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714B1 -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 - Google Patents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714B1
KR102073714B1 KR1020180000536A KR20180000536A KR102073714B1 KR 102073714 B1 KR102073714 B1 KR 102073714B1 KR 1020180000536 A KR1020180000536 A KR 1020180000536A KR 20180000536 A KR20180000536 A KR 20180000536A KR 102073714 B1 KR102073714 B1 KR 1020737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ing
suture
unit
knot
knot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0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3056A (ko
Inventor
김세윤
황찬흠
김대희
김찬주
송찬우
Original Assignee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00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37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83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3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004Means for attaching suture to nee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Needles ; Sutures; Needle-suture combination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6166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59Cosmetic or alloplastic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92Plast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76Material propertie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thology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끝단부에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TE)을 구비하는 봉합사(T)를 봉합사용 도구(100)의 니들(101)의 외면에 매듭을 형성하여 구비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안내레일(201)과, 상기 안내레일(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와인딩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하는 와인딩부(210)와, 상기 안내레일(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와인딩부(210)와 마주하며 매듭형성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하는 매듭형성부(220)와, 상기 와인딩부(210)와 매듭형성부(220) 사이에 위치하여 봉합사용 도구(100)가 설치되는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로 이루어지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A Knot Forming Apparatus Of Medical Embedding Tool}
본 발명은 봉합사도구 매듭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봉합사용 도구에 봉합사의 매듭을 형성하기 위한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에 관한 것이다.
매선 시술은 매선 요법이라고도 불리워지는 것으로서 신체의 피부 등을 절개하지 않고 피부 또는 근육을 팽팽하게 당겨서 주름을 개선하거나 신체 조직을 탄력있는 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물론, 인대가 늘어나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술이다.
이러한 매선 시술은 흡수가 가능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수술용 봉합사를 매선으로 이용하게 되는 데, 예를 들어 폴리락틱산(Polylactic Acid)이나 폴리디아소논(Polydiaxonone), 락틱산(Lactic Acid)과 글리콜릭산(Glycolic Acid)의 코폴리머 등과 같이 생체 내로 흡수 가능한 재료를 사용하여 시술 후 이를 제거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매선 시술은 체내에 시술된 후 3∼6개월이 지나면 매선이 흡수되는데, 매선이 피부 내에서 상처 자극을 유발하는 인자가 되어 상처를 치유하는 면역 물질의 분비를 유도하게 되므로 매선이 경유한 신체 조직이 치유가 된 후에는 매선에 의하여 리프팅된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므로 늘어진 피부를 팽팽한 상태로 유지하거나 주름을 펴서 개선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매선 시술은, 0.45㎜이하의 직경을 가지는 니들에, 니들의 직경보다 작은 시술용 매선을 니들의 로프홀을 통하여 삽입시킨 후 니들을 시술하고자하는 피부에 삽입하여 실행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니들의 끝단이 피부의 표피 근처에 다달으면 시각적으로 피부가 볼록하게 돌출되는 형태가 되고, 이를 시술자가 손가락으로 눌러서 니들의 선단에 노출된 매선을 누르는 듯이 잡게 되고, 니들은 신체 조직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된다.
그러면 니들에 삽입되어 있던 매선은 신체 조직에 남아있는 상태가 되고 니들은 신체 조직으로부터 분리되는데, 한 곳에 주름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1회 또는 수회 시술을 수행한 후 피부 밖으로 노출된 매선은 절단하여 시술이 완료된다.
