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674B1 - 샌드보드장 - Google Patents

샌드보드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674B1
KR102074674B1 KR1020170095180A KR20170095180A KR102074674B1 KR 102074674 B1 KR102074674 B1 KR 102074674B1 KR 1020170095180 A KR1020170095180 A KR 1020170095180A KR 20170095180 A KR20170095180 A KR 20170095180A KR 102074674 B1 KR102074674 B1 KR 1020746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and
vertical
drain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5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2356A (ko
Inventor
서경윤
Original Assignee
서경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윤 filed Critical 서경윤
Priority to KR1020170095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67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2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23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6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6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9/00Design or layout of playing courts, rinks, bowling greens or areas for water-skiing; Covers therefor
    • A63C19/10Ice-skating or roller-skating rinks; Slopes or trails for skiing, ski-jumping or tobogga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4Surface drainage of streets
    • E01C11/225Paving specially adapted for through-the-surfacing drainage, e.g. perforated, porous; Preformed paving elements comprising, or adapted to form, passageways for carrying off draina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3/00Pavings or foundations specially adapted for playgrounds or sports grounds; Drainage, irrigation or heating of sports ground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샌드보드장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보드장은 자연상태 또는 인공상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에 미끄럼이 가능한 모래 또는 인공재료를 포함하는 미끄럼부; 상기 미끄럼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모래 또는 인공재료에 스며든 수분을 하부로 배출하는 팰릿(pallet)부; 및 상기 팰릿부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팰릿부로부터 배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함으로써, 계절에 관계 없이 경사면에서 스키 또는 썰매와 같은 하강하는 미끄럼기구를 이용한 레저 및 스포츠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샌드보드장 {Sand Boarding Ground}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샌드보드장에 관한 것이다.
겨울의 대중적인 스포츠로써 스키 또는 썰매 등의 스포츠가 큰 인기를 끌고 있는데 겨울철에만 즐길 수 있다는 단점이 있어 실내 연습장까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실내 연습장은 사계절 이용할 수는 있으나 초보자들의 기초 연습용일 뿐 일반 애호가들을 수용하고 스포츠로 즐기기엔 부족한 점이 많았다.
자연 기후조건에 제약되지 않고 스키 혹은 썰매 등을 즐길 수 있게 하기 위한 인공 구조물에 관한 종래 기술은 외부 공기와 차단된 인공 실내 구조물 내에 일정 온도 이하의 기후 조건을 형성하고 인공설을 도포하여 구조물 내에서 야외 동계 스키장과 같은 환경을 조성함으로 겨울철 스포츠인 스키 및 썰매 등을 사계절 즐길 수 있게 한 것이다.
이 같은 실내 스키 구조물은 인공 구조물 내에 도포한 인공설이 녹지 않게 하기 위하여 구조물 내부 온도를 일정 온도 이하로 냉각하여 유지 하기 위한 다수의 장치를 필요로 한다.
또한, 경사면위에 조성한 인공구조물 내에 인공설을 조성하는 방법은 건물 전체를 냉각 시킬 수 있는 대형 냉각 시설 및 보온시설을 필요로 한다.
이같이 보온 성능을 필요로 하는 대형 구조물의 조성에 드는 비용 및 대형 냉각장치에 의해 소모되는 에너지 비용 등이 커서 이 방법은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상온에서도 스키장과 같이 경사면이 있는 구조물에서 변형된 스키, 혹은 썰매 등의 하강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유사한 스포츠를 즐길 수 있기 위한 구조물로, 자연 모래 또는 인공 잔디 등의 인공소재를 이용한 구조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먼저, 자연 모래를 이용하여 경사면을 조성할 경우, 상온에서도 시설물을 이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모래의 미끄러지는 성질이 수분 등에 의해 크게 떨어지게 되므로, 날씨의 영향을 많이 받고 비 등을 피하기 위한 대형 시설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음으로, 인공 잔디 등을 이용하여 경사면을 조성 할 경우, 상온에서도 시설물을 이용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인공잔디는 미끄러지는 성질은 우수하나 자연설 에서 스키를 탈 때 와 같은 회전, 속도조절, 정지 등의 동작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찰열이 발생하여 이용에 불쾌감을 준다. 또한 이용자들이 경사면에서 넘어질 경우, 자연설과 같은 완충 효과를 얻기 힘들어서 부상의 위험이 크다는 단점이 있다.
