로의 상면이 도로(1)의 기울기와 일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횡단 배수로의 상면에 턱이 발생되어 횡단 배수로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패널(20)의 오목홈(21)에는 금속재의 지지부재(22)가 구비되어,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할 때, 배수관체(30)의 하부판(31)이 상기 오목홈(21)의 내부에서 원활히 슬라이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횡단 배수로{transversal drainage}
본 발명은 도로의 기울기에 맞도록 손쉽게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횡단 배수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도나 차도를 포함하는 도로를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횡단 배수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도로(1)에 형성된 구덩이(2)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배수블록(A)과, 상기 배수블록(A)의 상면에 설치되는 덮개(B)로 구성된다.
상기 배수블록(A)은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하판(11)과, 상기 하판(11)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판(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판(12)의 상단 인접측면에는 걸림턱(13)이 오목하게 형성된다.
상기 덮개(B)는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 것으로, 다수개의 관통공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덮개(B)는 스틸그레이팅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횡단 배수로를 설치할 위치에 측방향으로 연장된 구덩이(2)를 형성하고, 상기 구덩이(2)의 바닥면에 일정한 두께의 쇄석(3)을 깐 후, 상기 쇄석(3)의 상부에 배수블록(A)을 배치하고, 배수블록(A)의 둘레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킨 후, 배수블록(A)의 걸림턱(13)에 덮개(B)를 설치함으로써, 횡단 배수로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1)가 기울어진 곳에 이러한 횡단 배수로를 설치할 경우, 상기 배수블록(A)의 상면이 도로(1)의 경사에 맞도록 측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시공을 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횡단 배수로는 구덩이(2)에 쇄석(3)을 깔고 그 상면에 배수블록(A)을 배치함으로, 배수블록(A)의 기울기를 자유롭게 조절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상기 배수블록(A)이 쇄석(3)의 상면에 견고하게 안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기울어진 도로(1)에 횡단 배수로를 설치할 경우, 완성된 횡단 배수로의 상면이 도로(1)의 기울기와 일치되지 못하여, 횡단 배수로의 상면에 턱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차량이 횡단 배수로를 통과할 때 충격이 발생되어 횡단 배수로의 수명이 짧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073358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로(1)의 기울기에 맞도록 손쉽게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횡단 배수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도로(1)에 형성된 구덩이(2)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배수블록(A)과, 상기 배수블록(A)의 상면에 설치되는 덮개(B)를 포함하는 횡단 배수로에 있어서, 상기 배수블록(A)은 상기 구덩이(2)의 바닥면에 배치된 쇄석(3)의 상면에 올려지며 상면에는 호형상의 오목홈(21)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패널(20)과,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하측면은 상기 오목홈(21)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배수관체(30)와, 상기 배수관체(30)를 상기 지지패널(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4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패널(20)은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홈(21)에는 오목홈(21)의 곡률에 대응되는 호형상으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지지부재(22)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22)에는 나사결합공(23)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체(30)는 상기 지지부재(22)의 상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된 하부판(31)과, 상기 하부판(3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판(32)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판(31)에는 장공(31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나사(40)가 상기 장공(31a)을 통해 상기 나사결합공(23)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한 후, 상기 고정나사(40)를 조여 배수관체(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배수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조절수단(50)은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에 올려지는 지지바(51)와, 상기 지지바(51)의 양단에 구비되는 에어백(52)과, 상기 에어백(52)에 연결되어 에어백(52)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53)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51)는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에 올려지는 수평부(51a)와, 상기 수평부(51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관체(30)의 수직판(32) 외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51b)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52)은 상기 수직부(51b)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바(51)를 배수관체(30)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에어백(52)이 배수관체(30)의 수직부(51b) 외측면과 구덩이(2)의 내측면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급기수단(53)을 이용하여 에어백(52)에 선택적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52)을 팽창시키면 상기 배수관체(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어 기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배수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배수관체(30)에 구비되어 배수관체(30)의 상면이 도로(1)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어진 것을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수단(60)과,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기울기조절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은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대(61)와, 상기 고정대(61)의 상면 중앙부에서 고정대(61)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바(62)와, 상기 