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2847B1 - 에어텐트 - Google Patents

에어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2847B1
KR102072847B1 KR1020180006258A KR20180006258A KR102072847B1 KR 102072847 B1 KR102072847 B1 KR 102072847B1 KR 1020180006258 A KR1020180006258 A KR 1020180006258A KR 20180006258 A KR20180006258 A KR 20180006258A KR 102072847 B1 KR102072847 B1 KR 102072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tent
cold
mat
po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7888A (ko
Inventor
황현정
황채민
임경빈
황현성
Original Assignee
황현정
황채민
임경빈
황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현정, 황채민, 임경빈, 황현성 filed Critical 황현정
Priority to KR1020180006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84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78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78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10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 E04H15/12He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2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panels, without inflatable tubular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6Details of inflation devices, e.g. valves, connections to fluid pressure sour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2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 E04H2015/208Tents or canopies, in general inflatable, e.g. shaped, strengthened or supported by fluid pressure with inflatable mattr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어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찬 바람 또는 따뜻한 바람이 텐트 외벽의 에어 포켓층에 유입되어 텐트 내부 온도를 유지하고 텐트 내부에 청정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텐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냉온풍기로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를 형성하여 저장되는 냉난방 공기 형성 단계와 전동기를 이용해 피스톤 운동을 하는 에어펌프로 상기 냉온풍기의 냉난방 공기를 흡입하여 텐트 외벽의 에어포켓으로 배출하는 에어포켓 공기 주입 단계와 상기 냉온풍기의 냉난방 공기를 3겹 필터의 공기청정기로 미세먼지를 걸러낸 후 시중에 판매되는 공기캔과 혼합하여 청정된 공기를 피스톤 운동을 하는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텐트 내부로 공급하는 텐트 내부 공기 주입 단계 및 냉난방 공기가 공급되는 상기 에어포켓에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압력 상승시 자동밸브가 열려 공기를 상기 냉온풍기로 배출하고 공기를 순환하여 텐트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는 공기 순환 공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텐트 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에어텐트{Air tent}
본 발명은 에어텐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로부터 찬 바람 또는 따뜻한 바람이 텐트 외벽의 에어 포켓층에 유입되어 텐트 내부 온도를 유지하고 텐트 내부에 청정된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텐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정신적 피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레저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으며, 레저 활동 중에서도 자연과 더불어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등산, 여행, 낚시 및 야외수련 등을 하는 사람들이 증가하고 있으며, 기업체 및 각종 단체의 행사, 전시회, 축제 등의 다양한 행사 들이 개최되고 있다.
이러한 야외 활동에는 잠시 휴식을 취하거나 취침을 하기 위한 텐트가 필수적인데, 이러한 텐트는 특정 목적을 위해 사람이 야외에서 임시 거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텐트 외피와, 텐트 골격과, 텐트를 지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축 및 고정 로프(Rop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텐트는 설치를 할 때 골조를 이루는 폴대를 조립하여 골조를 이룬 후 그 상부에 외피를 결합하고 로프와 고정축을 이용하여 지면에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텐트의 설치가 완료되게 된다.
