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5041B1 -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5041B1
KR102075041B1 KR1020180156826A KR20180156826A KR102075041B1 KR 102075041 B1 KR102075041 B1 KR 102075041B1 KR 1020180156826 A KR1020180156826 A KR 1020180156826A KR 20180156826 A KR20180156826 A KR 20180156826A KR 102075041 B1 KR102075041 B1 KR 102075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rror
injector
injectors
interference
resu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6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현철
Original Assignee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6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50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5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50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41/221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relating to the failure of actuators or electrically drive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25Particular ways of programming the data
    • F02D41/2429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 F02D41/2451Methods of calibrating or learning characterised by what is learned or calibrated
    • F02D41/2464Characteristics of actuators
    • F02D41/2467Characteristics of actuators for injec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2Safety or indicating devices for abnormal conditions
    • F02D2041/224Diagnosis of the fuel syste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에서 실행되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1 에러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결정하거나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METHOD OF DETECTING INTERFERENCE BETWEEN INJECTORS OF DUEL PORT ENGINE AND APPARATUS PERFORMING THE SAME}
본 발명은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에서 복수의 인젝터 사이의 간섭을 검출하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엔진은 흡기 포트에 하나의 인젝터만이 구비되어 있다. 특히, MPI(Multi Point Injection) 엔진은 실린더만다 연료 분사 밸브를 설치하여 각각의 흡기 매니폴드에서 연료를 미리 분사하는 방식의 엔진이다.
MPI 엔진에서 인젝터의 고장을 진단하기 위해서는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및 오프 상태로 변경하여 인젝터의 상태를 판단하는 진단 펄스를 실행하고, 진단 펄스의 결과에 따라 배터리 단락 에러(SCB: Short Circuit to Battery), 단선 에러(OL: Open Load) 및 그라운드 단락 에러(SCG: Short Circuit to Ground) 중 어느 하나의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PI 엔진에서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면,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는 배터리 단락 에러를 검출하고,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는 단선 에러 및 그라운드 단락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은 동일 기통 내부와 연통하는 2개의 흡기 포트가 구비되고, 2개의 흡기 포트를 각각 개폐하는 2개의 흡기 밸브의 후방에 2개의 인젝터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에서는 동일한 기통에 대해서 복수의 인젝터를 이용하여 복수개의 흡기 포트로 각각 연료를 분사한다. 그리고, 흡기 포트 내에 분사된 연료는 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기로서 연소실 내에 공급되게 된다.
하지만,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에서 동일 기통의 인젝터 간의 물리적 간섭 발생시 제1 인젝터의 진단 펄스의 진단 결과는 제2 인젝터의 출력상태에 영향을 받는다.
이하에서는 [표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표 1]
Figure 112018122786144-pat00001
[표 1]은 동일 기통 인젝터간 물리적 간섭 발생시 인젝터의 상태에 따라 각 인젝터의 진단 결과를 나타낸다.
제1 인젝터의 출력상태가 오프 상태이고 제2 인젝터의 출력상태가 온 상태이면 제1 인젝터는 그라운드 단락이 검출되고 제1 인젝터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이때, [표 1]과 같이 진단 펄스로 제1 인젝터이 오프 상태이고 제2 인젝터의 출력 상태가 온 상태를 유지하면, 제1 인젝터의 에러의 종류는 그라운드 단락 에러로 결정된다.
