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369B1 - 창문용 환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창문용 환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369B1
KR102089369B1 KR1020190100116A KR20190100116A KR102089369B1 KR 102089369 B1 KR102089369 B1 KR 102089369B1 KR 1020190100116 A KR1020190100116 A KR 1020190100116A KR 20190100116 A KR20190100116 A KR 20190100116A KR 102089369 B1 KR102089369 B1 KR 102089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er
window
ventil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01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태훈
Original Assignee
엠넥스텍 주식회사
권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넥스텍 주식회사, 권태훈 filed Critical 엠넥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001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9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9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the supplied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02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for providing ventilation, e.g. through double windows; Arrangement of ventilation roses
    • E06B2007/023Air flow induced by fan
    • F24F2003/1614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를 교환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창문용 환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창틀프레임과 유리창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정회전 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 역회전 하여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창문용 환기청정기{A ventilation apparatus of window}
본 발명은 창문용 환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터를 교환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창문용 환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환기청정기는 환기설비가 갖추어지지 않은 건물에서 실내로 외부 공기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환기청정기는 일반적으로 실내공기를 환기시키기 위해 건물의 벽체 또는 창틀 구조물에 설치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37259호(2013.02.20 등록)는 실내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필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된 창문형 환기장치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으며,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창틀 프레임에 장착되는 실내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필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된 창문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환기장치는, 실외측으로 외기흡입구와 내기배출구가 형성되며, 실내측으로 상부와 하부에 제1 및 제2환기팬이 설치된 환기키트; 상기 환기키트의 내부에 설치되어 외기와 내기의 열교환을 시키면서, 일부 내기(실내공기)는 다시 실내로 공급하는 열교환기; 상기 환기키트에 설치되어 환기키트의 내부를 내기유통로와 외기유통로로 구획하는 구획판; 상기 열교환기의 상부에 장착되는 제1필터; 상기 열교환기의 하부에 장착되는 제2필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열교환기는 열교환기의 높이 방향으로 이등분하여, 실외측은 내기와 외기가 통하는 통로가 교호로 적층되며, 상기 통로는 대각선 방향으로 형성된 판형상의 열교환부; 실내측은 열교환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두 부분으로 구획되어, 상기 외기유통로 측에 형성된 통로는 폐쇄되어 있으며, 상기 내기유통로 측으로 형성된 통로는 개통되어 있어서, 내기를 흡입하는 제2환기팬을 통해 유입된 내기의 일부를 다시 실내로 유입시키도록 된 통로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4160호(2018.05.29 등록)는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가이드레일을 구비한 창틀과, 창틀에 조립된 후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창짝을 구비한 창호에서, 창짝이 위치하지 않은 공간의 가이드레일 상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창짝 보다 작은 폭을 갖는 청정기창짝을 더 구비하되, 상기 청정기창짝은 가로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측에는 고정창이 형성되고, 상측에는 외기를 도입하여 필터링한 후 실내로 공급하는 공기청정유닛이 설치되며, 상기 청정기창짝은 고정창과 청정기유닛이 구비되는 고정창짝과, 상기 고정창짝에 끼워져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유동창짝으로 분할되고, 상기 공기청정유닛의 내부 상단부에는 롤스크린박스가 고정되며, 상기 롤스크린박스에는 드럼식으로 감겨 내장된 채 당겨 뺄 수 있는 구조의 롤스크린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창짝과 유동창짝의 양측면에는 상기 롤스크린의 폭방향 양단이 끼워질 수 있는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유동창짝의 천정면에는 슬릿형 끼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롤스크린의 상단은 상기 슬릿형 끼움구멍에 끼워진 후 절곡된 다음 유동창짝의 천정 내부에서 고정되며, 상기 고정창짝과 유동창짝 사이에는 팽창스프링이 개재되어 청정기창짝 설치시 자동 높이 맞춤 기능이 구현되며, 상기 유동창짝에는 조임방향으로 회전시 유동창짝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유동창짝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볼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청정기유닛 내부에는 다수의 필터가 상하로 순차 설치되며, 상기 청정기유닛의 내부 바닥면에는 공기흡입용 송풍팬을 구동시키는 팬모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창문용 환기청정기는, 우천시 필터가 습기를 흡수하여 필터 고유의 기능 유지가 어려워져 청정기능이 불가하며,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필터에 실외공기의 오염물질이 누적되기 때문에 필터를 세척하여 재사용하거나, 새로운 필터로 교체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237259호 한국등록특허 제10-1864160호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회전과 역회전 구동이 가능한 팬을 이용하여 필터를 교환하지 않고 반영구적으로 사용 가능한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창틀프레임과 유리창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 및 상기 내부공간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정회전 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 역회전 하여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팬부를 포함하는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태양광 발전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발생된 전기를 전달받아 충전하며, 충전된 전기를 상기 팬부로 공급하기 위한 전기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필터부는, 소결분말 금속필터, 금속 메쉬필터, 소결금속 섬유필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팬부의 정회전 구동시간과 역회전 구동시간을 각각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회전 구동시간과 역회전 구동시간에 따라 상기 팬부의 정회전과 역회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팬부의 정회전 구동시간과 역회전 구동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재질의 필터를 이용하여 실외공기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함으로써, 고온, 고압 및 고습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 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회전과 역회전 구동이 가능한 팬을 이용하여 실외공기가 실내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은 물론, 필터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시켜 별도의 필터 세척 또는 교체 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있는 진동 발생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가 장착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본체부(100), 필터부(200), 팬부(300)를 포함한다.
