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770B1 - 척추 교정구 - Google Patents

척추 교정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770B1
KR102074770B1 KR1020180012068A KR20180012068A KR102074770B1 KR 102074770 B1 KR102074770 B1 KR 102074770B1 KR 1020180012068 A KR1020180012068 A KR 1020180012068A KR 20180012068 A KR20180012068 A KR 20180012068A KR 102074770 B1 KR102074770 B1 KR 1020747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ser
spine
spinal
pelv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2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28263A (ko
Inventor
공인구
Original Assignee
공인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인구 filed Critical 공인구
Priority to PCT/KR2019/000708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151685A1/ko
Publication of KR20190028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282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7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7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 A47C7/029Seat parts of non-adjustable shape adapted to a user contour or ergonomic seating 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 A61H2205/081Ba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될 수 있으며, 척추교정구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척추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부 및, 상기 좌대부의 상부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척추 교정구{SPINAL CORRECTION EQUIPMENT}
본 발명은 척추 교정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며 척추교정구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척추를 교정할 수 있는 척추 교정구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는 좌식문화가 몸에 섭득되어 바닥에 앉거나 바닥에 눕는 형태의 좌식(座式)인 관계로 앉는 자세에서도 편좌(양반다리) 자세로 주로 생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편좌자세에서 허리를 곧게 편 상태로 앉으면 척추가 곧게 펴지기 때문에 신체가 균형 잡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내장 계통은 물론 비뇨기 계통에도 무리를 주지 아니하여 건강에 유익하게 된다. 반면, 편좌자세에서 앉을 때 허리를 곧게 펴고 있지 않으면 척추가 앞으로 구부러져 내장계통에 무리함을 주는 현상이 발생되고, 척추를 구부리고 앉는 자세가 습관화되면 내장 계통에 이상이 발생될 수 있다.
최근에는 등받이가 구비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해 주는 좌식의자가 개발된 바 있다. 공개실용신안 20-2000-0016277(특허문헌 1)에서는 좌판부와 등받이를 구비한 좌식의자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좌식의자는 사용자의 등 부위가 등받이에 완전하게 밀착되지 않을 뿐 아니라, 등받이가 등부위를 단순하게 지지하게 되므로 사용자가 허리를 곧게 펴고 있지 않으면 척추가 앞으로 굽어지면서 바른 자세를 유지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좌식의자에 척추가 굽어진 상태로 앉게되면 척추디스크는 물론 내장계통에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 교정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0-0016277호(2000.08.25.)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펴진 상태로 바르게 유지되게 할 수 있는 척추 교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척추를 밀착되게 그 위치를 가변시켜서 척추를 바르게 유지되게 할 수 있는 척추 교정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 골반 사이를 받쳐줄 수 있도록 막대형상을 갖는 받침몸체부; 상기 받침몸체부의 후단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지지부; 및 상기 받침몸체부의 전단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가 상기 척추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때 골반이 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 전방측을 받쳐주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는 척추 교정구를 제공한다.
상기 척추지지부는 상기 척추 꼬리뼈를 밀착 지지하는 부분에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돌출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지지부; 상기 척추지지부의 전단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가 상기 척추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때 골반이 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 전방측을 받쳐주는 스토퍼부; 및 상기 척추지지부와 스토퍼부 사이를 플렉시블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는 척추 교정구를 제공한다.
상기 연결수단은 한쪽 선단이 상기 척추지지부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지지되고 다른쪽 선단이 상기 스토퍼부를 관통되는 구조이고, 길이조절구를 통해 상기 척추지지부와 스토퍼부 사이간격을 가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 골반을 받쳐줄 수 있도록 판형상을 갖는 받침몸체부; 상기 받침몸체부의 후단에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골반이 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 후방측을 받쳐주는 골반지지부; 및 상기 골반지지부의 중앙부에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지지부;를 포함하는 척추 교정구를 제공한다.
상기 받침몸체부는 상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오목한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의 전방측으로 각각 스토퍼부가 만곡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부; 및 상기 좌대부의 상부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를 포함하는 척추 교정구를 제공한다.