이와 다르게, 진단 펄스로 제1 인젝터이 오프 상태이고 제2 인젝터의 출력 상태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면 제1 인젝터의 에러 종류는 정상으로 결정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인젝터의 진단 펄스 결과는 제2 인젝터의 출력 상태에 따라 에러 진단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에서 인젝터 사이의 간섭이 발생한 경우 처음 에러가 발생한 인젝터의 진단 결과는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의 출력 상태에 따라 에러 진단이 되지 않거나 그라운드 단락 에러로 결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 발생 시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 및 다른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조합하여 복수의 인젝터 사이의 간섭을 진단할 수 있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진단 결과가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복수의 인젝터 사이의 간섭 진단이 가능하여 에러 발생 시 정확한 원인을 규명할 수 있도록 하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에서 실행되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은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1 에러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결정하거나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결정하거나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었으면, 상기 제1 에러 및 상기 제2 에러의 종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에러 및 상기 제2 에러의 종류가 동일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결정하거나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1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결정하거나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1 에러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에러 검출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는 진단 펄스 실행부,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에러 검출부 및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결정하거나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에러 검출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러 검출 제어부는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었으면, 상기 제1 에러 및 상기 제2 에러의 종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에러 및 상기 제2 에러의 종류가 동일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확정한다.
또한, 상기 에러 검출 제어부는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1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진단 펄스 실행부에 제공하고, 상기 진단 펄스 실행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고, 상기 에러 검출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
또한, 상기 에러 검출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
또한, 상기 에러 검출 제어부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 발생 시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 및 다른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조합하여 복수의 인젝터 사이의 간섭을 진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진단 결과가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의 진단 결과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복수의 인젝터 사이의 간섭 진단이 가능하여 에러 발생 시 정확한 원인을 규명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인젝터 에러 검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인젝터 진단 펄스의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간 간섭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복수의 인젝터”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에서 동일 기종의 인젝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제1 에러”는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최초에 발생된 에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중 “제2 에러”는 복수의 인젝터 중 최초에 에러가 발생된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 결과 발생된 에러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종래의 인젝터 에러 검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는 인젝터 진단 펄스의 파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인젝터 에러 검출 장치는 인젝터에서 제1 에러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
즉, 인젝터 에러 검출 장치는 인젝터에서 배터리 단락 에러(SCB: Short Circuit to Battery), 단선 에러(OL: Open Load) 및 그라운드 단락 에러(SCG: Short Circuit to Ground) 중 어느 하나의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젝터 에러 검출 장치는 단계 S10에서 에러가 검출되었으면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단계 S12).
즉, 인젝터 에러 검출 장치는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며 도 2와 같은 파형을 출력한다.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로 유지할 때 배터리 단락 에러를 검출할 수 있고,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할 때 단선 에러 또는 그라운드 단락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인젝터 에러 검출 장치가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에 따라 인젝터에 대한 제2 에러를 검출하면(단계 S13), 제1 에러 및 제2 에러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만일, 인젝터 에러 검출 장치는 제1 에러 및 제2 에러가 동일하면 해당 에러로 결정하고(단계 S150), 제1 에러 및 제2 에러가 동일하지 않으면 단계 S10으로 되돌아가 인젝터에서 에러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MPI 엔진에서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면,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는 배터리 단락 에러를 검출하고,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는 단선 에러 및 그라운드 단락 에러를 검출할 수 있다.
하지만,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은 동일 기통 내부와 연통하는 2개의 흡기 포트가 구비되고, 2개의 흡기 포트를 각각 개폐하는 2개의 흡기 밸브의 후방에 2개의 인젝터가 각각 구비하기 때문에, 2개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에러가 발생 시 해당 인젝터의 진단 펄스를 실행해야 한다.
만일 인젝터 간섭 상황에서, 제1 인젝터가 오프 상태실행될 때, 제2 인젝터가 온 상태를 유지하면, 제1 인젝터의 에러의 종류는 그라운드 단락 에러로 판단된다.
제1 인젝터의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로 결정하려고 제1 인젝터의 진단 펄스가 실행되는 순간 제2 인젝터가 온 상태를 유지하면 제1 인젝터에서는 에러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 인젝터의 진단 결과는 제2 인젝터의 출력 상태에 따라 에러 진단이 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제1 인젝터의 진단 펄스가 실행되는 순간 제2 인젝터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면 제1 인젝터의 에러는 그라운드 단락 에러로 결정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에서 복수의 인젝터 사이의 간섭이 발생한 경우 처음 에러가 발생한 인젝터의 진단 결과는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의 출력 상태에 따라 에러 진단이 되지 않거나 그라운드 단락 에러로 결정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1 에러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0).