본체부(100)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창틀프레임(A)과 유리창프레임(B) 사이에 설치되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직사각 기둥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부공간의 일측에 필터부(200)가 장착되고, 내부공간의 다른 일측에 팬부(300)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창틀프레임(A)과 유리창프레임(B)의 사이에 밀착되도록 창틀프레임(A)과 유리창프레임(B)의 사이 공간의 크기 및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내부공간에 장착된 필터부(200)와 팬부(300)를 보호할 수 있도록 단단한 재질(예를 들어, 플라스틱, 금속 등)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실외에 위치되는 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실외공기를 내부공간으로 유입하기 위한 제1 유입공(101) 및 실내에 위치되는 면에 복수개로 형성되어 필터부(200)에 의해 필터링된 청정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기 위한 제2 유입공(102)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양단에 단면이 ‘ㄱ’자 형상의 연결 브라켓이 각각 구비될 수 있으며, 고정볼트를 삽입하여 창틀프레임(A)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본체부(100)는,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으로 세워 창틀프레임(A)과 유리창프레임(B) 사이에 설치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필터부(200)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의 일측에 형성되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역할을 수행하며, 주름 형태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부(200)는, 소결분말 금속필터(sintered powder metal filter), 금속 메쉬필터(metal wire mesh filter), 소결금속 섬유필터(sintered metal fiber filter)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필터부(200)는, 본체부(100) 설치시 실외에 위치되는 방향에 해당하는 본체부(100) 내부공간의 일측에 형성되어, 제1 유입공(101)을 통해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를 바로 필터링해주며, 필터링된 오염물질이 후술할 팬부(300)의 역회전에 의해 실외로 바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오염물질이 팬부(300)가 설치된 내부공간의 다른 일측 방향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팬부(300) 및 후술할 다른 구성요소가 각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악영향을 미치지 않으며, 오염물질이 실내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팬부(300)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의 다른 일측에 복수개로 형성되며, 도 2와 같이 정회전 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 도 3과 같이 역회전 하여 필터부(200)에서 필터링된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한다.
일 실시 예에서, 팬부(300)는, 복수 개의 팬, 팬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 공기의 흐름이 강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팬부(300)는, 역회전시 필터부(200)에서 필터링된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함과 동시에 실내공기도 함께 실외로 배출함으로써, 환기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고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판(110)은, 본체부(100)의 내부공간 중앙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며,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을 일측과 다른 일측으로 분리해준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판(110)은, 일측 방향에 필터부(200)가 설치되고, 다른 일측에는 팬부(300)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고정판(110) 중 팬부(300)가 설치되는 부분은 관통 형성되어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고정판(110)은, 단면이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팬부(300)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필터부(200)가 금속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고온, 고압 및 고습 등의 다양한 환경에서도 청정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팬부(300)의 정회전과 역회전 구동을 통해 실외공기가 실내로 용이하게 유입되도록 함은 물론, 필터부(200)에 부착된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시켜 별도로 필터부(200)를 세척하거나 필터부(200)를 새것으로 교체하는 작업이 필요없으므로 유지관리가 용이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매우 경제적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본체부(100), 필터부(200), 팬부(300), 메모리부(400), 제어부(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부(100), 필터부(200), 팬부(300)는 도 1의 구성요소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고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아래에서 설명한다.
