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240B1 -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240B1
KR102075240B1 KR1020180045369A KR20180045369A KR102075240B1 KR 102075240 B1 KR102075240 B1 KR 102075240B1 KR 1020180045369 A KR1020180045369 A KR 1020180045369A KR 20180045369 A KR20180045369 A KR 20180045369A KR 102075240 B1 KR102075240 B1 KR 1020752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ad
roller driving
coupl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5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1924A (ko
Inventor
류기현
배진민
손성호
조병옥
박용관
조문규
조은빛
정영혁
Original Assignee
(주)럭스데이타기술연구소
한국교통안전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럭스데이타기술연구소, 한국교통안전공단 filed Critical (주)럭스데이타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180045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240B1/ko
Publication of KR20190121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1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2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2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7/00Testing of vehicles
    • G01M17/007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 G01M17/0072Wheeled or endless-tracked vehicles the wheels of the vehicle co-operating with rotatable rolls
    • G01M17/0076Two-wheeled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이륜 자동차의 바퀴와 동시에 맞닿는 한 쌍의 롤러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운동이 가능한 리프트부;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되, 중심부가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 사이에 위치되고,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의 표면과 각각맞닿는 한 쌍의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부가 승강하여 상기 한 쌍의 패드부와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가 맞닿을 때 상기 한 쌍의 구동부가 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Braking device of speedometer inspection equipment of motorcycle}
본 발명은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바퀴가 맞닿는 롤러 구동부에 승하강 가능한 리프트부에 결합되는 패드부가 맞닿아 롤러 구동부를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국내 이륜 자동차는 자동차 등록대수의 약 10%이상을 차지하는 주요 교통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륜 자동차 또한 교통안전과 배출가스에 의한 대기 오염에 영향을 미치므로 정기적인 검사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검사 모습을 간략하게 표현한 것이다.
먼저, 이륜 자동차(1)의 바퀴(2)를 일정 간격을 두고 이격된 한 쌍의 롤러부(3)사이에 위치시켜 롤러부(3)와 바퀴(2)를 맞닿게 한다. 이때, 이륜 자동차(1)는 별도의 지그에 의해 고정되고, 바퀴(2)만 회전이 가능하다.
바퀴(2)가 회전하게 되면, 바퀴(2)와 맞닿은 롤러부(3) 또한 전동 모터에 의해 가동되어 회전하게 되고, 현재 이륜 자동차(1)의 속도를 검사할 수 있다.
검사를 마치고 검사장비로부터 이륜 자동차(1)를 이탈시키고자 할 때,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이륜 자동차(1)를 앞으로 전진시키기 위해 바퀴(2)에 동력을 가하게 된다.
그러나, 검사가 끝난 후 전기가 더 이상 인가되지 않는 롤러부(3)는 free role 상태가 되어 적은 외력에도 회전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롤러부(3)는 바퀴(2)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하게 된다. 이로 인해, 바퀴(2)는 헛돌게 되어 앞으로 전진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을 기준으로, 바퀴(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바퀴(2)와 맞닿은 롤러부(3)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 결과, 이륜 자동차(1)의 전진을 위해 검사자가 직접 힘을 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검사 시간이 지연되어 검사자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게 되었다.