가이드바(6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대(63)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중간부가 상기 승강대(6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 양단이 상기 구덩이(2) 전후측의 도로(1) 상면에 밀착되는 회동바(64)와, 상기 승강대(63)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바(64)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센서(65)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70)에는 작업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71)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7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기울기측정센서(65)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급기수단(53)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52)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배수관체(30)의 상면이 도로(1)와 평행을 이루게 되면 자동으로 상기 급기수단(53)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배수로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는 배수관체(30)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완성된 횡단 배수로의 상면이 도로(1)의 기울기와 일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횡단 배수로의 상면에 턱이 발생되어 횡단 배수로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패널(20)의 오목홈(21)에는 금속재의 지지부재(22)가 구비되어,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할 때, 배수관체(30)의 하부판(31)이 상기 오목홈(21)의 내부에서 원활히 슬라이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횡단 배수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의 지지패널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의 배수관체를 도시한 평면도,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참고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의 제2 실시예의 기울기조절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의 제2 실시예의 기울기감지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의 제2 실시예의 시공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횡단 배수로를 도시한 것으로,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도로(1)에 형성된 구덩이(2)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배수블록(A)과, 상기 배수블록(A)의 상면에 설치되는 덮개(B)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수블록(A)은 상기 구덩이(2)의 바닥면에 배치된 쇄석(3)의 상면에 올려지며 상면에는 호형상의 오목홈(21)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패널(20)과,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하측면은 상기 오목홈(21)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배수관체(30)와, 상기 배수관체(30)를 상기 지지패널(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4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패널(20)은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되며, 상기 오목홈(21)에는 오목홈(21)의 곡률에 대응되는 호형상으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지지부재(22)가 고정결합된다.
이때, 상기 지지패널(20)은 공장에서 제작되어 현장으로 운반되는 PC공법으로 제조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22)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스트립형태로 구성되어, 상기 지지패널(20)을 제조할 때 오목홈(21)에 일체로 고정되는 것으로, 복수개가 상호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22)의 중간부에는 나사결합공(23)이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배수관체(30)는 PC공법으로 제조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부재(22)의 상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된 하부판(31)과, 상기 하부판(3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판(32)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하부판(31)에는 장공(31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장공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나사경합공(23)에 대응되도록 복수개가 측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나사(40)는 상단에 헤드(41)가 형성되고 하단에 나사산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하부판(31)의 상측에서 상기 장공(31a)을 통과하여 상기 나사결합공(23)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덩이(2)에 쇄석(3)을 배치하고, 상기 지지패널(20)을 쇄석(3)의 상면에 올려놓은 후, 상기 지지패널(20)의 지지부재(22) 상면에 상기 배수관체(30)를 올려놓고,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한 후,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나사(40)를 상기 나사결합공(23)에 결합하여 조이면, 상기 배수관체(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횡단 배수로는 배수관체(30)의 강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음으로, 완성된 횡단 배수로의 상면이 도로(1)의 기울기와 일치되도록 할 수 있으며, 횡단 배수로의 상면에 턱이 발생되어 횡단 배수로의 수명이 짧아지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패널(20)의 오목홈(21)에는 금속재의 지지부재(22)가 구비되어,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할 때, 배수관체(30)의 하부판(31)이 상기 오목홈(21)의 내부에서 원활히 슬라이드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지지패널(20)과 배수관체(30)는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됨으로, 단순히 배수관체(30)를 상기 오목홈(21)에 삽입할 경우, 배수관체(30)의 하단과 오목홈(21) 사이의 마찰력이 매우 높아 배수관체(30)를 기울일 수 없게 되는데, 본 실시예의 경우, 오목홈(21)의 내부에 지지부재(22)가 구비됨으로, 배수관체(30)가 상기 오목홈(21)에 삽입된 상태에서 배수관체(30)의 상단을 측방향으로 밀면, 배수관체(30)가 원활히 측방향으로 기울어져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9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조절수단(50)과, 상기 배수관체(30)에 구비되어 배수관체(30)의 상면이 도로(1)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어진 것을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수단(60)과,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기울기조절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이 더 구비된다.