메모리부(400)는, 팬부(200)의 정회전 구동시간과 역회전 구동시간을 각각 설정하여 저장한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400)는, 바람직하게는, 팬부(200)의 정회전 구동시간은 3시간, 역회전 구동시간은 3분으로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로 인해 팬부(200)가 정회전 구동 3시간 후 역회전 구동 3분으로 반복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환기 청정 및 오염물질 배출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제어부(500)는,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팬부(200)의 정회전 구동시간과 역회전 구동시간에 따라 팬부(300)의 정회전과 역회전 구동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500)는,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구동시간에 따라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팬부(200)의 모터에 정방향으로 공급하여 모터를 정방향 회전시켜 주거나,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역방향으로 공급하여 팬부(200)의 모터를 역방향 회전시켜, 팬부(200)의 정회전과 역회전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입력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600)는, 메모리부(400)에 저장된 팬부(300)의 정회전 구동시간과 역회전 구동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600)는, 터치 스크린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터치를 통해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아 제어부(500)로 전달한 후에, 해당 사용자 명령에 대응하는 팬부(300)의 구동시간에 관한 데이터를 제어부(500)로부터 전달받아 화면을 표시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력부(600)는, 예를 들어, 본체부(100) 설치시 실내에 위치되는 본체부(100)의 외부면 중 제2 유입공(102)이 구비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리모컨(미도시), 리모컨 수신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모컨은, 팬부(300)의 정회전 구동과 역회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 신호를 생성시켜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리모컨은, 팬부(300)의 모터 회전방향에 따라 정방향 회전 버튼과 역방향 회전 버튼을 나누어 형성할 수 있으며, 정방향 회전 버튼을 누르면 정방향 회전 명령 신호를 생성시켜 리모컨 수신부로 전달하고, 역방향 회전 버튼을 누르면 역방향 회전 명령 신호를 생성시켜 리모컨 수신부로 전달할 수 있다.
리모컨 수신부는, 리모컨으로부터 송출되는 정방향 회전 명령 신호와 역방향 회전 명령 신호를 수신받아, 제어부(500)로 전달한다.
이때, 제어부(500)는, 리모컨 수신부로부터 전달되는 정방향 회전 명령 신호와 역방향 회전 명령 신호에 따라 팬부(300)의 모터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조절부(700)를 더 포함한다.
조절부(700)는, 본체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창틀프레임(A)과 유리창프레임(B)의 크기에 따라 본체부(1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일 실시 예에서, 조절부(700)는, 안내부재(710), 조절부재(7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내부재(710)는, 본체부(100)의 일측 또는 양측에 형성되어, 조절부재(720)가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조절부재(720)는, 내부가 관통 형성되어 안내부재(710)를 삽입하며, 안내부재(710)를 따라 양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본체부(100)의 길이를 조절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조절부(700)는, 패턴부재, 슬라이드 고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패턴부재는, 안내부재(710)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요철 형상의 패턴으로 구성된다.
일 실시 예에서, 패턴부재는, 슬라이드 고정부재가 볼록한 부분에 위치하면 슬라이드 되고, 조절부재(720)가 정지하였을 때 슬라이드 고정부재가 오목한 부분에 위치하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슬라이드 고정부재는, 조절부재(720)의 내부에 형성되며, 패턴부재의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조절부재(720)를 고정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슬라이드 고정부재는, 스프링, 구슬로 형성될 수 있다. 스프링이 조절부재(720)의 내측에 형성되며, 스프링의 일 말단은 조절부재(720)와 체결하고, 스프링의 다른 일 말단은 구슬과 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부재(720)가 안내부재(71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할 때에, 패턴부재의 볼록한 부분에 의해 구슬이 눌려 스프링이 탄성 압축되며, 볼록한 부분을 지나 오목한 부분에 배치되면 구슬이 오목한 부분에 삽입되어, 조절부재(72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슬라이드 고정부재는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방열부(800)를 더 포함한다.
방열부(800)는, 팬부(3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팬부(3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본체부(100)의 외부로 방열시킨다.
일 실시 예에서, 방열부(800)는, 팬부(300)의 일측과 본체부(100) 내부공간의 다른 일측단 사이에 형성되어, 팬부(300)로부터 발생되는 열을 전달받아 본체부(100)의 외부로 원활하게 방열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방열부(800)는, 다수개의 방열핀으로 형성되어, 공기와 접촉되는 면적을 크게 하여 방열의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밀폐부(900)를 더 포함한다.