시술된 후에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피부에 상처가 남지 않고 약간의 홍반만 존재할 뿐이어서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지 않고, 피부 자체의 면역력에 의하여 자체적인 치유와 더불어 로프가 피부 내에서 녹아 없어지게 되므로 로프가 당기는 힘이 로프가 사라진 후에도 그대로 남아있게 되므로 피부개선 또는 주름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매선용 도구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다. 매선용 도구(100)는 신체 조직 내부로 삽입시키기 위한 니들(101)과 상기 니들(101)과 결합되어 니들(101)에 의하여 신체 조직 내부로 삽입된 후 신체 조직 내부에 잔존하여 신체 조직을 리프팅하는 매선(10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니들(101)은 후방에 중공체인 손잡이(103)와, 손잡이(103) 전방으로 구비되며 피부 조직으로 주입할 수 있도록 선단에 첨예부(104)를 형성한 주입관(105)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입관(105)은 중공체로 매선(102)이 삽입되기 위한 매선홀(106)이 형성된다. 상기 매선(102)은 니들(101)에 형성되는 매선홀(106)에 일부를 삽입시킨 삽입부(107)를 형성하고, 상기 매선홀(106)을 경유하여 니들(101) 선단으로 노출되는 노출부(108)로 구성한다. 상기 매선홀(106) 외부에 위치하는 노출부(108)의 선측(첨예부 위치)에는 가매듭(110)을 형성하고, 상기 가매듭(110)에서 주입관(105)의 후방(손잡이 방향)으로는 노출부(108)를 주입관(105)의 외면에 나선형으로 수회 감고 상기 노출부(108)의 후측(손잡이 방향)에는 가매듭(110)을 형성한다. 상기 니들(101)에 매선(102)을 결합하여 매선용 도구(100)를 구성할 때에 매선(102)를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것을 사용하며, 상기 매선(102)의 길이는 시술하고자 하는 신체(150)의 위치에 따라 그 길이를 조절하여 결정할 수 있다.
니들(101)의 외면에 매선(102)의 노출부(108)를 나선형으로 감는 횟수 또한 니들(101)을 삽입하고자 하는 신체(150)의 깊이나 조직의 형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노출부(108)의 선측과 후측에 형성하는 가매듭(110)은 일단(111)을 원형의 매듭루프(112)가 형성되도록 말아서 타단(113)이 매듭루프(112)의 상부 전방에서 후방으로 넘어간 후 다시 매듭루프(112)를 통과하여 매듭루프(112)의 상부 전방으로 인출되도록 함으로서 매선(102)의 일단(111)과 타단(113)을 당기면 매듭루프(112)의 직경이 조여지면서 매듭(115)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니들(101)의 외면에 매선(102)의 매듭(115)은 사람이 일일이 가매듭(110)을 형성하거나 하여 제조하였다. 따라서 비용과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매선(102)이 오염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에서 매선(102)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매선(102)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매선을 포함하는 봉합사까지 포함하는 의미로 "매선용 도구"를 "봉합사용 도구"로 "매선"을 "봉합사"로 하여 설명한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344643호 등록특허공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인체의 접촉없이 니들의 외면에 봉합사의 매듭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는 끝단부에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을 구비하는 봉합사을 봉합사용 도구의 니들의 외면에 매듭을 형성하여 구비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안내레일과,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와인딩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하는 와인딩부와, 상기 안내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와인딩부와 마주하며 매듭형성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하는 매듭형성부와, 상기 와인딩부와 매듭형성부 사이에 위치하여 봉합사용 도구가 설치되는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인딩부는 안내레일에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인딩지지부와, 상기 와인딩지지부에 구비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모터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부재에 구비되며 매듭형성부를 향하여 돌출된 와인딩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듭형성부는 와인딩지지부로부터 이격되며 안내레일에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매듭형성지지부와, 상기 매듭형성지지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와 마주하는 지지패널과, 상기 지지패널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와인딩부를 향하여 돌출된 3개 이상의 로드로 이루어진 로드부와, 지지패널에 구비되며 와인딩부를 향하여 돌출된 탈부착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드부와 탈부착부재는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와인딩부재가 형성하는 원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와인딩부재와 탈부착부재는 전기의 공급과 차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와인딩 구동부 또는 매듭형성 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와인딩부가 매듭형성부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매듭형성부가 와인딩부를 향하여 전진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로드부와 와인딩부재가 오버랩되며 와인딩부재로 전기가 공급되어 봉합사의 단부에 부착된 금속이 와인딩부재에 부착되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와인딩부재는 1회와 그 다음의 로드를 지날 때까지 회전하여, 봉합사을 로드부에 감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와인딩부재는 1회와 그 다음의 로드를 지날 때까지 회전하여 탈부착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며, 와인딩부재로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되고 탈부착부재로 전류가 공급되어 봉합사 단부에 부착된 금속이 와인딩부재로부터 분리되고 낙하하여 탈부착부재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구동모터가 작동되어 와인딩부재가 회전할 때, 상기 와인딩 구동부 또는 매듭형성 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와인딩부가 매듭형성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거나 매듭형성부가 와인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여; 