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729B1 -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 - Google Patents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729B1
KR102074729B1 KR1020180158214A KR20180158214A KR102074729B1 KR 102074729 B1 KR102074729 B1 KR 102074729B1 KR 1020180158214 A KR1020180158214 A KR 1020180158214A KR 20180158214 A KR20180158214 A KR 20180158214A KR 102074729 B1 KR102074729 B1 KR 1020747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ten steel
unit
filter
frame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재신
이택근
추동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158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7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7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7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2099/0085Accessories
    • F27D2099/0086Filters, e.g. for molten met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asting Support Devices, Ladles, And Melt Control Thereb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은 용강이 유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프레임부,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와이어필터부 및 상기 와이어필터부를 감싸게 배치되되,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메쉬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Molten metal filtering unit and furnace having thereof}
본 발명은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에 관한 것이다.
마그네슘 합금은 구조용 금속소재 중 가장 가벼우며, 비강도, 비강성, 진동 흡수능 등이 우수하여 전자 및 IT 산업뿐 아니라 수송기기용 경량 소재로서 갈수록 그 중요성이 더해지고 있다.
그러나, 마그네슘은 주조를 위한 합금용해 과정에서 전기화학적으로 활성이 큰 금속으로 대기 환경에 노출될 경우 대기 중의 산소와 빠르게 반응하여 산화물과 같은 개재물을 형성하고 이러한 개재물들이 주조 과정에서 주조재에 혼입되어 제품에 결함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어 소재화 적용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마그네슘 합금의 적용 분야 확대를 위해 마그네슘 용탕 중의 개재물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주조 과정에서 주조재에 혼입되는 개재물을 최소화하는 공정 개발이 필수적이다.
특히, 박판주조 공정을 이용한 2000mm 이상의 광폭 마그네슘 주조의 경우 용해로와 주조로로 이원화하여 용해로 하부에 개재물들을 침강시키고 상부의 비교적 깨끗한 용탕을 주조로로 이송하여 개재물 혼입을 저감시키고 있으나 개재물 혼입 저감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술한 문제 내지 한계를 개선하기 위한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일본 출원 번호 제1993-298247호
본 발명은 용강에 형성된 개재물 등의 이물을 필터링할 수 있는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용강 내의 이물의 필터링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은 용강이 유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프레임부,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와이어필터부 및 상기 와이어필터부를 감싸게 배치되되,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메쉬필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의 상기 와이어필터부는, 상기 메쉬필터부보다 조밀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의 상기 필터프레임부는, 상기 용강 유동 경로의 상류에 배치되되, 와이어필터부와 메쉬필터부가 설치되는 상류프레임 및 상기 상류프레임 보다 상기 용강 유동 경로의 하류에 배치되되, 상기 상류프레임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또 다른 와이어필터부와 메쉬필터부가 설치되는 하류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의 상기 상류프레임은, 일단부에 제1용강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의 상기 하류프레임은, 상기 제1용강통과홀과 대면하는 일단부의 반대단인 타단부에 제2용강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은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설치되되, 상기 메쉬필터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프레임부의 에지부에서 상기 필터프레임부의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이드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의 상기 가이드립부는, 폭 방향 일단부가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결합되되, 상기 메쉬필터부에 의해서 걸러진 용강의 내의 이물이 흘러 내리는 미끄럼판 및 상기 미끄럼판의 폭 방향 타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미끄럼판과 직각 또는 예각의 각도로 배치되는 이탈방지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은 상기 필터프레임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립부에 의해서 상기 필터프레임부의 중앙부에 수렴된 용강 내의 이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의 상기 이물배출부는, 상기 가이드립부의 길이 방향 하단부에 배치되는 수렴통 및 상기 수렴통에 연결되며, 상기 수렴통에 수용된 이물을 음압 환경으로 형성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배출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는 용강이 제공되는 노부재, 상기 노부재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노부재에 제공된 용강에 침지되게 배치되는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의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은, 상기 필터프레임부 보다 폭이 넓은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설치슬릿홀에 걸리도록, 상기 설치슬릿홀 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는 용강에 형성된 개재물 등의 이물을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의해서, 용강을 이용한 제품의 생산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는 용강 내의 이물의 필터링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용강 필터링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강 필터링유닛에서 필터프레임부가 상류프레임, 하류프레임을 포함하여 잉여 용강에 대하여 미로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용강 필터링유닛이 가이드립부, 이물배출부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해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며,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 또는 유사한 방식으로 부여된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용강 필터링유닛(1)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에 관한 것으로, 용강(m)에 형성된 개재물 등의 이물(i)을 필터링할 수 있고, 이에 의해서 용강(m)을 이용한 제품의 생산시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용강 필터링유닛(1)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는 용강(m) 내의 이물(i)의 필터링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상류프레임(11), 하류프레임(12)의 구비에 의해서, 상류프레임(11)에 의한 필터링되지 않고 잉여된 용강(m)이 이동할 수 있는 미로 유로를 형성하여 하류프레임(12)에서 추가 필터링하거나, 하류프레임(12)에서도 필터링되지 않은 용강(m)을 통과시키는 구조를 제시하여 연속적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른 예로서, 필터링된 이물(i)이 쌓이지 않고 연속적으로 필터링되도록, 외부로 배출하는 가이드립부(40), 이물배출부(50)를 구비시킬 수 있다.
