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056B1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056B1
KR102074056B1 KR1020180015497A KR20180015497A KR102074056B1 KR 102074056 B1 KR102074056 B1 KR 102074056B1 KR 1020180015497 A KR1020180015497 A KR 1020180015497A KR 20180015497 A KR20180015497 A KR 20180015497A KR 102074056 B1 KR102074056 B1 KR 102074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ank
tank
cover
cargo
r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5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6423A (ko
Inventor
류스케 다카다
야스미츠 구마
사토시 안도
히로아키 시키네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조우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06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6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 B63B25/1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 B63B25/1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closed heat-insul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Abstract

선박 (10A) 은, 선체 (11) 와, 선체 (11) 의 상갑판 (12) 으로부터 상부 (20a) 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카고 탱크 (20) 와, 카고 탱크 (20) 의 상부 (20a) 를 덮는 탱크 커버 (30) 를 구비한다. 탱크 커버 (30) 는, 카고 탱크 (20) 의 측방에서, 상갑판 (12) 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승부 (31) 와, 상승부 (31) 상에 형성되어, 카고 탱크 (20) 의 상부 (20a) 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부 (34) 와, 상승부 (31) 에 있어서 카고 탱크 (20) 에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주면 (31f) 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재 (35) 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선박{SHIP}
이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이다.
LNG (Liquefied Natural Gas) 등의 액화 가스를 운반하는 선박은, 액화 가스를 수용하는 카고 탱크를 구비하고 있다. 카고 탱크는, 일반적으로, 상부 구조보다 선수측의 화물 탑재 구획 (카고 홀드) 에 배치되어 있다. 카고 탱크는, 그 상부를, 화물 탑재 구획에 형성된 상갑판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선박은, 카고 탱크를 보호하기 위해서, 카고 탱크 중 상갑판보다 상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덮는 탱크 커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탱크 커버는, 상갑판으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오르는 상승부와, 상승부 상에 형성되어, 탱크의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부를 구비하고 있다. 이와 같은 탱크 커버는, 상승부의 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상승부에 있어서 카고 탱크측을 향하는 내면에,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재를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96551호
그런데, 카고 탱크와, 탱크 커버의 상승부 사이에는, 설치 공사나 메인터넌스 작업 등을 실시하기 위해서, 작업원이 진입 가능한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선체의 선폭을 바꾸지 않고, 카고 탱크의 용량을 가능한 한 크게 하고자 하면, 카고 탱크와 탱크 커버의 간극이, 특히 선폭 방향에 있어서 작아지게 된다.
이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카고 탱크의 용량을 증대시키면서 탱크 커버와 카고 탱크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채용한다.
이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선박은, 선체와, 상기 선체의 상갑판으로부터 상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카고 탱크와,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상부를 덮는 탱크 커버를 구비한다. 상기 탱크 커버는, 상기 카고 탱크의 측방에서, 상기 상갑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부와, 상기 상승부에 있어서 상기 카고 탱크측과는 반대측의 외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보강 부재를 상승부의 외면에 형성함으로써, 탱크 커버와 카고 탱크 사이에, 보강 부재를 형성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탱크 커버와 카고 탱크의 간극을 확보하면서, 카고 탱크의 적도 부근의 직경 치수를 크게 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련된 상기 상승부는, 그 상부에, 상기 카고 탱크측의 내면을 따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내측 보강 부재를 형성함으로써, 상승부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보강 부재를 상승부의 상부에 형성함으로써, 탱크 커버와 카고 탱크의 간극에 들어가는 작업원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제 2 양태에 관련된 상기 카고 탱크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직경 치수를 가진 원통상부와, 상기 원통상부 상에 형성되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경 치수가 점차 축소하는 상부 축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내측 보강 부재는, 상기 원통상부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내측 보강 부재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이 점차 축소하는 상부 축경부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상부 축경부는, 상방으로 갈수록 원통상부보다 직경 치수가 작아지기 때문에, 내측 보강 부재에 의해, 카고 탱크의 상부 축경부와의 간극이 좁아지게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3 양태의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련된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상승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설정된 소정의 하부 영역에 형성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상갑판에 가까운 하부 영역에 있어서, 상승부를 유효하게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선박에 의하면, 카고 탱크의 용량을 증대시키면서 탱크 커버와 카고 탱크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 은 이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상기 선박에 형성된 카고 탱크 및 탱크 커버를 선수미 방향으로부터 본 반단면도이다.