봉합사은 상기 로드부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매듭형성부는 매듭형성 구동부의 작동으로 와인딩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여, 로드부에 감긴 봉합사은 나선 감김 상태가 유지되면서 로드부의 끝단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탈부착부재에 부착된 금속은 탈부착부재와 함께 후진하여 봉합사의 단부는 탈부착부재와 함께 후진하여 이동됨으로써, 봉합사의 1회 감김부보다 후방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탈부착부재에 부착된 봉합사의 단부가 탈부착부재와 함께 후진 이동하여 봉합사의 1회 감김부보다 후방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와인딩부가 매듭형성부를 향하여 전진하고, 와인딩부재가 탈부착부재보다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매듭형성부가 계속 후진하면서 탈부착부재에 인가된 전원은 차단되고 와인딩부재에 전원이 인가되면 탈부착부재에 부착된 봉합사의 단부는 봉합사의 1회 감김부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지나면서 와인딩부재에 부착되고, 봉합사은 로드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는 인체의 접촉없이 니들의 외면에 봉합사의 매듭을 신속하고 정밀하게 형성하여 위생적이며, 작업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매선용 도구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1의 B부분을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르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한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를 다른 방향에서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 4에서 안내레일(201)의 연장 방향을 "길이 방향"이라고 하고, 와인딩부(210)와 매듭형성부(220)가 마주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며,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는 금속을 구비하는 봉합사(T)를 봉합사용 도구(100)의 니들(101)의 외면에 매듭을 형성하여 구비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는 프레임(도시하지 않음)과, 안내레일(201)과, 와인딩부(210)와, 매듭형성부(220)와,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와, 걸림부재(240)로 이루어진다.
상기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는 안내레일(201)이 설치되어 구비된다. 상기 프레임에는 와인딩부(210)를 전후진으로 구동하는 와인딩 구동부(도시하지 않음)와 매듭형성부(220)를 전후진으로 구동하는 매듭형성 구동부(도시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와인딩 구동부와 매듭형성 구동부는 볼나사와 모터의 결합으로 형성하거나, 공압실린더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와인딩 구동부와 매듭형성 구동부는 공지의 널리 사용되는 기술로써 도 4 및 도 5에서 이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였다.
상기 안내레일(201)은 단면이 사각형인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안내레일(201)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안내레일(201)에는 와인딩부(210), 매듭형성부(220)가 구비된다. 상기 안내레일(201)에는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도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와인딩부(210)는 상기 안내레일(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와인딩부(210)는 상기 와인딩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와인딩부(210)는 와인딩지지부(211)와, 구동모터(213)와, 회전부재(215)와, 와인딩부재(217)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인딩지지부(211)는 상향 연장된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와인딩지지부(211)는 상기 안내레일(201)에 안내레일(20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면부호 211a는 와인딩지지부(211)에 결합되어 안내레일(101)을 따라 미끄럼 또는 구름 이동 가능한 와인딩안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와인딩안내부(211a)는 리니어 가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3)는 상기 와인딩지지부(211)의 후면에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213)는 상기 안내레일(201)로부터 상향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213)의 모터축은 상기 안내레일(201)과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구동모터(213)의 모터축은 상기 와인딩지지부(211)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215)는 원판으로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215)는 다각형의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215)는 상기 와인딩지지부(211)의 전방에 구비된다. 상기 회전부재(215)는 상기 구동모터(213)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와인딩부재(217)는 상기 회전부재(215)에 구비된다. 상기 와인딩부재(217)는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와인딩부재(217)는 매듭형성부(220)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와인딩부재(217)는 상기 구동모터(213)의 모터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구비된다.
상기 와인딩부재(217)는 전기의 공급과 차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자석으로 구비된다. 상기 와인딩부재(217)에는 솔레노이드 회로가 구비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가지게 되고,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자력이 소멸된다. 상기 와인딩부재(217)로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의 도시 및 솔레노이드 회로에 대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매듭형성부(220)는 상기 와인딩부(210)와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매듭형성부(220)는 상기 안내레일(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매듭형성부(220)는 상기 매듭형성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매듭형성부(220)는 매듭형성지지부(221)와, 지지패널(223)과, 로드부와, 탈부착부재(227)로 이루어진다.
