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772B1 -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772B1
KR102074772B1 KR1020190116577A KR20190116577A KR102074772B1 KR 102074772 B1 KR102074772 B1 KR 102074772B1 KR 1020190116577 A KR1020190116577 A KR 1020190116577A KR 20190116577 A KR20190116577 A KR 20190116577A KR 102074772 B1 KR102074772 B1 KR 1020747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plate
frame
groov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외형
Original Assignee
(주)엠디산업
유외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디산업, 유외형 filed Critical (주)엠디산업
Priority to KR102019011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7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7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7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7/00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7/14Processes, other than flocking,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particular surfaces or for applying particula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metal, e.g. car bo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3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 B05C1/04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 B05C1/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 B05C1/0817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work by contact with a member carr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e.g. a porous member loaded with a liquid to be applied as a coating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work of indefinite length using a roller or other rotating member which contacts the work along a generating line characterised by means for removing partially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from the roller,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00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 B21D1/02Straightening, restoring form or removing local distortions of sheet metal or specific articles made therefrom; Stretching sheet metal combined with rolling by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HMAKING PARTICULAR METAL OBJECTS BY ROLLING, e.g. SCREWS, WHEELS, RINGS, BARRELS, BALLS
    • B21H8/00Rolling metal of indefinite length in repetitive shap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manufacture of particular objects, e.g. checkered sheets
    • B21H8/005Embossing sheets or ro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립식 건축물의 내외벽에 사용되는 내외벽판넬 또는 지붕으로 사용되는 지붕판넬 등의 조립식 판넬의 판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용 롤을 권취하여 두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로부터 공급되는 판재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설치된 상부 엠보싱롤러와 하부 엠보싱롤러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무늬를 형성시키는 엠보싱부; 상기 엠보싱부를 통과한 판재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설치된 상부 가압롤러와 하부 가압롤러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무늬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판재의 일측 또는 양측 테두리를 평탄화시키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를 통과한 판재의 상부 또는 하부로 압축 공기를 분사하여 판재에 묻어 있는 이물질을 제저하는 이물질 제거부; 이물질이 제거된 판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브러쉬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액을 도포시키는 도포부; 도포액이 묻어 있는 판재를 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건조가 완료된 판재를 전달받아 조립식판넬 조립을 위한 형태로 판재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곡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PREFABRICATED PANEL BOARD MANUFACTURING DEVICE}
본 발명은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립식 건축물의 내외벽에 사용되는 내외벽판넬 또는 지붕으로 사용되는 지붕판넬 등의 조립식 판넬의 판재를 연속적으로 제조할 수 있도록 구현한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건축물의 내외벽마감판재 또는 지붕마감판재로 사용되는 건축용 조립식판넬(일명 "샌드위치 판넬"이라고도 함)은 내부에 단열심재를 마련하고 내부의 단열심재의 양면으로 판재의 전판과 후판을 압착시키고 판재의 전판과 후판의 상,하부에는 상절곡부와 하절곡부를 형성하도록 하여 판재의 전판과 후판을 결속하게 함과 동시에 단열심재를 내부에 마련하도록 하는 조립식판넬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건축용 조립식판넬은 견고성, 우수한 난연성 및 단열효과, 방수, 방음효과, 아름다운 외관과 공사기간 단축이 가능한 것과 같은 장점이 있어 일반 건축물이나 창고, 공장 등의 건축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건축용 조립식판넬은 그 내부 단열재가 스티로폼이나 그라스울 등이 사용되며 양측으로 판재의 전판과 후판은 금속판으로 형성하되 이때, 판재의 전판과 후판을 밴딩기에서 길이방향으로 절곡시키게 하거나, 또는 금속판의 표면에 미려함을 표현하기 위해 칼라인쇄를 한 후 포밍기에서 판재의 전판과 후판의 상,하부에 상절곡부와 하절곡부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최근에는 건축용 조립식판넬의 다양한 색상과 패턴 및 미려한 미관이 중요시 되는 현대건축에 발맞추어 칼라 인쇄강판까지 출시되고 있으나 칼라인쇄강판을 채용한 건축용 조립식 판넬은 소비자가 요구하는 개성적 디자인패턴에 호응하는 제품으로서 건물주에게는 재산가치를 보장하고 시공자의 공사도급시 제값을 보장해주는 등의 부가가치가 창출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판넬의 내부에 단열심재를 마련하고 양면으로 판재의 전판과 후판의 표면에 다양한 색상과 패턴을 마련하도록 칼라인쇄를 하더라도 칼라인쇄로 인한 외관을 미련하게 표현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그 표 현이 자유롭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판재에 색상을 도포하는 과정에서 판재가 이동하면서 흔들리는 등의 움직임으로 인해 판재에 도료가 균일하게 도포되지 못하여 조립식판넬의 상품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1054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900288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판재용 롤을 공급하여 하나의 판재의 길이로 커팅한 판재를 컨베이어를 통해 이동시키면서 내부에 조립식판넬의 노출면 형상의 엠보싱돌기와 엠보싱홈을 중앙에 형성하고 상,하부의 주름진 것을 평판하게 하는 평면부를 마련하고 판재의 상부로 돌출된 엠보싱돌기에 도포롤러의 브러쉬에 의해 원하는 색상의 도포액을 도포시켜 건조기 내부로 이동시켜 가열로와 환풍구에서 도포액을 건조시킨 후 조립을 위한 형태로 판재를 절곡시킬 수 있도록 구현한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는,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용 롤을 권취하여 두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로부터 공급되는 판재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설치된 