도 4 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카고 탱크 및 탱크 커버를 선수미 방향으로부터 본 반단면도이다.
도 5 는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선박의 카고 탱크 및 탱크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선박의 카고 탱크 및 탱크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하,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이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상기 선박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의 선박 (10A) 은, 액화 천연 가스 (LNG) 등의 액화 가스를 적하로서 운반한다. 이 선박 (10A) 은, 선체 (11) 와, 상갑판 (12) 과, 상부 구조 (17) 와, 카고 탱크 (20) 와, 탱크 커버 (30) 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선체 (11) 는, 1 쌍의 현측 (14) 을 가지고 있다. 선체 (11) 는, 주거구를 갖는 상부 구조 (17) 보다 선수 (11c) 측의 1 쌍의 현측 (14) 사이에 화물 탑재 구획 (홀드) (15) 을 구비하고 있다.
상갑판 (12) 은, 외부에 노출되는 전체 통갑판이고, 화물 탑재 구획 (15) 의 상방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다. 화물 탑재 구획 (15) 보다 선미 (11d) 측의 상갑판 (12) 상에, 상기 서술한 상부 구조 (17) 가 형성되어 있다.
카고 탱크 (20) 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로, 그 내부에, 운반 대상인 액화 가스를 수용한다. 카고 탱크 (20) 는, 화물 탑재 구획 (15) 내에, 선체 (11) 의 선수 (11c) 측과 선미 (11d) 측을 연결하는 선수미 방향 (Da) 으로 나열되어 복수 배치되어 있다. 각 카고 탱크 (20) 는, 그 상부 (20a) 를, 선체 (11) 의 상갑판 (12) 보다 상방으로 돌출시켜 형성되어 있다.
도 3 은, 상기 선박에 형성된 카고 탱크 및 탱크 커버를 선수미 방향으로부터 본 반단면도이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카고 탱크 (20) 는, 하부 반구상부 (21) 와, 원통상부 (22) 와, 상부 비진구 형상부 (상부 축경부) (23) 를 구비하고 있다.
하부 반구상부 (21) 는, 카고 탱크 (20) 의 하부에 있어서, 일정한 곡률 반경을 가진 진구 형상으로 되어 있다.
원통상부 (22) 는, 카고 탱크 (20) 의 상하 방향 (Dv) 의 중간부에 형성되고, 하부 반구상부 (21) 의 상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원통상부 (22) 는, 일정한 내경을 가진 원통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 원통상부 (22) 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내경이 점차 증가 또는 감소하는 원추 사다리꼴로 할 수도 있다.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는, 원통상부 (22) 상, 다시 말하면 카고 탱크 (20) 의 상부 (20a) 에 형성되어 있다.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경 치수가 점차 축소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단계적으로 곡률 반경이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는, 그 하방에 형성되고, 곡률 반경 (R1) 을 가진 제 1 만곡부 (23a) 와, 제 1 만곡부 (23a) 의 상방에 형성되고, 곡률 반경 (R1) 보다 큰 곡률 반경 (R2) 을 가진 제 2 만곡부 (23b)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카고 탱크 (20) 는, 상기에 나타낸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카고 탱크 (20) 는,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를 진구상으로 해도 되고, 원통상부 (22) 를 갖지 않는 구형상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서술한 카고 탱크 (20) 의 외표면에는, 외부로부터의 입열을 억제하는 단열재 (도시하지 않음) 가 형성된다.