상기 기울기조절수단(5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에 올려지는 지지바(51)와, 상기 지지바(51)의 양단에 구비되는 에어백(52)과, 상기 에어백(52)에 연결되어 에어백(52)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53)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51)는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에 올려지는 수평부(51a)와, 상기 수평부(51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관체(30)의 수직판(32) 외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51b)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수평부(51a)를 배수관체(30)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배수관체(30)의 상단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된다.
상기 에어백(52)은 내부에 고압의 공기가 공급되면 팽창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2개로 구성되어 상기 수직부(51b)의 외측면에 각각 고정된다.
상기 급기수단(53)은 급기관(53a)을 통해 상기 에어백(52)에 연결된 에어컴프레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상기 급기관(53a)에는 제어밸브(53b)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밸브(53b)를 선택적으로 개폐함으로써, 상기 지지바(51)의 전후방향에 구비된 에어백(52)중의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팽창 또는 축소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어밸브(53b)는 상기 제어수단(70)에 의해 작동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패널(20)과 배수관체(30)를 설치하고,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에 상기 지지바(51)를 올려놓으면, 상기 에어백(52)이 배수관체(30)의 전후면과 상기 구덩이(2)의 전후면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급기수단(53)을 작동시켜 일측의 에어백(52)에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52)을 팽창시키면, 에어백(52)에 의해 배수관체(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려 배수관체(30)의 기울기가 조절된다.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은 도 10 및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대(61)와, 상기 고정대(61)의 상면 중앙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바(62)와, 상기 가이드바(6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대(63)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중간부가 상기 승강대(6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 양단이 상기 구덩이(2) 전후측의 도로(1) 상면에 밀착되는 회동바(64)와, 상기 승강대(63)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바(64)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센서(65)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대(61)는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단이 삽입되는 삽입홈(61a)이 하측면에 형성되며, 측면에는 고정나사(61b)가 구비되어, 배수관체(30)의 상단에 결합한 후 상기 고정나사(61b)를 조여 배수관체(30)의 상단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62)는 상기 고정대(61)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사각바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대(63)는 상기 가이드바(62)가 결합되는 관통공(63a)이 중간부 상하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바(62)에 결합된 상태에서 자중에 의해 승강되도록 구성되며, 일측면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힌지축(63b)이 구비된다.
상기 회동바(64)는 중간부가 상기 힌지축(63b)에 결합되어 전후단이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된 것으로, 전후단에 하측으로 연장된 연장부(64a)가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64a)의 하단부에는 휠(64b)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회동바(64)의 전후방향 길이는 상기 구덩이(2)의 전후방향 폭에 비해 길게 구성되어, 상기 고정대(61)를 상기 구덩이(2)의 내부에 설치된 배수관체(30)에 결합하면 상기 휠(64b)이 구덩이(2) 전후측의 도로(1) 상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기울기측정센서(65)는 상기 힌지축(63b)에 구비되어 상기 회동바(64)가 상기 가이드바(62)와 수직을 이루는 상태에서 측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회동바(64)가 회동된 각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70)을 출력한다.
이때, 상기 고정대(61)는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가이드바(62)는 상기 고정대(61)와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됨으로, 상기 회동바(64)가 상기 가이드바(62)의 직각에 대해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과 도로(1)가 평행을 이루지 못한 것을 의미하며, 전후양단이 상기 도로(1)의 상면에 밀착된 회동바(64)가 상기 가이드바(62)와 직각을 이루게 되면,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이 도로(1)와 평행을 이루는 것을 의미하게 된다.
상기 제어수단(70)에는 작업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71)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횡단 배수로의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덩이(2)의 쇄석(3)에 지지패널(20)과 배수관체(30)를 순차적으로 배치하고,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단에 상기 기울기조절수단(50)과 기울기 감지수단을 설치한다.