상부 엠보싱롤러와 하부 엠보싱롤러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무늬를 형성시키는 엠보싱부; 상기 엠보싱부를 통과한 판재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설치된 상부 가압롤러와 하부 가압롤러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무늬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판재의 일측 또는 양측 테두리를 평탄화시키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를 통과한 판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브러쉬 롤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 이물질이 제거된 판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브러쉬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액을 도포시키는 도포부; 도포액이 묻어 있는 판재를 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건조가 완료된 판재를 전달받아 조립식판넬 조립을 위한 형태로 판재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곡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포부는, 상부면을 따라 판재를 이송시키는 이송 선반; 상기 이송 선반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롤러형 브러쉬에 묻어 있는 도포액을 이송 선반을 따라 이송 중인 판재의 상부면에 도포시키는 브러쉬 롤러; 상기 이송 선반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지지 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 및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도포 공정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받침대; 상기 상부 받침대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받침대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쇄시키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지지 기둥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받침대와 대칭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하부 받침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받침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4 개의 지지 플레이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지지 플레이트의 모서리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모서리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4 개의 지지바아;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지지바아가 설치되는 모서리의 반대편 모서리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4 개의 탄성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바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지지바아가 설치되는 모서리의 반대편 모서리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바아; 하부가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바아의 하부가 설치되는 위치보다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바아; 상기 제1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제2 바아의 상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바아의 하측과 상기 제2 바아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바아의 하측과 상기 제2 바아의 상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부에 형성되는 "+" 형태의 체결홈의 각각의 개별홈에 상기 4 개의 지지바아 각각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하부에 상기 하부 받침대가 연결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기둥 본체; 및 상기 기둥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안착 프레임과 바닥면과의 이격 공간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이 주저 앉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하측이 삽입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프레임;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탄성 지지프레임만으로 상기 안착 프레임과 바닥면과의 이격 공간을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 직립하여 상기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 지지프레임은,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 상기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안착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에 상기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에 의하여 지지되는 삽입 돌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보조 지지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입구 양측 벽면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 체결홈;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의 양측 벽면 하부로부터 상기 수용홈의 입구 양측 벽면의 상부로 경사지도록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경사 체결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보조 지지프레임은, 상기 수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하부 체결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하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 체결돌기; 및 상기 경사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경사 체결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하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 유도부는, 상기 지지 본체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양측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상기 슬라이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도홈에 체결되는 분리 방지 돌기; 상기 경사 체결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 유도홈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가 체결된 상기 슬라이딩 유도홈의 상측 공간 및 하측 공간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 체결홈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체결되어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입구에 위치하는 말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종래의 조립식판넬의 전판과 후판에 칼라인쇄로 인한 무늬 등의 패턴을 표현하더라도 평면 상태이므로 입체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여려 형태로 형성되는 엠보싱돌기와 엠보싱홈을 형성하도록 엠보싱한 후 도색한 후 건조시켜 조립식판넬에 입체감으로 표현하도록 하여 건물주에게 재산가치를 보장하는 이점과 시공자의 공사도급시 제값을 보장해주는 등의 부가가치가 창출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색 시 판재의 흔들림 없는 이동을 보장하여 판재의 도장면이 균일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식판넬의 외장 색상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도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상부 받침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베이스 프레임과 탄성 지지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회동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따라 제조된 조립식판넬 판재의 일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10)는, 권취부(100), 엠보싱부(200), 평탄부(500), 이물질 제거부(600), 도포부(700), 건조부(800) 및 절곡부(900)를 포함한다.