상기 좌대부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 골반을 받쳐줄 수 있도록 판형상을 갖는 좌대몸체부 및, 상기 좌대몸체부의 후단에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골반이 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 후방측을 받쳐주며, 중앙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골반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척추교정부는 상기 좌대몸체부의 상부 중앙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 골반 사이를 받쳐주며, 막대형상을 갖는 받침몸체부 및, 상기 받침몸체부의 후단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착탈 결합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는 척추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부; 및 상기 좌대부의 상부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교정부는 상기 좌대부의 결합홈에 끼워져 착탈 결합되어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는 척추지지부와, 상기 척추지지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가 지지될 때 사용자의 골반을 받쳐주는 스토퍼부 및, 상기 척추지지부와 스토퍼부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부를 포함하는 척추 교정구를 제공한다.
상기 벨트부는 일단이 상기 척추지지부의 관통홈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부의 관통홈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길이조절구를 통해 상기 척추지지부와 스토퍼부의 사이거리를 조절가능하게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벨트부는 상기 벨트부는 상하 표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마그네트가 형성되되, 상부면에 마그네트의 N극이 배치되고 하부면에 마그네트의 S극이 배치되어 자력선이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게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구에 의하면, 사용자가 척추 교정구에 앉았을 때 받침몸체부의 후단에 전방으로 돌출 형성된 척추지지부가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허리를 곧게 편 상태로 앉게 되어 척추가 자연스럽게 곧게 펴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앉은 상태로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고 균형자세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척추 교정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구는 몸체가 일체형 구조로 되어 좌대부와 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척추지지부와 스토퍼부 사이에 벨트부를 통해 사이간격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척추 교정구를 사용하게 되면 척추가 바르게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내장 계통은 물론 비뇨기 계통에도 무리를 주지않게 되며, 벨트부에 마그네트가 배치되어 사용자의 전립선 또는 치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평면도,
도 11은 도 10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분리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부분 단면구성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평면도,
도 16은 도 15의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용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100)는 받침몸체부(110), 척추지지부(120) 및 스토퍼부(1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척추 교정구(100)를 구성하는 받침몸체부(110), 척추지지부(120) 및 스토퍼부(1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몸체부(11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 골반(12) 사이에 신체의 전후방향으로 배치되어 둔부 사이를 받쳐준다. 이를 통해 받침몸체부(110)는 사용자의 좌우 골반(12) 사이 가운데를 받쳐주게 됨으로써, 받침몸체부(110)의 후단에 형성된 척추지지부(120)가 척추(10)의 꼬리뼈(11)에 일치되게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받침몸체부(110)는 상기 척추지지부(120)와 스토퍼부(130)를 일체로 연결하는 막대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받침몸체부(110)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좌우 골반(12) 사이에 안정되게 위치하면서 둔부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받침몸체부(11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양단에 비해 가운데 부분의 폭을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척추지지부(120)는 받침몸체부(110)의 후단에 상부로 돌출되어 받침몸체부(1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받침몸체부(110) 위에 앉았을 때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척추지지부(120)는 상기 스토퍼부(130)보다 훨씬 높게 돌출되는데, 대략 그 스토퍼부(130) 높이의 5배 정도 높이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받침몸체부(110) 및 스토퍼부(130)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된다. 또한, 척추지지부(120)는 척추 꼬리뼈(11)를 밀착 지지하는 부분에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돌출경사면(121)이 형성된다. 상기 척추지지부(120)의 돌출경사면(121)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70도의 경사각도(θ)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60도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척추지지부(120)가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허리를 곧게 편 상태로 앉게 되어 척추(10)가 자연스럽게 곧게 펴지면서 척추(10) 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130)는 받침몸체부(110)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가 척추지지부(120)에 의해 지지될 때 골반(12)이 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12) 전방측을 받쳐준다. 스토퍼부(130)는 받침몸체부(110)보다 폭과 높이가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척추 교정구(100)에 앉게 되면, 받침몸체부(110)는 사용자의 좌우 골반(12) 사이 가운데를 받쳐주게 되고, 이때, 받침몸체부(110)의 후단에 돌출 형성된 척추지지부(120)가 척추(10)의 꼬리뼈(11)에 일치되게 위치하게 되면서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척추지지부(120)가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허리를 곧게 편 상태로 앉게 되어 척추(10)가 자연스럽게 곧게 펴지면서 척추(10) 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신체가 균형 잡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내장 계통은 물론 비뇨기 계통에도 무리를 주지 아니하여 건강에 유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100)는 사이즈가 작고 무게도 가벼우므로 휴대하기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200)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몸체부(210), 골반지지부(220) 및 척추지지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척추 교정구(200)를 구성하는 받침몸체부(210), 골반지지부(220) 및 척추지지부(230)는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받침몸체부(210)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 골반(12)을 받쳐줄 수 있도록 판형상을 갖는다. 받침몸체부(210)의 상면은 사용자가 앉았을 때 둔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중심부(211)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오목한 곡면부(213)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받침몸체부(210)는 곡면부(213)의 전방측에 만곡 형성되는 스토퍼부(215)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가 척추지지부(230)에 의해 지지될 때 골반(12)이 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12) 전방측을 받쳐준다.