또한 또 다른 예로서, 이물(i)이 쌓인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가 설치된 필터프레임부(10)를 교체하도록 착탈의 설치가 가능한 걸림부(60)를 포함하여, 용강(m)에 대하여 연속적인 필터링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구체적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용강 필터링유닛(1)을 도시한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1)은 용강(m)이 유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프레임부(10), 상기 필터프레임부(10)에 설치되는 와이어필터부(20) 및 상기 와이어필터부(20)를 감싸게 배치되되, 상기 필터프레임부(10)에 설치되는 메쉬필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용강 필터링유닛(1)은 메쉬필터부(30)와 와이어필터부(20)를 포함하는 이중 필터의 구조를 포함하게 되며, 이에 의해서 용강(m) 내에 형성된 개재물 등의 이물(i)을 필터링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바깥쪽은 메쉬필터부(30)가 설치되고, 안쪽은 와이어필터부(20)가 설치된 이중구조의 형태를 가짐으로써, 개재물 등의 이물(i)의 통과 시에 흡착성을 증대시켜 개재물 등의 이물(i)의 필터링 효과를 향상시킨 것이다.
상기 필터프레임부(10)는 상기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를 이중의 필터 구조로 설치하고, 이를 용강(m)의 유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필터프레임부(10)는 판 형상으로 구비되되, 상기 와이어필터부(20)와 상기 메쉬필터부(30)가 설치되는 설치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프레임부(10)는 복수 개의 와이어필터부(20)와 메쉬필터부(30)를 설치하되 용강(m)의 유로를 지그재그 형태의 미로 형태로 형성하여 잉여 용강(m')에 대한 필터링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에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상기 와이어필터부(20)는 상기 용강(m)의 개재물 등의 이물(i)을 흡착하여 걸러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와이어필터부(20)는 미세 와이어가 얽히게 구비되거나, 와이어를 촘촘히 배열하여 구비시킬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와이어필터부(20)가 이물(i)을 흡착하는 것은 미세 와이어와 이물(i) 간의 점착성의 발현에 의한 것으로, 와이어가 미세하고 용강(m) 내의 개재물과 같은 이물(i)의 점성에 의해서 구현된다.