이밖에 인공 잔디 표면에 물을 흘림으로 마찰열을 식히고 미끄럼을 좋게 한 경우도 있으나 이용자들이 물에 젖게 되며, 하절기 등 더운 계절에만 이용 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한국특허공개번호: 10-2002-0006295(2002.01.19)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분의 배출이 용이한 배수 구조를 포함하는 샌드보드장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자연상태 또는 인공상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에 미끄럼이 가능한 모래 또는 인공재료를 포함하는 미끄럼부; 상기 미끄럼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모래 또는 상기 인공재료에 스며든 수분을 하부로 배출하는 팰릿(pallet)부; 및 상기 팰릿부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팰릿부로부터 배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 샌드보드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팰릿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팰릿들을 포함하여, 상기 단위 팰릿들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위 팰릿들은, 각각 내부에 배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또는 하부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미끄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상기 모래 또는 상기 인공재료가 비 통과되는 상태로 수분을 배출 가능한 그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수부는, 상기 패릿부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수직 배수관 및 상기 수직 배수관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평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배수관 및 상기 수평 배수관은,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U'자 형상의 수분 유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수직 배수관은, 서로 인접하여 결합 또는 접착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팰릿부에 포함되는 단위 팰릿 하나의 크기에 대응하여 배치개수가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수평 배수관은, 상기 복수개의 수직 배수관들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 또는 접착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팰릿부에 포함되는 단위 팰릿들 각각의 사이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수평 배수관은, 상기 수직 배수관들과 결합되는 부위에 수분이 유동될 수 있는 유동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미끄럼부 하단에서 수분을 배출하는 팰릿부 및 팰릿부로부터 배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함으로써, 계절에 관계 없이 경사면에서 스키 또는 썰매와 같은 하강하는 미끄럼기구를 이용한 레저 및 스포츠 활동을 즐길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보드장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팰릿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4는 도 2 및 4의 팰릿부 및 배수부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팰릿부 및 배수부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명세서에서 기술된 방법, 장치 및/또는 시스템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그러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기술하기 위한 것이며, 결코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명확하게 달리 사용되지 않는 한, 단수 형태의 표현은 복수 형태의 의미를 포함한다. 본 설명에서, "포함" 또는 "구비"와 같은 표현은 어떤 특성들, 숫자들, 단계들, 동작들, 요소들,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을 가리키기 위한 것이며, 기술된 것 이외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성, 숫자, 단계, 동작, 요소, 이들의 일부 또는 조합의 존재 또는 가능성을 배제하도록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샌드보드장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샌드보드장(100)은, 자연상태 또는 인공상태의 경사면(110)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에 미끄럼이 가능한 모래(121)를 포함하는 미끄럼부(120), 미끄럼부(120)의 하단에 위치하고 모래(121)에 스며든 수분을 하부로 배출하는 팰릿부(130) 및 팰릿부(130) 하단에 위치하고, 팰릿부(130)로부터 배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부(120)에 포함되는 모래(121)는 그것의 소재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자연상태의 모래(121)를 사용할 수 있고, 미끄러지는 소재의 인공재료가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러한 모래(121)는 건조된 상태에서 최적의 미끄러짐 및 완충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바, 상기 구조는, 우천시 또는 습도가 상대적은 높은 환경에서 모래(121)에 스며든 수분이 화살표로 표시된 수분 유동 방향(300)을 따라 이동하여 미끄럼부(120)의 하단에 위치하는 팰릿부(130)를 통해 하강하며, 다시 팻릿부(130)로 하강한 수분이 배수부(140)로 배출된 이후 외부로 배출되는 구조를 가지므로, 모래(121)가 수분을 머금고 있는 상태로 미끄러지는 성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팰릿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수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2를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팰릿부(130)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팰릿들(131, 132)이 서로 인접하게 위치하거나 결합되어 있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위 팰릿들(131, 132)은, 각각 내부에 단위 팰릿들(131. 132)을 관통하는 구조의 배수홀(15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배수 공간(150)이 형성되어 있고, 미끄럼부(120)와 접촉하는 부위에 모래(121)가 비 통과되는 상태로 수분을 배출 가능한 그물층(16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구조는, 수분이 통과 가능하며 모래(121)는 비 통과되는 구조의 그물층(160) 상단에 모래(121)가 위치하고, 하단으로 배수홀(151)이 다수개 형성되어 있는 배수 공간(150)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스키 또는 썰매를 등을 타기 위한 경사면(110)을 유지한 상태로 하단에 단위 팰릿들(131, 132)이 경사면(110)에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구조로서, 우천시에 내리는 비 또는 모래(121)가 머금고 있는 수분이 모래(121)를 관통하여 단위 팰릿들(131, 132)의 하단으로 이동할 수 있고, 안정적으로 수분을 배출할 수 있다.