상기 매듭형성지지부(221)는 상향 연장된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매듭형성지지부(221)는 상기 와인딩지지부(211)로부터 길이 방향으로 이격 구비된다. 상기 매듭형성지지부(221)는 상기 안내레일(201)에 안내레일(20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도면부호 221a는 매듭형성지지부(221)에 결합되어 안내레일(201)을 따라 미끄럼 또는 구름 이동 가능한 매듭형성안내부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매듭형성안내부(221a)는 리니어 가이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223)은 원판으로 구비된다. 상기 지지패널(223)은 다각형의 판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패널(223)은 상기 매듭형성지지부(221)의 전방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지지패널(223)은 상기 회전부재(215)와 마주하여 구비된다.
상기 지지패널(223)에는 안내레일(201)의 길이 방향으로 관통하고 안내레일(201)을 향하여 개구된 안내홀(223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내홀(223a)에는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의 단부가 삽입 구비된다.
상기 로드부는 상기 지지패널(223)에 구비된다. 상기 로드부는 상기 지지패널(223)에 안내홀(223a)이 형성된 경우 상기 안내홀(223a)의 외측으로 로드부가 설치된다.
상기 로드부는 상기 와인딩부(210)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로드부는 3개의 로드(225)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드(225)는 단면이 원형인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로드(225)는 일측 단부가 지지패널(223)에 고정되고 와인딩부(210)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 구비된다.
상기 3개의 로드(225)는 상기 로드(225)는 서로 이격되어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3개의 로드(225)는 서로 나란하며 정삼각형을 이루도록 구비된다. 상기 로드(225)는 서로 예각을 이루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로드부는 4개 또는 5개의 로드(225)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로드부는 상기 구동모터(213)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와인딩부재(217)가 형성하는 원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탈부착부재(227)는 상기 지지패널(223)에 구비된다. 상기 탈부착부재(227)는 상기 와인딩부(210)를 향하여 전방으로 돌출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탈부착부재(227)는 상기 로드부에서 상부의 꼭지점을 이루는 로드(225)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위치한다. 상기 탈부착부재(227)는 로드부가 형성하는 삼각형 내에 위치할 수도 있고, 삼각형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탈부착부재(227)는 구동모터(213)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와인딩부재(217)가 형성하는 원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탈부착부재(227)는 전기의 공급과 차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자석으로 구비된다. 상기 탈부착부재(227)에는 솔레노이드 회로가 구비되어, 전원이 공급되면 자력을 가지게 되고, 전원 공급이 차단되면 자력이 소멸된다. 상기 탈부착부재(227)로 전기 공급을 위한 전선의 도시 및 솔레노이드 회로에 대한 도시와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는 상기 와인딩부(210)와 매듭형성부(22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는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 고정 구비된다.
상기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는 설치지지부(231)와 설치부(233)로 이루어진다.
상기 설치지지부(231)는 상향 연장된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설치지지부(231)에는 봉합사용 도구(100)의 손잡이(103)에 삽입되는 돌기인 설치부(233)가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233)는 상기 와인딩부(210)를 향하여 돌출 구비된다. 상기 설치부(233)는 상기 로드부가 이루는 다각형 내의 중심에 위치한다. 상기 설치부(233)에 손잡이(103)가 설치된 봉합사용 도구(100)의 니들(101)은 안내레일(201)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며 와인딩부(210)를 향하여 연장된다. 상기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에 설치된 봉합사용 도구(100)는 상기 로드부가 이루는 다각형 내의 중심에 위치한다.
상기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는 안내레일(201)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는 설치지지부(231)의 일측 단부가 안내레일(201)에 결합되며 상기 매듭형성부(220)와 와인딩부(210) 사이에 구비된다.