밀폐부(900)는, 본체부(100)와 창틀프레임(A) 사이 및 본체부(100)와 유리창 프레임(B) 사이에 각각 구비되어, 본체부(100)와 창틀프레임(A) 사이 및 본체부(100)와 유리창 프레임(B) 사이 틈새를 밀폐시킨다. 이로 인해 필터부(200)를 거치지 않고 창틀프레임(A)과 유리창프레임(B) 사이 틈새로 유입되는 누기를 차단하여 실내공기의 청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부(900)는, 창틀프레임(A) 또는 유리창프레임(B)에 따라 ‘ㅛ’자, ‘ㄱ’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부(900)는, 본체부(100)와 창틀프레임(A) 사이 및 본체부(100)와 유리창 프레임(B) 사이에 완전히 밀착될 수 있도록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밀폐부(900)는, 도면에서 본체부(100)의 좌면과 우면에 각각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본체부(100)의 상면과 하면에도 형성되어, 본체부(100), 창틀프레임(A), 유리창프레임(B)의 사이 전체가 완벽하게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진동 발생부(1000)를 더 포함한다.
진동 발생부(1000)는, 필터부(200)의 일측에 형성되어, 필터부(200)에 진동을 발생시킨다.
즉, 진동 발생부(1000)를 이용하여 필터부(200)에 진동을 발생시켜줌으로써, 필터링된 오염물질이 필터부(200)로부터 털어지게 함과 동시에, 팬부(300)의 역회전에 의한 공기의 흐름을 통해 더욱 효과적으로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할 수 있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 발생부(1000)는, 팬부(300)의 역회전에 의해 오염물질이 실외로 배출되지 않고 필터부(200)에 남아있는 오염물질까지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 발생부(1000)는, 초음파 발생기로서, 초음파를 발생시켜 필터부(200)를 진동시킴으로써, 필터부(200)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털어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진동 발생부(1000)에 의해 오염물질이 털어짐과 동시에 팬부(300)의 역회전 구동에 의해 실외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진동 발생부(10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200)의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설치 위치 및 개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0은 도 9에 있는 진동 발생부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진동 발생부(1000)는, 모터(1010), 회전체(1020)로 이루어진다.
모터(1010)는, 필터부(200)의 일측 방향에 해당하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 형성되어, 회전체(1020)에 구동력을 제공한다.
회전체(1020)는, 일측이 모터(1010)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모터(101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다른 일측이 필터부(200)를 타격하여 진동을 발생시킴으로써, 필터부(200)에 남아있는 오염물질을 털어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체(1020)는, 연질의 재질(예를 들어, 고무 등)로 형성되어, 필터부(2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회전체(1020)는, 다른 일측이 필터부(200)를 타격할 수 있도록 반원 형상, 추 형상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압력감지부(1100), 압력 메모리부(1200), 압력 제어부(1300), 알림부(1400)를 더 포함한다.
압력감지부(1100)는, 본체부(100)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감지한다.
일 실시 예에서, 압력감지부(1100)는, 본체부(100)의 상면, 하면, 좌면, 우면 중 어느 한 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밀폐부(900)에 의해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감지할 수 있다.
압력 메모리부(1200)는, 압력감지부(1100)에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경보하기 위한 기준 압력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한다.
압력 제어부(1300)는, 압력감지부(1100)에서 측정된 압력값이 메모리부(1200)에 저장된 기준 압력값 이하인 경우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켜, 해당 발생시킨 경보 신호를 알림부(1400)에 전달한다.
알림부(1400)는, 압력감지부(1100)에서 감지한 압력값이 메모리부(1200)에 저장된 기준 압력값보다 이하인 경우에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1400)는, 압력 제어부(1300)에서 발생시킨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1400)는, 압력 제어부(1300)에서 발생시킨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경고음을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알림부(1400)는, 압력 제어부(1300)에서 발생시킨 경보 신호를 입력받아 시각적으로 알려주기 위한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니는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본체부(100)에 가해지는 압력값이 기준 압력값 이하인 경우를 감지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줌으로써, 사용자가 본체부(100)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유도하며, 이로 인해 외력, 진동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창틀프레임(A)과 유리창프레임(B) 사이에 설치된 본체부(100)의 고정이 느슨해진 경우 다시 단단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본체부(100)가 창틀프레임(A)과 유리창프레임(B)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하여 파손 및 사고의 위험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8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히터부(1500)를 더 포함한다.