권취부(100)는,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1)가 감겨있는 판재용 롤을 권취하여 두며, 판재용 롤을 권출시키면서 절단 장치(110)를 이용하여 필요한 길이로 절단시켜 엠보싱부(200)로 전달한다.
엠보싱부(200)는, 권취부(100)로부터 공급되는 판재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설치된 상부 엠보싱롤러(210)와 하부 엠보싱롤러(220)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무늬(11)(도 12 참조)를 형성시킨 뒤 평탄부(5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엠보싱롤러(210)와 하부 엠보싱롤러(220)는, 판재에 조립식판넬의 외부면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형성하기 위한 형태의 음각 또는 양각이 서로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사이의 공간으로 이동되는 판재(1)를 상하 방향에서 압착하여 향상을 압착 가공하게 된다.
평탄부(500)는, 엠보싱부(200)를 통과한 판재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설치된 상부 가압롤러(510)와 하부 가압롤러(520)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무늬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판재의 일측 또는 양측 테두리(12)(도 12 참조)를 평탄화시킨다.
이때, 상부 가압롤러(510)와 하부 가압롤러(520)는, 무늬가 형성된 판재(1)의 내측과 대향하는 부분(511)의 지름보다 양측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무늬가 형성된 판재(1) 내측 부분은 그대로 통과되나, 판재(1)의 양측은 압착되어 평탄하게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물질 제거부(600)는, 판재(1)의 상부 또는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회전하는 브러쉬 롤러(610)를 이용하여 쓸어서 제거한다.
이때, 브러쉬 롤러(610)는, 이물질을 쓸어서 제거하기 위한 솔(620)이 측면을 따라 형성하여, 회전하면서 판재(1)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포부(700)는, 이물질이 제거된 판재(1)의 상면 또는 하면에 브러쉬 롤러(720)를 이용하여 도포액을 도포시킨다.
건조부(800)는, 도포액이 묻어 있는 판재(1)를 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킨 뒤 절곡부(900)로 전달한다.
일 실시예에서, 건조부(800)는, 다수 개의 가열로(810)를 마련하도록 함과 동시에 판재(1)를 수용하도록 하며 중앙에 환풍구(830)를 마련하여 건조기(820)의 내부온도를 순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건조부(800)는, 히팅온도 및 내부분위기 온도는 가공성이 양호하고 물성변화가 없는 130 ~ 150
Figure 112019096789216-pat00001
가 바람직하며 히팅온도가 130
Figure 112019096789216-pat00002
미만이면 열변형성이 떨어져 성형이 잘되지 않고 150
Figure 112019096789216-pat00003
를 초과하게 되면 물성특성이 변화되어버릴 수 있는 것이다.
절곡부(900)는, 건조가 완료된 판재를 전달받아 조립식판넬 조립을 위한 형태로 판재의 일측 또는 양측(13)(도 12 참조)을 절곡시킨다.
상술한 바아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10)는, 종래의 조립식판넬의 전판과 후판에 칼라인쇄로 인한 무늬 등의 패턴을 표현하더라도 평면 상태이므로 입체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여려 형태로 형성되는 엠보싱돌기와 엠보싱홈을 형성하도록 엠보싱한 후 도색한 후 건조시켜 조립식판넬에 입체감으로 표현하도록 하여 건물주에게 재산가치를 보장하는 이점과 시공자의 공사도급시 제값을 보장해주는 등의 부가가치가 창출하게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도포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포부(700)는, 이송 선반(710), 브러쉬 롤러(720), 지지 프레임(730), 안착 프레임(740) 및 탄성 지지대(300)를 포함한다.
이송 선반(710)은, 이송롤러 또는 컨베이어 시스템 등의 이송 수단으로 형성되며, 이물질 제거부(600)로부터 판재(1)를 전달받아 이송되도록 하며, 지지 프레임(730)에 의하여 지지되며, 상측에 브러쉬 롤러(720)가 이격되어 설치된다.
