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366B1 -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366B1
KR102074366B1 KR1020190066925A KR20190066925A KR102074366B1 KR 102074366 B1 KR102074366 B1 KR 102074366B1 KR 1020190066925 A KR1020190066925 A KR 1020190066925A KR 20190066925 A KR20190066925 A KR 20190066925A KR 102074366 B1 KR102074366 B1 KR 1020743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unit
compartment
brush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6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원진
권태훈
Original Assignee
엠넥스텍 주식회사
권원진
권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넥스텍 주식회사, 권원진, 권태훈 filed Critical 엠넥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669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3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3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3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6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rot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39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교환이 필요없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실내외 접촉 부분에 형성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본체부;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실외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청정공기로 실내로 유출하는 필터부; 및 필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는 청소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Ventilation type air purification system}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터교환이 필요없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창문의 일측에 부착되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은,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키고자 하는 경우 우선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킨 이후 상기 유입된 공기에 대하여 공기청정 동작을 수행하므로, 환기에 있어서는 공기청정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도 창문을 열어 환기를 시킬 때 외부 공기가 필터링 되면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공기청정 본연의 기능은 유지하면서 환기의 효율 또한 동시에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하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74880호(2019.04.26. 등록)는 창문용 털필터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외곽틀의 내부공간에 복수의 통공을 갖는 방충망이 설치된 창문; 및 방충망에 배치되고 복수의 기공에 털이 식모된 포지;를 포함하고, 털은 플러스 전하로 대전되는 제1섬유와, 마이너스 전하로 대전되는 제2섬유가 혼합되되, 털은 마찰전기의 대전이 강하게 이루어지도록 플러스전하로 대전되는 정도와 마이너스전하로 대전되는 정도를 나타내는 대전열에서 가능한 한 멀리 떨어져 있는 두 개의 물질이 동일 개수로 혼합되며, 두 개의 물질은 플러스 전하용으로의 나일론섬유와 마이너스 전하용으로의 테프론을 이용하여 제작된 나일론섬유 재질의 털과 테프론 재질의 털이 혼합되고, 포지에 털을 식모하는 방법으로는 정전식모를 이용하며, 이러한 정전식모 방법은 한 쌍의 평행평판전극을 일정간격 이격시켜 상하로 설치하고 하부전극을 접지시키며 그 위에 미소물체(털)를 재치하여 상부전극에 직류고전압을 인가하여, 미소물체(털)가 유전체이면 전계내에서 분극하여 상부전극에 가까운 쪽에는 음전하가 생기고 먼 쪽에는 양전하가 생겨 미소물체(털)의 상단은 상방으로 하단은 하방으로 흡인력을 받아 직립하게 되면서, 하단전하가 하부전극 간에 도전이 되어 중화가 되면 그 사이의 흡인력은 사라져서 미소물체는 상방으로 비상하여 식모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00302호(2017.01.20 등록)는 필터가 장착된 창문형 환풍기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창문형 환풍기에 있어서, 내부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이 장착된 본체와, 본체에 착탈식으로 설치되며, 팬의 전방측에 배치되는 필터와, 필터의 전방측의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본체의 측면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필터에 도달하도록 형성된 공기흡입부와, 필터의 전면으로부터 상기 공기흡입부만큼 이격되어 상기 본체 전면부에 형성된 본체커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에 구비되는 필터가 예를들어, 일반적인 HEPA인 경우에는, 우천시에 습기를 흡수하게 되면 필터 고유의 기능 유지가 어려워지므로 우천시 사용이 불가하다. 또한 일정기간 사용 후 누적된 실외오염물질을 공기로 세척하여 재사용하거나 새로운 필터로 교체해야만 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974880호 한국등록특허 제10-170030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교환이 필요없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실내외 접촉 부분에 형성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실외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청정공기를 실내로 유출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는 청소부를 포함하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는, 실외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격실; 청정공기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격실; 상기 유입격실 중 실외에 접촉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실외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 및 상기 유출격실 중 실내에 접촉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청정공기를 실내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은, 상기 유출구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유출격실로부터 실내로 유출되는 청정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주기 위한 히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격실 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입격실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원통형의 필터; 상기 유입격실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필터모터; 상기 유입격실과 접하는 상기 유출격실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의 외부에 있는 실외공기를 상기 필터의 내부로 유입시켜 청정공기를 상기 유출격실로 유출하기 위한 팬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격실의 일측 상부 및 다른 일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두 개의 필터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는, 일측단이 밀폐 형성되고 다른 일측단이 개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는, 원통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유입격실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여과공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는, 소결분말 금속필터(sintered powder metal filter), 금속 메쉬필터(metal wire mesh filter), 소결금속 섬유필터(sintered metal fiber filter)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는, 여과공을 구비하는 와이어 메쉬를 복층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와이어 메쉬를 융착시켜 복수의 여과층이 적층되게 형성되는 금속메쉬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금속메쉬필터는, SUS316L 재질, SUS304 재질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필터부(즉, 필터의 원통 측면)에 접촉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브러쉬; 상기 유입격실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브러쉬모터; 및