이렇게 종래에는 텐트를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대단히 번거롭고, 휴대를 할 때에는 텐트의 부품들이 많아 부피가 커지게 되므로 휴대 및 보관이 용이하지 않으며, 텐트의 철거 또한 장시간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7389호(2014.04.15.)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냉난방이 되는 에어텐트에 의해 구조가 간단하여 설치가 간편하면서, 하계절에는 냉방이 가능하고 동계절에는 난방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이 알려졌으나, 냉난방기기에서 발생되는 냉난방공기를 에어텐트의 공기층만 공급되어, 밀폐된 공간에서 장시간 있는 경우 산소 공급량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0006호(2005.03.22.)에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은 에어하우스는 공기정화조에 의해 실내에서 발생되는 오염된 공기를 여과시켜 배출시키는 것으로 사용자가 머무는 공간인 에어하우스 내부에 청정된 공기가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87389호(2014.04.15.)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80006호(2005.03.22.)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텐트 외벽에 공기층인 에어포켓을 형성하여 에어포켓과 텐트 내부에 냉난방 공기를 공급하여 텐트 내부의 온도를 유지하는 에어텐트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텐트 내부에 청정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에어텐트를 제공하는데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에어텐트를 간단한 방법으로 누구나 쉽게 설치 및 철거할 수 있는 에어텐트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냉온풍기에서 형성된 냉난방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와 일단이 고정되어 접히고 펴지는 자바라식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에어펌프에 의해 텐트 외벽에 냉난방 공기를 충진하여 텐트의 외형이 형성되고 텐트 내부에 공기청정기를 통해 청정된 공기가 주입되며 텐트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에어포켓과 상기 에어포켓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냉온풍기에서 발생하는 냉난방 공기를 충진하여 온도를 유지시키는 에어매트와 상기 에어매트의 하부 모서리 4곳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공기압에 의해 지면으로 밀어내면서 돌출되고, 상기 에어매트의 수평을 잡아주기 위해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에어매트가 수평을 이루면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솔밸브로 차단하여 수평이 유지되도록 갖추어지는 에어매트 지지대와 상기 에어매트의 중앙에 설치되며 수평을 감지해 상기 에어매트 지지대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높낮이를 맞추어 상기 텐트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펌프에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전압의 불안정 공급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장치가 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한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는, 텐트 외벽의 에어포켓과 텐트 내부에 냉난방 공기가 공급되어 텐트 내부의 온도를 유지해 외부의 추위나 더위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텐트를 사용하여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으로 독감, AI 등 격리가 필요한 전염성 질병류로부터 보호하고 노령화에 의한 면역력 약자인 노약자와 영아 등 가정에서도 보호가 필요한 사람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텐트 내부에 공기청정기로 미세먼지를 제거한 공기와 공기캔을 혼합하여 청정된 공기를 공급해 건강유지기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텐트에 자이로 센서가 구비되며 에어매트 지지대의 높이를 조절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에어텐트를 원하는 장소에 간단한 방법으로 누구나 쉽게 설치 및 철거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 시스템의 개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 시스템의 고무패드가 설치된 관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를 설치하기 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의 배터리를 보호하는 보호장치의 기본 구조 회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를 설치한 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텐트를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 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 시스템의 개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 시스템의 고무패드가 설치된 관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를 설치하기 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의 배터리를 보호하는 보호장치의 기본 구조 회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를 설치한 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 시스템은 냉난방 공기 형성 단계, 에어포켓 공기 주입 단계, 텐트 내부 공기 주입 단계 및 공기 순환 공급 단계를 포함하며 이하 시스템 순서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난방 공기 형성 단계에서는 냉온풍기(10)로 찬 공기 또는 따뜻한 공기를 만들어 저장한다.
그리고 에어포켓 공기 주입 단계에서 전동기를 이용하여 피스톤 운동을 하는 에어펌프(200)를 이용해 냉난방 공기 형성 단계에서 만들어진 냉난방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텐트(100) 외벽의 공기층인 에어포켓(300)으로 배출한다.
이어서 텐트 내부 공기 주입 단계에서 상기 냉온풍기(10)의 냉난방 공기를 3겹 필터를 갖춘 공기청정기(20)를 이용해 미세먼지를 걸러낸 다음 시중에 판매되는 공기캔(30)과 청정된 공기를 상기 에어펌프(200)를 이용하여 텐트 내부로 공급한다.