브러쉬 롤러(720)는, 이송 선반(71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롤러형 브러쉬(721)에 묻어 있는 도포액을 이송 선반(710)을 따라 이송 중인 판재의 상부면에 문질러서 도포시킨다.
지지 프레임(730)은, 이송 선반(710)의 하측에 설치되어 이송 선반(710)을 지지하며, 안착 프레임(740)의 상측에 안착된다.
안착 프레임(74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에 지지 프레임(730)이 안착되며, 하측에 설치된 탄성 지지대(300)로 이송 선반(710)의 구동에 따른 진동이나 충격을 전달하거나, 브러쉬 롤러(720)의 지나친 밀착으로 인한 필요 이상의 압력을 탄성 지지대(300)로 전달한다.
탄성 지지대(300)는, 안착 프레임(740)의 하측에 설치되어 도포 공정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도포부(700)는, 도색 시 판재의 흔들림 없는 이동을 보장하여 판재의 도장면이 균일하도록 함으로써, 조립식판넬의 외장 색상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탄성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대(300)는, 상부 받침대(310), 지지 기둥(320) 및 하부 받침대(330)를 포함한다.
상부 받침대(310)는, 지지 기둥(320)의 상측에 연결 설치되며, 안착 프레임(740)의 하측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받침대(310)는, 안착 프레임(740)의 하측을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안착 프레임(740)를 지지하는 각각의 지지 플레이트(311)(도 4 참조)가 개별적으로 회동하거나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함으로써, 안착 프레임(740)이 일측으로 기울어지는 경우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하고, 안착 프레임(74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으로 효과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다.
지지 기둥(320)은, 상부 받침대(310)가 상부에 연결 설치되고 하부 받침대(330)가 하부에 연결 설치되며, 상부 받침대(310)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쇄시킨다.
하부 받침대(330)는, 지지 기둥(320)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부 받침대(310)와 대칭구조를 형성하여 지지 기둥(320)을 지지한다.
도 4는 도 3의 상부 받침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부 받침대(310)는, 4 개의 지지 플레이트(311), 4 개의 지지바아(312) 및 4 개의 탄성 바아(313)를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 프레임(740)의 하측을 지지하며, 하측이 지지바아(312) 및 탄성 바아(313)에 의하여 지지된다.
지지바아(312)는,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지지 플레이트(311)의 모서리와 대향하는 지지 플레이트(311)의 모서리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 기둥(32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탄성 바아(313)는, 지지 플레이트(311)에서 지지바아(312)가 설치되는 모서리의 반대편 모서리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지지 기둥(320)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지지 플레이트(311)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 바아(313)는, 제1 바아(3131), 제2 바아(3132), 케이스(3133) 및 탄성체(31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아(3131)는, 지지 플레이트(311)에서 지지바아(312)가 설치되는 모서리의 반대편 모서리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제2 바아(3132)는, 하부가 지지 기둥(320)의 상부에서 지지바아(312)의 하부가 설치되는 위치보다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케이스(3133)는, 제1 바아(3131)의 하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제2 바아(3132)의 상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탄성체(3134)는, 케이스(3133)의 내부 공간에서 제1 바아(3131)의 하측과 제2 바아(3132)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제1 바아(3131)의 하측과 제2 바아(3132)의 상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부 받침대(310)는, 지지 기둥(320)의 상부, 즉 상부 지지대(321)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지지바아(312)와 탄성 바아(313)에 의하여 지지되는 지지 플레이트(311)를 이용하여 안착 프레임(740)이 어느 방향으로 기울어지더라도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 바아(313)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안착 프레임(74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 등을 효율적으로 감쇄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도 3의 지지 기둥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참조하면, 지지 기둥(320)은, 상부 지지대(321), 하부 지지대(322), 기둥 본체(323) 및 탄성체(324)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321)는, 상부에 형성되는 "+" 형태의 체결홈(325)의 각각의 개별홈(325a, 325b, 325c, 325d)(도 6 참조)에 4 개의 지지바아(312) 각각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하부 지지대(322)의 상부에 연결 설치된다.
하부 지지대(322)는, 상부 지지대(321)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하부에 하부 받침대(330)가 연결 설치되며, 기둥 본체(323)의 하부에 연결 설치된다.
