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1790B1 - 푸셔용의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 Google Patents

푸셔용의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1790B1
KR102071790B1 KR1020180057816A KR20180057816A KR102071790B1 KR 102071790 B1 KR102071790 B1 KR 102071790B1 KR 1020180057816 A KR1020180057816 A KR 1020180057816A KR 20180057816 A KR20180057816 A KR 20180057816A KR 102071790 B1 KR102071790 B1 KR 102071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control means
blocking means
locking devic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7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8852A (ko
Inventor
필리쁘 뢰쳐
그레고리 키쓸링
Original Assignee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오메가쏘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180128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8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091Cases for clock parts, e.g. for the escapement or the electric motor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3Locking of the operating element, also by mounting in a concealed plac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06Dials
    • G04B19/18Graduations on the crystal or glass, on the bezel, or on the rim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19/00Indicating the time by visual means
    • G04B19/28Adjustable guide marks or pointers for indicating determined points of time
    • G04B19/283Adjustable guide marks or pointers for indicating determined points of time on rotatable rings, i.e. bezel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01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by push butt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5Storing the operating element, also bringing it out of storag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6Operation by rotation and axial movement with extra function of axial shift of operating element, e.g. crown combined with push butt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00Normal winding of clockworks by hand or mechanically; Winding up several mainsprings or driving weights simultaneously
    • G04B3/04Rigidly-mounted keys, knobs or crowns
    • G04B3/048Operation exclusively by axial movement of a push-button, e.g. for chronograph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008Cases for pocket watches and wrist watch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37/00Cases
    • G04B37/08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 G04B37/10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of winding stems
    • G04B37/106Hermetic sealing of openings, joints, passages or slits of winding stems of push buttons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 G04B47/0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 G04B47/066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with attached measuring instruments, e.g. pedometer, barometer, thermometer or compass with a pressure sensor
    • GPHYSICS
    • G04HOROLOGY
    • G04FTIME-INTERVAL MEASURING
    • G04F7/00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 G04F7/04Apparatus for measuring unknown time intervals by non-electric means using a mechanical oscillator
    • G04F7/08Watches or clocks with stop devices, e.g. chronograph
    • G04F7/0866Special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lock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타임피스는 케이스 미들 (2), 푸셔 (4) 및 이 푸셔용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케이스 (1) 를 구비한다. 푸셔는 작동 축선 (20) 에서 병진운동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열된다. 잠금 디바이스는 차단 수단 (8) 을 포함하고, 이 차단 수단은 작동 축선을 따라서 그리고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되는 능력을 갖고서 병진운동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고,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에서 푸셔 (4) 는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에 대해 각각 차단되고 병진 운동이 자유롭다. 잠금 디바이스는, 또한, 차단 수단에 대한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케이스의 일반 평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어 수단 (10) 을 포함하고, 이 제어 수단은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차단 수단 (8) 을 구동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푸셔용의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TIMEPIECE CONTAINING A LOCKING DEVICE FOR A PUSHER}
본 발명은 시계 제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푸시 버튼과 같은 타임피스의 사용자에 의해 작동할 수 있는 푸셔를 위한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에 관한 것이다.
푸시 버튼이 비작용 상태로 되게 하는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의 제조는 익숙하다. 이 디바이스의 목적은 푸시 버튼의 우연한 작동을 방지하거나, 잠수부의 시계의 경우, 외부 압력의 영향으로 푸시 버튼이 작동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잠금 디바이스를 기술하는 다수의 특허 출원이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출원 CH678138 은 푸셔와 동축인 나사산구비 링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나사식 푸셔를 제안한다. 나사산구비 링은 푸셔의 펜던트에 나사조립되고, 푸셔의 헤드 아래에서 그 작동을 방지하도록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출원 US9105413 은 이 디바이스의 변형예를 기술하고 있다.
출원 CH707595 는 푸셔와 동축인 회전 링의 도움으로 차단될 수 있는 시계 푸셔를 제안하고 있고, 이의 회전은 푸셔의 헤드 아래에서 지지를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서 슬리브의 축방향 변위를 유발한다.
