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365B1 -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 Google Patents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365B1
KR102457365B1 KR1020220045956A KR20220045956A KR102457365B1 KR 102457365 B1 KR102457365 B1 KR 102457365B1 KR 1020220045956 A KR1020220045956 A KR 1020220045956A KR 20220045956 A KR20220045956 A KR 20220045956A KR 102457365 B1 KR102457365 B1 KR 102457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blic
public shelter
shelter
mode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5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구
이정옥
Original Assignee
(주)아리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리산업 filed Critical (주)아리산업
Priority to KR1020220045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3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3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00Buildings or groups of buildings for dwelling or office purposes; General layout, e.g. modular co-ordination or staggered storeys
    • E04H1/12Small buildings or other erections for limited occupation, erected in the open air or arranged in buildings, e.g. kiosks, waiting shelters for bus stops or for filling stations, roofs for railway platforms, watchmen's huts or dressing cubicles
    • E04H1/1205Small buildings erected in the open ai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026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the extinguishing material being put under pressure by means other than pressure gas, e.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9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withou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 elements, e.g. fixed nozz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1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temperature changes, rain, wind or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sects & Arthropod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채광창과 출입도어부가 설치되는 공공쉼터;과, 상기 공공쉼터의 내부 천정 설치되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온풍과 냉풍을 발생시키는 냉난방기;와, 상기 공공쉼터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는 음압발생부;와, 상기 공공쉼터의 내외부 환경을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의 센싱에 따라 상기 출입도어부와 냉난방기와 음압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수단은 제어부와, 선택적으로 봄환절기모드와 가을환절기모드와 세척모드와 소화보드가 자동 전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저장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봄/가을환절기모드는 채광에 따른 온실효과에 의해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경우, 냉난방기의 가동없이 외부공기를 순환시켜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제어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energy-saving bus stop system}
본 발명은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봄환절기모드와, 가을환절기모드로 자동 전환되어 환절기 냉난방기 가동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는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봄환절기(3월 ~ 4월) 및 가을환절기(10월 ~ 11월) 때 채광에 따른 온실효과에 의해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경우, 냉난방기의 가동없이 외부 공기를 순환시켜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제어하고, 더불어 화재 시 자기소화는 물론,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미세먼지망을 공공쉼터의 미(未)운영시간에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 또는 기차 또는 택시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를 위한 공공쉼터(shelter)가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하지만, 공공쉼터는 전방이 개방되어 있어, 여전이 겨울철의 혹한으로부터의 추위나 해 질 녘에 비스듬하게 내리쬐는 강한 햇볕이나 사선으로 내리는 강한 빗줄기로부터 간이 쉼터 내의 이용자를 보호해 줄 수 없다.
최근에 공공쉼터에 히터나 냉방기가 구비되어 이용자의 편의를 증진시켜 주고 있다. 하지만, 공공쉼터의 전방이 개방되어 있어 히터에 의한 보온 효과와 냉방기에 의한 냉방 효과를 기대한 만큼 얻기 힘들 뿐만 아니라 히터나 냉방기의 전력 낭비가 심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 출입문을 갖고 내부가 밀폐된 공공쉼터가 개발되고 있다. 밀폐된 쉼터에 의해 이용자들은 외부의 추위나 더위와 같은 환경 조건에 관계없이 쾌적하게 버스를 기다릴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밀폐형 공공쉼터는 봄환절기(3월 ~ 4월) 및 가을환절기(10월 ~ 11월) 때 채광에 따른 온실효과에 의해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가 상승되어 냉난방기의 가동에 따른 전력소비가 매우 큰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냉난방기의 작동은 공공쉼터에서 가장 많은 전력소비를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9와 같이, 봄환절기 2021년 3월 5일자 온도 그래프를 살펴보면, 일교차가 심하고, 최하 0°까지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낮시간때에는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가 채광에 의한 온실효과에 의해 34°까지 상승하는데 반해, 실외 온도는 최대 23°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공공쉼터의 내부는 쾌적한 설정 온도(예: 28°)까지 온도를 낮추기 위해 에어콘이 자동으로 가동되기 때문에 공공쉼터 내부의 사람들은 추위를 느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봄환절기에는 냉난방기의 온풍을 통해 훈훈한 느낌을 받지만, 3월달 냉난방기의 냉풍은 불쾌한 느낌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봄환절기때 냉난방기의 가동은 전력낭비에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도 10와 같이, 가을 환절기 역시 2020년 11월 12일자 온도 그래프를 살펴보면, 일교차가 심하고, 최하 