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0398B1 -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 - Google Patents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0398B1
KR102070398B1 KR1020170155872A KR20170155872A KR102070398B1 KR 102070398 B1 KR102070398 B1 KR 102070398B1 KR 1020170155872 A KR1020170155872 A KR 1020170155872A KR 20170155872 A KR20170155872 A KR 20170155872A KR 102070398 B1 KR102070398 B1 KR 102070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shaft
bevel gear
rotating body
output shaft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5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8155A (ko
Inventor
강대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맥스
Priority to KR1020170155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03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0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0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에 관한 것으로서, 트랙터 등의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동력차단 시 상기 입력축베벨기어 및 상기 입력축베벨기어와 치합된 출력축베벨기어가 파손될 우려가 없어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고, 나아가, 풀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부회전체와 하부회전체를 간편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Eco - friendly passenger - manure interceptors and mowers}
본 발명은 트랙터 등의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동력차단 시 상기 입력축베벨기어 및 상기 입력축베벨기어와 치합된 출력축베벨기어가 파손될 우려가 없어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고, 나아가, 풀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부회전체와 하부회전체를 간편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관리기는 20마력이하 농작업기로 작업자가 탑승하여 주행하면서 운전조작이 가능한 소형의 다목적 농업기계이며, 구굴기, 붐스프레이어, 비료살포기, 로타리, 비닐피복기, 휴립 피복기 등의 작업기를 장착하여 다양한 농작업의 수행이 가능하다.
이러한 승용관리기는 고령 및 여성농업인 친화형 농기계로 선정되어 농림식품부 지원정책으로 확대보급될 것이며, 승용관리기에 필수로 필요한 부속작업기 연구개발은 초기단계이며 시장은 진입단계라 할 수 있다.
특히, 밭 농작물의 생육증대를 위해 4월하순부터 11월초순까지 사용빈도가 타 작업기보다 높고 과수제초작업 및 땅속작물인 감자 및 고구마 등 순치작업용 승용관리기 부착용 작업기는 농림식품부지원 정책과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에서 발간한 2016년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에서 제시한 승용관리기 부속작업기 탈부착 중요기술이며, 최근에는 이앙 및 직파재배를 한 논에서 제초작업(김매기), 복토작업, 비료 또는 제초제살포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도록 한 승용관리기용 제초장치가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0127016으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0127016의 경우, 입력축이 트랙터 등의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상기 동력회전축(PTO)의 동력차단 시 관성력에 의해 입력축의 단부에 결합된 베벨기어가 관성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파손될 우려가 다분한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0127016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트랙터 등의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동력차단 시 상기 입력축베벨기어 및 상기 입력축베벨기어와 치합된 출력축베벨기어가 파손될 우려가 없어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고, 나아가, 풀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부회전체와 하부회전체를 간편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는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농기계의 후방에 설치되어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블레이드가 구비된 블레이드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후측에 결합되는 입력축베벨기어와, 상기 입력축베벨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출력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출력축베벨기어가 구비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로서, 상기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베벨기어 사이에 원웨이 클러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원웨이 클러치는 상기 입력축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키홈과;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걸림돌편과; 상기 걸림돌편을 탄성지지한 상태로 상기 키홈에 삽입되는 탄성부재와; 상기 입력축베벨기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편이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상기 걸림돌편의 하부 타측에 단차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단차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키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편의 하부 타측을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출력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부회전체와, 상기 상부회전체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블레이드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부회전체와, 상기 상부회전체와 상기 하부회전체에 각각 상부와 하부가 감겨지는 감김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출력축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측면기어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기어박스의 상부회전체의 내측 및 하부회전체의 내측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외측방향에 복수의 체결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후측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일측에 복수의 관통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후측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고정플랜지부와; 상기 고정플랜지부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의 체결공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트랙터 등의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동력이 차단될 경우, 입력축과 입력축베벨기어 사이에 구비되는 원웨이 클러치로 인해 상기 입력축베벨기어가 관성력에 의해 공회전될 수 있어 트랙터 등의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동력차단 시 상기 입력축베벨기어 및 상기 입력축베벨기어와 치합된 출력축베벨기어가 파손될 우려가 없어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측면기어박스의 풀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부회전체의 내측 및 하부회전체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구비되는 고정링, 고정플랜지부 및 체결부재를 통해 풀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부회전체와 하부회전체를 간편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어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입력축, 출력축 및 블레이드회전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사시도이고,
도 3은 원웨이 클러치를 확대한 일부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입력축과 함께 입력축베벨기어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입력축베벨기어가 공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측면기어박스로부터 고정링, 고정플랜지부 및 체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일부절개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 - B선에 따른 일부분리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1은 고정링, 고정플랜지부 및 체결부재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입력축, 출력축 및 블레이드회전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사시도이고, 도 3은 원웨이 클러치를 확대한 일부확대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농기계의 후방에 설치되어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입력축(10)과; 상기 입력축(1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제초를 위한 블레이드(111)가 구비된 블레이드회전축(11)을 회전시키는 출력축(20)과; 상기 입력축(1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 결합되는 입력축베벨기어(310)와, 상기 입력축베벨기어(310)와 치합되도록 상기 출력축(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에 결합되는 출력축베벨기어(320)가 구비되는 기어박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상기 입력축(10), 출력축(20) 및 기어박스(30)는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실0127016을 통해 널리 공지된 사항임으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는 도 3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단, 도 3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입력축(10)과 상기 입력축베벨기어(310) 사이에 원웨이 클러치(40)가 구비된다.