즉,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복수의 인젝터 중 제1 인젝터 또는 제2 인젝터에서 배터리 단락 에러(SCB: Short Circuit to Battery), 단선 에러(OL: Open Load) 및 그라운드 단락 에러(SCG: Short Circuit to Ground) 중 어느 하나의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배터리 단락 에러(SCB: Short Circuit to Battery), 단선 에러(OL: Open Load) 및 그라운드 단락 에러(SCG: Short Circuit to Ground) 중 어느 하나의 에러가 발생되면,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단계 S320).
예를 들어,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복수의 인젝터 중 제1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제1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고, 제2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제2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이때,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에러가 발생되지 않은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에러가 발생된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복수의 인젝터 중 제1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제2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1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며 제1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다른 예를 들어,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복수의 인젝터 중 제2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제1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2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며 제2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그 후,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30).
즉,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배터리 단락 에러, 단선 에러 및 그라운드 단락 에러 중 어느 하나의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단계 S330에서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제2 에러가 발생되었으면, 제1 에러 및 제2 에러의 종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40).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제1 에러 및 제2 에러의 종류가 동일하면, 해당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단계 S340).
예를 들어,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제1 에러 및 제2 에러의 종류가 배터리 단락 에러로 동일하면,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배터리 단락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제1 에러 및 제2 에러의 종류가 단선 에러로 동일하면,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단선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제1 에러 및 제2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로 동일하면,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
한편,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단계 S330에서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제2 에러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단계 S310에서 발생된 제1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50).
만일,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단계 S310에서 발생된 제1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아니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하여 종료하고, 단계 S310에서 발생된 제1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이면,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단계 S360).
이때,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며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복수의 인젝터 중 제1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제1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2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며 제2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다른 예를 들어,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복수의 인젝터 중 제2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제2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제1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며 제1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만일,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단계 S360에서 에러가 발생된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되었으면, 인젝터 간섭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단계 S380).
한편,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단계 S360에서 에러가 발생된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진단 결과가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100)는 제1 에러 검출부(110), 진단 펄스 실행부(120), 제2 에러 검출부(130) 및 에러 검출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제1 에러 검출부(110)는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1 에러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에러 검출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에러 검출부(110)는 복수의 인젝터 중 제1 인젝터 또는 제2 인젝터에서 배터리 단락 에러, 단선 에러 및 그라운드 단락 에러 중 어느 하나의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진단 펄스 실행부(120)는 에러 검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 또는 다른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그런 다음, 진단 펄스 실행부(120)는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를 제1 에러 검출부(11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진단 펄스 실행부(120)는 에러 검출 제어부(14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 실행을 지시하면,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진단 펄스 실행부(120)는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다른 일 실시예에서, 진단 펄스 실행부(120)는 에러 검출 제어부(140)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복수의 인젝터 중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 실행을 지시하면,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진단 펄스 실행부(120)는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제2 에러 검출부(130)는 진단 펄스 실행부(120)에 의한 진단 펄스 실행 결과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를 에러 검출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에러 검출부(130)는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 실행 결과 배터리 단락 에러, 단선 에러 및 그라운드 단락 에러 중 어느 하나의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상기의 실시예에서, 제2 에러 검출부(130)는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 실행 결과 배터리 단락 에러, 단선 에러 및 그라운드 단락 에러 중 어느 하나의 에러가 발생되면 에러 검출 결과를 에러 검출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에러 검출 제어부(140)는 제1 에러 검출부(110) 및 제2 에러 검출부(130) 각각으로부터 에러 검출 결과에 따라 에러의 종류를 결정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
먼저, 에러 검출 제어부(140)가 제1 에러 검출부(110) 및 제2 에러 검출부(130) 각각으로부터 수신된 에러 검출 결과가 에러 검출인 경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에러 검출 제어부(140)는 제1 에러 검출부(110) 및 제2 에러 검출부(130) 각각으로부터 에러 검출 결과를 수신하면, 에러 검출 결과에 따라 에러의 종류를 결정한다.