0°까지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낮시간때에는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가 채광에 의한 온실효과에 의해 35°까지 상승하는데 반해, 실외 온도는 최대 19°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면 봄환절기와 동일하게 28°까지 온도를 낮추기 위해 에어콘이 자동으로 가동되기 때문에 공공쉼터 내부의 사람들은 추위를 느껴야만 하고, 전력소비도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8144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봄환절기(3월 ~ 4월) 및 가을환절기(10월 ~ 11월) 때 채광에 따른 온실효과에 의해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경우, 냉난방기의 가동없이 출입도어를 오픈시킨 후 음압(압력↓)에 의해 외부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제어함으로써,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냉난방기의 가동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에너지를 크게 절감하고, 더불어 화재 시 자기소화는 물론,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미세먼지망을 공공쉼터의 미(未)운영시간에 세척할 수 있도록 한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특징에 따르면, 제 1발명은,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를 위해 채광창과 출입도어부가 설치되는 공공쉼터;과, 상기 공공쉼터의 내부 천정 설치되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온풍과 냉풍을 발생시키는 냉난방기;와, 상기 공공쉼터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는 음압발생부;와, 상기 공공쉼터의 내외부 환경을 센싱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의 센싱에 따라 상기 출입도어부와 냉난방기와 음압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수단은 제어부와, 선택적으로 봄환절기모드와 가을환절기모드와 세척모드와 소화보드가 자동 전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저장매체를 포함하고, 상기 봄/가을환절기모드는 채광에 따른 온실효과에 의해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경우, 냉난방기의 가동없이 외부공기를 순환시켜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제어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공공쉼터의 출입도어부는 제어수단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출입도어와, 상기 제어수단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제1미세먼지망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제어수단은 봄환절기와 가을환절기의 날짜 및 봄/가을환절기모드 가동시간이 저장된 제1메모리와, 봄환절기와 가을환절기의 기준온도가 저장된 제2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공공쉼터은 제어수단에 의해 개폐되는 환기창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기창이 결합된 창틀에는 먼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된 제2미세먼지망이 고정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발명은, 제1발명에서, 상기 음압발생부는 공공쉼터에 설치되는 복수의 송풍구와, 상기 각 송풍구에 설치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댐퍼와, 상기 송풍구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발명은, 제4발명에서, 상기 센싱부는 공공쉼터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와, 상기 공공쉼터의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와, 상기 공공쉼터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열화상카메라와, 상기 공공쉼터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7발명은, 제6발명에서, 상기 저장매체의 세척모드는 상기 압력센서의 감지값에 의해 자동 전환되고, 상기 소화모드는 상기 열화상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열영상에 의해 자동 전환되되, 상기 세척모드는 봄환절기모드 또는 가을환절기모드 또는 환기모드 가동시 제1,2미세먼지망의 메쉬에 충전된 먼지에 의해 공공쉼터의 내의 음압이 높아질 경우 압력센서가 이를 감지하고, 당일 예약되어 상기 공공쉼터의 미가동 시간에 가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8발명은, 제7발명에서, 상기 공공쉼터에는 세척모드를 가동하기 위한 세척수단이 더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단은 제1,2미세먼지망을 세척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2미세먼지망의 창틀과 출입구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을 갖는 물분사관으로 구성되되, 상기 물분사관은 빗물저류조의 빗물을 펌프를 통해 공급받아 제1,2미세먼지망을 향해 분사하여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9발명은, 제7발명에서, 상기 공공쉼터에는 소화모드를 가동하기 하기 위한 소방수단이 더 설치되되, 상기 소방수단은 상기 공공쉼터의 하부에 매립되는 빗물저류조와, 상기 빗물저류조의 빗물을 펌핑하는 펌프와, 상기 펌프와 연결되고 공공쉼터의 천정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와, 상기 빗물저류조에 빗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상기 공공쉼터의 상부에 설치되어 저류조에 연결되는 빗물집수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0발명은, 제8발명에서, 상기 세척모드는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을 제1,2미세먼지망으로 분사시켜 세척한 후, 상기 음압발생부의 송풍팬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외부공기를 공공쉼터의 내부로 송풍시켜 양압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에 따르면, 봄환절기(3월 ~ 4월) 및 가을환절기(10월 ~ 11월) 때 냉난방기(20) 가동을 최대한 억제하여 에너지 소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미세먼지망을 공공쉼터의 미(未)운영시간에 자동 세척되도록 하여 유지보수가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화재 시 빗물을 이용하여 자기 소화할 수 있어 소방수 사용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온실효과에 의해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경우, 미세먼지는 차단하면서 외부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켜 냉난방기의 가동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봄환절기모드와, 가을환절기모드로 자동 전환될 경우, 미세먼지망을 통해 공공심터의 내부로 미세먼지의 유입을 없애 공공쉼터 내부 공기를 미세먼지저감장치 없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의 블럭도,
도 2는 도 1에서 제어수단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의 소방수단과 세척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의 봄/가을환절기모드의 가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의 세척모드의 가동을 나타내는 개념도,
도 9은 봄환절기 2021년 3월 5일자 온도 그래프,
도 10은 가을 환절기 2020년 11월 12일자 온도 그래프이다.