즉, 하부 지지대(322)는, 상부 지지대(321)의 체결홈(325) 등과 같은 구성을 상하 대칭 구조로서 구비하나, 설명을 중복을 피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기둥 본체(323)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지지대(321)의 하부가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32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하부 지지대(322)의 상부가 내부 공간(326)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된다.
탄성체(324)는, 기둥 본체(323)의 내부 공간(326)에서 상부 지지대(321)와 하부 지지대(322)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대(321)의 하측과 하부 지지대(322)의 상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 기둥(320)은, 상부 받침대(310)와 하부 받침대(330) 사이에 설치되어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부 받침대(310) 또는 하부 받침대(33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상술한 탄성 바아(313)에 의하여 1차 진동 또는 충격 흡수에 의하여도 흡수되지 아니하고 잔류하는 진동이나 충격을 마져 감쇄시킴으로써 장치 전체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기 도포부(700)는, 안착 프레임(740)과 바닥면과의 이격 공간을 따라 설치되어 안착 프레임(740)이 주저 앉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임 지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 지지부(400)는, 안착 프레임(740)과 바닥면과의 이격 공간을 따라 설치되어 안착 프레임(740)이 주저 앉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프레임 지지부(40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단계로 높이가 조절되는 바 바닥면과 안착 프레임(740)의 간격에 대응하여 높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10)은, 탄성 지지대(300)에 의하여 바닥면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된 안착 프레임(740)이 해당 이격 공간으로 인해 주저 앉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당 공간에 프레임 지지부(400)를 삽입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 지지부(400)는, 베이스 프레임(410), 탄성 지지프레임(420) 및 보조 지지프레임(43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410)은,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고, 상측에 탄성 지지프레임(420)이 연결 설치된다.
탄성 지지프레임(420)은, 베이스 프레임(4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안착홈(411)에 하측이 삽입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740)를 지지하며, 상측에 보조 지지프레임(430)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보조 지지프레임(430)은,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 지지프레임(42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탄성 지지프레임(420)만으로 안착 프레임(740)과 바닥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 직립하여 안착 프레임(740)를 지지한다.
즉, 프레임 지지부(400)는, 베이스 프레임(410)과 탄성 지지프레임(420)의 높이만으로 안착 프레임(740)와 바닥면 사이의 이격 공간을 메울 수 없는 경우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보조 지지프레임(430)을 탄성 지지프레임(420)으로부터 회동 승강시켜 부족한 높이를 보충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베이스 프레임과 탄성 지지프레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탄성 지지프레임(420)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421), 지지판(422), 프레임 본체(423), 삽입 돌기(424), 수용홈(425), 하부 체결홈(426) 및 경사 체결홈(427)을 포함한다.
탄성체(421)는, 삽입 돌기(424)의 형태에 대응하여 베이스 프레임(4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안착홈(411)에 설치되어 지지판(422)을 지지한다.
지지판(422)은, 안착홈(411)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며, 안착홈(411)에 삽입되어 탄성체(421)에 의해 지지되며, 상측에 삽입 돌기(424)가 안착된다.
프레임 본체(423)는, 하측에 형성되는 삽입 돌기(424)에 의해 지지판(422)의 상측에 안착되고, 상부에 수용홈(425)이 형성된다.
삽입 돌기(424)는, 프레임 본체(423)의 하측에 안착홈(411)의 형태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며, 안착홈(411)에 삽입되어 지지판(422)에 의하여 지지된다.
수용홈(425)은, 프레임 본체(423)의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보조 지지프레임(4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프레임 본체(423)의 상부에 형성되며, 내부 공간에 보조 지지프레임(430)이 수용된다.
하부 체결홈(426)은, 수용홈(425)의 입구 양측 벽면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후술하는 하부 체결돌기(432)를 체결한다.
경사 체결홈(427)은, 수용홈(425)의 내측의 양측 벽면 하부로부터 수용홈(425)의 입구 양측 벽면의 상부로 경사지도록 각각 연장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동 유도부(433)의 슬라이딩 돌기(4335)를 체결한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 체결홈(427)은, 슬라이딩 돌기(4335)가 체결되어 수용홈(425)의 내측으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수용홈(425)의 입구에 위치하는 말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4271)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보조 지지프레임(430)은, 지지 본체(431), 하부 체결돌기(432) 및 회동 유도부(433)를 포함한다.