또한, 카고 탱크 (20) 의 정상부 (20t) 에는,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돔 탑 (25) 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돔 탑 (25) 의 상부에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확대되는 차양부 (26) 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 (30) 는, 카고 탱크 (20) 의 상부 (20a) 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선체 (11) 의 상갑판 (12) 상에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 (30) 는,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를 구비하고 있다.
상승부 (31) 는, 상갑판 (12) 으로부터 상방으로 솟아오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승부 (31) 는, 상하 방향 (Dv) 에 있어서 일정한 내경을 가진 원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상승부 (31)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도 2 참조), 카고 탱크 (20) 의 직경 방향 외측 (측방) 에 간격을 두고, 카고 탱크 (20) 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승부 (31) 의 상단 (31t) 은, 원통상부 (22) 의 상단 (22t) 보다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상부 커버부 (34) 는, 천장면부 (32) 와, 진구 형상부 (33) 를 구비하고 있다.
천장면부 (32) 는, 카고 탱크 (20) 의 정상부 (20t) 에 대향하도록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천장면부 (32) 는, 수평면 내에 위치하는 평면상을 이루고 있다.
천장면부 (32) 의 중앙부에는 개구부 (32h) 가 형성되어 있다. 카고 탱크 (20) 의 정상부 (20t) 에 형성된 돔 탑 (25) 은, 이 개구부 (32h) 를 통하여 상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차양부 (26) 는, 천장면부 (32) 에 대하여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다. 이 차양부 (26) 는, 개구부 (32h) 의 내경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있다.
진구 형상부 (33) 는, 상승부 (31) 와 천장면부 (32) 를 접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진구 형상부 (33) 는, 일정한 곡률 반경 (R4) 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탱크 커버 (30) 의 상승부 (31) 에 있어서 카고 탱크 (20) 에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주면 (외면) (31f) 에는, 상하 방향 (Dv) 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보강 부재 (35)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보강 부재 (35) 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고, 탱크 커버 (30) 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예시하는 보강 부재 (35) 로는, 단면 L 자형을 이룬 L 자상 보강 부재 (35A) 와, 단면 T 자상을 이룬 T 자상 보강 부재 (35B) 가 있다. 여기서, T 자상 보강 부재 (35B) 는, L 자상 보강 부재 (35A) 보다 탱크 커버 (30) 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되고, 탱크 커버 (30) 를 매달 때의 매달기 도구 (도시하지 않음) 를 걸림시키기 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L 자상 보강 부재 (35A) 와, T 자상 보강 부재 (35B) 의 배치는, 도 3 에 나타내는 배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에 의하면, 보강 부재 (35) 를 상승부 (31) 의 외주면 (31f) 에 형성함으로써, 탱크 커버 (30) 와 카고 탱크 (20) 사이에, 보강 부재 (35) 를 형성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결과, 카고 탱크 (20) 의 용량을 증대시키면서 탱크 커버 (30) 와 카고 탱크 (20) 의 간극 (100S) 을 확보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설명하는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내측 보강 부재 (36) 를 구비한 구성만이 상이하기 때문에, 제 1 실시형태와 동일 부분에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함과 함께,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도 4 는, 이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의 카고 탱크 및 탱크 커버를 선수미 방향으로부터 본 반단면도이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선박 (10B) 은, 선체 (11) 와, 카고 탱크 (20) 와, 탱크 커버 (30) 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탱크 커버 (30) 는, 카고 탱크 (20) 의 상부 (20a) 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선체 (11) 의 상갑판 (12) 상에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 (30) 는, 상승부 (31) 와, 상부 커버부 (34) 를 구비하고 있다.