이하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래의 특정 실시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있어 혼돈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에 관하여 첨부되어진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서 제어수단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의 내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의 소방수단과 세척수단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6은 도 1의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봄환절기(3월 ~ 4월) 및 가을환절기(10월 ~ 11월) 때 채광에 따른 온실효과에 의해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경우, 냉난방기의 가동없이 출입도어를 오픈시킨 후 음압(압력↓)에 의해 외부 공기를 강제 순환시켜 공공쉼터의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제어함으로써, 에너지를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10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100)은 봄환절기모드(521)와, 가을환절기모드(522)로 자동 전환되어 냉난방기(20) 가동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에너지를 크게 절감하고, 더불어 화재 시 자기소화는 물론, 미세먼지를 차단하는 미세먼지망을 공공쉼터의 미(未)운영시간에 세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공공쉼터는 일반쉼터 또는 버스 또는 택시 또는 기차와 같은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가 대기하는 승강장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100)은 크게 5개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이는 공공쉼터(10)과, 냉난방기(20)와, 음압발생부(30)와, 센싱부(40) 및 제어수단(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수단(50)은 선택적으로 제어부(51)와, 봄환절기모드(521)와 가을환절기모드(522)와, 세척모드(523) 및 소방모드(524)로 자동 전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저장매체(52)로 구성되고, 상기 봄/가을환절기모드(521,522)는 채광에 따른 온실효과에 의해 공공쉼터(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경우, 냉난방기(20)의 가동없이 출입도어(121a)를 오픈시켜 공공쉼터(10)의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제어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기능한다.
한편 상기 제어수단(50)은 도 1와 같이, 상기 센싱부(40)의 센싱에 따라 상기 출입도어부(121)와 냉난방기(20)와 음압발생부(30)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제어수단(50)은 도 2와 같이, 날짜와 시간을 전송받는 수신부(53)와 봄환절기와 가을환절기의 날짜 및 봄/가을환절기모드(521,522) 가동시간이 저장된 제1메모리(54)와, 봄환절기와 가을환절기의 기준온도가 저장된 제2메모리(5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장매체(52)는 HDD, DRAM. SSD, 플래쉬메모리, 자기디스크, 광디스크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수단(50)의 저장매체(52)에 인스톨된 봄/가을환절기모드(521,522)는 수신부(53)를 통해 실시간으로 날짜와 시간을 전송받아, 제1메모리(54)에 저장된 봄/가을환절기모드(521,522)의 가동시간과 매칭시켜 자동 전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공쉼터(10)은 도 3과 같이, 채광창(11)과 더불어 2개소에 형성된 출입구(12)에 개폐식 출입도어부(121)가 설치되어 밀폐된 구조이다.