그러나, 이러한 잠금 디바이스는 다수의 단점을 나타낸다. 푸셔는, 사용자에 의해 회전될 수 있어야 하고 따라서 시계 케이스의 케이스 미들의 외주면을 넘어서 방사상으로 충분히 연장되어야 하는 동축 제어 링에 의해 둘러싸이기 때문에, 이 푸셔는 돌출되어야 하고 또한 짧은 이동을 가져야 하는데, 이는 그 작동을 보다 어렵게 만들고 덜 정확하게 만든다. 푸셔의 이동이 통상적인 길이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길어지도록, 푸셔의 로드는 푸셔의 헤드가 케이스 미들로부터 비교적 멀어지도록 연장되어야 하는데, 이는 시계의 미학을 불리하게 바꾼다. 실제로, 제어 링은, 쉽게 조작될 수 있도록, 일반적으로 푸셔의 헤드의 것보다 더 큰, 특정 직경 및 케이스 미들을 넘어서는 특정 높이를 나타내야 한다. 결과적으로, 이와 같은 잠금 디바이스가 장착된 푸시 버튼은 견고한 외관을 갖는다. 또한, 회전운동을 병진운동으로 변환시키는데 사용되는 나사 스레드 (screw thread) 는 변환이 우발적인 방식으로 가역적으로 되지 않도록 충분히 작아야 하며, 즉, 임의의 마찰은 의도하지 않은 나사풀림에 충분히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디바이스를 잠금 상태와 잠금해제 상태 사이에서 전환시키기 위해, 제어 링의 많은 회전으로 인해 긴 조작 시간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크로노그래프가 장착된 경우와 같이, 복수의 푸셔를 포함하는 시계의 경우, 잠금 동작은 각 푸셔에 대해 연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기 때문에 특히 시간-소모적일 수 있다.
전술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부분적으로 제공하는 푸셔 잠금 디바이스가 또한 알려져 있다. 문헌 US 2010/014233 은 푸셔의 작동 축선에 수직인 방식으로, 수직 가동 프레임워크에 의해 푸셔의 작동을 차단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 프레임워크는 잠금 디바이스의 제어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회전 베젤의 위치에 따라 푸셔의 헤드 뒤쪽에 위치하는 푸셔를 위한 상부 맞닿음부를 규정한다. 프레임워크 그리고 그에 따라 맞닿음부는 이 회전 베젤의 하부 표면에 의해 직접 작동될 수 있도록 회전 베젤 아래에 배치된다. 이 실시형태는, 푸셔가 그의 휴지 위치에 있을 때 (푸셔가 작동되지 않음) 푸셔의 헤드의 후방 부분이 시계의 케이스 내로 삽입되어야 한다는 사실로 인해 첫 번째 단점을 갖는다. 두 번째 단점은, 푸셔가 푸셔의 헤드의 상부 부분에 대해 단지 작용하는 작은 맞닿음부에 의해 잠금된다는 사실로부터 유래한다. 세 번째 단점은, 잠금 디바이스, 특히 케이스 미들에서 수직으로 이동하는 프레임워크가 번거롭고, 케이스 미들이 이 목적을 위해 리세스를 가져야 한다는 사실로부터 발생한다. 또한, 프레임워크의 수직 이동은 케이스의 내부에서 이러한 이동을 허용하기 위해 비교적 큰 케이스를 필요로 한다.