지지 본체(431)는, 수용홈(425)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용홈(425)에 수납되며, 하부 체결돌기(432)를 회동축으로 하여 수용홈(425)으로부터 상측이 들어올려진다.
하부 체결돌기(432)는, 하부 체결홈(426)에 체결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431)의 하부 양측에 돌출 형성된다.
회동 유도부(433)는, 경사 체결홈(427)에 체결되어 경사 체결홈(42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431)의 하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된다.
즉, 하부 체결돌기(432)는 지지 본체(431)의 회동축에 해당되는 것이고, 회동 유도부(433)는 지지 본체(431)가 회동함에 따라 경사 체결홈(427)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을 하다가 경사 체결홈(427)의 절곡 부분(4271)에 체결되어 지지 본체(431)가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이다.
도 11은 도 10의 회동 유도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회동 유도부(433)는, 슬라이딩홈(4331), 슬라이딩 유도홈(4332), 이동부(4333), 분리 방지 돌기(4334), 슬라이딩 돌기(4335) 및 탄성 지지부(4336)를 포함한다.
슬라이딩홈(4331)은, 지지 본체(431)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어 이동부(433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며, 양측 벽면에 슬라이딩 유도홈(4332)이 형성된다.
슬라이딩 유도홈(4332)은, 슬라이딩홈(4331)의 양측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분리 방지 돌기(4334)가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여 이동부(4333)가 슬라이딩홈(433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부(4333)는, 슬라이딩홈(4331)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며, 양측에 분리 방지 돌기(4334)가 각각 형성된다.
분리 방지 돌기(4334)는, 이동부(4333)가 슬라이딩홈(4331)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동부(4333)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슬라이딩 유도홈(4332)에 체결된다.
슬라이딩 돌기(4335)는, 경사 체결홈(42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부(4333)의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탄성 지지부(4336)는, 슬라이딩 유도홈(4332)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이동부(4333)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동부(4333)가 체결된 슬라이딩 유도홈(4332)의 상측 공간 및 하측 공간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회동 유도부(433)는, 슬라이딩 돌기(4335)가 경사 체결홈(427)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 돌기(4335)가 설치된 이동부(4333)가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지지 본체(431)의 회동에 따라 탄성적으로 슬라이딩 돌기(4335)가 이동하게 될 수 있고, 절곡 부분(4271)에 자동으로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100: 권취부
200: 엠보싱부
300: 탄성 지지대
400: 프레임 지지부
500: 평탄부
600: 이물질 제거부
700: 도포부
800: 건조부
900: 절곡부

Claims (12)

  1. 판넬을 제조하기 위한 판재용 롤을 권취하여 두는 권취부;
    상기 권취부로부터 공급되는 판재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설치된 상부 엠보싱롤러와 하부 엠보싱롤러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무늬를 형성시키는 엠보싱부;
    상기 엠보싱부를 통과한 판재를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며 설치된 상부 가압롤러와 하부 가압롤러의 사이로 통과시키면서 무늬가 형성되지 아니하는 판재의 일측 또는 양측 테두리를 평탄화시키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를 통과한 판재의 상부 또는 하부에 부착되어 있는 이물질을 브러쉬 롤러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이물질 제거부;
    이물질이 제거된 판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브러쉬 롤러를 이용하여 도포액을 도포시키는 도포부;
    도포액이 묻어 있는 판재를 이송시키면서 건조시키는 건조부; 및
    건조가 완료된 판재를 전달받아 조립식판넬 조립을 위한 형태로 판재의 일측 또는 양측을 절곡시키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상부면을 따라 판재를 이송시키는 이송 선반;
    상기 이송 선반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며, 롤러형 브러쉬에 묻어 있는 도포액을 이송 선반을 따라 이송 중인 판재의 상부면에 도포시키는 브러쉬 롤러;
    상기 이송 선반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 선반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평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측에 상기 지지 프레임이 안착되는 안착 프레임; 및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에 설치되어 도포 공정에 따라 발생되는 진동을 흡수하는 탄성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지지대는,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상부 받침대;
    상기 상부 받침대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받침대를 통해 전달되는 진동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감쇄시키는 지지 기둥; 및
    상기 지지 기둥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 받침대와 대칭구조를 형성하여 상기 지지 기둥을 지지하는 하부 받침대;를 포함하고,
    상기 도포부는,
    상기 안착 프레임과 바닥면과의 이격 공간을 따라 설치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이 주저 앉는 것을 방지하는 프레임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받침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 프레임의 하측을 지지하는 4 개의 지지 플레이트;