이러한 상기 공공쉼터(10)은 냉난방기(20)에 의해 여름철 냉풍과 겨울철 온풍을 공급하여 실내 온도를 설정 온도로 제어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냉난방기(20)는 도 4와 같이, 공공쉼터(10)의 천정에 설치되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온풍과 냉풍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카세트형 냉난방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공쉼터(10)은 내부 조명부(미부호)를 포함하고, 이 때 상기 조명부(미도시)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솔라셀(미도시)과 2차전지(미도시)가 탑재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2차전지(미도시)는 전력이 많이 소모되는 냉난방기(20) 이외의 장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공쉼터(10)의 출입도어부(121)는 제어수단(50)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출입도어(121a)와, 상기 제어수단(50)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제1미세먼지망(12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1미세먼지망(121b)은 저장매체(52)의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봄환절기모드(521)와 가을환절기모드(522)로 자동 전환되면 출입도어(121a)의 기능을 대체하게 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미세먼지망(121b)이 출입도어(121a)의 기능을 대체하여 출입구(12)를 개폐할 경우에는 외부 공기는 유통시키면서 외부의 미세먼지는 공공쉼터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음압발생부(30)는 상기 공공쉼터(10)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음압발생부(30)는 저장매체(52)의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봄환절기모드(521)와 가을환절기모드(522)로 자동 전환될 때, 제1미세먼지망(121b)에 의해 공기의 순환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공공쉼터(10)의 내부에 음압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음압발생부(30)는 도 6과 같이, 공공쉼터(10)에 설치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송풍구(31)와, 상기 각 송풍구(31)에 설치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댐퍼(32)와, 상기 송풍구(31)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3)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음압발생부(30)는 송풍팬(33)이 가동하면, 상기 공공쉼터(10)의 내부에 음압이 발생되도록 하여 외부의 공기가 제1미세먼지망(121b)을 거쳐 공공쉼터(10)의 내부로 유입되어 송풍구(31)를 통해 빠르게 배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미세먼지망(121b)은 자연 환기 시 40% ~ 60%의 공기 투과율이 나타내는데, 상기 음압발생부(30)를 통해 공공쉼터(10) 내 음압이 발생되도록 하여 공기 투과율을 90% ~ 110%까지 상승시켜 외부 공기의 순환을 빠르게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공공쉼터(10)은 제어수단(50)에 의해 개폐되는 환기창(1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기창(131)이 결합된 창틀(13)에는 먼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된 제2미세먼지망(132)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공쉼터(10)은 제1미세먼지망(121b)과 더불어 제2미세먼지망(132)을 통해 외부공기를 유입시켜 대류 현상은 물론, 환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2미세먼지망(121b,132)은 공기 투과율이 낮은 단점을 이용하여 봄가을환절기모드로 전환될 때, 미세먼지는 차단하면서 외부 온도에 의해 공공쉼터(10)의 내부 온도가 급격이 변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센싱부(40)는 도 1과 같이, 공공쉼터(10)의 내외부 환경을 센싱하는 것으로, 공공쉼터(10)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41)와, 상기 공공쉼터(10)의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42)와, 상기 공공쉼터(10)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열화상카메라(43)와, 상기 공공쉼터(10)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4)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모드(523)는 상기 압력센서(44)의 감지값에 의해 자동 전환되고, 상기 소화모드(524)는 상기 열화상카메라(43)에 의해 획득되는 열영상에 의해 자동 전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화상카메라(43)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열영상을 통해 화재를 초기에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공쉼터(10)에는 자기 소화가 가능하도록 상기 소화모드(524)를 가동하기 하기 위한 소방수단(15)이 더 설치된다.
이 때 상기 소방수단(15)은 도 4와 같이, 상기 공공쉼터(10)의 하부에 매립되는 빗물저류조(151)와, 상기 빗물저류조(151)의 빗물을 펌핑하는 펌프(P)와, 상기 펌프(P)와 연결되고 공공쉼터(10)의 천정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153)와, 상기 빗물저류조(151)에 빗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상기 공공쉼터(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빗물저류조(151)에 연결되는 빗물집수관(1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소방수단(15)은 우기시 빗물을 저장하여 소화모드(524)가 가동될 때 소방수로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클러(153)는 감열체 방식이 아닌, 화재 응답성이 빠른 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빗물저류조(151)에는 수위센서(미도시)가 내장되고, 빗물저류조(151)에 빗물의 수위가 낮을 경우, 이를 보충하기 위한 상하수도관(미도시)이 연결되어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공공쉼터(10)에는 세척모드(523)를 가동하기 위한 세척수단(14)이 더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세척수단(14)은 도 4와 같이,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을 세척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의 창틀과 출입구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141a)을 갖는 물분사관(141)으로 구성된다.