탱크 커버 (30) 는, 상승부 (31) 에 있어서, 그 카고 탱크 (20) 에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주면 (31f) 에, 복수의 보강 부재 (35) 를 구비하고 있다. 각 보강 부재 (35) 는, 상하 방향 (Dv) 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됨과 함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탱크 커버 (30) 의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또한, 상승부 (31) 의 상부에 있어서, 카고 탱크 (20) 에 대향하는 측의 내주면 (내면) (31g) 에는, 내측 보강 부재 (36) 가 형성되어 있다. 내측 보강 부재 (36) 는, 탱크 커버 (30) 내에서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내측 보강 부재 (36) 는, 원통상부 (22) 보다 상방에 있어서,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의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내측 보강 부재 (36) 는, 작업원이 설치 작업이나 메인터넌스 작업을 실시하기 위해서 왕래하는 통로나 족장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보강 부재 (35) 는, 내측 보강 부재 (36) 보다 하방에 형성되고, 상승부 (31) 의 하단 (31b) 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설정된 소정의 하부 영역 (A) 에 형성되어 있다. 이 하부 영역 (A) 은, 예를 들어, 높이 방향에 있어서, 상승부 (31) 의 아래 절반을 적어도 포함하는 영역으로 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영역 (A) 은, 선폭 방향에 있어서 카고 탱크 (20) 와 상승부 (31) 가 특히 접근하고 있는 영역으로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제 2 실시형태의 선박 (10B) 에 의하면, 보강 부재 (35) 를 상승부 (31) 의 외주면 (31f) 에 형성함으로써, 탱크 커버 (30) 와 카고 탱크 (20) 사이에, 보강 부재 (35) 를 형성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탱크 커버 (30) 와 카고 탱크 (20) 의 간극 (100S) 을 확보하면서, 카고 탱크 (20) 의 직경 치수를 크게 하고, 카고 탱크 (20) 의 용량을 가능한 한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보강 부재 (36) 를 형성함으로써, 상승부 (31) 를 보강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보강 부재 (36) 가 상승부 (31) 의 상부에 형성됨으로써, 탱크 커버 (30) 와 카고 탱크 (20) 의 간극 (100S) 에 들어가는 작업원의 방해가 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보강 부재 (36) 는, 원통상부 (22) 보다 상방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내측 보강 부재 (36) 는,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경 방향이 점차 축소하는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의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그 때문에, 내측 보강 부재 (36) 에 의해, 카고 탱크 (20) 의 상부 비진구 형상부 (23) 와의 간극 (100S) 이 좁아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내측 보강 부재 (36) 를 작업원용의 통로나 족장으로서 이용하면서, 상승부 (31) 를 보강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전용의 통로나 족장을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탱크 커버 (30) 의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보강 부재 (35) 는, 내측 보강 부재 (36) 보다 하방에 있어서, 상승부 (31) 의 하단 (31b) 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설정된 소정의 하부 영역 (A) 에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갑판 (12) 에 가까운 하부 영역 (A) 에 있어서, 상승부 (31) 를 유효하게 보강할 수 있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상기 서술한 각 실시형태에서는, 각 카고 탱크 (20) 에, 각각 탱크 커버 (30) 를 형성하도록 했지만,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도 5 는,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선박의 카고 탱크 및 탱크 커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은, 상기 실시형태의 변형예에 있어서의 선박의 카고 탱크 및 탱크 커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박 (10C) 은, 선체 (11) 와, 카고 탱크 (20) 와, 탱크 커버 (30C) 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다.
탱크 커버 (30C) 는, 카고 탱크 (20) 의 상부 (20a) 를 상방으로부터 덮도록, 선체 (11) 의 상갑판 (12) 상에 형성되어 있다. 탱크 커버 (30C) 는, 이른바 연속 탱크 커버이고, 선수미 방향 (Da) 을 따라 연속해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선수미 방향 (Da) 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카고 탱크 (20) 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탱크 커버 (30C) 는, 상승부 (31C) 와, 상부 커버부 (34C) 를 구비하고 있다.
도 5,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탱크 커버 (30C) 의 상승부 (31C) 에 있어서 카고 탱크 (20) 에 대향하는 측과는 반대측의 외측면 (외면) (31h) (도 6 참조) 에는, 상하 방향 (Dv) 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보강 부재 (35C) 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보강 부재 (35C) 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선수미 방향 (Da) 으로 연속하고 있다.