상기 유입격실의 일측 하부 및 다른 일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두 개의 브러쉬베어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부 및 상기 청소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브러쉬는, 양측단이 각각 브러쉬베어링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바; 상기 회전축바의 외면에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복수 개의 브러쉬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브러쉬모는, 상기 회전축바의 외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복수개의 브러쉬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브러쉬모가 상기 회전축바의 외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 상기 브러쉬모는, 상기 브러쉬모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상기 필터부에 접촉하여 오염물질을 청소하며, 청소 시 낙하하는 오염물질을 나선 형태로 형성된 상기 브러쉬모의 일단으로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유입격실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모를 통해 청소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서랍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은, 상기 본체부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외 접촉 부분과 정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다른 실내외 접촉 부분에 형성되어, 실내공기(실내에서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은, 감시 대상을 감지하여 감지한 데이터를 통보하는 센싱부; 상기 센싱부로부터 통보되는 데이터(즉, 통보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비교 분석결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주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생성시킨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구동부; 감시 대상별로 이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기준데이터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는, 풍량센서, 풍속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실내공기질센서, 실외공기질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필터부, 청소부, 히터부 및 환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며, 구동시에 구동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통보되는 데이터(즉, 통보 데이터)를 메모리부에 저장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은,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알림명령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의 비교 분석결과에 대응하는 알림명령을 기 설정하여 더 저장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로부터 통보되는 데이터(즉, 통보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비교 분석결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알림명령을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알림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로부터 통보되는 데이터(즉, 통보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받아 이에 대응하는 외부기기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통신부는,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로부터 데이터요청신호를 전달받고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통보 데이터를 판독하여 통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가 온도센서이고 상기 구동부가 히터부인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는, 기준온도데이터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온도센서는, 상기 유출격실 내의 청정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기준온도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상기 유출격실 내의 청정공기의 온도가 기준온도데이터 이하인 경우에, 상기 히터부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히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히터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가 실내공기질센서이고 상기 구동부가 환기부인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는, 기준실내공기질데이터 및 환기알림명령을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실내공기질센서는, 실내공기의 질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기준실내공기질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실내공기의 질이 기준실내공기질데이터 이하인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로부터환기알림명령을 판독하여 상기 알림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기준실내공기질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실내공기의 질이 기준실내공기질데이터 이하인 경우에, 상기 환기부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환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환기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가 실외공기질센서이고 상기 구동부가 필터부인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는, 기준실외공기질데이터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실외공기질센서는, 실외공기의 질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기준실외공기질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실외공기의 질이 기준실외공기질데이터 이하인 경우에, 상기 필터부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필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필터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필터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필터모터로 전달하고 상기 필터모터는 상기 필터를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가 실외공기질센서이고 상기 구동부가 청소부인 경우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기준실외공기질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실외공기의 질이 기준실외공기질데이터 이하인 경우에, 상기 필터부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필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필터부로 전달하는 동시에 청소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청소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청소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청소제어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필터모터로 전달하고 상기 브러쉬모터는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모터 및 상기 브러쉬모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청소제어신호 생성횟수 및 브러쉬교체알람명령을 기 설정하여 더 저장해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청소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청소제어신호 생성횟수를 카운트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누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누적된 청소제어신호 생성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1000회) 