상기 설치지지부(231)는 상기 안내레일(201)을 따라 미끄럼 또는 구름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안내부(231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설치안내부(231a)는 리니어 가이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설치지지부(231)는 상기 매듭형성부(220)의 지지패널(223)에 안내홀(223a)이 형성된 경우 설치지지부(231)의 단부가 삽입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재(240)는 상기 프레임에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재(240)는 막대 형태로 상기 로드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단부가 로드(225)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걸림부재(240)는 상기 와인딩부재(217)가 로드부 둘레를 회전할 때 상기 로드부에 감기는 봉합사(T)보다 지지패널(223) 쪽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의 작동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봉합사(T)는 도시하지 않은 롤에 감기어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로 공급된다. 상기 봉합사(T)는 정역회전 가능한 롤에 감기어 구비된다. 상기 봉합사(T)의 단부에는 금속(TE)이 구비된다. 상기 금속(TE)은 상기 봉합사(T)에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는 상기 와인딩 구동부 또는 매듭형성 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와인딩부(210)가 매듭형성부(220)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매듭형성부(220)가 와인딩부(210)를 향하여 전진하며 이동된다.
길이 방향으로 상기 로드부와 와인딩부재(217)가 오버랩되고, 상기 와인딩부재(217)로 전기가 공급되어 봉합사(T)의 단부에 부착된 금속(TE)이 와인딩부재(217)에 부착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딩부재(217)는 구동모터(213)의 구동에 의하여 로드부의 둘레를 1회(①)와 그 다음의 로드(225)를 지날 때까지 회전(②)하여, 봉합사(T)이 로드부에 감기도록 작동된다.
상기 구동모터(213)가 작동되어 와인딩부재(217)가 회전할 때, 상기 와인딩 구동부 또는 매듭형성 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와인딩부(210)가 매듭형성부(2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거나 매듭형성부(220)가 와인딩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여 이동된다. 이때 봉합사(T)는 상기 로드부에 나선형으로 감기게 된다.
상기 와인딩부재(217)는 초기 위치가 로드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정되며, 1회(①)와 1회를 이루는 로드(225)의 다음 로드(225)를 지날 때까지 회전한다(②). 상기 와인딩부재(217)의 정지 위치는 탈부착부재(227)의 상부에 위치한다. 그러나 상기 와인딩부재(217)가 탈부착부재(227)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인딩부재(217)는 1회와 그 다음의 로드(225)를 지나 탈부착부재(227)의 상부에 위치하면 와인딩부재(217)로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되고 탈부착부재(227)로 전류가 공급되어 봉합사(T) 단부에 부착된 금속(TE)이 와인딩부재(217)로부터 분리되고 낙하하여 탈부착부재(227)에 부착된다.
상기 금속(TE)이 탈부착부재(227)에 부착된 후, 상기 매듭형성부(220)는 매듭형성 구동부의 작동으로 와인딩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한다.
상기 매듭형성부(220)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로드부에 감긴 봉합사(T)는 걸림부재(240)에 걸리어 로드부와 함께 이동하지 못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부의 단부로 이동된다. 이때 봉합사(T)는 나선 형태로 감긴 상태가 유지되면서 로드부를 따라 로드부 단부로 이동된다.
상기 로드부에 감긴 봉합사(T)는 나선 감김 상태가 유지되면서 로드부의 끝단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탈부착부재(227)에 부착된 금속(TE)은 탈부착부재(227)와 함께 후진하여 봉합사(T)의 단부는 탈부착부재(227)와 함께 후진하여 이동됨으로써, 봉합사(T)의 단부는 봉합사(T)의 1회 감김부(①)보다 후방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봉합사(T)의 단부가 봉합사(T)의 1회 감김부(①)보다 후방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와인딩부(210)는 매듭형성부(220)를 향하여 전진한다. 와인딩부재(217)가 탈부착부재(227)보다 하방에 위치하도록 회전된 상태에서, 매듭형성부(220)는 계속 후진하면서 탈부착부재(227)에 인가된 전원은 차단되고 와인딩부재(217)에 전원이 인가된다. 탈부착부재(227)에 부착된 봉합사(T)의 단부는 봉합사(T)의 1회 감김부(①)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지나면서 탈부착부재(227)로부터 분리되고 봉합사(T)의 단부에 구비된 금속(TE)이 와인딩부재(217)에 부착된다.