히터부(1500)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의 다른 일측단에 결합되어, 필터부(200)에 의해 필터링된 청정공기의 온도를 상승시켜 실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부(1500)는,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의 다른 일측단과 팬부(300)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부(1500)는, 필터부(200)에 의해 필터링된 청정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키며, 온도가 상승된 청정공기를 본체부(100)의 제2 유입공(102)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동절기에 실내의 환기, 공기정화 뿐만 아니라 난방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부(150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의 히팅코일 및 히팅코일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열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부(1500)는, 세라믹 코팅층이 형성된 히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발생되는 원적외선과 음이온에 의해 건강 증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히터부(1500)는, 다양한 크기 및 형태로 형성되어, 본체부(100)의 내부공간에 결합되어, 청정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킬 수 있다.
도 13 내지 14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예에 따른 창문용 환기청정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3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태양광 발전부(1600), 전기 충전부(1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태양광 발전부(1600)는, 본체부(100)의 외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발생시키며, 발생된 전기를 전기 충전부(1700)로 전달한다.
일 실시 예에서, 태양광 발전부(1600)는, 본체부(100) 중 실외에 위치되는 외부면에 결합되어,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태양광 발전부(1600)는, 태양광을 집광하는 태양광 집광기, 집광된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변환기로 구성될 수 있으며, 광전변환기에서 변환된 전기 에너지를 전기 충전부(1700)로 전달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태양광 발전부(1600)는, 본체부(100)의 길이와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어, 태양광의 집광면적을 넓게 하여 집광효율을 향상시켜줄 수 있으며, 크기 및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서, 태양광 발전부(1600)는, 실외공기의 유입 또는 오염물질의 배출 등의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방해되지 않도록 본체부(100)의 길이방향으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예를 들어, 약 30 ~ 60°)로 비스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태양광 발전부(1600)의 일측이 본체부(100)에 결합되고, 태양광 발전부(1600)의 다른 일측과 본체부(100) 사이에 지지대가 구비되어, 본체부(100)로부터 비스듬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태양광 발전부(1600)는, 태양전지분야에서 널리 이용되는 무기물 형태이거나 염료감응 형태일 수도 있으며, 유기물 형태일 수도 있다. 이와 같은 태양광 발전부(1600)는 일반적인 태양전지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는 기술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전기 충전부(1700)는, 태양광 발전부(1600)로부터 발생된 전기를 전달받아 충전하며, 충전된 전기를 팬부(300)로 공급한다.
일 실시 예에서, 전기 충전부(1700)는, 충전된 전기를 출력할 수 있는 단자 등과 같은 형태의 출력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지닌 창문용 환기청정기(10)는, 자연에너지인 태양광에 의하여 발전되므로 전기의 소모량을 줄이면서 전기료를 절감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창문용 환기청정기
100 : 본체부
101 : 제1 유입공
102 : 제2 유입공
110 : 고정판
200 : 필터부
300 : 팬부
400 : 메모리부
500 : 제어부
600 : 입력부
700 : 조절부
710 : 안내부재
720 : 조절부재
800 : 방열부
900 : 밀폐부
1000 : 진동 발생부
1010 : 모터
1020 : 회전체
1100 : 압력감지부
1200 : 압력 메모리부
1300 : 압력 제어부
1400 : 알림부
1500 : 히터부
1600 : 태양광 발전부
1700 : 전기 충전부
A : 창틀프레임
B : 유리창프레임

Claims (5)

  1.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창틀프레임과 유리창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실외공기가 실내로 유입되도록 하는 본체부;
    상기 내부공간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내부공간으로 유입되는 실외공기의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부;
    상기 내부공간의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정회전 하여 실외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고 역회전 하여 상기 필터부에서 필터링한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하기 위한 복수개의 팬부;
    상기 팬부의 정회전 구동시간과 역회전 구동시간을 각각 설정하여 저장하는 메모리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회전 구동시간과 역회전 구동시간에 따라 상기 팬부의 정회전과 역회전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팬부의 정회전 구동시간과 역회전 구동시간을 조정하기 위한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및
    상기 필터부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진동 발생부를 포함하되,
    상기 진동 발생부는,
    상기 필터부의 일측 방향에 형성되어, 구동력을 제공하기 위한 모터;
    일측이 상기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며, 상기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면서 다른 일측이 상기 필터부를 타격하여 상기 필터부에 진동을 발생시키기 위한 회전체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의 외부면에 형성되어, 상기 본체부에 가해지는 압력값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감지부;
    상기 압력감지부에 감지된 압력값에 따라 경보하기 위한 기준 압력값을 미리 설정하여 저장하는 압력 메모리부;
    상기 압력감지부에서 감지된 압력값이 상기 압력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 압력값 이하인 경우에 경보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압력 제어부;
    상기 압력 제어부로부터 경보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알림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환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외부에 형성되어,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발생시키기 위한 태양광 발전부; 및
    상기 태양광 발전부로부터 발생된 전기를 전달받아 충전하며, 충전된 전기를 상기 팬부로 공급하기 위한 전기 충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환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소결분말 금속필터, 금속 메쉬필터, 소결금속 섬유필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문용 환기청정기.