이상인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브러쉬교체알람명령을 판독하여 상기 알림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브러쉬교체알람명령을 판독하여 상기 알림부로 전달한 이후에 상기 메모리부에 누적된 청소제어신호생성횟수를 리셋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정상구동시간 및 이상알림명령을 미리 더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필터제어신호를 생성한 후에, 상기 필터부로부터 구동시 발생하는 필터출력신호를 수신받아 필터부의 구동을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필터제어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시간을 카운트하며 상기 필터부의 구동시에 발생하는 필터출력신호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카운트를 종료하며, 카운트한 시간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상구동시간 이상인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이상알림명령을 판독하여 상기 알림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로부터 통보되는 데이터가 공기질, 풍량, 풍속인 경우에, 상기 통신부는, 공기질, 풍량,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센싱부로부터 통보되는 데이터가 공기질, 풍량, 풍속인 경우에, 상기 통신부는, 공기질, 풍량,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관제센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제센터는, 지역별로 공기질, 풍량,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관제센터는, 기 설정된 지역범위에 대응하는 공기질, 풍량,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월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알림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공기질, 풍량,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은, 상기 본체부의 외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청소부, 상기 필터부, 상기 히터부, 상기 센싱부, 상기 환기부 및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자가발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가발전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메모리부, 상기 알림부 및 상기 통신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가발전부는,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태양광 셀을 구비하여 직류 전류를 생산하며, 생산된 전류를 집적하여 출력하기 위한 자가발전수단; 및 상기 자가발전수단에서 생산되어 출력되는 전원을 충전하였다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하여 상기 청소부, 상기 필터부, 상기 히터부, 상기 센싱부 , 상기 환기부 및 상기 제어부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필터교환이 필요없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고온, 고압 및 고습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필터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자동으로 청소하고 점검하여 필터의 교체가 필요없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을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히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필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청소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환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을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있는 알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을 제1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10)은, 본체부(110), 필터부(120), 청소부(130)를 포함한다.
본체부(110)는,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실내외 접촉 부분에 형성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내부 공간에 필터부(120) 및 청소부(130)가 구비된다.
필터부(120)는,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실외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청정공기로 실내로 유출한다.
청소부(130)는, 필터부(120)의 일측에 형성되어, 필터부(120)에서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여기서, 실내외 접촉 부분은, 건물에 있어서 실외와 실내 둘 다 접촉되는 부분으로, 예를 들어 창틀, 창문 등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10)은, 필터교환이 필요없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고온, 고압 및 고습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사용이 가능하며, 필터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자동으로 청소하고 점검하여 필터의 교체가 필요없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하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본체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체부(110)는, 유입격실(111), 유출격실(112), 유입구(113), 유출구(114)를 포함한다.
유입격실(111)은, 실외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역할을 가지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 일측에 형성된다.
유출격실(112)은, 청정공기를 유출하기 위한 역할을 가지며, 본체부(110)의 내부 공간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유입격실(111)과 분리된다.
유입구(113)는, 유입격실(111) 중 실외에 접촉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실외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유출구(114)는, 유출격실(112) 중 실내에 접촉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청정공기를 실내로 유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10)은, 히터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히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히터부(140)는, 유출구(114)의 일측에 형성되어, 유출격실(112)로부터 실내로 유출되는 청정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1에 있는 필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필터부(120)는, 필터(121), 필터모터(122), 팬(123)을 포함한다.
필터(121)는, 유입격실(111) 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유입격실(111)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121)는, 일측단이 밀폐 형성되고 다른 일측단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121)는, 필터모터(122)가 결합되는 일측단이 밀폐 형성되고 청정공기가 팬(123)을 통해 유출격실(112)로 유출되는 다른 일측단이 개방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121)는, 원통 측면에 형성되어, 유입격실(111)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복수 개의 여과공(H)을 구비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121)는, 소결분말 금속필터(sintered powder metal filter), 금속 메쉬필터(metal wire mesh filter), 소결금속 섬유필터(sintered metal fiber filter)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121)는, 여과공(H)을 구비하는 와이어 메쉬(M)를 복층으로 적층하고, 적층된 와이어 메쉬(M)를 융착시켜 복수의 여과층이 적층되게 형성되는 금속메쉬필터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금속메쉬필터는, SUS316L 재질, SUS304 재질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필터모터(122)는, 유입격실(111)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필터(121)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모터(122)는, 일측이 유입격실(111)의 일측 상부에 고정 형성되고, 다른 일측이 필터(121)에 연결 형성된다.