이 때 상기 물분사관(141)은 빗물저류조(151)의 빗물을 펌프(P)를 통해 공급받아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을 향해 분사하여 세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세척모드(523)는 봄환절기모드(521) 또는 가을환절기모드(522) 또는 환기모드(525) 가동시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의 메쉬에 충전된 먼지에 의해 공공쉼터(10)의 내의 음압이 높아질 경우 압력센서(44)가 이를 감지하고, 당일 예약되어 상기 공공쉼터(10)의 미가동 시간에 가동된다.
이러한 세척모드(523)는 공공쉼터(10)의 가동 시간 외에 빗물저류조에 저장된 빗물을 제1,2미세먼지망(121b,122)으로 분사시켜 세척한 후, 상기 음압발생부(30)의 송풍팬(3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외부공기를 공공쉼터(10)의 내부로 송풍시켜 양압이 발생되도록 기능한다.
여기서 상기 공공쉼터(10)의 내부에 양압(압력↑)이 발생되면 공공쉼터(10)의 내부 공기가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을 통해 배출되면서 상기 제1,2미세먼지망(121b,122)에 메쉬에 충전된 물기를 제거하면서 건조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의 봄/가을환절기모드의 가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의 세척모드의 가동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일반모드-
5월 내지 9월 및 12월 내지 2월에 운영되는 것으로, 제1,2온도센서(41,42)의 감지값에 따라 냉난방기(20)를 통해 온풍 또는 냉풍을 발생시켜 공공쉼터(10)의 내부 온도를 설정온도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봄환절기모드-
수신부(53)에 의해 수신된 날짜가 3월 ~ 4월이면, 상기 제어수단(50)의 저장매체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봄환절기모드(521)로 자동 전환된다.
봄환절기모드(521)의 가동은 제1온도센서(41)의 공공쉼터 내부 측정온도가 제2메모리(55)에 저장된 기준온도(28°)도 보다 높고, 외부 온도가 기준온도 보다 낮을 경우 가동된다.
예를 들어, 도 7과 같이, 공공쉼터(10)의 내부 온도가 28°이상이고, 외부 온도가 28°보다 낮을 경우, 상기 제어부(51)는 출입도어(121a)를 개방하고, 미세먼지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해 제1미세먼지망(121b)은 개방된 출입구를 폐쇄시킨다.
동시에 환기창(131)을 개방시켜 창틀(13)에 고정된 제2미세먼지망(132)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그러면 출입구에 설치된 제1미세먼지망(121b)과, 창틀에 고정된 제2미세먼지망(132)으로 유입되는 외부공기는 자연환기 시 40% ~ 60%의 공기 투과율이 나타내기 때문에, 상기 제어부(51)는 음압발생부(30)의 댐퍼(32)는 개방시키고, 상기 송풍팬(33)을 회전시켜 공공쉼터(10)의 내부에 음압이 발생되도록 하여 공기 투과율을 90% ~ 110%까지 상승시켜 외부 공기의 순환을 빠르게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면 공공쉼터(10)의 온도를 기준온도(28°)까지 빠르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이렇게 봄환절기모드(521)를 날짜에 따라 자동 전환시킴으로써, 봄철 온실효과에 의해 상승되는 공공쉼터(10)의 내부온도를 냉방기 가동 없이 빠르게 하강시킬 수 있어 에너지를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종래의 냉난방기(20)를 통해 냉풍이 가동될 경우, 외부에서 대기중인 사용자가 공공쉼터에 들어섰을 때 냉풍에 의한 추위와 불쾌감을 크게 줄일수 있게 된다.
또한 봄환절기모드가 가동될 경우에는 출입도어(121a)는 계속해서 출입구(12)를 개방한 상태로 유지하고, 승객이 입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미세먼지망이 출입도어(121a)의 기능을 대체한다.
또한 본 발명의 봄환절기모드(521)는 공공쉼터의 실내외 온도차가 5°미만일 경우, 음압발생부의 송풍팬(33)을 가동시키지 않고 공기 자연 순환 방식으로 전력소모 없이 공공쉼터(10)의 내부온도를 제어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봄환절기모드(521)는 선택적으로 송풍팬(33)을 간헐적으로 가동시켜 자연순환 및 강제순환 방식을 혼용으로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다.