이러한 와이어필터부(20)는 상기 메쉬필터부(30)에 의해서 감싸게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메쉬필터부(30)에서 필터링되지 않은 이물(i)을 흡착 등에 의해서 걸러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필터부(20)는 용강(m)이 일례로 마그네슘 용강(m)인 경우에, 이러한 마그네슘과 반응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필터부(30)는 상기 와이어필터부(20)를 감싸도록 상기 와이어필터부(20)의 외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필터프레임부(10)에 장착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1)의 상기 와이어필터부(20)는, 상기 메쉬필터부(30)보다 조밀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메쉬필터부(30)에서 1차로 이물(i)을 걸러내고, 이와 같은 메쉬필터부(30)에 의해서 걸러지지 않은 이물(i)은 상기 와이어필터부(20)의 흡착 등에 의해서 걸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메쉬필터부(30)는 용강(m)이 일례로 마그네슘 용강(m)인 경우에, 이러한 마그네슘과 반응되지 않도록 스테인레스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가 설치된 필터프레임부(10)는 용강(m)의 유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데, 여기서 상기 필터프레임부(10)를 용강(m)의 유동 경로 상에 착탈되게 구비시킴으로써, 상기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에 용강(m)의 개재물 등의 이물(i)이 끼임으로서 필터링 성능이 저하된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가 설치된 필터프레임부(10)를 교체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1)은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걸림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의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1)은, 상기 필터프레임부(10) 보다 폭이 넓은 상기 커버부재(3)에 형성된 설치슬릿홀(3a)에 걸리도록, 상기 설치슬릿홀(3a) 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걸림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1)은 용강(m)이 제공되는 노부재(2)에 배치되도록 커버부재(3)에 설치되는데, 이때 이러한 용강 필터링유닛(1)의 설치를 상기 걸림부(60)에 의해서 착탈되도록 구비하여 개재물 등의 이물(i)에 의해 막힌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의 교체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걸림부(60)는 상기 커버부재(3)의 설치슬릿홀(3a)보다 폭이 크게 형성되는 걸림블럭(61), 상기 걸림블럭(61)의 상단부에 결합되며, 외부의 승강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설치슬릿홀(3a)로의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인출 및 인입을 조정하는 걸림고리(62) 및 상기 걸림블럭(61)의 하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필터프레임부(10)와 볼팅 등에 의해서 체결되는 결합판(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판(63)은 상기 필터프레임부(10)와 볼팅에 의해서 결합될 수도 있고, 결합이 해체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필터프레임부(10)에 설치된 와이어필터부(20)와 메쉬필터부(30)에 이물(i)이 걸려서 필터링 능력이 저감되면, 이러한 와이어필터부(20)와 메쉬필터부(30)를 필터프레임부(10)와 함께 교체하여, 용강(m)에 대한 연속적인 필터링이 수행되도록 제공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용강 필터링유닛(1)에서 필터프레임부(10)가 상류프레임(11), 하류프레임(12)을 포함하여 잉여 용강(m')에 대하여 미로 형태의 유로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1)의 상기 필터프레임부(10)는, 상기 용강(m) 유동 경로의 상류에 배치되되, 와이어필터부(20)와 메쉬필터부(30)가 설치되는 상류프레임(11) 및 상기 상류프레임(11) 보다 상기 용강(m) 유동 경로의 하류에 배치되되, 상기 상류프레임(11)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또 다른 와이어필터부(20)와 메쉬필터부(30)가 설치되는 하류프레임(12)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프레임부(10)는 복수 개의 와이어필터부(20)와 메쉬필터부(30)를 설치하되 용강(m)의 유로를 지그재그 형태의 미로 형태로 형성하여 잉여 용강(m')에 대한 필터링을 연속적으로 수행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류프레임(11)은 용강(m)의 1차 필터링을 위한 와이어필터부(20)와 메쉬필터부(30)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상류프레임(11)은 상기 하류프레임(12)보다 상기 용강(m) 유동 경로의 상류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류프레임(12)은 상기 상류프레임(11)에 설치된 와이어필터부(20)와 메쉬필터부(30)에 의해서 필터링되지 않고 미로 유로로 전달된 잉여 용강(m')을 2차 필터링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하류프레임(12)은 상기 상류프레임(11)보다 상기 용강(m) 유동 경로의 하류에 배치되며, 상기 상류프레임(11)에 설치된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와 별도의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상기 상류프레임(11)에 설치된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에 의해서 이물(i)이 필터링되면서 필터링 능력이 저감되면 필터링되지 않고 대기하는 잉여 용강(m')의 양이 증가하는데, 이러한 잉여 용강(m')은 상기 하류프레임(12)에 설치된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로 유동되어 필터링되게 된다.
이러한 미로 유로를 형성하기 위해서, 상기 상류프레임(11)에는 제1용강통과홀(11a)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1)의 상기 상류프레임(11)은, 일단부에 제1용강통과홀(11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용강통과홀(11a)을 통하여 상기 상류프레임(11)에 설치된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에 의해서 필터링되지 않은 잉여 용강(m')이 상기 하류프레임(12) 방향으로 유동하여 이동하게 된다.
더하여, 상기 하류프레임(12)에 설치된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도 이물(i)이 끼임에 의해서 필터링 능력이 저감될 수 있는데, 이때에는 상기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가 설치된 상류프레임(11), 하류프레임(12)을 포함하는 필터프레임부(10)가 외부로 인출되어 교체되게 된다.