또한, 문헌 EP 1 582 945 의 도 7, 8 및 11 로부터는 푸셔용의 잠금 디바이스가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는 튜브 및 이 튜브를 관통하는 피스톤이 푸셔의 헤드와 일체형이고, 튜브는 이 헤드에 고정되고, 피스톤은 2 개의 수직 위치들 사이에서, 즉 푸셔의 작동 축선에 수직인 축선에서의 2 개의 위치들 사이에서 튜브 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회전 베젤은 그 하부 표면에 홈을 가지며, 피스톤의 일 끝단은 이 홈에 수용된다. 이 홈은 각각 푸셔의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를 한정하는 2 개의 극단 위치들 사이에서 튜브 내에서의 피스톤의 작동을 허용하는 방식으로 변화하는 깊이를 갖는 부분 (45) 을 갖는다. 조립이 곤란한 소형 부품들을 갖는 이 실시형태는 복잡하다. 튜브 및 피스톤은 작동 축선에서의 변위 동안에 푸셔와 일체이므로, 베젤에 그리고 케이스 미들의 상부에 비교적 큰 방사상 리세스를 제공하여서, 피스톤 및 그 튜브가 푸셔로 잠금해제 위치로 방사상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시스템이 번거로워진다. 이는, 푸셔를 잠금하기 위해 피스톤이 수직 이동을 행하고 이로 인해 푸셔 위에 케이스의 비교적 큰 높이를 필요로 한다는 사실에 의해 더욱 악화된다. 또한, 케이스 내로의 피스톤에 의한 푸셔의 합체가 어렵다. 사실, 회전 베젤과 고정 베젤은, 피스톤을 원하는 수직 방향으로 유지하는 것을 확실히 하면서 잠금 디바이스가 장착된 푸셔를 도입한 이후에 장착되어야 한다. 특히, 푸셔 자체는 앞에서 언급한 2 개의 베젤들보다 먼저 또는 이와 동시에 조립되어야 하며, 이들을 사전에 해체하지 않고서 차후에 변경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결론적으로, 종래 기술의 이러한 실시형태는 다수의 단점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덜 번거롭고, 보다 신중하며 사용하기에 보다 용이한 적어도 하나의 푸셔를 위한 잠금 디바이스가 구비된 타임피스를 제안함으로써 종래 기술의 여러 가지의 단점을 해소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케이스 미들에 장착된 푸셔, 및 상기 푸셔를 잠금하도록 되어 있는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에 관한 것으로, 상기 푸셔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푸셔의 작동 축선에서 병진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상기 잠금 디바이스는, 차단 수단, 및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차단 수단의 변위를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고,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에서 상기 푸셔는 각각 차단되고 병진 운동이 자유롭다.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작동 축선에 대해 평행하게 일반 평면에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일반 평면에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차단 수단에 대한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해제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차단 수단은 상기 작동 축선을 따라서 그리고 상기 푸셔를 위한 축방향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후퇴하는 상기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작동 축선을 따라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변위되는 능력을 갖고서 병진운동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상기 제어 수단은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작동 축선에서 상기 차단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유리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타임피스는 베젤을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케이스 미들과 베젤 사이에 장착된 중간 링에 의해 형성되며, 이 링은 작동 축선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타임피스는 제어 수단을 형성하는 회전 베젤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단 수단은, 푸셔를 둘러싸고 푸셔의 작동 축선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원통형 슬리브이다.
하나의 특정 실시형태에 따르면, 차단 수단은 푸셔의 작동 축선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 슬라이더이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푸셔는 헤드를 포함하고, 차단 수단은 헤드로부터 짧은 거리에서 또는 헤드를 지탱하면서 푸셔를 잠금하도록 위치결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차단 수단이 포함하는 팔로어 수단과 협력작동하며 차단 수단을 반경방향 위치결정하기 위한 캠을 갖는다.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타임피스는 팔로어 수단을 캠과 접촉 상태로 유지하려고 하는 탄성 복귀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캠은 홈에 의해 형성되고, 팔로어 수단은 이 홈에 삽입된 핀이다.
하나의 특정 변형예에 따르면, 캠은 제어 수단 아래에 돌출하는 레일 / 리브 (rib) 에 의해 형성되고, 팔로어 수단은 차단 수단에 기계가공된 슬롯이다.
또 다른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잠금 디바이스는 차단 수단의 위치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시각적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유리한 변형예에 따르면, 잠금 디바이스는 제어 수단을 2 개의 안정한 위치들을 규정하는 그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에 적소에 유지하도록 의도된 위치결정 수단을 포함한다.