팬(123)은, 유입격실(111)과 접하는 유출격실(112)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필터(121)의 외부에 있는 실외공기를 필터(121)의 내부로 유입시켜 청정공기를 유출격실(112)로 유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필터부(120)는, 필터베어링(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필터베어링(124)은, 유입격실(111)의 일측 상부 및 다른 일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두 개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격실(111)은, 필터(121)의 일측단과 필터(121)에 연결 형성되는 필터모터(122)의 사이에 관통홀(A1)을 구비하는 보조격벽(W)이 형성되어, 내륜이 필터(121)의 일측단에 형성된 필터베어링(124)의 외륜이 관통홀(A1)에 고정 형성될 수 있으며 필터(121)와 필터모터(122)는 관통홀(A1)을 통해 연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격실(111)은, 유출격실(112)과 접하는 일측면 상부에 관통홀(A2)을 구비하며, 관통홀(A2)에는, 내륜이 필터(121)의 다른 일측단에 형성된 필터베어링(124)의 외륜이 고정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5는 도 1에 있는 청소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청소부(130)는, 브러쉬(131), 브러쉬모터(133), 브러쉬베어링(134)을 포함한다.
브러쉬(131)는, 필터부(120)(즉, 필터의 원통 측면)에 접촉 형성되어, 필터부(120)에서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유입격실(111) 내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브러쉬모터(133)는, 유입격실(111)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브러쉬(131)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브러쉬베어링(134)은, 유입격실(111)의 일측 하부 및 다른 일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브러쉬(131)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브러쉬(131)의 양단에 두 개가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부(120) 및 청소부(13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형성되어, 청소부(130)는, 필터부(120)에서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브러쉬(131)는, 회전축바(131a), 브러쉬모(131b)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축바(131a)는, 양측단이 각각 브러쉬베어링에 연결 설치된다.
브러쉬모(131b)는, 회전축바(131a)의 외면에 원통 형태로 형성되며, 필터부(12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필터부(120)가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복수 개가 구비된다.
일 실시 예에서, 브러쉬모(131b)는, 회전축바(131a)의 외면에 나선 형태로 복수개 형성되며, 필터부(120)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필터부(120)가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브러쉬모(131b)가 회전축바(131a)의 외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된 경우에, 브러쉬모(131b)는, 브러쉬모(131b)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필터부(120)에 접촉하여 오염물질을 청소하며, 청소 시 낙하하는 오염물질을 나선 형태로 형성된 브러쉬모(131b)의 일단으로 배출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격실(111)은, 보조격벽(W)의 상부에 형성되는 관통홀(A1)의 하부에 관통홀(A3)이 더 형성되며, 내륜이 회전축바(131a)의 일측단에 형성된 브러쉬베어링(134)의 외륜이 관통홀(A3)에 고정 형성된다. 또한, 전술한 필터부(120)의 구성과 유사하게 보조격벽(W)의 관통홀(A3)을 통해 회전축바(131a)와 브러쉬모터(133)가 연결 형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유입격실(111)은, 유출격실(112)과 접하는 일측면 상부에 을 형성되는 관통홀(A2)의 하부에 회전축바(131a)의 다른 일측단에 형성된 브러쉬베어링(134)이 고정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청소부(130)는, 서랍(13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랍(135)은, 유입격실(111)의 하단에 형성되어, 브러쉬모(131b)를 통해 청소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도 6은 환기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서,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10)은, 본체부(110)가 설치되어 있는 실내외 접촉 부분과 정반대 방향에 해당하는 다른 실내외 접촉 부분에 형성되어, 실내공기(실내에서 오염된 공기)를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환기부(15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을 제2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10)은, 센싱부(210), 제어부(220), 구동부(230), 메모리부(240)를 포함한다.