여기서 상기 공기청정기(20)는 상기 에어텐트(100) 내부에 깨끗하고 건강에 이로운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필터링 장치로 먼지제거, 향균작용, 가습등의 효과를 가져온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기청정기(20)로 미세먼지를 걸러낸 공기와 상기 공기캔(30)이 혼합되는 관 내에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구멍이 형성된 제어벽(71)이 구비되고 고무패드(73)가 상기 제어벽(71)의 구멍을 관통하며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의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의 배출구 벽면을 감싸는 형상을 갖추어 공기가 유입구에서 배출구로만 이동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어벽(71)의 구멍에 관통된 상기 고무패드(73)는 구멍의 크기보다 더 작은 지름을 가져 틈새로 공기가 이동가능하고 공기 유입구에 위치하는 상기 고무패드(73)의 상부면이 유입구에 걸쳐지며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메쉬망으로 이루어지거나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공기 배출구에 위치하는 상기 고무패드(73)의 하부면이 상기 제어벽(71)을 감싸되 상기 공기캔(30)과 혼합되는 관보다는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상기 공기캔(30)은 일반적으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것으로 휴대를 간편하게 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무패드(73)의 상부면에서 공기가 유입되어 상기 제어벽(71)의 구멍 틈을 지나 하부면으로 이동하여 공기 배출구를 통해 상기 에어텐트(100) 내부로 유입되며 상기 제어벽(71)의 구멍과 상기 고무패드(73)의 공기가 역류하지 않고 순방향으로만 공급된다.
그 다음, 공기 순환 공급 단계에서 냉난방 공기가 공급되는 상기 에어포켓(300)에 압력이 유지될 수 있도록 압력 상승시 자동밸브(40)가 열려 공기를 상기 냉온풍기(10)로 배출하고 공기를 순환하여 상기 에어텐트(100) 내부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에어텐트(100)는 에어펌프(200), 에어포켓(300), 에어매트(400), 에어매트 지지대(500), 자이로센서(600)로 구성되며 이하 각 구성을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에어펌프(200)는 상기 냉온풍기(10)에서 형성된 냉난방 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에어펌프(200)에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가 연결 설치되며 상기 배터리 전압의 불안정 공급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장치(50)가 추가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보호장치(50)는 전류가 많이 흘러 도 5에 도시된 A와 B의 전압차가 커지게 되면 자동으로 차단되게 하는 장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보호장치(50)의 회로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배터리는 회로의 전원 및 부하의 공급 전원 장치이다.
그리고 권선형코일은 길이가 긴 동선을 코일형으로 제작하여 부하가 동작시 A와 B간 전압차를 검출한다.
또한, 릴레이 스위치의 전단에 연결되는 전해콘덴서는 전원의 안전적인 공급을 위해 사용된다.
그리고 릴레이 스위치의 후단에 연결되는 전해콘덴서는 릴레이 스위치를 동작시키며 부하의 동작시 전압 안정을 위하여 사용된다.
권선형코일에 연결된 포토카플러는 A와 B간 전압차를 검출하여 일정한 값 이상 시 릴레이의 전자석이 동작되도록 하여 릴레이스위치를 차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A와 B의 전압차를 OP AMP를 통해 증가시켜 포토카플러를 동작시키는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 에어포켓(300)은 외벽에 공기층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냉온풍기(10)에서 발생하는 냉난방 공기를 상기 에어포켓(300)에 충진하여 텐트의 외형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텐트 내부에 상기 공기청정기(20)를 통해 미세먼지가 제거된 청정된 공기가 주입되며 상기 에어포켓(300)에 의해 상기 에어텐트(100)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시 도 4와 도 6를 참조하면, 상기 에어포켓(3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고정되어 접히고 펴지는 자바라식 구조를 가진 것으로 공기압에 의해 순차적으로 펼쳐져 상기 에어텐트(100)의 외형이 갖추어진다.
상기 에어매트(400)는 상기 에어포켓(300)의 하부에 위치하며 공기압에 의해 팽창하여 매트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매트(400)는 상기 에어텐트(100)의 바닥면에 설치되며 상기 냉온풍기(10)에서 발생하는 냉난방 공기를 충진하여 바닥면에서도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에어매트 지지대(500)는 상기 에어매트(400)의 하부에 설치되며 공기압에 의해 지면으로 지지대가 돌출되고 상기 에어매트(400)의 수평을 잡아주기 위해 높이가 조절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매트 지지대(500)는 상기 에어텐트(100)의 하부 모서리 4곳에 설치되며 공기가 유입되어 공기압이 차면 지지대를 지면으로 밀어내는 방식이다.