즉, 에러 검출 제어부(140)는 제1 에러 검출부(110)로부터 수신된 제1 에러의 종류 및 제2 에러 검출부(130)로부터 수신된 제2 에러의 종류가 동일하면,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확정한다.
예를 들어, 에러 검출 제어부(140)는 제1 에러 및 제2 에러의 종류가 배터리 단락 에러로 동일하면,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배터리 단락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
다른 예를 들어, 에러 검출 제어부(140)는 제1 에러 및 제2 에러의 종류가 단선 에러로 동일하면,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단선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에러 검출 제어부(140)는 제1 에러 및 제2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로 동일하면,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였다고 결정한다.
이하에서는, 에러 검출 제어부(140)가 제1 에러 검출부(110)로부터 수신된 에러 검출 결과가 에러 검출이지만, 제2 에러 검출부(130)로부터 수신된 에러 검출 결과가 에러 미검출인 경우의 동작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에러 검출 제어부(140)는 제1 에러 검출부(110)로부터 수신된 에러 검출 결과 검출된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에러 검출 제어부(140)는 제1 에러 검출부(110)로부터 수신된 에러 검출 결과 검출된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아니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한다.
한편, 에러 검출 제어부(140)는 제1 에러 검출부(110)로부터 수신된 에러 검출 결과 검출된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이면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의 실행을 요청하는 신호를 진단 펄스 실행부(120)에 제공한다.
그 후, 에러 검출 제어부(140)는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되었으면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고,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진단 결과가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에 간섭을 받지 않도록 하여 정확한 진단을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젝터간 간섭 검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인젝터 에러 검출 장치는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1 에러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한다.
인젝터 에러 검출 장치는 복수의 인젝터 중 제1 인젝터 또는 제2 인젝터에서 배터리 단락 에러(SCB: Short Circuit to Battery), 단선 에러(OL: Open Load) 및 그라운드 단락 에러(SCG: Short Circuit to Ground) 중 어느 하나의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인젝터 에러 검출 장치는 제1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 시 제1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이때, 인젝터 에러 검출 장치는 도 5(b)와 같이 제2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도 5(a)와 같이 제1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며 제1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한다.
그 후,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는 도 5(b)와 같이 제2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도 5(a)와 같이 제1 인젝터의 상태를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경하며 제1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였기 때문에 제1 인젝터의 상태가 오프 상태일 때 제1 인젝터의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라고 판단할 수 있다.
종래에는 복수의 인젝터 중 제1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제1 인젝터 및 제2 인젝터 각각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기 때문에 제1 인젝터의 진단 결과는 제2 인젝터의 진단 펄스에 따라 에러 진단이 되지 않거나 그라운드 단락 에러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제1 인젝터에서 에러 발생 시 제1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가 실행되는 동안에 제2 인젝터의 상태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제1 인젝터의 진단 결과가 제2 인젝터의 진단 펄스에 따라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
110: 제1 에러 검출부
120: 진단 펄스 실행부
130: 제2 에러 검출부
140: 에러 검출 제어부

Claims (10)

  1.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1 에러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는 단계;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결정하거나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결정하거나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1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인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결정하거나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었으면, 상기 제1 에러 및 상기 제2 에러의 종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에러 및 상기 제2 에러의 종류가 동일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결정하거나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6. 복수의 인젝터 중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1 에러가 검출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1 에러 검출부;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는 진단 펄스 실행부;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제2 에러 검출부; 및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결정하거나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는 에러 검출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에러 검출 제어부는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지 않았으면 상기 제1 에러의 종류가 그라운드 단락 에러인지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진단 펄스 실행부에 제공하고,
    상기 진단 펄스 실행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상태를 오프 상태로 유지한 상태에서 상기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고,
    상기 에러 검출 제어부는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 제어부는
    상기 진단 펄스의 실행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제2 에러가 발생되었으면, 상기 제1 에러 및 상기 제2 에러의 종류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1 에러 및 상기 제2 에러의 종류가 동일하면,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의 에러로 확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 제어부는
    상기 나머지 하나의 인젝터에 대한 진단 펄스를 실행하는 동안에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거나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에러 검출 제어부는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였으면 인젝터 간섭 에러로 결정하거, 상기 확인 결과 상기 어느 하나의 인젝터에서 그라운드 단락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으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젝터간 간섭 검출 장치.