하나의 특정 변형예에 따르면, 제어 수단의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의 각각은, 예를 들어 탄성 요소 상에 장착된 볼에 의해 형성된 압력 지점에 의해 보증된다.
본 발명의 다른 세부 사항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다음의 설명의 열람으로부터 나올 것이다.
도 1 및 도 2 는 잠금 디바이스가 잠금 위치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피스의 제 1 실시형태의 라인 A-A 에 따른 횡단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 는 잠금 디바이스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도 1 및 도 2 와 유사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 는 본 발명에 따른 타임피스의 제 2 실시형태의 다양한 단면을 나타내며, 도 5 및 도 7 은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도 6 및 도 9 는 잠금해제 위치에 있는 잠금 디바이스를 도시하고, 도 8 은 중간 위치에 있는 잠금 디바이스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가 설명된다. 도면들은 케이스 (1) 의 케이스 미들 (2) 에 배치된 푸시 버튼 및 그 잠금 디바이스를 도시하는 타임피스의 부분 단면도를 나타낸다. 푸시 버튼은 특히 크로노그래프 기구를 위한 제어 수단을 형성한다. 이 푸시 버튼은 케이스 미들 (2) 이 포함하는 태핑 (tapping) 내로 나사결합된 펜던트 (3) 및,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도록 타임피스의 외부로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푸셔 (4) 로 구성된다. 푸셔 (4) 는 케이스의 일반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케이스 미들을 통과하는 작동 축선 (20) 에서 펜던트 (3) 가 포함하는 개구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되어 있는 헤드 (5) 및 로드 (6) 를 포함한다. 제 1 스프링 (7) 은 (모든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 미들 (2) 을 기준으로 푸셔 (4) 를 말단 위치에 유지하려고 시도한다.
타임피스는 작동 축선 (20) 에서 병진운동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차단 수단 (8) 을 포함하는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에서, 차단 수단 (8) 은 푸셔 (4) 를 둘러싸는 원통형 슬리브 (8a) 에 의해 형성되고, 이 슬리브는 적어도 잠금 디바이스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에 푸셔의 헤드 (5) 에 대한 맞닿음부 (12) 를 형성하는 내부 숄더를 갖는다.
또한, 잠금 디바이스는, 케이스 (1) 의 일반 평면에 대해 수직인 축선 주위에서, 따라서 작동 축선 (20) 에 대해 수직하게, 케이스 미들 (2) 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제어 수단 (10) 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어 수단은 작동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케이스의 일반 평면에서 연장하며, 잠금 디바이스의 잠금 위치 및 잠금해제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 일반 평면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어 수단 (10) 은 사용자에 의해 쉽게 작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케이스의 외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된다. 도 1 내지 도 4 에 도시된 제 1 실시형태에서, 제어 수단은 케이스 (1) 가 포함하는 베젤 (11) 과 케이스 미들 (2) 사이에 장착된 회전 링 (10) 이다.
잠금 기구의 작동이 이제 상세히 설명된다. 차단 수단 (8) 은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잠금 위치와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잠금 위치에서, 차단 수단 (8) 의 맞닿음부 (12) 는 푸셔 (4) 의 헤드 (5) 바로 아래에 위치되어서, 푸셔 (4) 의 병진운동을 실질적으로 차단하고, 그렇게 함으로써 이 푸셔와 관련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그 작동을 방지한다. 잠금해제 위치에서, 차단 수단은 푸셔 (4) 의 병진운동을 해제하여 푸셔를 작동하게 하는 방식으로 작동 축선에서 병진운동한다.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의 차단 수단의 변위는, 차단 수단 (8) 에 운동학적으로 링크연결된 제어 수단 (10) 에 의해 제어된다. 이를 위해, 제어 수단 (10) 은 차단 수단 (8) 이 포함하는 팔로어 수단과 협력작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제 1 실시형태에서, 구동 수단은 캠 (13a) 과 탄성 복귀 수단 (15) 에 의해 형성되는 한편, 팔로어 수단은 캠 (13a) 과 접촉하여 캠 팔로어의 역할을 하는 핀 (14a) 에 의해 형성된다. 탄성 복귀 수단 (15) (특히, 나선형 스프링) 은 핀 (14a) 이 제어 수단의 2 개의 작동 방향으로 캠 (13a) 과 접촉 상태로 유지되도록 한다. 여기에 나타낸 변형예에서, 캠 (13a) 은 회전 링 (10) 의 내부 리세스의 측면 표면에 의해 형성되며, 그 프로파일은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에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를 각각 형성하는 2 개의 각도 위치 사이에서 일정한 반경방향 변화를 나타낸다.