-가을환절기모드-
수신부(53)에 의해 수신된 날짜가 10월 ~ 11월이면, 상기 제어수단(50)의 저장매체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가을환절기모드(522)로 자동 전환된다.
이러한 상기 가을환절기모드(522)는 상기 봄환절기모드(521)와 동일함으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소화모드-
상기 소화모드(524)는 365일 운영되는 것으로, 종래의 화재감지센서에 비해 열화상카메라(43)에 의해 화재를 초기에 감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열화상카메라(43)에 의해 공공쉼터(10) 내 화재가 감지되면, 상기 제어수단(50)의 저장매체(52)에 인스톨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소화모드(524)로 자동 전환된다.
상기 소화모드(524)는 제어부(51)를 통해 출입도어(121a)를 개방시켜 사람이 탈출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펌프(P)를 가동시켜 빗물저류조(151)의 빗물 스프링클러(153)를 통해 살수하여 화재를 초기에 진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스프링클러(153)는 감열체 방식이 아닌, 개방형스프링클러헤드방식을 사용하여 보다 빠르게 화재를 진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소화모드가 가동되면 송풍팬을 가동하여 공공쉼터 내부의 연소가스를 빠르게 배기시킬 수 있게 구성할 수 있다.
-세척모드-
봄환절기모드(521) 또는 가을환절기모드(522) 또는 환기모드(525) 가동시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의 메쉬에 충전된 먼지에 의해 공공쉼터(10)의 내의 음압이 기준치 보다 높아질 경우, 압력센서(44)에 의해 공공쉼터의 내부압력을 감지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어부(51)는 제1,2미세먼지망(121b,122)에 먼지가 충진된 것을 인지하여 당일 상기 공공쉼터(10)의 미가동 시간에 세척모드(523)가 저장매체에 예약된다.
이러한 상기 세척모드(523)는 도 8과 같이, 공공쉼터(10)에 승객이 없는 미가동시간에 운영되며, 상기 제어부(51)를 통해 출입도어(121a)는 개방시키고, 제1미세먼지망(121b)을 폐쇄시킨다. 그리고 상기 환기창(131) 역시 개방시켜 제2미세먼지망(132)이 노출되도록 한다.
이 상태에서 펌프(P)를 가동시켜 물분사관(141)으로 물이 펌핑되도록 한 후, 물분사노즐(141a)을 통해 빗물을 제1,2미세먼지망(121b,122)으로 분사시켜 점착된 먼지가 세척되도록 한다. 이 때 분사되는 빗물은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의 바깥쪽 면으로 분사되기 때문에 공공쉼터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이 후 상기 음압발생부(30)의 송풍팬(3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외부공기를 공공쉼터(10)의 내부로 송풍시켜 양압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공공쉼터(10)의 내부에 양압(압력↑)이 발생되면서 공공쉼터(10)의 내부공기가 양압에 의해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을 거쳐 배출됨으로써, 상기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의 메쉬에 충전된 물기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봄환절기모드(521)와, 가을환절기모드(522) 및 환기모드(525)로 자동 전환될 경우, 공공쉼터(10)으로 미세먼지의 유입을 없애 공공쉼터(10) 내부 공기를 미세먼지저감장치 없이 쾌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공공쉼터 11: 채광창 12: 출입구
121: 출입도어부 121a: 출입도어
121b: 제1미세먼지망 13: 창틀
131: 환기창 132: 제2미세먼지망
14: 세척수단 141: 물분사관
141a: 분사노즐 15: 소방수단
151: 빗물저류조 P: 펌프
153: 스프링클러 154: 빗물집수관
20: 냉난방기
30: 음압발생부 31: 송풍구 32: 댐퍼
33: 송풍팬
40: 센싱부 41: 제1온도센서 42: 제2온도센서
43: 열화상카메라 44: 압력센서
50: 제어수단 51: 제어부 52: 저장매체
521: 봄환절기모드 522: 가을환절기모드
523: 세척모드 524: 소화모드
53: 수신부 54: 제1메모리
55: 제2메모리
100: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Claims (10)

  1. 채광창(11)과 출입도어부(121)가 설치되는 공공쉼터(10);
    상기 공공쉼터(10)의 내부 천정 설치되어 설정된 온도에 따라 온풍과 냉풍을 발생시키는 냉난방기(20);
    상기 공공쉼터(10)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외부로 송풍시키는 음압발생부(30);
    상기 공공쉼터의 내외부 환경을 센싱하는 센싱부(40);
    상기 센싱부(40)의 센싱에 따라 상기 출입도어부(121)와 냉난방기(20)와 음압발생부를 제어하는 제어수단(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어수단(50)은 제어부(51)와, 선택적으로 봄환절기모드(521)와 가을환절기모드(522)와 세척모드(523)와 소화모드(524)가 자동 전환되는 어플리케이션이 인스톨된 저장매체(52)를 포함하고,