KR1020180156826A 2018-12-07 2018-12-07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KR102075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826A KR102075041B1 (ko) 2018-12-07 2018-12-07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6826A KR102075041B1 (ko) 2018-12-07 2018-12-07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5041B1 true KR102075041B1 (ko) 2020-02-07

Family

ID=6957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6826A KR102075041B1 (ko) 2018-12-07 2018-12-07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50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767A (ja) * 1995-11-30 1997-06-10 Denso Corp 電磁弁駆動装置
JP2012013093A (ja) * 2007-06-22 2012-01-19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arl 噴射装置における障害の検出
JP5594266B2 (ja) * 2011-09-07 2014-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ジェクタ駆動装置
KR20180017832A (ko) * 2016-08-11 2018-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듀얼 포트 인젝터 제어방법
KR20180067041A (ko) * 2016-12-12 2018-06-2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비교기를 포함하는 인젝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젝터 단락 진단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767A (ja) * 1995-11-30 1997-06-10 Denso Corp 電磁弁駆動装置
JP2012013093A (ja) * 2007-06-22 2012-01-19 Delphi Technologies Holding Sarl 噴射装置における障害の検出
JP5594266B2 (ja) * 2011-09-07 2014-09-24 株式会社デンソー インジェクタ駆動装置
KR20180017832A (ko) * 2016-08-11 2018-0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엔진의 듀얼 포트 인젝터 제어방법
KR20180067041A (ko) * 2016-12-12 2018-06-20 현대오트론 주식회사 비교기를 포함하는 인젝터 제어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인젝터 단락 진단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7089622A (ja) 内燃機関の燃焼室内への水噴射を診断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7444993B2 (en) Method for monitoring the operability of a fuel injection system
US9394845B2 (en) Fuel rail pressure sensor diagnostic techniques
KR101065518B1 (ko) 엔진의 이상 연소 시 운전 방법 및 운전 제어 장치
US7836870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of a motor vehicle
US20100147058A1 (en) Fuel injector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for direct injection engine
US8897996B2 (en) Method for diagnosing a clogging of an injector in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567867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 crankcase ventil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364385B2 (en) Cylinder pressure sensor reset systems and methods
US11434844B2 (en) Method for checking a variable valve lift control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10704485B2 (en) Fault detection and isolation fuel system lean monitor rationalized with manifold absolute pressure sensor
KR102075041B1 (ko) 듀얼 포트 인젝터 엔진의 인젝터간 간섭 검출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장치
JP2017210944A (ja) 診断装置
US7721707B2 (en) Abnormality determination apparatus and abnormality determination method for valve
JP2014084754A (ja) レール圧センサ出力特性診断方法及びコモンレール式燃料噴射制御装置
US10400731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agnosing a fuel delivery system
US9284908B2 (en) Method for performing a number of injections
JP2011247205A (ja) 内燃機関の燃料供給装置
US9631566B1 (en) Pre-chamber fuel admission valve diagnostics
KR102012337B1 (ko) 내연 기관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KR101469669B1 (ko) 복합 분사 엔진의 오감지 방지 장치 및 방법
US20070083321A1 (en) Device and method for diagnosing a technical apparatus
US6947832B2 (en) Error integrator for closed-loop fault detection in an engine control system
JP2020165378A5 (ko)
KR102202720B1 (ko) 물분사 인젝터 고장진단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