잠금 위치 및 잠금해제 위치가 안정된 위치가 되도록 하기 위해, 잠금 디바이스는 바람직하게는 전술한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제어 수단을 제 위치에 유지하도록 배치된 위치설정 수단을 포함한다. 특히, 제어 수단은 상기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에 충분할 수 있는 저 마찰로 선회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위치설정 수단은 상기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를 각각 한정하는 2 개의 극단 (13c) 에서 캠 (13a) 의 실질적인 제로 슬로프에 의해 주로 형성된다. 캠의 슬로프는 제로 슬로프가 원형 경로에 상당하도록 원형 기준 프레임에서 고려된다.
또한, 핀 (14a) 이 한편으로는 회전 링 (10) 에 형성된 내부 설부 (16) 에 의해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케이스 미들 (2) 에 의해 규정된 베어링 표면에 의해 제 1 및 제 2 위치에 대응하는 2 개의 극단 반경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유지된다는 사실에 의해 위치설정이 구현되거나 보강될 수 있다. 중앙 영역에서의 캠의 슬로프는 제어 수단의 작은 각도 변위에 응답하여 차단 수단의 비교적 빠른 변위를 야기하는 한편, 캠의 극단 (13c) 에서의 실질적인 제로 슬로프는 팔로어 요소로부터 제어 수단을 향하는 토크의 전달을 방지한다. 따라서 약 30도를 통한 회전 링의 회전은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양 방향으로 차단 수단을 변위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어 수단을 위치설정하는 수단이 상기 제 1 위치 및 제 2 위치, 따라서 잠금 위치 또는 잠금해제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통과되어야 하는 압력 지점들을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제어 수단의 2 개의 기능 위치가 더 확보되게 한다. 압력 지점의 통과는 또한 사용자에게 잠금 또는 잠금해제의 촉감 표시를 제공한다.
도 5 내지 도 9 는 제 1 실시형태에 도시된 대안적인 해결책을 포함하는 제 2 실시형태를 도시한다. 이러한 변형예들은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서로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2 개의 도시된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다른 대안 및 그 균등물의 조합을 또한 커버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에서, 차단 수단은 케이스 미들이 포함하는 반경방향 슬라이드 (9) 에서 푸셔의 작동 축선의 방향으로 미끄러지도록 되어 있는 슬라이더 (8b) 이다. 슬라이드 (9) 는 도브테일 형상 또는 임의의 다른 적합한 프로파일을 나타낼 수 있다.
제 2 변형예에서, 제어 수단 (10) 은 케이스가 포함하거나 지지하는 회전 베젤 (11) 에 의해 직접 형성된다.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르면, 캠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핀 (14a) 을 수용하고 실질적으로 이 핀의 직경의 폭을 갖는 홈 (13b) 에 의해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잠금 디바이스의 치수를 제한하기 위해 차단 수단의 구동 수단의 탄성 복귀 수단이 생략될 수 있는 데스모드로믹 (desmodromic) 제어에 해당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경우에 구성 부품들 사이에서 임의의 자유로운 놀음을 취하고 차단 수단의 임의의 작은 기생적인 병진을 제거하기 위해 작은 탄성 복귀 수단을 유지하는 것이 흥미로울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2 개의 실시형태에 대한 대안으로, 캠은 돌출 리브일 수도 있고, 팔로어 수단은 차단 수단에 기계가공된 슬롯일 수도 있고, 리브의 수용 및 슬롯 내에서의 리브의 슬라이딩은 잠금 수단의 반경방향 변위를 야기한다.