따라서, 검사가 끝난 롤러부(3)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는 별도의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87445호
본 발명은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바퀴가 맞닿는 롤러 구동부에 승하강 가능한 리프트부에 결합되는 패드부가 맞닿아 롤러 구동부를 제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동 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이로 인해, 바퀴가 검사 장비로부터 원활하게 이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이륜 자동차의 바퀴와 동시에 맞닿는 한 쌍의 롤러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운동이 가능한 리프트부;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되, 중심부가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 사이에 위치되고,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하우징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의 표면과 각각맞닿는 한 쌍의 패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프트부가 승강하여 상기 한 쌍의 패드부와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가 맞닿을 때 상기 한 쌍의 구동부가 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의 상기 패드부의 상부는 상기 롤러 구동부의 표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되, 중심을 기준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의 상기 패드부의 상면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는 상기 패드부의 양 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내측면이 상기 롤러 구동부의 표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블록부;를 더 포함하는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의 상기 블록부에는 상기 패드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암수 결합이 가능한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의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리프트부와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의 중심축을 잇는 선과 평행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양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수직되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제2 하우징; 및 상기 한 쌍의 제2 하우징의 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하우징과 평행한 한 쌍의 제3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3 하우징의 각각의 상면에 상기 패드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의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3 하우징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리프트부를 승강시켜 패드부가 롤러 구동부에 맞닿게 되면 롤러 구동부가 제동되므로 바퀴가 롤러 구동부로부터 원활하게 이탈할 수 있어 종래에 바퀴가 헛도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검사 안정성 및 검사 속도가 빨라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드부의 상면이 롤러 구동부의 표면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중심부를 기준으로 만곡되고,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므로 제동력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드부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패드부에 탈부착 가능한 블록부의 구성으로 롤러 구동부와 맞닿은 패드부의 면적을 자유롭게 조절 가능하여, 바퀴의 크기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동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동 장치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패드부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롤러 구동부를 가압하고, 보조 패드부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롤러 구동부를 가압하여 제동력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리프트부의 승강만으로 롤러 구동부를 상 하방에서 모두 가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검사장비에 이륜 자동차의 바퀴가 맞닿은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의 리프트부가 하강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의 리프트부가 승강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패드부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패드부의 다른 실시 예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동장치의 리프트부가 하강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동장치의 덮개부 내의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동장치의 덮개부 내의 모습을 정면에서 바라본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가로 방향이며, "수직 방향"이란, 도 2를 기준으로 세로 방향이다. 또한, "폭 방향"이란, 길이 방향과 수직 방향에 동시에 수직하는 방향이다. 또한, 상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방이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이란 동일부재에서 상대적으로 중심에 가까운 쪽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는 롤러 구동부(100), 리프트부(200), 하우징부(300), 패드부(400), 보조 제동부(500)를 포함한다.
롤러 구동부(100)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원통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 구동부(100)는 한 쌍으로 구비되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륜 자동차의 바퀴(2)는 한 쌍의 롤러 구동부(100)와 동시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도 2와 같이, 바퀴(2)의 5시 방향이 한 쌍의 롤러 구동부(100) 중 오른쪽의 롤러 구동부(100)와 맞닿고, 바퀴(2)의 7시 방향이 한 쌍의 롤러 구동부(100) 중 왼쪽의 롤러 구동부(100)와 맞닿게 된다.
리프트부(200)는 한 쌍의 롤러 구동부(100) 사이에 위치된다. 또한, 리프트부(200)는 리프트부 본체(210) 및 승강부(220)를 구비한다.
리프트부 본체(210)는 검사 장치의 하면에 결합되고, 내부에 승강부(220)를 구비한다. 승강부(220)는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운동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동장치 작동 전에는 도 2와 같이 리프트부 본체(210)에 내장되어 있다가, 제동장치 작동 시에는 도 3과 같이 상방으로 돌출된다.
제동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롤러 구동부(100)의 회전이 원활해야 한다. 그러나, 승강식이 아니라면, 제동장치가 롤러 구동부(100)에 간섭을 가할 수 있어 검사 효율이 떨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제동장치가 작동하지 않을 때에는 리프트부 본체(210) 내부로 승강부(220)를 숨겨 제동장치가 롤러 구동부(100)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승강부(220)는 유압식으로 승하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러한 방식에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외부에서 승하강이 제어 가능하다.
하우징부(300)는 리프트부(200)와 결합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승강부(220)의 상면과 결합된다. 따라서, 리프트부(200)의 승하강에 대응하여 하우징부(300) 또한 승하강이 가능하다.