  4. 삭제
  5. 삭제
KR1020190100116A 2019-08-16 2019-08-16 창문용 환기청정기 KR102089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16A KR102089369B1 (ko) 2019-08-16 2019-08-16 창문용 환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0116A KR102089369B1 (ko) 2019-08-16 2019-08-16 창문용 환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89369B1 true KR102089369B1 (ko) 2020-03-16

Family

ID=69948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0116A KR102089369B1 (ko) 2019-08-16 2019-08-16 창문용 환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686B1 (ko) 2020-03-24 2020-07-08 강성옥 허니콤 필터 환기창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2614A (ko) * 2009-12-23 2011-06-29 푸치 우 개인용 공기 청정기
KR101237259B1 (ko) 2009-01-09 2013-02-27 (주)이엔쓰리 환경 실내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필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된 창문형 환기장치
KR101864160B1 (ko) 2017-06-14 2018-06-04 안성국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
KR20180108975A (ko) * 2017-03-24 2018-10-0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7259B1 (ko) 2009-01-09 2013-02-27 (주)이엔쓰리 환경 실내공기 청정기능을 갖는 필터 및 열교환기가 내장된 창문형 환기장치
KR20110072614A (ko) * 2009-12-23 2011-06-29 푸치 우 개인용 공기 청정기
KR20180108975A (ko) * 2017-03-24 2018-10-05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창문형 공기정화 시스템
KR101864160B1 (ko) 2017-06-14 2018-06-04 안성국 창문 실내외 겸용 공기청정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1686B1 (ko) 2020-03-24 2020-07-08 강성옥 허니콤 필터 환기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14697B (zh) 具备除尘功能的空调装置
CN102836781B (zh) 一种全自动高效静电除尘装置
CN203379993U (zh) 一种壁挂式空调空气净化附加装置
CN111602008A (zh) 可去除灰尘的过滤器构造
CN205897436U (zh) 一种具有加热功能的智能通风净化器
KR102089369B1 (ko) 창문용 환기청정기
JP6498365B1 (ja) 集塵デバイスおよび集塵デバイス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KR20210051675A (ko) 창문형 열교환 환기장치
CN203687274U (zh) 一种具有pm2.5过滤功能的自然通风器
CN202803397U (zh) 全自动高效静电除尘装置
CN208887008U (zh) 一种壁挂式新风机
CN208198129U (zh) 一种户外防尘充电桩
CN105783127A (zh) 一种空气净化器
CN105444323A (zh) 一种窗墙一体化防霾通风器
KR20090112230A (ko) 창틀에 설치되는 열교환식 환기장치
CN113412395B (zh) 室外机空气净化组件以及包括其的微尘净化系统
CN205093072U (zh) 一种屏蔽机柜内部空气调节装置
KR102200834B1 (ko) 급기후드캡 및 내부 미세먼지 오토클린 기능을 갖춘 폐열회수형 환기시스템
KR102654976B1 (ko) 창호용 환기 장치
CN207833311U (zh) 一种综合节能管理控制装置
CN206274202U (zh) 圆形超薄分体壁挂吸顶两用型室内机
CN207897253U (zh) 一种带自动合页的通风过滤网
WO2016093773A1 (en) Device and method for ventilation
CN218781406U (zh) 一种可简易组合的柜式新风机及中大型新风机组
CN214841396U (zh) 一种并联双出口型新风净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