다만 수명을 다한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에 의해서 상기 노부재(2)에 설치된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1)에 의해서 용강(m)이 일측에 편중되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서, 상기 하류프레임(12)에도 제2용강통과홀(1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1)의 상기 하류프레임(12)은, 상기 제1용강통과홀(11a)과 대면하는 일단부의 반대단인 타단부에 제2용강통과홀(12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용강통과홀(12a)은 상기 제1용강통과홀(11a)이 형성된 상기 상류프레임(11)의 일단부에 대면하는 상기 하류프레임(12)의 일단부의 반대단인 상기 하류프레임(12)의 타단부에 형성됨에 의해서, 상기 제1용강통과홀(11a)로 유입된 잉여 용강(m')을 상기 하류프레임(12)에 설치된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로 통과시키고, 이러한 하류프레임(12)에 설치된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도 통과하지 못한 잉여 용강(m')을 통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용강 필터링유닛(1)이 가이드립부(40), 이물배출부(50)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1)은 상기 필터프레임부(10)에 설치되되, 상기 메쉬필터부(30)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에지부에서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이드립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필터링된 이물(i)이 쌓이지 않고 연속적으로 필터링되도록, 필터링된 이물(i)을 일측으로 모을 수 있는 가이드립부(40)를 구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가이드립부(40)가 모은 이물(i)은 후술할 이물배출부(5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하여, 상기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에 의한 이물(i)의 필터링을 연속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가이드립부(40)는 상기 메쉬필터부(30)의 전방인 상기 용강(m) 유동의 상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메쉬필터부(30) 등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i)이 일측으로 모이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가이드립부(40)는 상기 메쉬필터부(30)의 전방에 배치되되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중앙부를 항햐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립부(40)는 상기 이물(i)이 흘러내리는 미끄럼판(41) 및 이러한 미끄럼판(41)에서 흘러내리는 이물(i)이 외부로 이탈하지 않게 쉴딩하는 이탈방지판(42)을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1)의 상기 가이드립부(40)는, 폭 방향 일단부가 상기 필터프레임부(10)에 결합되되, 상기 메쉬필터부(30)에 의해서 걸러진 용강(m)의 내의 이물(i)이 흘러 내리는 미끄럼판(41) 및 상기 미끄럼판(41)의 폭 방향 타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미끄럼판(41)과 직각 또는 예각의 각도로 배치되는 이탈방지판(42)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미끄럼판(41)은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중앙부를 향하여 상기 필터프레임부(10)에 대각선 방향으로 밀착 결합되며, 이에 따라 상기 필터프레임부(10)에 설치된 와이어필터부(20), 메쉬필터부(30)에 의해서 걸러진 이물(i)이 자중(自重)에 의해서 하방 이동시에 상기 미끄럼판(41)에 안착되어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중앙부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이물(i)이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중앙부로 수렴함에 따라 자중에 의한 하방 이동 속도도 증가되어 상기 메쉬필터부(30)에서의 자정(自淨)적 제거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탈방지판(42)은 상기 미끄럼판(41)을 타고 흘러내리는 이물(i)이 상기 미끄럼판(41)에서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쉴딩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탈방지판(42)은 상기 미끄럼판(41)의 폭 방향 단부에 결합되며, 상기 미끄럼판(41)과 형성하는 각도가 직각 또는 예각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이탈방지판(42)이 상기 미끄럼판(41)과 형성하는 각도가 예각인 경우에는 상기 미끄럼판(41)을 타고 흐르는 이물(i)의 외부 이탈력에 대한 저항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1)은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립부(40)에 의해서 상기 필터프레임부(10)의 중앙부에 수렴된 용강(m) 내의 이물(i)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배출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1)이 이물배출부(50)를 포함함에 의해서, 상기 가이드립부(40)에 의해 수렴됨 이물(i)이 다시 용강(m) 내로 침투되는 문제를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물배출부(50)는 상기 이물(i)이 수렴되는 상기 가이드립부(40)의 길이 방향 하단부에 연결되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물배출부(50)는 수렴통(51), 이물배출펌프(5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강 필터링유닛(1)의 상기 이물배출부(50)는, 상기 가이드립부(40)의 길이 방향 하단부에 배치되는 수렴통(51) 및 상기 수렴통(51)에 연결되며, 상기 수렴통(51)에 수용된 이물(i)을 음압 환경으로 형성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배출펌프(5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렴통(51)은 상기 가이드립부(40)의 하단부에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립부(40)를 