상기 골반지지부(220)는 받침몸체부(210)의 후단에 상부로 일정 높이 연장되어 받침몸체부(210)와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받침몸체부(210)에 앉았을 때 골반(12)이 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12) 후방측을 받쳐준다.
상기 척추지지부(230)는 골반지지부(220)의 중앙부에 전방측으로 돌출되게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10)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10)를 교정한다.
그리고, 상기 척추지지부(230)는 척추 꼬리뼈(11)를 밀착 지지하는 부분에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돌출경사면(231)이 형성된다. 척추지지부(230)의 돌출경사면(231)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70도 경사각도(θ)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60도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척추지지부(230)가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허리를 곧게 편 상태로 앉게 되어 척추(10)가 자연스럽게 곧게 펴지면서 척추(10) 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척추 교정구(200)에 앉게 되면, 척추지지부(230)가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척추지지부(230)가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함으로써, 사용자는 허리를 곧게 편 상태로 앉게 되어 척추(10)가 자연스럽게 곧게 펴지면서 척추(10) 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신체가 균형 잡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내장 계통은 물론 비뇨기 계통에도 무리를 주지 아니하여 건강에 유익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A-A를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300)는 좌대부(310) 및 척추교정부(3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300)는 제 1 실시예의 척추교정구(100) 또는 제 2 실시예의 척추교정구(200)와 달리, 좌대부(310)를 기준으로 척추교정부(320)가 분리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대부(310)는 사용자가 엉덩이와 하체가 지지되는 좌대몸체부(311) 및 골반지지부(31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좌대몸체부(311)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 골반(12)을 받쳐줄 수 있도록 판형상을 갖는다. 상기 좌대몸체부(311)의 상면은 사용자가 앉았을 때 둔부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중심부(311a)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되게 오목한 곡면부(311b)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좌대몸체부(311)는 곡면부(311b)의 전방측에 만곡 형성되는 스토퍼부(311c)가 형성되어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가 후술할 척추교정부(320)에 의해 지지될 때 골반(12)이 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12) 전방측을 받쳐준다.
