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825B1 -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 Google Patents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825B1
KR102073825B1 KR1020180000182A KR20180000182A KR102073825B1 KR 102073825 B1 KR102073825 B1 KR 102073825B1 KR 1020180000182 A KR1020180000182 A KR 1020180000182A KR 20180000182 A KR20180000182 A KR 20180000182A KR 102073825 B1 KR102073825 B1 KR 102073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aluronic acid
film
edible
improving
decor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2506A (ko
Inventor
권동건
홍주연
이영모
방지현
만 하
한정아
Original Assignee
(주)진우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우바이오 filed Critical (주)진우바이오
Priority to KR1020180000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825B1/ko
Publication of KR201900825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25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8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6Oral mucosa, e.g. mucoadhesive forms, sublingual droplets; Buccal patches or films; Buccal spra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6Poly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gums, starch, alginate, dextrin, hyaluronic acid, chitosan, inulin, agar or pecti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00Compositions of polysaccharides or of their derivat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1/00 or C08L3/00
    • C08L5/08Chitin; Chondroitin sulfate;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ysi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 건조증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이 용이한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은 (a) 히알루론산염을 용매로 용해시켜 0.1~30.0중량%의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자동 도포기에 주입하고, 0.025~5.0㎜의 두께로 필름을 캐스팅하는 단계; 및 (c) 캐스팅 된 필름을 30~60℃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은 구강 건조증을 개선하기 위해 가글 형태로 사용 후 다시 구강 외로 방출하여야 하는 기존 액상 제품과는 달리, 구강 내 혀 위 부착을 통해 수분과 접촉되어 겔화(Gelation)된 후 수면 시간 동안 일부 히알루론산이 체내 흡수되면서 서서히 붕괴되어 수분을 방출하기 때문에 구강 당김 등과 같은 사용 시 거부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는 구강 건조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이 건조된 필름 형태로 히알루론산염의 미생물 오염에 대한 염려가 전혀 없어 제품 생산, 관리, 유통 및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Description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Preparation Method of Edible Hyaluronate Film for Improving Xerostomia by Automatic Control Coater and Edible Hyaluronate Film for Improving Xerostomia prepared Thereof}
본 발명은 구강 건조증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량 생산이 용이한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구강 건조증은 입안이 마르는 주관적인 증상으로서, 타액(침) 분비의 감소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구강 건조증의 유병률은 연구결과마다 상이하나 나이가 많을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화와 상관없이 약물섭취에 의해 구강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항우울제, 고혈압제제, 기관지 확장제, 항히스타민제, 신경안정제, 진통제 등을 포함한 600여종 이상의 약물이 구강 건조증을 유발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쇼그렌 증후군과 같은 면역 질환자, 방사선 치료자, 항암화학요법 환자, 혈액투석 환자들에서도 타액선에 손상을 입어 구강건조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
구강건조증이 발생하면 미각의 통증과 연하곤란(삼킴 장애) 등을 유발할 수 있고, 마른음식 섭취 시 불편함을 호소하기도 한다. 또한 침 분비감소에 의해 구강 내 감염의 가능성이 높아져 캔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와 같은 진균 감염을 유발 할 뿐만 아니라, 치아 우식증, 치주질환, 구취 등을 유발할 수도 있다.