이와 같은 선박 (10C) 에 의하면, 보강 부재 (35C) 를 상승부 (31C) 의 외측면 (31h) 에 형성함으로써, 선수미 방향 (Da) 으로 연속하는 탱크 커버 (30C) 와 각 카고 탱크 (20) 사이에, 보강 부재 (35C) 를 형성하는 스페이스를 확보할 필요가 없어진다. 따라서, 탱크 커버 (30C) 와 카고 탱크 (20) 의 간극 (100S) 을 확보하면서, 카고 탱크 (20) 의 직경 치수를 크게 하고, 카고 탱크 (20) 의 용량을 가능한 한 많게 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변형예에서는, 보강 부재 (35C) 를 상승부 (31C) 의 외측면 (31h) 에 형성하도록 했지만, 각 카고 탱크 (20) 의 선폭 방향 양측에서 탱크 커버 (30C) 와 카고 탱크 (20) 의 간극 (100S) 이 작은 부분에 있어서만, 보강 부재 (35C) 를 상승부 (31C) 의 외측면 (31h) 에 형성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보강 부재 (35C) 를 탱크 커버 (30C) 의 내면을 따라 형성하도록 해도 된다.
(그 밖의 변형예)
이 발명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이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다양한 변경을 가한 것을 포함한다. 즉, 실시형태에서 예시한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성 등은 일례에 지나지 않고, 적절히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서술한 제 1 실시형태의 상승부 (31) 의 외주면 (31f) 중 보강 부재 (35) 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상승부 (31) 의 내면에도 보강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동일하게, 제 2 실시형태의 상승부 (31C) 의 외측면 (31h) 중 보강 부재 (35C) 가 형성된 부분에 있어서, 상승부 (31C) 의 내면에도 보강 부재를 형성할 수도 있다.
이들의 경우, 상승부 (31, 31C) 의 내면에 형성하는 보강 부재는, 상승부 (31) 의 외주면 (31f), 상승부 (31C) 의 외측면 (31h) 에 형성하는 보강 부재 (35, 35C) 보다, 카고 탱크 (20) 측으로의 돌출량이 작아지도록 하면 된다. 이에 의해, 상승부 (31, 31C) 의 내면에 형성한 보강 부재에 의한 보강 효과를 얻으면서, 탱크 커버 (30, 30C) 와 상승부 (31, 31C) 의 간극 (100S) 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선박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카고 탱크의 용량을 증대시키면서 탱크 커버와 카고 탱크의 간극을 확보할 수 있다.
10A, 10B, 10C ; 선박
11 ; 선체
11c ; 선수
11d ; 선미
12 ; 상갑판
14 ; 현측
15 ; 화물 탑재 구획
17 ; 상부 구조
20 ; 카고 탱크
20a ; 상부
20t ; 정상부
21 ; 하부 반구상부
22 ; 원통상부
22t ; 상단
23 ; 상부 비진구 형상부 (상부 축경부)
23a ; 제 1 만곡부
23b ; 제 2 만곡부
25 ; 돔 탑
26 ; 차양부
30, 30C ; 탱크 커버
31, 31C ; 상승부
31b ; 하단
31f ; 외주면 (외면)
31g ; 내주면 (내면)
31h ; 외측면 (외면)
31t ; 상단
32 ; 천장면부
32h ; 개구부
33 ; 진구 형상부
34, 34C ; 상부 커버부
35, 35C ; 보강 부재
35A ; L 자상 보강 부재
35B ; T 자상 보강 부재
36 ; 내측 보강 부재
100S ; 간극
A ; 하부 영역
Da ; 선수미 방향
Dv ; 상하 방향

Claims (4)

  1. 선체와,
    상기 선체의 상갑판으로부터 상부가 돌출되도록 형성된 카고 탱크와,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상부를 덮는 탱크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카고 탱크는, 상하 방향으로 일정한 직경 치수를 가진 원통상부와, 상기 원통상부 상에 형성되고, 하방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직경 치수가 점차 축소하는 상부 축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 커버는,
    상기 카고 탱크의 측방에서, 상기 상갑판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상승부와,
    상기 상승부 상에 형성되어,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상부를 상방으로부터 덮는 상부 커버부와,
    상기 상승부에 있어서 상기 카고 탱크측과는 반대측의 외면에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강 부재와,
    상기 상승부에 있어서 상기 카고 탱크측의 내면에 형성되고,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 보강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탱크 커버에 있어서의 상기 상승부의 상단은, 상기 카고 탱크에 있어서의 상기 원통상부의 상단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내측 보강 부재는, 상기 상승부의 상기 내면 중에서, 상기 카고 탱크의 상기 원통상부보다 상방의 영역에만 형성되어 있는 선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의 상기 외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보강 부재는, 상기 외면 중에 있어서, 상기 상승부의 하단으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설정된 소정의 하부 영역에만 형성되고,
    상기 하부 영역은, 상기 내측 보강 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위치보다 하방인 선박.