    상기 봄/가을환절기모드(521,522)는 채광에 따른 온실효과에 의해 공공쉼터(10)의 내부 온도가 상승할 경우, 냉난방기(20)의 가동없이 외부공기를 순환시켜 공공쉼터(10)의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제어하여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공공쉼터(10)은 제어수단(50)에 의해 개폐되는 환기창(131)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기창(131)이 결합된 창틀(13)에는 먼지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고정된 제2미세먼지망(132)이 고정되어 구성되고,
    상기 센싱부(40)는 공공쉼터(10) 내부 온도를 측정하는 제1온도센서(41)와, 상기 공공쉼터(10)의 외부온도를 측정하는 제2온도센서(42)와, 상기 공공쉼터(10) 내의 화재를 감지하는 열화상카메라(43)와, 상기 공공쉼터(10)의 내부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44)로 구성되고,
    상기 저장매체(52)의 세척모드(523)는 상기 압력센서(44)의 감지값에 의해 자동 전환되고, 상기 소화모드(524)는 상기 열화상카메라(43)에 의해 획득되는 열영상에 의해 자동 전환되되,
    상기 세척모드(523)는 봄환절기모드(521) 또는 가을환절기모드(522) 가동시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의 메쉬에 충전된 먼지에 의해 공공쉼터(10)의 내의 음압이 높아질 경우 압력센서(44)가 이를 감지하고, 당일 예약되어 상기 공공쉼터(10)의 미가동 시간에 가동되고,
    상기 공공쉼터(10)에는 세척모드(523)를 가동하기 위한 세척수단(14)이 더 설치되고, 상기 세척수단(14)은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을 세척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의 창틀과 출입구에 설치되는 다수의 분사노즐(141a)을 갖는 물분사관(141)으로 구성되되,
    상기 물분사관(141)은 빗물저류조(151)의 빗물을 펌프(P)를 통해 공급받아 제1,2미세먼지망(121b,122)을 향해 분사하여 세척하고,
    상기 세척모드(523)는 빗물저류조(151)에 저장된 빗물을 제1,2미세먼지망(121b,122)으로 분사시켜 세척한 후, 상기 음압발생부(30)의 송풍팬(33)을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공공쉼터(10)의 내부에 양압이 발생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쉼터(10)의 출입도어부(121)는 제어수단(50)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출입도어(121a)와, 상기 제어수단(50)에 의해 자동 개폐되는 제1미세먼지망(121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50)은 날짜와 시간을 전송받는 수신부(53)와, 봄환절기와 가을환절기의 날짜 및 봄/가을환절기모드 가동시간이 저장된 제1메모리(54)와, 봄환절기와 가을환절기의 기준온도가 저장된 제2메모리(5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압발생부(30)는 공공쉼터(10)에 설치되는 복수의 송풍구(31)와, 상기 각 송풍구(31)에 설치되어 외부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댐퍼(32)와, 상기 송풍구(31)에 설치되어 내부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송풍팬(3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공쉼터(10)에는 소화모드(524)를 가동하기 하기 위한 소방수단(15)이 더 설치되되,
    상기 소방수단(15)은 상기 공공쉼터(10)의 하부에 매립되는 빗물저류조(151)와, 상기 빗물저류조(151)의 빗물을 펌핑하는 펌프(P)와, 상기 펌프(P)와 연결되고 공공쉼터(10)의 천정에 설치되는 스프링클러(153)와, 상기 빗물저류조(151)에 빗물을 집수할 수 있도록 상기 공공쉼터(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빗물저류조(151)에 연결되는 빗물집수관(15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10. 삭제
KR1020220045956A 2022-04-13 2022-04-13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KR1024573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956A KR102457365B1 (ko) 2022-04-13 2022-04-13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5956A KR102457365B1 (ko) 2022-04-13 2022-04-13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7365B1 true KR102457365B1 (ko) 2022-10-25

Family