센싱부(210)는, 감시 대상을 감지하여 감지한 데이터를 통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는, 풍량센서, 풍속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실내공기질센서, 실외공기질센서를 포함한다.
제어부(220)는, 센싱부(210)로부터 통보되는 데이터(즉, 통보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비교 분석결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구동제어신호를 생성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부(230)는, 제어부(220)에서 생성시킨 구동제어신호에 따라 구동하는 역할을 수행하며, 전술한 제1예로 설명한 필터부(120), 청소부(130), 히터부(140) 및 환기부(150)가 구동부(230)에 해당되며, 필터부(120), 청소부(130), 히터부(140) 및 환기부(150)의 구성 및 기능은 도 1 내지 도 4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230)는, 필터부(120), 청소부(130), 히터부(140) 및 환기부(150)를 포함한다.
메모리부(240)는, 감시 대상별로 이에 대응하여 구동부(230)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기준데이터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구동부(230)는, 제어부(220)로부터 구동제어신호를 전달받아 구동되며, 구동시에 구동출력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20)는, 센싱부(210)로부터 통보되는 데이터(즉, 통보 데이터)를 메모리부(240)에 저장해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10)은, 제어부(220)로부터 전달되는 알림명령에 따라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240)는, 제어부(220)의 비교 분석결과에 대응하는 알림명령을 기 설정하여 더 저장해두며, 제어부(220)는, 센싱부(210)로부터 통보되는 데이터(즉, 통보 데이터)를 기준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비교 분석결과에 따라 이에 대응하는 알림명령을 메모리부(240)로부터 판독하여 알림부(250)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10)은, 센싱부(210)로부터 통보되는 데이터(즉, 통보 데이터)를 제어부(220)로부터 전달받아 이에 대응하는 외부기기(예를들어, 사용자단말기, 관제센터, 기상청 등)로 전송하기 위한 통신부(2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60)는, 외부기기로부터 데이터요청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220)로 전달하고, 제어부(220)는, 통신부(260)로부터 데이터요청신호를 전달받고 메모리부(240)로부터 통보 데이터를 판독하여 통신부(26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통신부(260)는, 외부기기(예를들어, 사용자단말기, 관제센터, 기상청 등)로 기 설정된 범위 내에서 기측정된 기상데이터(예를들어, 온도데이터, 습도데이터, 공기질데이터)를 요청하며, 외부기기로부터 기상데이터를 수신받아 제어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10)은, 공공의 사용을 목적으로 기 측정된 기상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외부 날씨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부(210)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가 온도센서이고 구동부(230)가 히터부(140)인 경우에, 메모리부(240)는, 기준온도데이터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온도센서는, 유출격실(112) 내의 청정공기의 온도를 측정하여, 제어부(220)로 통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메모리부(240)로부터 기준온도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유출격실(112) 내의 청정공기의 온도가 기준온도데이터 이하인 경우에, 히터부(140)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히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히터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가 실내공기질센서이고 구동부(230)가 환기부(150)인 경우에, 메모리부(240)는, 기준실내공기질데이터 및 환기알림명령을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실내공기질센서는, 실내공기의 질을 측정하여, 제어부(220)로 통보하게 되고, 제어부(220)는, 메모리부(240)로부터 기준실내공기질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실내공기의 질이 기준실내공기질데이터 이하인 경우에, 메모리부(240)로부터 환기알림명령을 판독하여 알림부(25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메모리부(240)로부터 기준실내공기질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실내공기의 질이 기준실내공기질데이터 이하인 경우에, 환기부(150)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환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환기부(150)로 전달하게 된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가 실외공기질센서이고 구동부(230)가 필터부(120)인 경우에, 메모리부(240)는, 기준실외공기질데이터를 기 설정하여 저장해 두며 실외공기질센서는, 실외공기의 질을 측정하여, 제어부(220)로 통보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메모리부(240)로부터 기준실외공기질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실외공기의 질이 기준실외공기질데이터 이하인 경우에, 필터부(120)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필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필터부(120)로 전달하게 되며, 필터부(120)는, 제어부(220)로부터 필터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필터모터(122)로 전달하고 필터모터(122)는 필터(121)를 회전시켜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가 실외공기질센서이고 구동부(230)가 청소부(130)인 경우, 제어부(220)는, 메모리부(240)로부터 기준실외공기질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실외공기의 질이 기준실외공기질데이터 이하인 경우에, 필터부(120)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필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필터부(120)로 전달하는 동시에 청소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청소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청소부(130)는, 제어부(220)로부터 청소제어신호를 전달받아 필터모터(122)로 전달하고 브러쉬모터(133)는 브러쉬(131)를 회전시켜 주게 된다. 