구강건조증이 미약한 경우에는 수분섭취를 늘리고, 물로 입안을 축이거나, 카페인, 알코올, 흡연, 자극적인 음식의 섭취를 자제하는 등의 자가 요법으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으나 타액 분비 기능에 장애가 발생하거나 타액선에 손상이 있는 경우에는 약물복용으로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러한 경우 피로카루핀(Pilocarpine), 세비멜린(Cevimeline) 등과 같은 타액촉진 약물(부교감신경 자극제)을 이용하여 치료를 받는데 이들 부교감신경 자극제의 사용은 구역질, 오한, 빈료, 현기증 등의 전신적 부작용을 발생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만성 호흡기 질환, 심혈관계 질환, 신장 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
구강 건조증을 치료할 수 있는 또 다른 방법으로 인공타액(액상 형태의 가글 또는 스프레이)과 같은 타액 대체재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이들 타액 대체재는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있으며, 환자가 꾸준히 사용하면 구강 건조증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고, 약물 섭취에 의한 부작용도 덜하나 인공타액을 사용하는 경우 입안 점막을 습윤하게 하는데 도움이 되지만 액상형의 경우 입안이 마를 때마다 수시로 입안에 머금었다가 뱉어야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특히 취침 직전 사용 시 숙면의 방해요인으로 작용한다.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스프레이형의 인공타액 제품이 개발되었지만, 지속시간이 짧아 증상완화가 일시적이기 때문에 이 역시 장시간 숙면을 취하는데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외 껌, 구강세정액, 치약과 같은 타액 대체재가 있지만, 설탕이 들어간 일반 껌의 경우 충치를 유발할 수 있고, 구강세정액, 치약 역시 인공타액 제품과 마찬가지로 편리성과 지속성 면에서 불편함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 개선을 위해 디스크 형태의 점막 부착용 타액 대체재(OramoistTM)가 개발되었는데, 이 점막 부착용 디스크 형태의 타액 대체재는 기존 액상 또는 스프레이 형태에 비해서는 취침 시 수면에 미치는 불편함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구강 내 음식물이 잔류하는 느낌으로 인한 불편함이 존재할 뿐만 아니라 디스크 형태로 제조하기 위한 부형제로서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과 같은 화학적 합성물이 첨가되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화학적 합성물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타액 분비 촉진 또는 자극능을 갖는 천연물 소재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데, 한국등록특허 제1335535호는 복분자, 블루베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타액분비 촉진에 유효한 구강위생 조성물을 개시하였고, 한국등록특허 제1117491호는 지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타액 분비 증강용 조성물을 개시하였으며, 한국등록특허 제1291413호는 마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공타액을 개시하였다. 하지만 상기 특허들은 타액 분비를 촉진할 수 있는 천연물 소재로만 검토되고 제품화 되지 않았거나, 일부 껌이나 액상형태의 인공타액 제품으로만 사용되었다.
한편, 히알루론산(Sodium Hyaluronate, Hyaluronic Acid)은 인체 타액에 존재하는 천연 다당체로서, 분자 내에 많은 수산기(-OH)로 인해 수분에 대한 친화성이 매우 뛰어날 뿐만 아니라, 높은 수분 보유력을 지니며, 분자량이 0.5∼3.0MDa 정도로 매우 크기 때문에 높은 점탄성을 갖는다.
히알루론산은 인체 타액 내 일정 농도로 존재하여 타액 윤활제, 구강 점막 보호제 등의 역할을 수행하므로 특정 농도로 사용 시 인체 타액과 유사한 점성을 지니기 때문에 인공 타액 대체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지만, 공기 중에 노출되어 수분과 접촉되었을 때 미생물에 오염되어 제품이 쉽게 변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자는 선행 특허(출원번호: 10-2017-0029094, 10-2017-0125123)를 통해 히알루론산을 효과적으로 필름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확립하였으며, 히알루론산 필름화를 통해 기존 분말 또는 액상 형태에 비해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이 매우 증가하여 다양한 용도로 보다 안전하고 쉽게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한 바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304766호에서 개시한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타액은 구강 건조증을 비롯한 구강 관련 질환의 치료나 예방에 효과적이지만 액상형으로 되어있어 편리성과 지속성 면에서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취침 전 사용 시 수면에 영향이 없고,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천연물로만 이루어진 관련 제품군이 개발된다면 시장 진입과 관련 시장 확대가 용이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일정 분자량 이하의 히알루론산염을 정제수 또는 주정 수용액으로 용해시킨 후,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자동 도포기로 캐스팅하고, 건조시킬 경우, 다양한 두께의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균일하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분 보유력이 우수한 히알루론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식성 구강건조증 개선용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미생물에 대한 높은 저항성을 지녀 생산, 관리, 유통 및 사용이 용이한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히알루론산염을 주성분으로 하는 가식성 구강건조증 개선용 필름에 타액을 촉진하는 천연물 또는 약물을 추가하여 기존 제품들보다 구강건조증 개선 기능이 강화된 히알루론산염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히알루론산염을 용매로 용해시켜 0.1~30.0중량%의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자동 도포기에 주입하고, 0.025~5.0㎜의 두께로 필름을 캐스팅하는 단계; 및 (c) 캐스팅 된 필름을 30~60℃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알루론산염의 분자량은 0.1~0.8MD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정제수 또는 0.01~30부피% 주정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타액 촉진능을 갖는 천연물 또는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은 맥문동, 갈근, 사삼 및 매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이고, 상기 약물은 피로카루핀(Pilocarpine) 및 세비멜린(Cevimel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자동 도포기에 의한 방법으로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포함하는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패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은 구강 건조증을 개선하기 위해 가글 형태로 사용 후 다시 구강 외로 방출하여야 하는 기존 액상 제품과는 달리, 구강 내 혀 위 부착을 통해 수분과 접촉되어 겔화(Gelation)된 후 수면 시간 동안 일부 히알루론산이 체내 흡수되면서 서서히 붕괴되어 수분을 방출하기 때문에 구강 당김 등과 같은 사용 시 거부감이 없을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는 구강 건조증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표면이 건조된 필름 형태로 히알루론산염의 미생물 오염에 대한 염려가 전혀 없어 제품 생산, 관리, 유통 및 사용이 용이한 장점을 지닌다.