상기 골반지지부(313)는 좌대몸체부(311)의 후단에 상부로 일정 높이 연장되어 좌대몸체부(3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사용자가 좌대몸체부(311)에 앉았을 때 골반(12)이 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12) 후방측을 받쳐준다. 또한, 골반지지부(313)는 좌우측 사이의 중앙부에 결합홈(313a)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후술할 척추교정부(320)의 척추지지부(322)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척추교정부(320)는 좌대부(310)의 상부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10)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10)를 교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척추교정부(320)는 받침몸체부(321), 척추지지부(322) 및 스토퍼부(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척추교정부(320)를 구성하는 받침몸체부(321), 척추지지부(322) 및 스토퍼부(323)는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받침몸체부(321)는 좌대몸체부(311)의 상부 중앙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둔부 사이를 받쳐준다. 이를 통해 받침몸체부(321)는 사용자의 좌우 골반(12) 사이 가운데를 받쳐주게 됨으로써, 받침몸체부(321)의 후단에 형성된 척추지지부(322)가 척추(10)의 꼬리뼈(11)에 일치되게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받침몸체부(321)는 후술할 척추지지부(322)와 스토퍼부(323)를 연결하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된다. 받침몸체부(321)는 사용자가 앉았을 때 좌우 골반(12) 사이에 안정되게 위치하면서 둔부의 형상에 대응할 수 있도록 받침몸체부(321)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고 양단에 비해 가운데 부분의 폭을 좁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척추지지부(322)는 받침몸체부(321)의 후단에 상부로 돌출되어 받침몸체부(321)와 일체로 형성되고, 결합홈(313a)에 끼워져 착탈 결합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한다. 척추지지부(322)는 받침몸체부(321)의 후단에 상부로 돌출되어 받침몸체부(321)와 일체로 형성되어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척추지지부(322)는 골반지지부(313)의 결합홈(313a)에 끼워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좌대부(310)로부터 척추교정부(320)를 분해조립이 용이하다. 척추지지부(322)는 골반지지부(313)의 높이와 대략 비슷한 높이로 형성되며, 골반지지부(313)의 중앙부에서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한다.
또한, 척추지지부(322)는 척추 꼬리뼈(11)를 밀착 지지하는 부분에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돌출경사면(324)이 형성된다. 척추지지부(322)의 돌출경사면(324)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70도 경사각도(θ)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60도로 형성한다.
이와 같이 척추지지부(322)가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하게 되면, 사용자는 허리를 곧게 편 상태로 앉게 되어 척추(10)가 자연스럽게 곧게 펴지면서 척추(10) 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스토퍼부(323)는 받침몸체부(321)의 전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가 척추지지부(322)에 의해 지지될 때 골반(12)이 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12) 전방측을 받쳐준다. 스토퍼부(323)는 받침몸체부(321)보다 폭과 높이가 약간 더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척추교정부(320)는 좌대부(310)의 결합홈(313a)에 끼워 결합함으로써 분리결합이 가능하고, 척추교정부(320)의 척추지지부(322)를 좌대부(310)의 결합홈(313a)에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므로 신체의 조건에 맞게 척추지지부(322)의 위치를 앞뒤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척추 교정구(300)에 앉게 되면, 척추지지부(322)가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하게 된다.
이처럼 척추지지부(322)가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함으로써, 사용자는 허리를 곧게 편 상태로 앉게 되어 척추(10)가 자연스럽게 곧게 펴지면서 척추(10) 교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신체가 균형 잡힌 상태를 유지하므로 내장 계통은 물론 비뇨기 계통에도 무리를 주지 아니하여 건강에 유익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300)는 좌대부(310)와 척추교정부(320)를 분리결합할 수 있으므로, 척추교정부(320)를 좌대부(310)에 결합하여 좌식의자 형태로 사용하거나 척추교정부(320)를 좌대부(310)로부터 분리하여 척추교정부(320)만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척추교정부(320)는 사이즈가 작고 무게도 가벼우므로 휴대하기 용이하여 사용이 편리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부분 단면구성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평면도이고, 도 16은 도 15의 B-B선을 따라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400)는 도 13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대부(410) 및 척추교정부(4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400)는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좌대부(410)를 기준으로 척추교정부(420)가 분리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좌대부(410)는 사용자가 엉덩이와 하체가 지지되는 좌대몸체부(411) 및 골반지지부(413)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좌대부(410)를 이루는 좌대몸체부(411)와 골반지지부(423)를 포함하여 중심부(411a), 곡면부(411b), 스토퍼부(411c), 결합홈(413a)에 대하여 제 3 실시예의 좌대부(310)과 동일한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구체적인 내용은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척추교정부(42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척추지지부(422), 스토퍼부(423) 및 상기 척추지지부(422)와 스토퍼부(423)을 연결하는 벨트부(425)를 포함한다. 