    대각선 방향에 위치하는 다른 지지 플레이트의 모서리와 대향하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모서리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4 개의 지지바아;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지지바아가 설치되는 모서리의 반대편 모서리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고, 하부가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모서리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하는 4 개의 탄성 바아;를 포함하는,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바아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서 상기 지지바아가 설치되는 모서리의 반대편 모서리의 하측에 상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바아;
    하부가 상기 지지 기둥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바아의 하부가 설치되는 위치보다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바아;
    상기 제1 바아의 하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제2 바아의 상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제1 바아의 하측과 상기 제2 바아의 상측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바아의 하측과 상기 제2 바아의 상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기둥은,
    상부에 형성되는 "+" 형태의 체결홈의 각각의 개별홈에 상기 4 개의 지지바아 각각의 하부가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와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하부에 상기 하부 받침대가 연결 설치되는 하부 지지대;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고,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부가 내부 공간에 삽입되어 슬라이딩 이동되는 기둥 본체; 및
    상기 기둥 본체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와 상기 하부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 지지대의 하측과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지지부는,
    사각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바닥면에 안착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상측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하측이 삽입 설치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탄성 지지프레임; 및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탄성 지지프레임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탄성 지지프레임만으로 상기 안착 프레임과 바닥면과의 이격 공간을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 직립하여 상기 안착 프레임을 지지하는 보조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프레임은,
    상기 안착홈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체;
    상기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측에 안착되는 프레임 본체;
    상기 프레임 본체의 하측에 상기 안착홈의 형태에 대응하여 돌출 형성되며, 상기 안착홈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판에 의하여 지지되는 삽입 돌기;
    상기 프레임 본체의 일측으로 개방되도록 상기 보조 지지프레임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프레임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수용홈;
    상기 수용홈의 입구 양측 벽면의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하부 체결홈; 및
    상기 수용홈의 내측의 양측 벽면 하부로부터 상기 수용홈의 입구 양측 벽면의 상부로 경사지도록 각각 연장 형성되는 경사 체결홈;을 포함하는,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지지프레임은,
    상기 수용홈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하부 체결홈에 체결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하부 양측에 돌출 형성되는 하부 체결돌기; 및
    상기 경사 체결홈에 체결되어 상기 경사 체결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하부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는 회동 유도부;를 포함하는,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 유도부는,
    상기 지지 본체의 일측면을 따라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딩홈;
    상기 슬라이딩홈의 양측 벽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딩 유도홈;
    상기 슬라이딩홈에 삽입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가 상기 슬라이딩홈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라이딩 유도홈에 체결되는 분리 방지 돌기;
    상기 경사 체결홈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의 전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슬라이딩 돌기; 및