그리고,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7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기울기측정센서(65)의 신호를 피드백하여, 상기 도로(1)에 대한 배수관체(30) 상면의 기울기를 측정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기울기조절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여,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의 에어백(52)에 고압의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배수관체(30)를 전후방향으로 회동시켜, 배수관체(30)의 상면이 상기 도로(1)의 상면과 평행을 이루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70)은 상기 기울기측정센서(65)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이드바(62)와 회동바(64)가 상호 직각을 이루게 되면,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이 상기 도로(1)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기울기조절수단(50)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이와 같이,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이 상기 도로(1)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어, 상기 기울기조절수단(50)의 작동이 정지되면, 작업자는 상기 고정나사(40)를 조여, 배수관체(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울기조절수단(50)과 기울기감지수단(60)은 상기 배수관체(30)로부터 분리하여 다른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하는데 재활용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횡단 배수로는 기울기조절수단(50)과 기울기감지수단(60) 및 제어수단(70)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이 도로(1)와 평행 이루도록 조절함으로, 상기 배수관의 기울기를 조절하는 것이 더욱 용이해지는 장점이 있다.
A. 배수블록 B. 덮개
20. 지지패널 30. 배수관체
40. 고정나사

Claims (3)

  1.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된 관체형상으로 구성되며 도로(1)에 형성된 구덩이(2)에 매립되도록 설치되는 배수블록(A)과,
    상기 배수블록(A)의 상면에 설치되는 덮개(B)를 포함하는 횡단 배수로에 있어서,
    상기 배수블록(A)은
    상기 구덩이(2)의 바닥면에 배치된 쇄석(3)의 상면에 올려지며 상면에는 호형상의 오목홈(21)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지지패널(20)과,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면이 개방되며 하측면은 상기 오목홈(21)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하측으로 라운드지게 돌출된 배수관체(30)와,
    상기 배수관체(30)를 상기 지지패널(20)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40)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패널(20)은 콘크리트재질로 구성되고,
    상기 오목홈(21)에는 오목홈(21)의 곡률에 대응되는 호형상으로 구성된 금속재질의 지지부재(22)가 고정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22)에는 나사결합공(23)이 형성되고,
    상기 배수관체(30)는 상기 지지부재(22)의 상면의 곡률에 대응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된 하부판(31)과,
    상기 하부판(31)의 양측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한 쌍의 수직판(32)을 포함하며, 상
    기 하부판(31)에는 장공(31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고정나사(40)가 상기 장공(31a)을 통해 상기 나사결합공(23)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한 후, 상기 고정나사(40)를 조여 배수관체(3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고,
    상기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하기 위한 기울기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조절수단(50)은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에 올려지는 지지바(51)와,
    상기 지지바(51)의 양단에 구비되는 에어백(52)과,
    상기 에어백(52)에 연결되어 에어백(52)에 선택적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급기수단(53)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바(51)는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에 올려지는 수평부(51a)와,
    상기 수평부(51a)의 양단에서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배수관체(30)의 수직판(32) 외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51b)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52)은 상기 수직부(51b)의 외측면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바(51)를 배수관체(30)의 상면에 올려놓으면 상기 에어백(52)이 배수관체(30)의 수직부(51b) 외측면과 구덩이(2)의 내측면의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급기수단(53)을 이용하여 에어백(52)에 선택적으로 고압의 공기를 공급하여 에어백(52)을 팽창시키면 상기 배수관체(3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회동되어 기울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배수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체(30)에 구비되어 배수관체(30)의 상면이 도로(1)의 기울기와 동일한 기울기로 기울어진 것을 감지하는 기울기감지수단(60)과,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기울기조절수단(5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70)을 더 포함하며,
    상기 기울기감지수단(60)은
    상기 배수관체(30)의 상면에 고정되는 고정대(61)와,
    상기 고정대(61)의 상면 중앙부에서 고정대(61)와 직각을 이루도록 상측으로 연장된 가이드바(62)와,
    상기 가이드바(62)에 승강가능하게 결합된 승강대(63)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어 중간부가 상기 승강대(63)에 상하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전후 양단이 상기 구덩이(2) 전후측의 도로(1) 상면에 밀착되는 회동바(64)와,
    상기 승강대(63)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바(64)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측정센서(65)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수단(70)에는 작업자가 조작하여 제어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71)이 구비되어, 작업자가 상기 입력수단(71)을 조작하여 작업명령을 입력하면, 상기 기울기측정센서(65)의 신호를 피드백하면서 상기 급기수단(53)을 제어하여 상기 에어백(52)에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배수관체(30)의 기울기를 조절하고, 배수관체(30)의 상면이 도로(1)와 평행을 이루게 되면 자동으로 상기 급기수단(53)의 작동을 정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단 배수로.