  3. 삭제
  4. 삭제
KR1020180015497A 2017-07-10 2018-02-08 선박 KR1020740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4899 2017-07-10
JP2017134899A JP6751692B2 (ja) 2017-07-10 2017-07-10 船舶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6423A KR20190006423A (ko) 2019-01-18
KR102074056B1 true KR102074056B1 (ko) 2020-02-05

Family

ID=65323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5497A KR102074056B1 (ko) 2017-07-10 2018-02-08 선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751692B2 (ko)
KR (1) KR1020740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2126A1 (ko) * 2014-03-21 2015-09-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상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6162908A1 (ja) * 2015-04-08 2016-10-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舶用液化ガスタンク及びそれを備える液化ガス運搬船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23795U (ko) * 1988-02-09 1989-08-23
JP4119813B2 (ja) 2003-09-24 2008-07-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ンクカバー及び船舶
JP5180897B2 (ja) * 2008-08-29 2013-04-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液化ガス運搬船
JP5646853B2 (ja) * 2010-01-20 2014-12-24 ジャパンマリンユナイテッド株式会社 船舶
JP2012056429A (ja) * 2010-09-08 2012-03-22 Mitsubishi Heavy Ind Ltd 液化ガス運搬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42126A1 (ko) * 2014-03-21 2015-09-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지상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
WO2016162908A1 (ja) * 2015-04-08 2016-10-13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舶用液化ガスタンク及びそれを備える液化ガス運搬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14439A (ja) 2019-01-31
JP6751692B2 (ja) 2020-09-09
KR20190006423A (ko) 2019-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03900B2 (ja) 液化ガス運搬船
KR102010422B1 (ko) 선박용 액화가스 탱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2074056B1 (ko) 선박
US20100147250A1 (en) Pist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1566184A (zh) 夹子
KR101777462B1 (ko) 운반선
KR102246400B1 (ko) 데크 배치 탱크 구조, 선박, 탱크의 고정 설치 방법 및 점검 방법
CN108131177A (zh) 合成树脂制罩的排放螺母安装构造
US10487776B2 (en) Piston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6721545B2 (ja) 船舶
KR20190006424A (ko) 선박
KR102046703B1 (ko) 선박
KR102259443B1 (ko) 선박
US10450039B2 (en) Non-spherical tank and liquefied gas carrier ship equipped with the non-spherical tanks
KR102017220B1 (ko) 선박용 액화가스 탱크 및 그것을 구비하는 액화가스 운반선
KR102280713B1 (ko) 선박용 탱크 커버 및 이를 구비한 선박
CN111038650A (zh) 搬运船
KR102051734B1 (ko) 선박
KR102658220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 연료 저장탱크의 최적화 배치구조
KR20220135737A (ko) 화물창 내 설치된 독립형 저장탱크를 구비하는 선박
KR20170046236A (ko) Lng 탱크 지지구조 및 이를 포함하는 lng 선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