도 2에서는, 각각의 구성을 설명을 위하여 2개의 단위 팰릿들(131, 132)이 비 결합된 상태로 위치하고, 그물층(160)이 배수 공간(150)가 비 결합 또는 비 접촉된 상태로 위치한 것으로 묘사하고 있으나, 실제 각각의 구성들은 서로 결합 또는 접촉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2개의 단위 팰릿들(131, 132) 보다 더 많은 수가 팰릿부(130)를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도 3을 도 1과 함께 참조하면, 배수부(140)는 팰릿부(130)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수직 배수관들(141, 142) 및 수직 배수관들(141, 142)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평 배수관들(143, 144)을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배수관들(141, 142) 및 수평 배수관들(143, 144)의 형상은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U'자 형상의 수분 유동부(170)를 포함하는 구조로서, 수분이 경사면(110)을 따라 하강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수직 배수관들(141, 142)은, 서로 인접하여 결합 또는 접착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으며, 팰릿부(130)에 포함되는 단위 팰릿들(131, 132) 중에서 하나의 단위 팰릿(131)의 크기에 대응하여 배치개수가 결정될 수 있고, 수평 배수관들(143, 144)은 복수개의 수직 배수관들(141, 142)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 또는 접착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으며, 팰릿부(130)에 포함되는 단위 팰릿 들 (131. 132) 각각의 사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도 3의 구조에서 수분은 화살표로 표시된 수분 유동 방향(300)과 같이 수직 배수관들(141, 142)을 따라 하강하며, 수평 배수관들(143, 144)에 집수된 수분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여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는 동일한 구조의 배수관들(도시하지 않음)을 따라 배출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수평 배수관(143)에는 수직 배수관들(141, 142)과 결합되는 부위에 수분이 유동될 수 있는 복수개의 유동홈(18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또한, 각각의 구성을 설명을 위하여 수평 배수관들(143, 144)이 수직 배수관들(141, 142)에 비 결합 또는 비 접촉된 상태로 위치한 것으로 묘사하고 있으나, 실제 각각의 구성들은 서로 결합 또는 접촉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에는 도 2 및 3의 팰릿부 및 배수부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도 2 및 3과 함께 참조하면, 단위 팰릿(131) 하나의 크기에 따라 수직 배수관들(141, 142)이 복수개 배치되고, 상하로 인접한 단위 팰릿들(131, 132) 사이에서 수직 배수관(141, 142)의 일측 단부에 수평 배수관(143)이 결합 또는 접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평 배수관(143)은 단위 팰릿들(131, 132)이 반복되는 사이사이에 결합 또는 접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수평 배수관(143)은 좌우로 인접한 다른 단위 팰릿(도시하지 않음)에 연장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수직 배수관들(141, 142) 및 수평 배수관(143)의 배치 개수 또는 길이 등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모식도는 샌드보드장(100)의 상단에서 하단 방향으로 바라본 모식도 이므로, 도면 4를 기준으로 정면에 단위 팰릿들(131, 132)이 위치하고, 단위 팰릿들(131, 132) 내측으로 수직 배수관들(141, 142) 및 수평 배수관(143)이 위치하는 구조로 이해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팰릿부 및 배수부의 배치 구조를 나타내는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도 4와 마찬가지로 단위 팰릿(231) 하나의 크기에 따라 수직 배수관들(241, 242)이 복수개 배치되고, 상하로 인접한 단위 팰릿들(231, 232) 사이에서 수직 배수관(241, 242)의 일측 단부에 수평 배수관(243)이 결합 또는 접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평 배수관(243)은 단위 팰릿들(231, 232)이 반복되는 사이사이에 결합 또는 접착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최외각에 위치하는 수직 배수관들(245, 246)은 상하로 인접한 단위 팰릿들(231, 232)과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되어 있고, 수평 배수관(243)의 양측 단부에와 최외각에 위치하는 수직 배수관들(245, 246)이 결합되는 부위에 수분이 유동될 수 있는 유동홈들(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에 예시되어 있는 경사면(110)의 기울이가 일정한 구간에 대해서는, 최외각에 위치하는 수직 배수관들(245, 246)이 연속해서 이어지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구조는 단위 팰릿들(231, 232)의 배치 개수 또는 경사면(110)의 기울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경사면(110)의 기울기에 따라 수평 배수관(243)이 복수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구조 또한 가능하며, 수직 배수관들(241, 242) 및 수평 배수관(243)의 배치 개수 또는 길이 등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한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샌드보드장
110: 경사면
120: 미끄럼부
121: 모래
130: 팰릿부
131, 132, 231, 232: 단위 팰릿
140: 배수부
141, 142, 241, 242: 수직 배수관
245, 246: 최외각 수직 배수관
143, 144, 243: 수평 배수관
150: 배수 공간