잠금 디바이스는 또한 차단 수단의 위치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시각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적 수단, 통상적으로 마크는 제어 수단 상에 또는 직접적으로 차단 수단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차단 수단은 잠금해제 위치에서는 은폐되어 있지만, 잠금 위치에서는 볼 수 있다. 밝은 색상으로 강화될 수 있는 잠금 수단의 가시성은 이 경우에 그 위치를 알려지게 하는 시각적 수단이다.
또한, 도 4 및 도 9 에서, 복수의 푸셔들을 동시에 잠금하기 위해, 제어 수단 (10) 이 복수의 홈 (13b), 각각 복수의 캠 (13a) 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용이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이하게 제안된 해결책은, 단일 이동으로 잠금하기에 더 쉽고 더 신속한 하나 또는 복수 개의 푸셔에 대한 잠금 디바이스를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차단 수단이 케이스 미들 안으로 완전히 후퇴될 수 있다는 사실은 잠금 디바이스를 신중하게 만든다. 또한, 종래의 푸셔의 작동은 잠금 디바이스가 잠금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 잠금 디바이스의 존재에 의해 덜 쉽게 만들어지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베젤의 레벨에 제어 수단을 재배치한다는 사실은, 푸셔의 치수가 본 발명에 따른 잠금 디바이스의 배치로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게 증가되게 하며, 이는 시계 케이스의 경우에 클래식한 외관을 유지할 수 있게 하며, 이는 이와 같은 잠금 디바이스가 없는 대응 케이스와 외부적으로 거의 동일하게 보일 수 있다.

Claims (12)

  1. 케이스 (1), 상기 케이스의 케이스 미들 (2) 에 장착된 푸셔 (4), 및 상기 푸셔를 잠금하도록 되어 있는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로서,
    상기 푸셔는 사용자에 의해 상기 푸셔의 작동 축선 (20) 에서 병진 운동을 행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상기 잠금 디바이스는, 차단 수단 (8), 및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차단 수단의 변위를 제어하도록 배치된 제어 수단 (10) 을 포함하고, 잠금 위치와 잠금해제 위치에서 상기 푸셔는 각각 차단되고 병진 운동이 자유롭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작동 축선 (20) 에 평행한 상기 케이스의 평면에서 연장하고, 또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평면에서,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차단 수단에 대한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해제 위치에 각각 대응하는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차단 수단 (8) 은 상기 차단 수단이 상기 푸셔를 위한 축방향 맞닿음부를 형성하는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 위치로부터 후퇴된 상기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상기 작동 축선 (20) 을 따라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변위되는 능력을 갖고서 병진운동 방식으로 이동가능하게 상기 작동 축선 (20) 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이 목적을 위해 상기 작동 축선 (20) 에서 상기 차단 수단을 구동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는, 타임피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 (13) 은 상기 차단 수단의 반경방향 위치결정을 위한 캠 (13a, 13b) 을 포함하고, 상기 캠은 상기 차단 수단이 포함하는 팔로어 수단 (14a) 과 협력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상기 팔로어 수단을 상기 캠 (13a) 과 접촉 상태로 유지하려고 하는 탄성 복귀 수단 (1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홈 (13b) 을 나타내고, 상기 팔로어 수단은 상기 홈에 삽입된 핀 (14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5.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캠은 리브 (rib) 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팔로어 수단은 슬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베젤 (11) 을 포함하거나 지지하고,
    상기 제어 수단 (10) 은, 상기 작동 축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도록 상기 케이스 미들 (2) 과 상기 베젤 (11) 사이에 장착되는 링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베젤 (11) 을 포함하거나 지지하고,
    상기 제어 수단 (10) 은 회전가능하게 배치된 상기 베젤 (11) 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수단 (8) 은, 상기 푸셔 (4) 를 둘러싸고 상기 푸셔의 상기 작동 축선에서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는 원통형 슬리브 (8a)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 수단 (8) 은, 상기 푸셔의 상기 작동 축선에서 상기 잠금 위치와 상기 잠금해제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배치되는 슬라이더 (8b)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푸셔 (4) 는 헤드 (5) 를 포함하고,
    상기 차단 수단 (8) 은 상기 헤드로부터 짧은 거리에서 또는 상기 헤드를 지탱하면서 상기 푸셔를 잠금하도록 위치결정될 수 있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디바이스는 상기 차단 수단 (8) 의 위치의 인식을 용이하게 하는 시각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디바이스는 상기 제어 수단 (10) 을 그의 제 1 위치와 제 2 위치 중 하나의 위치 또는 다른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배치된 위치결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임피스.