하우징부(300)는 제1 하우징(310), 제2 하우징(320) 및 제3 하우징(330)을 구비한다.
제1 하우징(310)은 한 쌍의 롤러 구동부(100)의 중심축을 잇는 선과 평행하도록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하우징(310)의 하면은 승강부(220)의 상면과 맞닿는다.
제2 하우징(320)은 제1 하우징(310)의 양 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절곡되어 제1 하우징(310)과 수직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하우징(330)은 제2 하우징(320)의 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 하우징(310)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하우징부(300)는 리프트부(200)를 중심으로 대칭된다. 이로 인해, 어느 하나의 롤러 구동부(100)에만 불균형하게 후술할 패드부(400)의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동력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리프트부(200)가 승강하여 패드부(400)가 롤러 구동부(100)와 맞닿을 때, 이와 동시에 제1 하우징(310)의 상면이 바퀴(2)와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바퀴(2)에 한 쌍의 롤러 구동부(100), 리프트부(200)가 맞닿아 바퀴(2)를 지지하는 면적이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륜 자동차의 바퀴(2)가 더욱 수월하게 검사 장비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하우징부(300)의 형상은 패드부(400)가 롤러 구동부(100)에 맞닿기 위한 최소한의 구성요소만을 구축하고 있으므로, 중량이 감소되어 승하강이 수월해지고, 검사 장비의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4를 참조하여 패드부(400)를 설명한다.
패드부(400)는 하우징부(300)의 상면에 결합된다. 또한, 패드부(400)의 상면은 롤러 구동부(100)의 표면과 맞닿게 된다.
도 2와 같이 리프트부(200)가 하강하는 경우에는 패드부(400)가 롤러 구동부(100)와 맞닿지 않으나, 리프트부(200)가 승강하는 경우에는 패드부(400)가 롤러 구동부(100)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제어를 통해 리프트부(200)를 승강시켜 패드부(400)가 롤러 구동부(100)와 맞닿게 되면, 롤러 구동부(100)를 패드부(400)가 하방에서 상방으로 가압하여 롤러 구동부(100)의 회전을 멈출 수 있게 된다. 회전이 더 이상 없으면, 바퀴(2)가 맞닿는 면적이 고정되어 있는 효과가 발생되므로, 검사 장비로부터 수월하게 이탈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패드부(400)의 상면은 중심부를 기준으로 만곡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 구동부(100)의 표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지닌 것이 바람직하다.
위와 같은 구성으로 인해, 패드부(400)의 상면은 롤러 구동부(100)의 표면과 모두 맞닿게 된다. 따라서, 패드부(400)와 롤러 구동부(100)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할 수 있게 되므로 패드부(400)의 제동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드부(400)의 상면에는 홈(401)이 복수 개 형성된다. 각 홈(401)은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복수 개의 홈(401) 간은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된다.
롤러 구동부(100)의 회전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홈(401)이 형성되므로, 패드부(400)의 마찰력이 극대화된다. 따라서, 제동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패드부(400)는 하우징부(300)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미도시 되었으나, 일 예로, 하방에서 상방으로 볼트 결합을 통해 패드부(400)와 하우징부(300)가 결합될 수 있다.
패드부(400)가 롤러 구동부(100)와 지속적인 마찰이 이루어지면, 패드부(400)의 표면이 손상되어 롤러 구동부(100)와의 접촉 면적이 줄어들어 제동력이 약화된다. 따라서, 수명이 다한 패드부(400)를 교체 가능하게 하여 검사 장비를 지속적으로 사용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패드부(400)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패드부(400)의 다른 실시 예는 일 실시 예의 구성을 모두 포함하되, 블록부(410)를 더 포함한다.
블록부(410)는 패드부(400)의 양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블록부(410)는 패드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설치되는 블록 하부(411), 패드부의 상부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블록하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록 상부(412), 블록 내측면부(413) 및 돌출부(414)를 구비한다.