타고 흘러내리는 이물(i)을 수용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수렴통(51)은 박스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물배출펌프(52)는 상기 수렴통(51)에 모아진 이물(i)을 음압을 형성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이물배출펌프(52)는 상기 수렴통(51)과 연결된 전달파이프, 음압을 형성하는 펌프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용해로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용해로는 용강(m)이 제공되는 노부재(2), 상기 노부재(2)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3) 및 상기 커버부재(3)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노부재(2)에 제공된 용강(m)에 침지되게 배치되는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노부재(2)는 박판주조기로 용강(m)을 전달하기 위해서 잉곳을 용해하여 용강(m)으로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상기 노부재(2)는 잉곳이 투입되는 잉곳투입수단(4)이 연계되며, 잉곳을 용해하는 가열수단, 잉곳이 용해된 용강(m)을 배출하는 용강배출수단(5)과 연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노부재(2)의 상단부에는 상기 커버부재(3)가 설치되어 상기 노부재(2) 내부를 비산화 환경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는 상기 노부재(2)의 상단을 밀폐하는 역할을 하며, 또한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1)이 설치되어 상기 용강(m)에 형성된 개재물 등의 이물(i)이 필터링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상기 커버부재(3)에는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1)이 삽탈되는 설치슬릿홀(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1)은 상기 용강배출수단(5)으로 배출되는 용강(m)이 배출되기 전에 이물(i)을 필터링하는 역할을 하며, 이에 대하여는 전술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 용강 필터링유닛 2: 노부재
3: 커버부재 4: 잉곳투입수단
5: 용강배출수단 10: 필터프레임부
11: 상류프레임 12: 하류프레임
20: 와이어필터부 30: 메쉬필터부
40: 가이드립부 41: 미끄럼판
42: 이탈방지판 50: 이물배출부
51: 수렴통 52: 이물배출펌프
60: 걸림부 61: 걸림블럭
62: 걸림고리 63: 결합판

Claims (11)

  1. 용강이 유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프레임부;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와이어필터부;
    상기 와이어필터부를 감싸게 배치되되,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메쉬필터부; 및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설치되되, 상기 메쉬필터부의 전방에 배치되며, 상기 필터프레임부의 에지부에서 상기 필터프레임부의 중앙부를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는 가이드립부;
    를 포함하는 용강 필터링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필터부는, 상기 메쉬필터부보다 조밀한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필터링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부는,
    상기 용강 유동 경로의 상류에 배치되되, 와이어필터부와 메쉬필터부가 설치되는 상류프레임; 및
    상기 상류프레임 보다 상기 용강 유동 경로의 하류에 배치되되, 상기 상류프레임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또 다른 와이어필터부와 메쉬필터부가 설치되는 하류프레임;
    을 포함하는 용강 필터링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프레임은, 일단부에 제1용강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필터링유닛.
  5. 용강이 유동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프레임부;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와이어필터부; 및
    상기 와이어필터부를 감싸게 배치되되,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메쉬필터부;
    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프레임부는,
    상기 용강 유동 경로의 상류에 배치되되, 와이어필터부와 메쉬필터부가 설치되고, 일단부에 제1용강통과홀이 형성된 상류프레임; 및
    상기 상류프레임 보다 상기 용강 유동 경로의 하류에 배치되되, 상기 상류프레임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또 다른 와이어필터부와 메쉬필터부가 설치되고, 상기 제1용강통과홀과 대면하는 일단부의 반대단인 타단부에 제2용강통과홀이 형성된 하류프레임;
    을 포함하는 용강 필터링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하류프레임은, 상기 제1용강통과홀과 대면하는 일단부의 반대단인 타단부에 제2용강통과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강 필터링유닛.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립부는,
    폭 방향 일단부가 상기 필터프레임부에 결합되되, 상기 메쉬필터부에 의해서 걸러진 용강의 내의 이물이 흘러 내리는 미끄럼판; 및
    상기 미끄럼판의 폭 방향 타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미끄럼판과 직각 또는 예각의 각도로 배치되는 이탈방지판;
    을 포함하는 용강 필터링유닛.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프레임부의 중앙부에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립부에 의해서 상기 필터프레임부의 중앙부에 수렴된 용강 내의 이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배출부;
    를 포함하는 용강 필터링유닛.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배출부는,
    상기 가이드립부의 길이 방향 하단부에 배치되는 수렴통; 및
    상기 수렴통에 연결되며, 상기 수렴통에 수용된 이물을 음압 환경으로 형성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배출펌프;
    를 포함하는 용강 필터링유닛.