KR1020180057816A 2017-05-24 2018-05-21 푸셔용의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KR102071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72883.5 2017-05-24
EP17172883 2017-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852A KR20180128852A (ko) 2018-12-04
KR102071790B1 true KR102071790B1 (ko) 2020-01-30

Family

ID=5877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7816A KR102071790B1 (ko) 2017-05-24 2018-05-21 푸셔용의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25429B2 (ko)
EP (1) EP3407144B1 (ko)
JP (1) JP6537672B2 (ko)
KR (1) KR102071790B1 (ko)
CN (1) CN108958001B (ko)
CH (1) CH71383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51071B1 (fr) * 2017-09-01 2020-07-22 Omega SA Dispositif à poussoir pour pièce d'horlogerie
EP3557336B1 (fr) * 2018-04-20 2022-08-31 Rolex Sa Système de verrouillage d'un élément de commande d'une pièce d'horlogerie
JP7417852B2 (ja) 2018-10-19 2024-01-1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被覆電線の処理方法
EP3650951B1 (fr) * 2018-11-09 2021-06-16 Omega SA Piece d'horlogerie comportant un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e soupape ou d'une couronne
EP3742235B1 (fr) * 2019-05-23 2022-01-26 Meco S.A. Systeme de bouton-poussoir, et piece d'horlogerie le comprenant
EP3754434A1 (fr) * 2019-06-17 2020-12-23 Omega SA Piece d'horlogerie, notamment montre de poche, equipee d'au moins un couvercle
EP3770693B1 (fr) * 2019-07-23 2022-08-31 Omega SA Mecanisme stop-cage d'horlogerie a roue d'arret
EP3825777B1 (fr) * 2019-11-21 2024-04-24 Meco S.A. Correcteur de montre et carrure de montre
TWI726555B (zh) * 2019-12-27 2021-05-01 致茂電子股份有限公司 下壓頭鎖定機構、及具備該機構之電子元件檢測設備
EP4006647B1 (fr) * 2020-11-25 2023-05-10 Meco S.A. Couronne-poussoir pour pièce d'horlogerie
EP4047423A1 (fr) * 2021-02-17 2022-08-24 Omega SA Montre munie d'un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 organe de commande extérieu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108A1 (en) 2009-02-23 2010-08-26 Michele Romano Internal blocking device for push buttons of a timepiece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86728A (fr) * 1967-08-16 1969-09-15 Piquerez Sa Ervin Pièce d'horlogerie comprenant deux lunettes tournantes
CH504044A (fr) 1969-02-28 1970-11-15 Piquerez Sa Ervin Dispositif de blocage des poussoirs d'une pièce d'horlogerie pour plongeurs
KR800000142B1 (ko) * 1974-01-01 1980-03-08 핫도리 이찌도오 손목시계 용두(龍頭)의 구조
CH678138A5 (en) 1989-04-13 1991-08-15 Screw operated watch pushbutton lock - prevents accidental resetting of watch functions by locking button in non-operating position
CH685901B5 (fr) * 1993-11-25 1996-05-15 Smh Management Services Ag Couronne-poussoir pour piece d'horlogerie.