이 때 필터모터(122) 및 브러쉬모터(133)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어함이 가능하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240)는, 청소제어신호 생성횟수 및 브러쉬교체알람명령을 기 설정하여 더 저장해두며 제어부(220)는, 청소제어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청소제어신호 생성횟수를 카운트하여 메모리부(240)에 누적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220)는, 메모리부(240)로부터 누적된 청소제어신호 생성횟수가 기 설정된 횟수(예를 들어, 1000회) 이상인 경우에, 메모리부(240)로부터 브러쉬교체알람명령을 판독하여 알림부(250)로 전달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메모리부(240)로부터 브러쉬교체알람명령을 판독하여 알림부(250)로 전달한 이후에 메모리부(240)에 누적된 청소제어신호생성횟수를 리셋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240)는, 정상구동시간 및 이상알림명령을 미리 더 저장하고, 제어부(220)는, 필터제어신호를 생성한 후에, 필터부(120)로부터 구동시 발생하는 필터출력신호를 수신받아 필터부(120)의 구동을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0)는, 필터제어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시간을 카운트하며 필터부(120)의 구동시에 발생하는 필터출력신호를 수신받음과 동시에 카운트를 종료하며, 카운트한 시간이 메모리부(240)에 저장된 정상구동시간 이상인 경우에 메모리부(240)로부터 이상알림명령을 판독하여 알림부(25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가 실외공기질센서이고 구동부(230)가 청소부(130)인 경우에, 메모리부(240)는, 하실외공기질범위데이터, 중실외공기질범위데이터, 상실외공기질범위데이터를 미리 더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20)는, 메모리부(240)로부터 하실외공기질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실외공기의 질이 하실외공기질데이터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필터부(120)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필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필터부(120)로 전달하는 동시에 필터구동시간을 카운트하여 필터부(120)의 가동시간이 1시간인 경우에, 청소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청소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청소제어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청소부(130)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하며 청소부(130)를 구동한지 3분이 지난 경우에, 청소중지신호를 생성하여 청소부(130)의 구동을 중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20)는, 메모리부(240)로부터 중실외공기질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실외공기의 질이 중실외공기질데이터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필터부(120)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필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필터부(120)로 전달하는 동시에 필터구동시간을 카운트하여 필터부(120)의 가동시간이 3시간인 경우에, 청소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청소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청소제어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청소부(130)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하며 청소부(130)를 구동한지 3분이 지난 경우에, 청소중지신호를 생성하여 청소부(130)의 구동을 중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20)는, 메모리부(240)로부터 상실외공기질데이터를 판독하여 통보받은 실외공기의 질이 상실외공기질데이터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필터부(120)를 구동시켜 주기 위한 필터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필터부(120)로 전달하는 동시에 필터구동시간을 카운트하여 필터부(120)의 가동시간이 8시간인 경우에, 청소제어신호를 생성하여 청소부(130)로 전달한다. 또한 제어부(220)는, 청소제어신호를 생성함과 동시에 청소부(130)의 구동시간을 카운트하며 청소부(130)를 구동한지 3분이 지난 경우에, 청소중지신호를 생성하여 청소부(130)의 구동을 중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10)은, 자가발전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가발전부(160)는, 본체부(110)의 외부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필터부(120), 청소부(130), 히터부(140), 환기부(150), 센싱부(210) 및 제어부(2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220)는, 자가발전부(16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메모리부(240), 알림부(250) 및 통신부(260)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자가발전부(160)는, 자가발전수단(161), 배터리수단(162)을 포함한다.
자가발전수단(161)은, 본체부(110)의 외부에 형성되어, 복수개의 태양광 셀을 구비하여 직류 전류를 생산하며, 생산된 전류를 집적하여 출력한다.