여기서, 척추교정부(420)는 제 3 실시예에서 하나의 재질로 일체형을 이루는 것과 달리, 척추지지부(422)와 스토퍼부(423) 사이에 벨트부(425)가 구비되어 상호 연결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교정부(420)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라 벨트부(425)를 통해 척추지지부(422)와 스토퍼부(423)의 사이간격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척추지지부(422)는 상기 골반지지부(413)의 결합홈(413a)에 끼워져 착탈 결합되고, 골반지지부(413)의 높이와 대략 비슷한 높이로 형성되면서 전방측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척추지지부(422)는 상기 벨트부(425)가 관통되도록 되어 있고, 척추 꼬리뼈(11)를 밀착 지지하는 부분에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돌출경사면(42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경사면(424)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70도 경사각도(θ)로 형성되며, 경사각도(θ)가 60도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토퍼부(423)는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가 척추지지부(422)에 의해 지지될 때 골반(12)이 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12) 전방측을 받쳐준다. 그리고, 스토퍼부(423)는 중앙으로 상기 벨트부(425)가 관통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벨트부(425)는 일단이 상기 척추지지부(422)를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부(423)를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허벅지 사이로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벨트부(425)는 한쪽 끝단에 고정수단이 형성되어 상기 척추지지부(442)의 일측면에 지지되고, 상기 스토퍼부(423)의 전방으로 길이조절구(42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벨트부(425)의 길이조절구(425a)를 통해 척추지지부(422)와 스토퍼부(423)의 사이거리를 가변시켜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벨트부(425)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표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상하부 마그네트(426,427)가 복수개로 구비되어 있다. 여기서, 벨트부(425)는 상부면 마그네트(426,427)의 N극이 배치되고, 하부면에 상기 하부 마그네트(427)의 S극이 배치되어 자력선이 벨트부(425)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하부 마그네트(426,427)은 벨트부(425)의 내부에 매립하여 설치할 수도 있고 표면에 설치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하부 마그네트(426,427)은 사용자의 전립선 또는 치질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척추교정부(420)는 좌대부(410)의 결합홈(413a)에 끼워 결합하는 구조로 되어 분리결합한 1차적 기술적 특징이 있고, 좌대부(410)의 결합홈(413a)에 끼워 결합한 상태에서 벨트부(425)의 길이조절구(425a)를 통해 사용자 신체의 조건에 맞추어 척추지지부(422)와 스토퍼부(423) 사이거리를 가변시켜는 2차적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400)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척추 교정부(420)에 앉게 되면, 척추지지부(422)가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11)를 밀착되게 지지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400)는 좌대부(410)와 척추교정부(420)를 분리결합할 수 있고, 척추교정부(420)를 좌대부(410)에 결합하여 좌식의자 형태로 사용하거나 척추교정부(420)를 좌대부(410)로부터 분리하여 척추교정부(420)만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척추교정부(420)는 척추지지부(422)와 스토퍼(423) 사이에 벨트부(425)가 형성되어 부피를 줄여 편리하게 휴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 4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400)의 척추교정부(420)는 제 3 실시예에서 일체형 구조인 척추 교정구(300)의 척추교정부(320)와 달리, 벨트부(425)를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척추지지부(422)와 스토퍼(42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으며, 부피를 대폭 축소시켜 휴대성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의 분리사시도로서, 제 4 실시예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 5 실시예에 따른 척추 교정구(400)는 제 4 실시예의 좌대부(410)는 동일한 구조이고, 척추교정부(420)를 이루는 척추지지부(422)와 스토퍼(423) 사이에 벨트부(425)를 대체하여 와이어부(42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4 실시예의 벨트부(425)와 관련된 구성 외에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척추지지부(422)와 스토퍼(423) 사이에 연결수단으로서 제 4 실시예에서 벨트부(425)를 채택하는 것과 달리, 제 5 실시에에서는 와이어부(428)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스토퍼(423)로 관통되는 와이어부(428)에 길이조절구(428a)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부(428)의 길이조절구(428a)을 통해 사용자의 체형에 맞추어 척추지지부(422)와 스토퍼(423) 사이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초로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척추 11 : 미추(꼬리뼈)
100 : 척추 교정구 110 : 받침몸체부
120 : 척추지지부 121 : 돌출경사면
130 : 스토퍼부 200 : 척추 교정구
210 : 받침몸체부 220 : 골반지지부
230 : 척추지지부 231 : 돌출경사면
300,400 : 척추 교정구 310,410 : 좌대부
311,411 : 좌대몸체부 313,413 : 골반지지부
320,420 : 척추교정부 321 : 받침몸체부
322,422 : 척추지지부 323,423 : 스토퍼부
324,424 : 돌출경사면 425 : 벨트부
425a : 길이조절구 426,427 : 상하부 마그네트
428 : 와이이부 428a : 길이조절구

Claims (12)

  1.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 골반 사이를 받쳐줄 수 있도록 막대형상을 갖는 받침몸체부;
    상기 받침몸체부의 후단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지지부; 및
    상기 받침몸체부의 전단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가 상기 척추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때 골반이 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 전방측을 받쳐주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지지부는 상기 척추 꼬리뼈를 밀착 지지하는 부분에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돌출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경사면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70도의 경사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구.