블록 내측면부(413)는 블록 상부(412)에서 연장 형성되며, 롤러 구동부(100)의 표면과 맞닿는다. 또한, 롤러 구동부(100)의 표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패드부(400)만 있는 경우보다, 롤러 구동부(100)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되므로 제동력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즉, 패드부(400)의 길이를 연장하는 효과를 발현시킨다.
바퀴(2)가 큰 이륜 자동차의 경우 패드부(400)의 제동력이 더욱 증대되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위와 같은 경우에 블록부(410)를 결합하여 접촉 면적을 증대시킬 수 있다. 그러나, 소형 바퀴(2)의 경우 블록부(410)를 결합하지 않아도 패드부(400)의 제동력만으로 충분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선택적으로 제동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블록부(410)는 패드부(40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블록 하부(411)에는 패드부(40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414)가 형성되고, 돌출부(414)와 암수 결합되도록 패드부(400)에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손쉽게 블록부(410)를 탈부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동장치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한 제동 장치는 일 실시 예에 의한 제동 장치를 모두 포함하고, 보조 제동부(500)의 구성을 더 포함한다. 즉, 보조 제동부는 롤러 구동부를 가압하기 위해 한 쌍의 롤러 구동부와 각각 맞닿도록 형성된다.
보조 제동부(500)는 덮개부(510), 랙 기어(520), 피니언 기어(530), 축(540), 제1 스퍼기어(550), 제2 스퍼기어(560) 및 보조 패드부(570)를 포함한다.
덮개부(510)는 랙 기어(520) 내지 보조 패드부(570)를 감싸는 것으로, 롤러 구동부(100)와 인접하는 부근은 개방되고, 그 반대편은 폐쇄되어 내부 부품들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도 6은 덮개부(510) 내부의 랙 기어(520) 내지 보조 패드부(570) 결합 관계를 나타낸 것이다.
랙 기어(520)의 후방에는 제3 하우징(330)의 단부가 결합된다. 따라서, 하우징부(300)가 리프트부(200)의 승강에 의해 승강되면, 랙 기어(520) 또한 승강하게 된다.
축(540)을 기준으로, 일단부에는 피니언 기어(530)가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제1 스퍼기어(550)가 결합된다. 피니언 기어(530)는 랙 기어(520)와 치합되고, 제1 스퍼기어(550)는 제1 스퍼기어(550)의 상부에 위치된 제2 스퍼기어(560)와 치합된다.
제2 스퍼기어(560)는 보조 패드부(570)와 일체로 결합된다. 보조 패드부(570)는 막대부(571) 및 접촉부(572)를 구비한다. 막대부(571)는 제2 스퍼기어(560)와 결합되되,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접촉부(572)는 막대부(571)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된다.
이하에서는, 보조 패드부(570)의 틸팅 과정을 살핀다.
리프트부(200)의 승강으로 하우징부(300)가 승강되면, 랙 기어(520)가 승강한다. 이때, 랙 기어(520)와 치합된 피니언 기어(530)는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축(540) 및 제1 스퍼기어(550) 또한 시계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제1 스퍼기어(550)와 치합된 제2 스퍼기어(560)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스퍼기어(560)와 보조 패드부(570)는 일체로 결합되었으므로, 제2 스퍼기어(560)의 회전 반경에 따라 보조 패드부(570)는 하방으로 틸팅된다.
보조 패드부(570)는 롤러 구동부(100)와 맞닿아 롤러 구동부(100)를 상방에서 하방으로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패드부(400)는 하방에서 상방으로 롤러 구동부(100)를 가압하고, 보조 패드부(570)는 이와 반대로 가압하게 되므로, 롤러 구동부(100)를 리프트부(200)의 승강 동작만으로 상하에서 모두 가압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동력이 일 실시 예보다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리프트부(200)가 하강하면 승강과 반대되는 동작으로 랙 기어(520) 내지 제2 스퍼기어(560)가 이동 및 회전하고, 보조 패드부(570)는 상방으로 틸팅하게 되어 원 상태로 복귀된다.