도 1은 통상적인 자동 도포기의 설명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는 히알루론산염의 분자량에 따라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피부 붕괴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구강 붕괴도를 측정한 사진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정 분자량 이하의 히알루론산염을 정제수 또는 주정 수용액으로 히알루론산염을 용해시킨 후,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자동 도포기로 캐스팅하고, 건조시킬 경우, 다양한 두께의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균일하게 대량으로 제조할 수 있고, 제조된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은 히알루론산염이 주성분으로 구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미생물에 의한 제품 변성의 가능성이 적고, 기존 액상 제품에 비해 히알루론산염이 고농도 함유되었음에도 작은 부피로 인해 제품 보관과 사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취침 직전 사용 시에도 수면에 거의 영향이 없고, 수면시간 동안 수분 보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으로 다양한 분자량의 히알루론산염을 용해시켜, 0.1~30.0중량%의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제조한 다음, 자동 도포기에 주입시키고, 다양한 두께로 캐스팅 후 30~60℃ 조건에서 건조시켜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제조하고, 이들의 가식성 필름으로의 활용을 위한 히알루론산염의 분자량에 따른 붕괴도 측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분자량이 0.1~0.8MDa인 히알루론산염 0.3~30중량% 용액을 자동 필름 도포기에서 0.025~5.0㎜ 두께로 캐스팅 후, 30~60℃의 온도 조건에서 건조시키면, 구강 내 사용 시 거부감이 없는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 관점에서, (a) 히알루론산염을 용매로 용해시켜 0.1~30.0중량%의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자동 도포기에 주입하고, 0.025~5.0㎜의 두께로 필름을 캐스팅하는 단계; 및 (c) 캐스팅 된 필름을 30~60℃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염은 히알루론산에 염이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히알루론산나트륨, 히알루론산칼슘, 히알루론산칼륨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히알루론산염의 분자량은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분자량에 따라 가식성 소재로서 구강 내 적용 시 사용감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0.1~0.8MDa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히알루론산염은 분자량이 0.1MDa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 형성이 어렵고, 0.8MDa을 초과할 경우에는 높은 분자량으로 인해 끈적거림과 피부 당김 등이 발생하여 사용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히알루론산염의 함량은 0.3~3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농도가 0.3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필름 성형의 어려움이 있고,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히알루론산염의 고농도로 인하여 필름이 두꺼워져 사용이 불편해질 염려가 있다.
상기 용매는 히알루론산염을 용해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정제수 또는 주정 수용액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정 수용액은 주정의 함량이 0.01~30부피%인 것이 바람직하다. 정제수를 단독으로 사용하여 히알루론산염을 용해시킬 경우에는 미생물 오염 방지를 위하여 많은 주의가 필요하지만, 주정 수용액으로 히알루론산염을 용해시킬 경우에는 주정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 오염 방지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필름 형성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하지만, 주정 함량이 30부피%를 초과할 경우에는 히알루론산염의 분자량이 증가함에 따라 필름이 불투명해지거나 필름이 형성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구강건조 개선 효과를 더욱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히알루론산염 용해를 위한 용매에 타액 촉진능을 갖는 천연물 또는 약물을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물은 타액 촉진능을 갖는 것이라면 특별한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맥문동, 갈근, 사삼, 매실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천연물은 추출물 형태,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열수 추출액의 경우 히알루론산염을 직접 용해 후 필름화하여 상기 천연물이 함유된 히알루론산 필름을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상기 약물은 부교감 신경 자극제인 피로카루핀(Pilocarpine), 세비멜린(Cevimeline)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제조하기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자동 도포기에 주입한 다음, 어플리케이터의 두께를 0.025~5.0㎜으로 조정하고 성형(캐스팅)한 다음, 30~60℃ 조건에서 6~12시간동안 건조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자동 도포기는 일반 필름 제조시 널리 사용되는 기기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와 필름의 두께를 조절하는 어플리케이터 및 두께조절 다이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두께는 자동 도포기의 어플리케이터의 두께 조절을 통하여 조정할 수 있으며, 0.025~5.0㎜인 것이 바람직하다. 