KR1020190101451A 2019-08-20 2019-08-20 횡단 배수로 KR102075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51A KR102075310B1 (ko) 2019-08-20 2019-08-20 횡단 배수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1451A KR102075310B1 (ko) 2019-08-20 2019-08-20 횡단 배수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310B1 true KR102075310B1 (ko) 2020-02-07

Family

ID=69570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1451A KR102075310B1 (ko) 2019-08-20 2019-08-20 횡단 배수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31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7070A (zh) * 2021-04-02 2021-07-30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线性排水系统设置方法
KR102629061B1 (ko) * 2023-02-04 2024-01-25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공동주택 욕실 층간 방음구조
WO2024056654A1 (de) * 2022-09-13 2024-03-21 Aco Ahlmann Se & Co. Kg Entwässerungsgegenstand und entwässerungssyste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6921A (ja) * 1994-01-28 1995-08-15 Sanpori:Kk 下水桝
KR100733588B1 (ko) 2006-11-15 2007-06-28 (주)해석 공공배수관 내 하수이송기구
JP2017128955A (ja) * 2016-01-21 2017-07-27 国土交通省中部地方整備局長 路面敷設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16921A (ja) * 1994-01-28 1995-08-15 Sanpori:Kk 下水桝
KR100733588B1 (ko) 2006-11-15 2007-06-28 (주)해석 공공배수관 내 하수이송기구
JP2017128955A (ja) * 2016-01-21 2017-07-27 国土交通省中部地方整備局長 路面敷設構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87070A (zh) * 2021-04-02 2021-07-30 上海二十冶建设有限公司 一种线性排水系统设置方法
WO2024056654A1 (de) * 2022-09-13 2024-03-21 Aco Ahlmann Se & Co. Kg Entwässerungsgegenstand und entwässerungssystem
KR102629061B1 (ko) * 2023-02-04 2024-01-25 (주)길종합건축사사무소이엔지 공동주택 욕실 층간 방음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5310B1 (ko) 횡단 배수로
US20100175205A1 (en) Scaffold Arrangement and Method for Repairing the Edge Structure of a Concrete Bridge
AU2009200077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ing the control of a concrete screed head assembly
KR101689028B1 (ko) 교량 가설용 이송장치
KR101824660B1 (ko) 금형 제조장치
CN102059746A (zh) 具有改进的旋转角尺的手动瓷砖切割机
KR20190058887A (ko) 리클레이머용 감지장치
US6607341B1 (en) Cabinet installation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s
KR100608455B1 (ko) 파레트 위치결정장치
KR101952659B1 (ko) 환봉 절단 장치
KR102336476B1 (ko) 파이프 용접장치
KR102399181B1 (ko) 차량용 휠 가드 융착기
KR101599215B1 (ko) 무충격 슬래브통 시스템 및 운반방법
JP4090369B2 (ja) アースオーガ掘削機および削孔方法
KR20090025635A (ko) 경계석 홈파기장치
JP2000073443A (ja) 鉄骨柱位置決機能付きレベル調整機能付き荷重支持器具
KR200255655Y1 (ko) 플로어 힌지 케이싱
JPH07233645A (ja) コンクリート均し装置
KR102213968B1 (ko) 벨트컨베이어용 캐리어롤러장치
KR101879249B1 (ko) 빈 보수용 리프팅장치
JPH06146585A (ja) 布基礎コンクリート用型枠保持具
JPH0510029Y2 (ko)
JP2915375B2 (ja) ほぞ取り用支持台
KR100324615B1 (ko) 콘크리트 타설제어장치
KR19990058312A (ko) 용접고정구의 레벨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