배터리수단(162)은, 자가발전수단(161)에서 생산되어 출력되는 전원을 충전하였다가, 제어부(220)의 제어에 의하여 필터부(120), 청소부(130), 히터부(140), 환기부(150), 센싱부(210) 및 제어부(220)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8은 도7에 있는 알림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 예에서, 센싱부(210) 로부터 통보되는 데이터가 공기질, 풍량, 풍속인 경우에, 통신부(260)는, 공기질, 풍량,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260)는, 공기질, 풍량,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관제센터로 전송하며, 관제센터는, 지역별로 공기질, 풍량,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으며, 기 설정된 지역범위에 대응하는 공기질, 풍량,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월별로 데이터베이스화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250)는, 제어부(220)로부터 공기질, 풍량, 풍속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데이터를 전달받아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표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시스템 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
110 : 본체부
120 : 필터부
130 : 청소부
140 : 히터부
150 : 환기부
160 : 자가발전부
210 : 센싱부
220 : 제어부
230 : 구동부
240 : 메모리부
250 : 알림부
260 : 통신부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고 실내외 접촉 부분에 형성되어,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도록 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어, 실외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청정공기를 실내로 유출하는 필터부; 및
    상기 필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는 청소부를 포함하되,
    상기 본체부는,
    실외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격실;
    청정공기를 유출하기 위한 유출격실;
    상기 유입격실 중 실외에 접촉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실외공기를 유입하기 위한 유입구; 및
    상기 유출격실 중 실내에 접촉되는 측면에 형성되어, 청정공기를 실내로 유출하기 위한 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격실 내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유입격실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원통형의 필터;
    상기 유입격실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필터모터;
    상기 유입격실과 접하는 상기 유출격실의 일측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의 외부에 있는 실외공기를 상기 필터의 내부로 유입시켜 청정공기를 상기 유출격실로 유출하기 위한 팬을 포함하며,
    상기 청소부는,
    상기 필터부에 접촉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브러쉬;
    상기 유입격실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를 회전시켜 주기 위한 브러쉬모터;
    상기 유입격실의 일측 하부 및 다른 일측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두 개의 브러쉬베어링; 및
    상기 유입격실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브러쉬를 통해 청소한 오염물질을 포집하여 배출하기 위한 서랍을 포함하며,
    상기 브러쉬는,
    양측단이 각각 상기 브러쉬베어링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축바;
    상기 회전축바의 외면에 나선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필터부에 접촉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가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청소하기 위한 복수 개의 브러쉬모를 포함하며,
    상기 필터모터와 상기 브러쉬모터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유입격실의 일측 상부 및 다른 일측 상부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필터를 회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두 개의 필터베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는,
    일측단이 밀폐 형성되고 다른 일측단이 개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
KR1020190066925A 2019-06-05 2019-06-05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 KR1020743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25A KR102074366B1 (ko) 2019-06-05 2019-06-05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6925A KR102074366B1 (ko) 2019-06-05 2019-06-05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366B1 true KR102074366B1 (ko) 2020-02-06

Family

ID=6956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6925A KR102074366B1 (ko) 2019-06-05 2019-06-05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36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4270A (zh) * 2018-05-29 2018-08-28 湖州湖颖文具用品有限公司 一种高吸墨量的新型毛笔