  2. 삭제
  3.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지지부;
    상기 척추지지부의 전단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가 상기 척추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때 골반이 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 전방측을 받쳐주는 스토퍼부; 및
    상기 척추지지부와 스토퍼부 사이를 플렉시블하게 연결하는 연결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척추지지부는 상기 척추 꼬리뼈를 밀착 지지하는 부분에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돌출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경사면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70도의 경사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한쪽 선단이 상기 척추지지부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지지되고 다른쪽 선단이 상기 스토퍼부를 관통되는 구조이고, 길이조절구를 통해 상기 척추지지부와 스토퍼부 사이간격을 가변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구.
  5.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 골반을 받쳐줄 수 있도록 판형상을 갖는 받침몸체부;
    상기 받침몸체부의 후단에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골반이 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 후방측을 받쳐주는 골반지지부; 및
    상기 골반지지부의 중앙부에 전방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받침몸체부는 상면에 중심부를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오목한 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곡면부의 전방측으로 각각 스토퍼부가 만곡형성되고,
    상기 척추지지부는 상기 척추 꼬리뼈를 밀착 지지하는 부분에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돌출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경사면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70도의 경사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구.
  6. 삭제
  7.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부; 및
    상기 좌대부의 상부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대부는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 골반을 받쳐줄 수 있도록 판형상을 갖는 좌대몸체부; 및 상기 좌대몸체부의 후단에 상부로 연장되게 형성되고, 골반이 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 후방측을 받쳐주며, 중앙부에 결합홈이 형성되는 골반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교정부는 상기 좌대몸체부의 상부 중앙에 전후 길이방향으로 배치되어 사용자가 앉은 상태에서 좌우 골반 사이를 받쳐주며, 막대형상을 갖는 받침몸체부; 및 상기 받침몸체부의 후단에 상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끼워져 착탈 결합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는 척추지지부; 및 상기 받침몸체부의 전단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가 상기 척추지지부에 의해 지지될 때 골반이 전방측으로 밀리지 않도록 사용자의 골반 전방측을 받쳐주는 스토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지지부는 상기 척추 꼬리뼈를 밀착 지지하는 부분에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돌출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경사면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70도의 경사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구.
  8. 삭제
  9. 삭제
  10. 사용자가 앉을 수 있는 좌대부;
    상기 좌대부의 상부 중앙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여 사용자가 앉은 자세에서 척추가 바르게 유지되도록 척추를 교정하는 척추교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교정부는 상기 좌대부의 결합홈에 끼워져 착탈 결합되어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를 밀착되게 지지하는 척추지지부와, 상기 척추지지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사용자의 척추 꼬리뼈가 지지될 때 사용자의 골반을 받쳐주는 스토퍼부 및, 상기 척추지지부와 스토퍼부 사이를 연결하는 벨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척추지지부는 상기 척추 꼬리뼈를 밀착 지지하는 부분에 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도록 돌출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경사면은 수평면을 기준으로 45도 내지 70도의 경사각도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일단이 상기 척추지지부의 관통홈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스토퍼부의 관통홈에 관통된 상태로 고정되어, 길이조절구를 통해 상기 척추지지부와 스토퍼부의 사이거리를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구.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부는 상하 표면을 따라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의 마그네트가 형성되되, 상부면에 마그네트의 N극이 배치되고 하부면에 마그네트의 S극이 배치되어 자력선이 상부에서 하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 교정구.