어플리케이터의 두께를 0.025㎜ 미만으로 하는 경우 필름 형성이 어렵고, 5.0㎜를 초과할 경우에는 필름이 두꺼워져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캐스팅 된 필름의 건조는 30~60℃ 조건에서 6~24시간동안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는 30~60℃에서 수행되는 한, 특별한 제한없이 다양한 건조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는데, 상기 건조는 일반적인 진공 건조, 항온 항습 건조, 순환 건조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른 관점에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은 구강 내에서 겔화 후 붕괴되어 사용감이 우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관점에서 상기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포함하는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패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패치는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및 타액 분지를 촉진하는 천연물 또는 약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분자량 변화에 따른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형성능 확인
히알루론산염 분자량에 따른 필름 형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분자량 3kDa, 0.1MDa, 0.5MDa, 0.8MDa, 1.2MDa 총 5가지의 히알루론산 나트륨 (Hi-AquaTM) ((주) 진우바이오)을 0.01~30부피% 주정 수용액에 0.3~30중량% 농도로 용해시킨 후, 자동 도포기((COAD 411, 의왕기계, 한국)의 필름 어플리케이터의 두께를 0.025~5.0㎜로 하여 필름 캐스팅 후 건조기(온도 30~60℃)에서 6~24시간 건조하여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제조하고, 분자량 및 점도에 따른 필름의 상태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분자량 3kDa의 히알루론산염의 경우 30% 이상 고농도로 용해하여도 필름 형성이 불가능하였으며, 기존 선행 특허(출원번호: 10-2017-0125123)에서 확인 한 바와 같이 히알루론산염의 분자량이 0.1MDa 이상의 경우 분자량에 상관없이 용액 점도 값이 300cPs 이상이면 필름 형성이 가능하였다 (도 2 참조).
이때, 필름 캐스팅을 위한 히알루론산 염의 점도는 다음의 조건 하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기기 Brookfield RV-II 점도계 (Spindle No. 5번, rpm 12, 25℃)
실시예 2: 붕괴도 측정
1) 피부 흡수도 측정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분자량별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가식성 필름으로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먼저 간이 실험으로 피부 부착 후 정제수에 의해 겔화 후 흡수되는 외관을 확인하였다. 자동 도포기의 어플리케이터의 두께를 1.0㎜으로 하여 제조한 1.2MDa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경우 용매에 의해 겔화 후 수분 방출에 따라 필름이 수축되어 피부를 당기는 현상(도 3 참조)이 있는 반면에, 자동 도포기의 어플리케이터의 두께를 700㎛ 이하로 하여 제조한 1.2MDa 히알루론산염 필름 또는 필름 어플리케이터의 두께에 상관 없이 0.1~0.8MDa 히알루론산 필름의 경우 정제수에 의해 겔화 후 일부 히알루론산 필름이 피부 내 흡수되어 겔이 붕괴되면서 수분이 방출되어 필름이 수축되어 피부를 당기는 현상이 없었다(도 4 참조).
2) 구강 내 흡수도 측정
실시예 1에서 자동 도포기의 어플리케이터의 두께를 700㎛ 이하로 하여 제조한 1.2MDa 히알루론산염 필름과 필름 어플리케이터의 두께에 상관없이 제조된 0.1~0.8MDa 히알루론산 가식성 필름의 경우 구강 내 적용하여 혀 부착 시 서서히 겔화 후 붕괴되어 끈적거림 등의 부작용 없이 서서히 흡수되어 구강 내 혀 전체적으로 수분이 크게 증가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도 5 참조).
이를 통해 분자량 0.1~0.8MDa의 히알루론산 가식성 필름을 구강 내 적용했을 때 구강 내 흡수를 통한 구강 건조증 개선과 구강 내 사용이 용이함을 알 수 있었으며 분자량 1.2MDa의 경우 어플리케이터의 두께를 700㎛로 매우 얇게 하여 필름 제조 시 사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어플리케이터의 두께가 1.0㎜로 하여 제조된 1.2MDa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경우, 높은 분자량으로 인한 끈적거림으로 인하여 이물감이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a) 분자량이 0.1~0.8MDa인 히알루론산염을 0.01~30부피% 주정 수용액으로 용해시켜, 점도가 300~1,600cPs이고, 히알루론산염을 0.1~30.0중량% 함유하는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b) 상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을 자동 도포기에 주입하고, 0.025~5.0㎜의 두께로 필름을 캐스팅하는 단계; 및
    (c) 캐스팅 된 필름을 30~60℃ 조건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오염 방지능을 갖는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타액 촉진능을 갖는 천연물 또는 약물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오염 방지능을 갖는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물은 맥문동, 갈근, 사삼 및 매실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이고, 상기 약물은 피로카루핀(Pilocarpine) 및 세비멜린(Cevimeline)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도포기를 이용한 미생물 오염 방지능을 갖는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6. 분자량이 0.1~0.8MDa인 히알루론산염이 0.01~30부피% 주정 수용액에 용해되어, 점도가 300~1,600cPs이고, 히알루론산염이 0.1~30.0중량% 함유된 히알루론산염 용액의 건조물로서, 미생물 오염 방지능을 갖는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7. 제6항의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을 포함하는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패치.