US5742565A (en) * 1996-05-21 1998-04-21 Timex Corporation Crown setting device for a timepiece
KR19990088020A (ko) * 1998-05-13 1999-12-27 에따 쏘시에떼 아노님 파브리끄 데보슈 시계,특히크로노그래프의누름단추
JP5025855B2 (ja) * 2001-04-27 2012-09-1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腕携帯用機器
JP4506218B2 (ja) * 2003-03-31 2010-07-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ボタン構造、およびこれを備えた携帯機器
EP1582945A3 (fr) 2004-03-31 2009-01-14 Alfred Dunhill Limited Pièce d'horlogerie à boutons-poussoirs
DE602006001647D1 (de) * 2006-04-25 2008-08-14 Swatch Group Man Serv Ag Uhr mit einem drehbaren Teil
JP4745930B2 (ja) * 2006-09-19 2011-08-10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時計
JP4874066B2 (ja) * 2006-11-22 2012-02-08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時計
EP1939699B1 (fr) * 2006-12-29 2012-05-30 Montres Breguet S.A. Dispositif correcteur coaxial multifonction
JP4937013B2 (ja) * 2007-06-28 2012-05-23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時計が備える竜頭の製造方法
ATE457073T1 (de) * 2007-11-08 2010-02-15 Meco Sa Krone für uhr
US7742287B2 (en) 2008-07-16 2010-06-2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pparatus for display movement of a laptop computer
JP5315024B2 (ja) 2008-11-26 2013-10-16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携帯時計
CH700535A1 (fr) 2009-03-11 2010-09-15 Francoise Schuerch Montre-bracelet comportant une lunette rotative.
CH705090A2 (fr) * 2011-06-08 2012-12-14 Omega Sa Dispositif pour l'orientation d'une couronne vissée d'une pièce d'horlogerie.
US8783944B2 (en) * 2011-07-22 2014-07-22 Casio Computer Co., Ltd. Switch device and wristwatch
JP5440886B2 (ja) * 2011-12-19 2014-03-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スイッチ装置及び腕時計
JP5876316B2 (ja) 2012-02-07 2016-03-02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携帯機器及び携帯時計
CH707595B1 (fr) 2013-02-13 2017-10-31 Prétat Roland Sous-ensemble à poussoir de montre chronographe vissable et blocable à l'aide d'un anneau rotatif et d'une douille téléscopique se déplaçant axialement.
JP6262364B2 (ja) * 2014-03-26 2018-01-17 ザ・スウォッチ・グループ・マネージメント・サービシイズ・エイ ジー 計時器用制御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95108A1 (en) 2009-02-23 2010-08-26 Michele Romano Internal blocking device for push buttons of a timepie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8852A (ko) 2018-12-04
CN108958001A (zh) 2018-12-07
US10725429B2 (en) 2020-07-28
EP3407144B1 (fr) 2021-06-30
EP3407144A3 (fr) 2019-01-23
JP6537672B2 (ja) 2019-07-03
JP2018197748A (ja) 2018-12-13
CN108958001B (zh) 2020-11-13
CH713834A2 (fr) 2018-11-30
EP3407144A2 (fr) 2018-11-28
US20180341228A1 (en) 2018-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790B1 (ko) 푸셔용의 잠금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타임피스
KR102341189B1 (ko) 적어도 하나의 커버가 장착된 타임피스, 특히 회중 시계
US20050254353A1 (en) Timepiece with pushbuttons
US10345762B2 (en) Timepiece with retractable pusher
CN110658711B (zh) 配备至少一个罩盖的尤其是怀表的钟表
JP5606823B2 (ja) 時計の機能を調節しかつ/または制御する手動装置
US5605225A (en) Push-pull type latching control button, in particular for actuating an electrical component
US20070230286A1 (en) Second hand reset device for a timepiece
CN111176095B (zh) 包括用于锁定阀或上条旋钮的装置的钟表
JP7164684B2 (ja) 時計を制御するためのデバイス
CN112882371B (zh) 表冠和包括这种表冠的时计
JP2024505828A (ja) 時計ムーブメントの複数の機能を制御するための部材
US11822291B2 (en) Watch equipped with a device for locking an external control unit
JP2023089957A (ja) 補正部材を備える計時器ケース
JP4889392B2 (ja) リミット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