KR1020180012068A 2017-09-08 2018-01-31 척추 교정구 KR1020747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9/000708 WO2019151685A1 (ko) 2017-09-08 2019-01-17 척추 교정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15405 2017-09-08
KR1020170115405 2017-09-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263A KR20190028263A (ko) 2019-03-18
KR102074770B1 true KR102074770B1 (ko) 2020-02-07

Family

ID=659489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2068A KR102074770B1 (ko) 2017-09-08 2018-01-31 척추 교정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074770B1 (ko)
WO (1) WO20191516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4324B1 (ko) * 2021-07-08 2023-12-14 공인구 의자 시트
KR102415291B1 (ko) * 2022-01-07 2022-06-30 김종하 자세 교정용 좌석시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3421B2 (ja) * 1992-09-28 2000-07-12 凸版印刷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KR200345288Y1 (ko) 2003-12-29 2004-03-18 박진규 경혈 지압과 자극을 겸하는 시트용 진동장치
KR101336168B1 (ko) 2013-07-29 2013-12-03 (주) 늘빛 척추교정용 명상의자
KR101514685B1 (ko) 2014-03-25 2015-04-23 (주)힐닉스 척추측만 교정용 방석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14829B2 (ja) * 1994-10-07 1997-05-28 有限会社ボヌール 骨盤矯正ブロック
JP3063421U (ja) * 1998-04-29 1999-11-05 元 植 申 脊椎保護矯正式左右均衡座布団
KR20000016277U (ko) 1999-01-28 2000-08-25 정해차어 좌의자
JP3149038U (ja) * 2008-11-27 2009-03-12 松雄 加藤 磁気治療機能付きマット
KR101093555B1 (ko) * 2010-04-22 2011-12-13 주식회사 자세과학 앉은 자세 교정기구
KR20110137681A (ko) * 2010-06-17 2011-12-23 (주)레보 인체공학적 체형 보정기구
KR101134572B1 (ko) * 2010-07-02 2012-04-13 안현구 슬라이딩식 골반 교정용 좌판을 구비한 의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3421B2 (ja) * 1992-09-28 2000-07-12 凸版印刷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KR200345288Y1 (ko) 2003-12-29 2004-03-18 박진규 경혈 지압과 자극을 겸하는 시트용 진동장치
KR101336168B1 (ko) 2013-07-29 2013-12-03 (주) 늘빛 척추교정용 명상의자
KR101514685B1 (ko) 2014-03-25 2015-04-23 (주)힐닉스 척추측만 교정용 방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28263A (ko) 2019-03-18
WO2019151685A1 (ko) 2019-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3048254C (en) Ergonomic workstation chair with sternum support
NO158403B (no) Anordning ved stol.
MXPA03007373A (es) Un metodo y una silla para eliminar problemas de origen sedentario.
KR102074770B1 (ko) 척추 교정구
KR102256839B1 (ko) 개별 체형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기능성 의자
JP6596764B2 (ja) 禅チェアー
KR200256511Y1 (ko) 골반 교정용 의자
JP2011527927A (ja) 姿勢校正用椅子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100940126B1 (ko) 포터블 무릎 의자
JP2007000570A5 (ko)
JP2006102256A (ja) 矯正装置
KR20190081417A (ko) 자세 유도형 의자 및 그의 처리 방법
KR101336168B1 (ko) 척추교정용 명상의자
KR102175758B1 (ko) 바른 앉은 자세 유도용 안장
US20050242653A1 (en) Healthy chair
KR101187635B1 (ko) 골반 고정식 착석물
KR101052551B1 (ko) 의자
JP3197066U (ja) 脊椎・脊髄疾患を予防するための矯正椅子
KR200340688Y1 (ko) 자세교정용 의자
KR102497522B1 (ko) 자세 교정과 안락감을 제공하는 좌식 의자
KR20100007999U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2628170B1 (ko) 경사형 등받이와 수직형 등받이가 결합 된 등받이가 이중 구조된 의자
CN2383417Y (zh) 一种护腰坐具
KR101430036B1 (ko) 의자용 좌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