KR1020180000182A 2018-01-02 2018-01-02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KR102073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82A KR102073825B1 (ko) 2018-01-02 2018-01-02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182A KR102073825B1 (ko) 2018-01-02 2018-01-02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506A KR20190082506A (ko) 2019-07-10
KR102073825B1 true KR102073825B1 (ko) 2020-02-05

Family

ID=67255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182A KR102073825B1 (ko) 2018-01-02 2018-01-02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8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4358A1 (ko) * 2017-03-07 2018-09-13 (주)진우바이오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필름
KR102618266B1 (ko) * 2023-09-08 2023-12-27 주식회사 모이스텐 반려동물 복용 편의를 고려한 생분해성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766B1 (ko) 2011-01-05 2013-09-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타액
JP2014114355A (ja) * 2012-12-07 2014-06-26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ヒアルロン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ヒアルロン酸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37681B1 (ko) * 2017-03-07 2019-01-14 (주)진우바이오 용매 캐스팅에 의한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필름
KR102030496B1 (ko) * 2017-09-27 2019-10-10 (주)진우바이오 자동 도포기에 의한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히알루론산염 필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04766B1 (ko) 2011-01-05 2013-09-05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인공타액
JP2014114355A (ja) * 2012-12-07 2014-06-26 Dainichiseika Color & Chem Mfg Co Ltd ヒアルロン酸フィルムの製造方法、及び、ヒアルロン酸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2506A (ko) 2019-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41151B2 (ja) 鼻腔噴霧剤
KR100814253B1 (ko) 상전이 유도 구취제거제
US9161909B2 (en) Adhesive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xerostomia
JPH0315606B2 (ko)
KR20080106160A (ko) 변성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물질로 제조된 필름 및 캡슐및 그의 제조방법
ES2294180T3 (es) Composiciones de beta-glucano de cereales, metodos de preparacion y usos de las mismas.
IE87094B1 (en) Gel comprising chlorhexidine
KR102073825B1 (ko) 자동 도포기에 의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구강건조 개선용 가식성 히알루론산염 필름
KR102445889B1 (ko) 경화 연고상 조성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제제
JP2013216692A (ja) 口内で使用される窪みのある接着性口内パッチ
US20090053309A1 (en) Adhesive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xerostomia
EP2056787B1 (en) Denture care composition
CN110302144B (zh) 一种缓释型双层口腔溃疡膜及其制备方法
JP7039486B2 (ja) ゲル化補助剤の析出が改善された硬質カプセル、及びその調製方法
EP1807114B1 (fr) Composition bioadhesive a liberation programmee
Pothu et al. Development and in-vitro evaluation of chlorhexidine and flurbiprofen hard candy lozenges
CN115154501A (zh) 用于口腔修护的组合物及制备的凝胶制剂和应用
EP3043783B1 (fr) Complexe lubrifiant pour la bouche
EP4079281A1 (en) Anti-inflammatory liquid composition for covering oral mucosa, and medicinal composition for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stomatitis using same
EP3558267B1 (en) A mucoadhesive oromucosal formulation comprising a nicotine complex
CN108348502A (zh) 软性抗胆碱能酯的方法和组合物
RU2739260C1 (ru)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ие пленки с растительными компонентами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воспалительных заболеваний слизистой оболочки полости рта
US20230330036A1 (en) Long acting, continuous oral release from oral dispersing strips (ods) addressing the need for high dosage of active ingredients
Bayakewar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THE PERIODONTAL GEL FOR PEDIATRIC USE WITH AN OBJECTIVE OF INCREASING RESIDENCE TIME OF DRUG
KR102145022B1 (ko) 이부프로펜의 현탁액 조성물 및 투여 제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