ID=83803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5956A KR102457365B1 (ko) 2022-04-13 2022-04-13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736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307B1 (ko) * 2008-09-19 2009-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외기 직접 도입형 냉난방 환기유닛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6781A (ko) * 2009-01-23 2010-08-02 모건에프앤씨(주) 날씨정보를 이용한 실내 환기 자동 제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059965A (ko) * 2016-11-25 2018-06-0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081441B1 (ko) 2017-11-17 2020-02-25 주식회사 에코라이텍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KR20200095842A (ko) * 2019-02-01 2020-08-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외부의 환경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창문시스템
KR102169524B1 (ko) * 2020-04-02 2020-10-23 (주)엠티이에스 감염병 차단 음압 공조시스템
KR102287876B1 (ko) * 2020-08-06 2021-08-10 주식회사 드웰링 재난 안전 스마트 쉘터
JP2021171257A (ja) * 2020-04-23 2021-11-01 消防庁長官 消火システム
KR102358992B1 (ko) * 2020-01-30 2022-02-07 (주)센도리 실내 공기청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307B1 (ko) * 2008-09-19 2009-07-13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외기 직접 도입형 냉난방 환기유닛 및 그 제어방법
KR20100086781A (ko) * 2009-01-23 2010-08-02 모건에프앤씨(주) 날씨정보를 이용한 실내 환기 자동 제어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80059965A (ko) * 2016-11-25 2018-06-07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재실자를 고려한 다기종 실내 환경 기기의 통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081441B1 (ko) 2017-11-17 2020-02-25 주식회사 에코라이텍 편의성을 증대시킨 버스승강장
KR20200095842A (ko) * 2019-02-01 2020-08-1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외부의 환경정보에 따라 선택적으로 미세먼지를 필터링하는 창문시스템
KR102358992B1 (ko) * 2020-01-30 2022-02-07 (주)센도리 실내 공기청정시스템
KR102169524B1 (ko) * 2020-04-02 2020-10-23 (주)엠티이에스 감염병 차단 음압 공조시스템
JP2021171257A (ja) * 2020-04-23 2021-11-01 消防庁長官 消火システム
KR102287876B1 (ko) * 2020-08-06 2021-08-10 주식회사 드웰링 재난 안전 스마트 쉘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453B1 (ko) 창호 부착형 자동 자연환기 및 열교환 겸용 환기 시스템
CN110578969B (zh) 一种自清洁新风进风系统及运行方法
CN107747354B (zh) 一种节能屋顶结构及其使用方法
JP2007120861A (ja) 換気調温制御装置および方法
CN107859464A (zh) 智能多功能温度空气质量调控窗
CN105821995A (zh) 一种大间隔冬夏双模式外循环呼吸式幕墙及其控制方法
CN109610581A (zh) 一种基于互联网的移动智能公厕
KR102457365B1 (ko) 절전형 공공쉼터 시스템
KR102457373B1 (ko) 에너지 절약형 공공쉼터 시스템
JP2009299314A (ja) 住宅における温度調整システム
US6021953A (en) Year-rou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JP2002130740A (ja) 室内温度調節装置
JP4751363B2 (ja) 床暖房システム
CN204027072U (zh) 泳池三集一体除湿除雾霾热泵
JPH11148693A (ja) 住宅の換気構造
KR102228435B1 (ko) 건물의 환기 및 미세먼지 유입 방지시스템
JP3848652B2 (ja) ソーラーシステムハウス
JP4638831B2 (ja) 床暖房システム
CN108072157A (zh) 空间和空调的组合结构以及空调的控制方法
JPH0735419A (ja) 太陽熱利用建築物
CN210951731U (zh) 一种自清洁新风进风系统
CN209389527U (zh) 一种埋地预装式变电站的通风结构
JP5715448B2 (ja) 建物の空調システム
WO1999043992A1 (fr) Dispositif integre, prefabrique et modulaire, de chauffage et de ventilation d'un local de batiment
JPH05296514A (ja) 地下室付き住宅の通風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