또한, 상기 에어매트 지지대(500)의 높이 조절로 인해 상기 에어매트(400)가 수평을 이루면 수평이 유지되도록 솔 밸브를 추가 설치하여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게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자이로센서(600)는 상기 에어매트(400)의 중앙에 설치되며 수평을 감지하여 상기 에어매트 지지대(500)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높낮이를 맞추어 상기 에어텐트(100)의 수평을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자이로센서(600)는 수평을 감지해 수평보다 낮거나 높으면 구성된 회로를 통해 감지하여 CPU에 전달되도록 하는 전자부품이다.
이러한 상기 자이로센서(600)의 작동의 원리로 센서에서 제공되는 데이터를 연산처리하여 수평을 기준으로 수평보다 낮으면 신호를 주어 상기 에어매트 지지대(500)를 동작시켜 상기 에어매트(400)를 밀어 올려주고, 높으면 신호를 주어 상기 에어매트 지지대(500)를 동작시켜 당겨 내려주고, 수평이 유지되면 신호를 주어 공기가 빠져나가지 않도록 차단해 공기압을 유지시켜 상기 에어매트(400)의 수평을 유지시켜준다.
도 6을 참조하여 에어텐트를 설치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에어펌프(200)의 공기압에 의해 상기 에어매트(40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펌프(200)에 연결된 상기 에어매트 지지대(500)가 상기 에어매트(400)의 수평을 잡아주기 위해 상기 에어매트(400)의 중앙에 평형을 감지할 수 있는 상기 자이로 센서에 의해 작동하여 공기압에 의해 지면으로 돌출되어 높낮이를 조절해 수평을 맞춘다. 상기 에어매트(400)가 수평이 되면 솔밸브를 작동시켜 공기압 공급을 차단해 수평을 유지하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에어텐트(100) 외벽의 상기 에어포켓(300)에 냉난방 공기가 주입되어 접혀져 있던 상기 에어포켓(300)이 순차적으로 팽창하여 돔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텐트 내부로 들어갈 수 있는 출입구를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에어포켓(300)의 끝단에 출입구와 좌우 출입구 측면이 천으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텐트(100) 외형을 고정시키기 위해 접혀진 봉을 세워 끝에 천을 당겨 걸어주면 출입구가 갖추어진다. 이러한 출입구에는 지퍼가 형성되어 단열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에어텐트(100)에는 상기 냉온풍기(10)를 이용하여 냉난방 공기가 상기 에어포켓(300)에 공급되어 상기 자동밸브(40)에 의해 압력 상승시 냉난방 공기가 상기 냉온풍기(10)로 배출되어 다시 상기 에어포켓(300)으로 순환되는 구조로 상기 에어포켓(300)에 의해 실내 온도가 유지된다.
또한, 상기 에어텐트(100)의 실내로 상기 공기청정기(20)에서 미세먼지가 걸러진 청정된 공기가 시판되는 상기 공기캔(30)과 혼합되어 공급되며 건강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에어텐트를 제공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인 사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상의 범주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냉온풍기
20 : 공기청정기
30 : 공기캔
40 : 자동밸브
50 : 보호장치
71 : 제어벽
73 : 고무패드
100 : 에어텐트
200 : 에어펌프
300 : 에어포켓
400 : 에어매트
500 : 에어매트 지지대
600 : 자이로센서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냉온풍기에서 형성된 냉난방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펌프;
    일단이 고정되어 접히고 펴지는 자바라식 구조를 가지며, 상기 에어펌프에 의해 텐트 외벽에 냉난방 공기를 충진하여 텐트의 외형이 형성되고 텐트 내부에 공기청정기를 통해 청정된 공기가 주입되며 텐트 내부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에어포켓;
    상기 에어포켓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냉온풍기에서 발생하는 냉난방 공기를 충진하여 온도를 유지시키는 에어매트;
    상기 에어매트의 하부 모서리 4곳에 설치되며, 상기 에어펌프에 연결되어 공기압에 의해 지면으로 밀어내면서 돌출되고, 상기 에어매트의 수평을 잡아주기 위해 높이가 조절되며, 상기 에어매트가 수평을 이루면 공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솔밸브로 차단하여 수평이 유지되도록 갖추어지는 에어매트 지지대;
    상기 에어매트의 중앙에 설치되며 수평을 감지해 상기 에어매트 지지대의 공기압을 조절하여 높낮이를 맞추어 상기 텐트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자이로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펌프에는,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가 연결 구비되며 상기 배터리 전압의 불안정 공급으로 인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보호장치;가 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텐트.