상기 매듭형성부(220)가 계속 후진하며 봉합사(T)는 로드부에서 이탈되고, 봉합사(T)는 단부가 와인딩부재(217)에 부착된 상태에서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에 설치된 니들(101)에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일단이 와인딩부재(217)에 부착되고 니들(101)에 봉합사(T)가 걸린 후 봉합사(T)가 감긴 롤이 역회전하여 봉합사(T)를 당기면 봉합사(T)는 니들(101)에 매듭을 형성하면서 감기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니들(101)에 구비되는 봉합사(T)에 복수의 매듭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는 손으로 봉합사(T)를 잡아서 매듭을 형성할 필요가 없어 위생적이며, 매듭이 신속하고 정밀하게 형성됨으로써 작업 효율이 향상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누구든지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00 :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
201 : 안내레일 210 : 와인딩부
211 : 와인딩지지부 213 : 구동모터
215 : 회전부재 217 : 와인딩부재
220 : 매듭형성부 221 : 매듭형성지지부
223 : 지지패널 225 : 로드
227 : 탈부착부재 230 :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
231 : 설치지지부 233 : 설치부
T : 봉합사 TE : 금속

Claims (7)

  1. 끝단부에 자석에 부착되는 금속(TE)을 구비하는 봉합사(T)를 봉합사용 도구(100)의 니들(101)의 외면에 매듭을 형성하여 구비되도록 하는 장치로서;
    안내레일(201)과, 상기 안내레일(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와인딩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하는 와인딩부(210)와, 상기 안내레일(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와인딩부(210)와 마주하며 매듭형성 구동부의 구동에 따라 전후진하는 매듭형성부(220)와, 상기 와인딩부(210)와 매듭형성부(220) 사이에 위치하여 봉합사용 도구가 설치되는 봉합사용 도구 설치부(230)로 이루어지며;
    상기 와인딩부(210)는 안내레일(201)에 안내레일(20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와인딩지지부(211)와, 상기 와인딩지지부(211)에 구비되는 구동모터(213)와, 상기 구동모터(213)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부재(215)와, 상기 모터축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회전부재(215)에 구비되며 매듭형성부(220)를 향하여 돌출된 와인딩부재(217)로 이루어지며;
    상기 매듭형성부(220)는 와인딩지지부(211)로부터 이격되며 안내레일(201)에 안내레일(20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매듭형성지지부(221)와, 상기 매듭형성지지부(221)에 구비되며 상기 회전부재(215)와 마주하는 지지패널(223)과, 상기 지지패널(223)에 서로 이격되어 구비되며 와인딩부(210)를 향하여 돌출된 3개 이상의 로드(225)로 이루어진 로드부와, 지지패널(223)에 구비되며 와인딩부(210)를 향하여 돌출된 탈부착부재(227)로 이루어지며;
    상기 로드부와 탈부착부재(227)는 구동모터(213)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와인딩부재(217)가 형성하는 원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부재(217)와 탈부착부재(227)는 전기의 공급과 차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전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 구동부 또는 매듭형성 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와인딩부(210)가 매듭형성부(220)를 향하여 전진하거나 매듭형성부(220)가 와인딩부(210)를 향하여 전진하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로드부와 와인딩부재(217)가 오버랩되며 와인딩부재(217)로 전기가 공급되어 봉합사(T)의 단부에 부착된 금속(TE)이 와인딩부재(217)에 부착되며 구동모터(213)의 구동에 의하여 상기 와인딩부재(217)는 1회와 그 다음의 로드(225)를 지날 때까지 회전하여, 봉합사(T)를 로드부에 감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와인딩부재(217)는 1회와 그 다음의 로드(225)를 지날 때까지 회전하여 탈부착부재(227)의 상부에 위치하며, 와인딩부재(217)로 공급되는 전류는 차단되고 탈부착부재(227)로 전류가 공급되어 봉합사(T) 단부에 부착된 금속(TE)이 와인딩부재(217)로부터 분리되고 낙하하여 탈부착부재(227)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213)가 작동되어 와인딩부재(217)가 회전할 때, 상기 와인딩 구동부 또는 매듭형성 구동부의 작동으로 상기 와인딩부(210)가 매듭형성부(22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거나 매듭형성부(220)가 와인딩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여; 봉합사(T)는 상기 로드부에 나선형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매듭형성부(220)는 매듭형성 구동부의 작동으로 와인딩부(21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진하여, 로드부에 감긴 봉합사(T)는 나선 감김 상태가 유지되면서 로드부의 