이때, 접촉부(572)의 내측면은 롤러 구동부의 표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되, 중심부를 기준으로 만곡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롤러 구동부(100)의 표면과의 접촉 면적을 최대화하여 제동력을 극대화 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의 작동 메커니즘을 살핀다.
먼저, 미도시된 제어 장치를 통해 리프트부(200)를 승강시킨다. 이로 인해, 패드부(400) 또한 승강된다.
승강된 패드부(400)는 롤러 구동부(100)와 맞닿아 롤러 구동부(100)가 제동된다. 따라서, 바퀴(2)는 소위 '헛돌지' 않고 검사 장비로부터 이탈될 수 있게 된다.
검사 장비로부터 이륜 자동차(1)가 이탈되면, 제어 장치를 통해 리프트부(200)를 하강시킨다. 이로 인해, 패드부(400) 또한 하강되며, 더 이상 롤러 구동부(100)는 제동되지 않아 회전 가능한 상태로 복귀한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 : 롤러 구동부, 200 : 리프트부,
210 : 리프트부 본체, 220 : 승강부,
300 : 하우징부, 310 : 제1 하우징,
320 : 제2 하우징, 330 : 제3 하우징,
400 : 패드부, 401 : 홈
402 : 수용부, 410 : 블록부
411 : 블록 하부, 412 : 블록 상부,
413 : 블록 내측면부, 414 : 블록 돌출부,
500 : 보조 제동부, 510 : 덮개부,
520 : 랙 기어, 530 : 피니언 기어,
540 : 축, 550 : 제1 스퍼기어,
560 : 제2 스퍼기어, 570 : 보조 패드부,
571 : 막대부, 572 : 접촉부.

Claims (7)

  1.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되, 이륜 자동차의 바퀴와 동시에 맞닿는 한 쌍의 롤러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 운동이 가능한 리프트부;
    상기 리프트부에 결합되되, 중심부가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 사이에 위치되고,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의 하부에 각각 위치되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상면에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의 표면과 각각 맞닿는 한 쌍의 패드부; 및
    상기 롤러 구동부를 가압하기 위해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와 각각 맞닿는 보조 제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의 상부는 상기 롤러 구동부의 표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되, 중심을 기준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패드부의 상면에는 폭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는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부의 양 단부에 각각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되, 내측면이 상기 롤러 구동부의 표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블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록부는,
    상기 패드부의 길이방향 양 단부에 설치되는 블록하부;
    상기 패드부의 상부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블록하부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블록상부;
    상기 블록상부에서 연장 형성되며, 상기 롤러구동부와 맞닿는 블록 내측면부; 및
    상기 블록하부에 패드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에는 상기 돌출부와 암수 결합이 가능한 수용부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리프트부와 결합되되,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의 중심축을 잇는 선과 평행한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양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수직되도록 절곡되는 한 쌍의 제2 하우징; 및
    상기 한 쌍의 제2 하우징의 단부에서 각각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하우징과 평행한 한 쌍의 제3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제3 하우징의 각각의 상면에 상기 패드부가 결합되고,
    상기 패드부는 상기 제3 하우징의 상면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보조 제동부는,
    축;
    상기 축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치합되고, 상기 제3 하우징의 단부에 결합되는 랙 기어;
    상기 축의 타단부에 결합되는 제1 스퍼기어;
    상기 제1 스퍼기어와 치합되면서, 상기 제1 스퍼기어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스퍼기어;
    상기 제2 스퍼기어에 일체로 결합되는 보조 패드부; 및