CN113624470A (zh) * 2021-07-21 2021-11-09 江苏爱舍伦医疗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膜床垫承重测试设备及其测试方法
CN113834159A (zh) * 2021-11-08 2021-12-24 重庆黄牛通风设备有限公司 一种带降噪的通风设备
CN114474026A (zh) * 2022-02-15 2022-05-13 上海广川科技有限公司 双臂机械手
CN114683984A (zh) * 2022-03-31 2022-07-0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侧气囊的汽车座椅靠背和汽车
CN115196328A (zh) * 2022-07-11 2022-10-18 立芯精密智造(昆山)有限公司 旋转吸取机构
CN115463927A (zh) * 2022-08-17 2022-12-13 苏州晶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上下料的智能玻璃清洗设备
CN116787143A (zh) * 2023-08-21 2023-09-22 罗特液压(太仓)有限公司 一种皮囊式蓄能器自动组装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8970A (ja) * 2006-10-04 2008-04-17 Koshin Nawata エアクリーナー
JP5262003B2 (ja) * 2007-07-11 2013-08-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塵装置
KR101700302B1 (ko) 2016-06-27 2017-01-26 김영주 필터가 장착된 창문형 환풍기
KR101974880B1 (ko) 2016-09-02 2019-05-03 김정권 창문용 털필터 공기정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88970A (ja) * 2006-10-04 2008-04-17 Koshin Nawata エアクリーナー
JP5262003B2 (ja) * 2007-07-11 2013-08-14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除塵装置
KR101700302B1 (ko) 2016-06-27 2017-01-26 김영주 필터가 장착된 창문형 환풍기
KR101974880B1 (ko) 2016-09-02 2019-05-03 김정권 창문용 털필터 공기정화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454270A (zh) * 2018-05-29 2018-08-28 湖州湖颖文具用品有限公司 一种高吸墨量的新型毛笔
CN113624470A (zh) * 2021-07-21 2021-11-09 江苏爱舍伦医疗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膜床垫承重测试设备及其测试方法
CN113834159A (zh) * 2021-11-08 2021-12-24 重庆黄牛通风设备有限公司 一种带降噪的通风设备
CN114474026A (zh) * 2022-02-15 2022-05-13 上海广川科技有限公司 双臂机械手
CN114683984A (zh) * 2022-03-31 2022-07-0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侧气囊的汽车座椅靠背和汽车
CN114683984B (zh) * 2022-03-31 2023-11-2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侧气囊的汽车座椅靠背和汽车
CN115196328A (zh) * 2022-07-11 2022-10-18 立芯精密智造(昆山)有限公司 旋转吸取机构
CN115196328B (zh) * 2022-07-11 2024-03-26 立芯精密智造(昆山)有限公司 旋转吸取机构
CN115463927A (zh) * 2022-08-17 2022-12-13 苏州晶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上下料的智能玻璃清洗设备
CN115463927B (zh) * 2022-08-17 2023-12-15 苏州晶洲装备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上下料的智能玻璃清洗设备
CN116787143A (zh) * 2023-08-21 2023-09-22 罗特液压(太仓)有限公司 一种皮囊式蓄能器自动组装设备
CN116787143B (zh) * 2023-08-21 2023-11-17 罗特液压(太仓)有限公司 一种皮囊式蓄能器自动组装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366B1 (ko) 환기형 공기정화시스템
US7419533B2 (en) Separable air purifying apparatus
KR101996058B1 (ko) 인공지능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RU2018127518A (ru) Фильтр в сборе для систем вентиляции, децентрализованная система вентиляции жилых помещений, содержащая фильтр в сборе данного типа, и вентиляционный блок
CN210568936U (zh) 一种节能型空气净化设备
CN105987426A (zh) 室内空气质量控制系统
CN206560406U (zh) 具有空气净化和地面吸尘双重功能的设备
CN111032224B (zh) 导电性过滤器单元、带该过滤器单元的导电性过滤器模块及带该过滤器模块的微尘去除系统
KR20200056092A (ko)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CN109269013A (zh) 滤芯的寿命监测方法和装置
CN207081098U (zh) 智能空气净化器
CN207471724U (zh) 自动收放滤料的空气净化装置
CN104566653A (zh) 一种空调用外置式空气净化装置
CN107621061B (zh) 基于大数据的空气净化方法和智能空气净化装置
CN208115410U (zh) 空气净化广告装置
CN106669315A (zh) 滤筒式焊烟除尘装置
CN206753406U (zh) 一种通过监测空气质量自动开闭的雾霾过滤窗
CN105909560A (zh) 一种智能净化层流罩
CN211695171U (zh) 具有新风自洁装置的室外机
CN214406423U (zh) 一种用于空气滤网寿命自动监测的采集装置
CN211753225U (zh) 一种工业生产用除尘器
KR102089369B1 (ko) 창문용 환기청정기
KR100528847B1 (ko) 공기 청정 필터장치
CN111102654A (zh) 具有新风自洁装置的室外机
CN207849592U (zh) 一种车用家用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