끝단으로 미끄럼 이동하고, 탈부착부재(227)에 부착된 금속(TE)은 탈부착부재(227)와 함께 후진하여 봉합사(T)의 단부는 탈부착부재(227)와 함께 후진하여 이동됨으로써, 봉합사(T)의 1회 감김부(①)보다 후방으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탈부착부재(227)에 부착된 봉합사(T)의 단부가 탈부착부재(227)와 함께 후진 이동하여 봉합사(T)의 1회 감김부(①)보다 후방으로 위치된 상태에서, 와인딩부(210)가 매듭형성부(220)를 향하여 전진하고, 와인딩부재(217)가 탈부착부재(227)보다 하방에 위치한 상태에서 매듭형성부(220)가 계속 후진하면서 탈부착부재(227)에 인가된 전원은 차단되고 와인딩부재(217)에 전원이 인가되면 탈부착부재(227)에 부착된 봉합사(T)의 단부는 봉합사(T)의 1회 감김부(①)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지나면서 와인딩부재(217)에 부착되고, 봉합사(T)는 로드부에서 이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200).
KR1020180000536A 2018-01-03 2018-01-03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 KR102073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536A KR102073714B1 (ko) 2018-01-03 2018-01-03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0536A KR102073714B1 (ko) 2018-01-03 2018-01-03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056A KR20190083056A (ko) 2019-07-11
KR102073714B1 true KR102073714B1 (ko) 2020-02-05

Family

ID=67254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0536A KR102073714B1 (ko) 2018-01-03 2018-01-03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7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4896B (zh) 2010-10-05 2017-04-12 理想工业公司 一种用于将线围绕物品打结的方法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94106A (ja) * 2000-09-14 2002-03-29 Fuji Xerox Co Ltd 紫外線光量測定装置および紫外線光量測定方法、並びに紫外線光源制御装置
KR100532713B1 (ko) * 2003-07-05 2005-12-01 주식회사 명진에스엠 의복용 단추의 재봉실 측면 감침장치
KR101344643B1 (ko) 2013-07-04 2013-12-26 이준집 매선용 도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4896B (zh) 2010-10-05 2017-04-12 理想工业公司 一种用于将线围绕物品打结的方法和装置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P WO2002-094106 A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3056A (ko) 2019-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0273B2 (en) System and method for forming barbs on a suture
US6626917B1 (en) Helical suture instrument
ES2617915T3 (es) Sistemas y métodos automatizados para fabricar suturas barbadas trenzadas
DE69918948T2 (d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nähfaden zum schliessen einer wunde
JP5457346B2 (ja) 外科用縫合糸装置、方法、およびそれと共に用いるツール
US10258451B2 (en) Tool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pelvic conditions
KR101396672B1 (ko) 매선 시술용 로프
KR101237481B1 (ko) 나선돌기가 형성된 의료용 봉합사
DE3018892A1 (de) Naehmaschine fuer medizinische eingriffe
KR100880679B1 (ko) 주름살 제거용 특수사 제조장치
US10292699B2 (en) Suture storage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70095162A (ko) 실 삽입기
KR102073714B1 (ko) 봉합사용 도구 매듭장치
US9402706B2 (en) Bodily implants and methods of adjusting the same
KR101835571B1 (ko) 미늘 봉합사 제조 장치
CN105916451B (zh) 具有不对称固位部的自固位缝合线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655943B1 (ko) 형상 기억 생체 흡수성 고분자 소재를 이용한 의료용 매선로프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와 그 제품
KR101344643B1 (ko) 매선용 도구
JP6168104B2 (ja) 穿刺針
DE19505090A1 (de) Spulengarn-Entfernungsvorrichtung
KR20130139421A (ko) 매선 시술용 로프
KR20140112247A (ko) 매선용 도구
RU60338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раневым процессом в области шеи и лица
AU2013204057A1 (en) Surgical suturing device, method and tools used therewi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