  10. 용강이 제공되는 노부재;
    상기 노부재의 상단부를 덮도록 구비되는 커버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에 상단부가 결합되며, 상기 노부재에 제공된 용강에 침지되게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용강 필터링유닛;
    을 포함하는 용해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용강 필터링유닛은,
    상기 필터프레임부 보다 폭이 넓은 상기 커버부재에 형성된 설치슬릿홀에 걸리도록, 상기 설치슬릿홀 보다 폭이 넓게 형성되며, 상기 필터프레임부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걸림부;
    를 포함하는 용해로.
KR1020180158214A 2018-12-10 2018-12-10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 KR1020747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214A KR102074729B1 (ko) 2018-12-10 2018-12-10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214A KR102074729B1 (ko) 2018-12-10 2018-12-10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729B1 true KR102074729B1 (ko) 2020-02-07

Family

ID=69570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214A KR102074729B1 (ko) 2018-12-10 2018-12-10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7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8247A (ja) 1992-02-06 1993-11-12 Nec Corp 活線接続方式
JPH06238402A (ja) * 1993-02-19 1994-08-30 Kawasaki Steel Corp 耐火物製フィルタによる溶融金属中の非金属介在物除去方法および装置
JPH10323747A (ja) * 1997-05-26 1998-12-0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アルミニウム−珪素合金鋳物の製造方法
JP2002086262A (ja) * 2000-09-13 2002-03-26 Kyokuto Diecast Kk 金属溶解装置
WO2014010757A1 (ja) * 2012-07-13 2014-01-16 国立大学法人 熊本大学 溶湯内の介在物の除去方法及び濾過用フィルタ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98247A (ja) 1992-02-06 1993-11-12 Nec Corp 活線接続方式
JPH06238402A (ja) * 1993-02-19 1994-08-30 Kawasaki Steel Corp 耐火物製フィルタによる溶融金属中の非金属介在物除去方法および装置
JPH10323747A (ja) * 1997-05-26 1998-12-08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アルミニウム−珪素合金鋳物の製造方法
JP2002086262A (ja) * 2000-09-13 2002-03-26 Kyokuto Diecast Kk 金属溶解装置
WO2014010757A1 (ja) * 2012-07-13 2014-01-16 国立大学法人 熊本大学 溶湯内の介在物の除去方法及び濾過用フィルタ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14202934B4 (de) Garnkühlvorrichtung
DE102005025119B4 (de) Vorrichtung zur Standzeiterhöhung von Laser-Bearbeitungsoptiken
JP2015075105A (ja)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KR102074729B1 (ko) 용강 필터링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용해로
JP2011110551A (ja) 流体注入装置
JP2020529307A (ja) ガスの洗浄のための除塵装置
CN219647068U (zh) 分离装置
DE102009036948A1 (de) Verfahren sowie eine Anlage zur Reduktion von Stickoxiden staubhaltiger Abgase mittels eines SCR-Katalysators
US10399181B2 (en) Laser cladding apparatus
SK88896A3 (en) Filtering system
EP0312549B1 (de) Feuerfestes keramisches bauteil
EP2355946B1 (de) Tauchausguss
US20080006580A1 (en) Method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a fibrous suspension
JP2003260326A (ja) 排ガス処理経路に設置されるベンチュリスクラバ
CN206980401U (zh) 压缩空气管除铁锈结构
CN211963246U (zh) 一种防止大块夹杂物封堵的泡沫陶瓷过滤器
JP5223728B2 (ja) オイルミストセパレータ
CN109202034A (zh) 一种气体过滤装置与真空压铸装置
TR201815350T4 (tr) Döküm teknesi için çarpma altlığı.
SE511142C2 (sv) Anordning med spädvätsketillförsel för silning av fibersuspensioner
US6148679A (en) Sample flow control member
KR200450152Y1 (ko) 비말동반 액체 분리용 데미스터
DE102017125718A1 (de) Schrumpffutterkühleinrichtung
DE102004034151A1 (de) Partikelabscheider
CN219093558U (zh) 一种防止泼溅的浇注用出料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