    상기 슬라이딩 유도홈에서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이동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동부가 체결된 상기 슬라이딩 유도홈의 상측 공간 및 하측 공간에 설치되는 탄성 지지부;를 포함하는,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체결홈은,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체결되어 상기 수용홈의 내측으로 되돌아 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용홈의 입구에 위치하는 말단이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는,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KR1020190116577A 2019-09-23 2019-09-23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KR1020747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577A KR102074772B1 (ko) 2019-09-23 2019-09-23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577A KR102074772B1 (ko) 2019-09-23 2019-09-23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772B1 true KR102074772B1 (ko) 2020-03-02

Family

ID=6980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577A KR102074772B1 (ko) 2019-09-23 2019-09-23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772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6647A (zh) * 2020-03-28 2020-08-07 北京建工一建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钢板矫正设备
CN112275573A (zh) * 2020-10-10 2021-01-29 湖州拓高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的滚涂机的涂料回收循环利用装置
WO2022087882A1 (zh) * 2020-10-28 2022-05-05 苏州法比瑞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布料涂层装置
CN116900120A (zh) * 2023-09-06 2023-10-20 江苏中佰纳米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钣金柔性自动化制造设备
KR20230156873A (ko) 2022-05-08 2023-11-15 (주)엠디산업 듀얼 언코일러 연속 생산시스템 기반 조립식 시스템패널 및 그 제조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52Y1 (ko) * 2001-11-22 2002-02-19 민 수 박 진동발생장치
KR101014653B1 (ko) * 2010-06-17 2011-02-16 (주)모성 가구 또는 건축 인테리어용 패널 가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209619B1 (ko) * 2004-05-07 2012-12-0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101810549B1 (ko) 2017-09-22 2017-12-19 원병덕 작업성이 개선된 eps판넬 제조장치의 커팅장치
KR101900288B1 (ko) 2016-10-27 2018-09-20 한화첨단소재(주) 샌드위치 판넬 제조 장치
KR20180105955A (ko) * 2017-03-16 2018-10-01 주식회사 우주판넬데크 벽돌형상의 건축용 조립식판넬의 판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452Y1 (ko) * 2001-11-22 2002-02-19 민 수 박 진동발생장치
KR101209619B1 (ko) * 2004-05-07 2012-12-07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도포장치 및 도포방법
KR101014653B1 (ko) * 2010-06-17 2011-02-16 (주)모성 가구 또는 건축 인테리어용 패널 가공장치 및 그 방법
KR101900288B1 (ko) 2016-10-27 2018-09-20 한화첨단소재(주) 샌드위치 판넬 제조 장치
KR20180105955A (ko) * 2017-03-16 2018-10-01 주식회사 우주판넬데크 벽돌형상의 건축용 조립식판넬의 판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10549B1 (ko) 2017-09-22 2017-12-19 원병덕 작업성이 개선된 eps판넬 제조장치의 커팅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96647A (zh) * 2020-03-28 2020-08-07 北京建工一建工程建设有限公司 一种钢板矫正设备
CN112275573A (zh) * 2020-10-10 2021-01-29 湖州拓高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的滚涂机的涂料回收循环利用装置
WO2022087882A1 (zh) * 2020-10-28 2022-05-05 苏州法比瑞纺织科技有限公司 一种布料涂层装置
KR20230156873A (ko) 2022-05-08 2023-11-15 (주)엠디산업 듀얼 언코일러 연속 생산시스템 기반 조립식 시스템패널 및 그 제조장치
CN116900120A (zh) * 2023-09-06 2023-10-20 江苏中佰纳米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钣金柔性自动化制造设备
CN116900120B (zh) * 2023-09-06 2023-12-05 江苏中佰纳米新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钣金柔性自动化制造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772B1 (ko) 조립식판넬 판재 제조장치
AU2003231314B2 (en) Top cover assembly for laundry dryer
CN211994663U (zh) 一种装饰纸双面烘干装置
KR101219639B1 (ko) 샌드위치 패널용 외판 제조방법
WO2010058894A2 (ko) 샌드위치패널용 팔레트와 롤포밍 장치
KR200467074Y1 (ko) 프로파일 랩핑장치
JPH11240294A (ja) エンボス金属板
KR20180105955A (ko) 벽돌형상의 건축용 조립식판넬의 판재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217326277U (zh) 一种幕墙装饰条及具有该幕墙装饰条的幕墙
KR20100123184A (ko) 건축용 조립식판넬 및 그 제조방법
KR100707948B1 (ko) 건축용 판넬 및 이의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벽체의 구조및 시공방법
KR20000014130A (ko) 이중 입체 벽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품
KR20090049773A (ko) 인테리어용 패널
CN209837535U (zh) 一种墙身铝板饰面结构
JP4446440B2 (ja) 多孔質板の塗装方法
CN110067352A (zh) 一种外墙装饰方法及装置
CN206329000U (zh) 一种艺术浮雕石材墙面干挂结构
KR101849524B1 (ko) 무늬가 형성된 pc 지붕판재의 제조장치, 제조방법 및 이들에 의해 제조된 무늬가 형성된 pc 지붕판재
CN210342521U (zh) 集成墙板安装用支架
KR200456674Y1 (ko) 인테리어용 입체 몰딩재
KR101764046B1 (ko) 건축물 외벽에 적용되는 패턴 단열판의 스크린 인쇄 제조방법
CN220635067U (zh) 一种地毯用挂胶机
CN218128025U (zh) 窗帘盒安装架及窗帘盒吊顶
CN212926832U (zh) 一种防霉防刮擦防翘边墙板
KR100352511B1 (ko) 모자이크식 황토방 천정 및 벽재와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