    상기 롤러 구동부와 인접하는 부근은 개방되고, 그 반대편은 폐쇄되며,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축, 상기 피니언 기어, 상기 랙기어, 상기 제1 스퍼기어, 상기 제2 스퍼기어 및 상기 보조 패드부를 감싸는 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패드부는,
    상기 제2 스퍼기어와 결합되되, 절곡되어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막대부; 및
    상기 롤러 구동부를 가압하도록 상기 막대부의 상단에서 연장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의 내측면은 상기 롤러 구동부의 표면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이되, 중심을 기준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리프트부가 승강하여 상기 한 쌍의 패드부와 상기 한 쌍의 롤러 구동부가 맞닿을 때 상기 한 쌍의 구동부가 제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80045369A 2018-04-19 2018-04-19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 KR1020752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369A KR102075240B1 (ko) 2018-04-19 2018-04-19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5369A KR102075240B1 (ko) 2018-04-19 2018-04-19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924A KR20190121924A (ko) 2019-10-29
KR102075240B1 true KR102075240B1 (ko) 2020-03-02

Family

ID=68423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369A KR102075240B1 (ko) 2018-04-19 2018-04-19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24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785896U (zh) * 2013-12-24 2014-08-20 深圳市安车检测股份有限公司 一种平地机制动测试台
JP6007352B2 (ja) * 2013-03-15 2016-10-12 ノベリ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Novelis Inc. 熱間板金圧延における標的化冷却のた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7352Y2 (ja) * 1981-12-28 1985-03-11 株式会社河合楽器製作所 梱包装置
JP3057473B2 (ja) * 1994-08-17 2000-06-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完成検査装置
KR20170087445A (ko) 2017-07-21 2017-07-28 (주)럭스데이타기술연구소 이륜 자동차 검사장비용 이륜 자동차 바퀴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7352B2 (ja) * 2013-03-15 2016-10-12 ノベリス・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Novelis Inc. 熱間板金圧延における標的化冷却のための製造方法および装置
CN203785896U (zh) * 2013-12-24 2014-08-20 深圳市安车检测股份有限公司 一种平地机制动测试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1924A (ko) 2019-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747775B (zh) 一种道路桥洞车辆限高交通控制装置
CN108285107A (zh) 剪刀叉式顶升机构及agv小车
CN208150870U (zh) 剪刀叉式顶升机构及agv小车
KR100568463B1 (ko) 피킹 및 상승 연속동작이 가능한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EP1506888B1 (de) Portalhubwagen mit elektrischem Radnabenantrieb
KR102075240B1 (ko) 이륜자동차 속도계 검사장비의 제동장치
CN210559150U (zh) 一种用于agv的齿轮齿条举升装置
CN102275819A (zh) 桥式起重机端梁总成
DE10204915A1 (de) Antriebseinheit für Fahrzeug, insbesondere Hilfsantrieb für Handhubwagen
CN101195466A (zh) 变速省力简式千斤顶及其操作摇把
CN109892033B (zh) 一种四向五轮侧面式电动装卸搬运车
CN110281700A (zh) 一种双电机驱动车桥及铁水运输车
CN204981033U (zh) 一种便于更换蓄电池的电动堆高车
CN204355889U (zh) 一种传动机构及使用该传动机构的双层电缆绞盘
CN111731751B (zh) 一种智能橡胶轮胎输送装置
CN214494598U (zh) 一种全向前移式agv前移滑架
CN2441784Y (zh) 无齿曳引机的手动盘车装置
CN102400578A (zh) 梳齿式塔库停车设备的升降系统
CN210068875U (zh) 一种汽车减速器
CN104444632A (zh) 一种传动机构及使用该传动机构的双层电缆绞盘
CN205292845U (zh) 一种双驱磁导航移动机器人用轮系结构
CN219506009U (zh) 一种单轨运输机停车装置
CN211809932U (zh) 起重机用具有大接触面积的履带架
CN212125080U (zh) 一种一体式备用升降轮底盘
CN213326471U (zh) 一种简易车桥减速器吊装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