  5. 삭제
KR1020180006258A 2018-01-17 2018-01-17 에어텐트 KR102072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258A KR102072847B1 (ko) 2018-01-17 2018-01-17 에어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258A KR102072847B1 (ko) 2018-01-17 2018-01-17 에어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888A KR20190087888A (ko) 2019-07-25
KR102072847B1 true KR102072847B1 (ko) 2020-02-03

Family

ID=67468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258A KR102072847B1 (ko) 2018-01-17 2018-01-17 에어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84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956Y1 (ko) * 2000-07-28 2001-01-15 한솔검사엔지니어링주식회사 자동 수평조절장치
JP4361126B1 (ja) * 2008-11-20 2009-11-11 株式会社シーエス 防災装置
KR101234694B1 (ko) * 2011-01-10 2013-02-20 (주)에어돔 매립장용 에어돔의 내부공기의 포집, 배출 및 재순환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0006B1 (ko) 2004-05-10 2005-03-31 바이오에어텍(주) 에어하우스
KR20080001606U (ko) * 2008-05-19 2008-06-09 김경덕 침소용 에어텐트
KR101387389B1 (ko) 2013-01-07 2014-04-21 주식회사 엔티케이 냉난방이 되는 에어텐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956Y1 (ko) * 2000-07-28 2001-01-15 한솔검사엔지니어링주식회사 자동 수평조절장치
JP4361126B1 (ja) * 2008-11-20 2009-11-11 株式会社シーエス 防災装置
KR101234694B1 (ko) * 2011-01-10 2013-02-20 (주)에어돔 매립장용 에어돔의 내부공기의 포집, 배출 및 재순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7888A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32970B2 (en) Localised personal air conditioning
AU2015318813B2 (en) Localised personal air conditioning system
US20170348182A1 (en) Spring bed device with heating function
CN107044693A (zh) 用于储物柜的除湿装置及带有该除湿装置的防潮储物柜
KR102072847B1 (ko) 에어텐트
JP4697107B2 (ja) 空調機付きベッド
ES2271441T3 (es) Estructura habitacional con sostenimiento neumatico y paredes impermeables que permiten la ventilacion.
US3421687A (en) Vertical air circulation fan
CN104837320A (zh) 一种用于电气柜散热的配电间散热系统
CN101809242A (zh) 可通风便携式结构组件
JP2007202682A (ja) 空調装置付きベッド
KR101422531B1 (ko) 에어 비닐하우스
CN205489169U (zh) 一种抗冲击散热快的电力柜
KR20100129031A (ko) 매트리스용 송풍장치
KR200400927Y1 (ko) 천막이 구비된 침대
CN205180834U (zh) 一种能够调节温度和空气清香味的画板架
CN206117250U (zh) 一种应用于高海拔地区的直流充电柜
JP3113107U (ja) ブロワー式電気装置嵌め込み式のスプリングマットレスアセンブリ
KR102457365B1 (ko)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KR102457373B1 (ko) 에너지 절약형 공공쉼터 시스템
AU2013100346B4 (en) Localised personal air conditioning
US2024009947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irculating air through a bed frame
JP2024008084A (ja) 階段の構造
CN206713993U (zh) 一种食品机械冷却装置
JP2023009404A (ja) 喫煙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