151: 배수홀
160: 그물층
170: 수분 유동부
180: 유동홈
300: 수분 유동 방향

Claims (8)

  1. 자연상태 또는 인공상태의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고, 상단에 미끄럼이 가능한 모래 또는 인공재료를 포함하는 미끄럼부;
    상기 미끄럼부의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모래 또는 상기 인공재료에 스며든 수분을 하부로 배출하는 팰릿(pallet)부; 및
    상기 팰릿부 하단에 위치하고, 상기 팰릿부로부터 배출된 수분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패릿부에 접촉되는 복수개의 수직 배수관 및 상기 수직 배수관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수평 배수관을 포함하는, 샌드보드장.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팰릿부는, 적어도 둘 이상의 단위 팰릿들을 포함하여, 상기 단위 팰릿들이 결합되어 있는 구조인, 샌드보드장.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단위 팰릿들은, 각각 내부에 배수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부 또는 하부에 다수의 배수홀이 형성되어 있으며, 미끄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상기 모래 또는 상기 인공재료가 비 통과되는 상태로 수분을 배출 가능한 그물층을 포함하는, 샌드보드장.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수관 및 상기 수평 배수관은, 수직 단면을 기준으로 'U'자 형상의 수분 유동부를 포함하는, 샌드보드장.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직 배수관은, 서로 인접하여 결합 또는 접착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팰릿부에 포함되는 단위 팰릿 하나의 크기에 대응하여 배치개수가 결정되는, 샌드보드장.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평 배수관은, 상기 복수개의 수직 배수관들의 일측 또는 양측 단부에 결합 또는 접착되는 구조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팰릿부에 포함되는 단위 팰릿들 각각의 사이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샌드보드장.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수평 배수관은, 상기 수직 배수관들과 결합되는 부위에 수분이 유동될 수 있는 유동홈을 포함하는, 샌드보드장.
KR1020170095180A 2017-07-27 2017-07-27 샌드보드장 KR1020746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80A KR102074674B1 (ko) 2017-07-27 2017-07-27 샌드보드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5180A KR102074674B1 (ko) 2017-07-27 2017-07-27 샌드보드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356A KR20190012356A (ko) 2019-02-11
KR102074674B1 true KR102074674B1 (ko) 2020-02-07

Family

ID=65369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5180A KR102074674B1 (ko) 2017-07-27 2017-07-27 샌드보드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67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64828B2 (ja) * 1993-03-19 1999-10-18 株式会社大林組 人工スキー場の融雪装置
KR100371385B1 (ko) 2000-07-12 2003-02-06 김종민 실내 스키 구조물
KR20050074347A (ko) * 2005-05-20 2005-07-18 강희정 전천후 건식 스키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2356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7609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snow from melting and for packing snow in artificial ski facility
US3815901A (en) Ski arena
KR102074674B1 (ko) 샌드보드장
FI62223C (fi) Element
FI124362B (fi) Rakennus
EP1850926B1 (en) Indoor ski slope
US20080034672A1 (en) Under-plank for watertight balcony sub-floor system
KR20050074347A (ko) 전천후 건식 스키장
US20140038752A1 (en) Concrete sport court with embedded heating
KR200455114Y1 (ko) 실내 스키장용 슬라이딩 매트
ES2952100T3 (es) Campo deportivo y métodos para formar y operar el mismo
DE1961816A1 (de) Kuenstliche Rasenanlage
FI128770B (fi) Menetelmä lumen varastoimiseksi ja lumivarasto
JPH1122218A (ja) 多目的室内人工スキー場施設
Qiao et al. Design towards the conversion between land sports and ice sports in infield space of arena
JP2528428B2 (ja) トンネルを利用した地下スポ―ツ施設
DK1082506T3 (da) Stadion med arena, såsom en sköjtebane, og omgivende tribuner til tilskuere, og kanalelement til et kanalsystem i et stadion, såsom en sköjtebane, og omgivende tribuner til tilskuere
JPH04306370A (ja) 人工スキー場並びにその製造方法
JPH0480406A (ja) 水を利用した人工スキー場の滑走用床
US6672083B2 (en) Integrated mini ice sheets
JPH0454987A (ja) 水を利用した人工スキー場の滑走用床
KR20050011991A (ko) 사계절 스키장
Kennedy et al. Shock waves
Lintzén Snowmaking and snowstorage
JPH0473303A (ja) 水を利用した人工スキー場の滑走用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