상기 원웨이 클러치(40)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키홈(410), 걸림돌편(420), 탄성부재(430) 및 걸림고정홈(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키홈(410)은 상기 입력축(10)의 내측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된 상태로 상기 입력축(10)의 후측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편(420)은 상기 키홈(41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30)는 상기 걸림돌편(420)의 하부 일측의 반대측인 하부 타측을 상기 걸림돌편(420)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한 상태로 상기 키홈(410)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홈(440)은 상기 입력축베벨기어(310) 내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편(420)의 타측은 상기 탄성부재(430)이 탄성력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걸림고정홈(440)내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돌편(420)의 타측이 상기 탄성부재(430)에 의해 보다 용이하게 상승하여 상기 걸림고정홈(440)내에 분리가능하게 걸림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걸림돌편(420)의 하부 일측의 반대측인 하부 타측에는 단차부(421)가 형성되고, 상기 단차부(421)내에 상기 탄성부재(43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단차부(421)는 상기 걸림돌편(420)의 하부 타측에서 상기 걸림돌편(42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깊이로 함몰되는 '┏'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단차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430)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상기 단차부(421)내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키홈(410)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편(420)의 하부 타측을 상승시킨 상태로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입력축과 함께 입력축베벨기어가 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입력축(10)이 트랙터 등의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회전동력에 의해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정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입력축베벨기어(310) 또한 상기 입력축(10)을 따라 정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6은 입력축베벨기어가 공회전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트랙터 등의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회전동력이 차단되어 상기 입력축(10)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이 중지된 경우, 상기 원웨이 클러치(40)를 통해 상기 입력축베벨기어(310)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관성력에 의해 정방향으로 일정횟수로 공회전되면서 서서히 멈출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트랙터 등의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동력차단 시 상기 입력축베벨기어(310) 및 상기 입력축베벨기어(310)와 치합된 출력축베벨기어(320)가 파손될 우려가 없어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입력축베벨기어(310)가 정방향으로 일정횟수로 공회전되는 과정 중에 상기 걸림돌편(420)의 타측은 상기 탄성부재(430)이 탄성력에 의해 승강운동할 수 있다.
도 7은 측면기어박스로부터 고정링, 고정플랜지부 및 체결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일부절개분리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B - B선에 따른 일부분리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출력축(20)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회전축(11)으로 전달하는 측면기어박스(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측면기어박스(50)는 기어박스몸체(510), 상부회전체(520), 하부회전체(530) 및 감김부재(5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몸체(510)의 상부 내측과 하부 내측에는 상기 출력축(20)의 일측과 상기 블레이드회전축(11)의 일측이 일정길이로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상부회전체(520)는 상기 출력축(20)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몸체(510)의 상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회전체(530)는 상기 상부회전체(520)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블레이드회전축(11)의 일측에 결합된 상태로 상기 기어박스몸체(510)의 하부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김부재(540)의 상부와 하부는 각각 상기 상부회전체(520)의 상부외면과 상기 하부회전체(530)의 하부외면에 각각 감겨질 수 있다.
상기 상부회전체(520)와 상기 하부회전체(530)는 풀리, 스프로켓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감김부재(540)는 풀리에 감겨지는 벨트, 스프로켓에 감겨지는 체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풀리, 스프로켓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상부회전체(520)와 상기 하부회전체(530)를 작업자가 간편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자의 작업효율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링(60), 고정플랜지부(70) 및 체결부재(8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고정링, 고정플랜지부 및 체결부재의 결합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이다.
상기 고정링(60)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측면기어박스(50)의 상부회전체(520)의 내측 및 하부회전체(53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각각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고정링(60)의 내주면에는 경사면(61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610)은 상기 고정링(6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고정링(60)의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도 7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경사면(610)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정링(60)의 가장자리에는 복수의 체결공(620)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6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에는 상기 고정링(6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절개부(6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정플랜지부(70)는 삽입몸체(710)와; 상기 삽입몸체(7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7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몸체(710)의 후측 및 상기 플렌지(720)의 후측에는 상기 고정링(60)의 절개부(630)와 연통되는 절개부(730)가 상기 고정링(60)의 절개부(630)를 따라 일정길이로 좌우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몸체(710)는 상기 고정링(60)의 내경크기보다 미소(微小)만큼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몸체(710)의 외주면에는 경사면(7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경사면(711)은 상기 삽입몸체(7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삽입몸체(710)의 내측으로 경사질 수 있다.
상기 삽입몸체(71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고정링(6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몸체(710)가 상기 고정링(60)의 내측에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과정 중에 상기 고정링(60)은 상기 상부회전체(520)의 내주면 및 하부회전체(530)의 내주면 방향으로 점차 벌어지면서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상부회전체(520)의 내주면 및 하부회전체(530)의 내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삽입몸체(710)는 상기 삽입몸체(710)의 내측방향으로 점차 오므라들면서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출력축(20) 외주면과 상기 블레이드회전축(11)의 외주면에 각각 밀착고정될 수 있다.
상기 삽입몸체(710)의 일측에 형성되는 플랜지(720)에는 복수의 관통공(721)이 등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80)는 상기 고정플랜지부(70)의 복수의 관통공(721)을 수평관통하여 상기 고정링(60)의 복수의 체결공(620)에 각각 분리가능하게 나사결합되는 체결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 입력축, 20; 출력축,
30; 기어박스, 40; 원웨이 클러치.

Claims (4)

  1. 농기계의 후방에 설치되어 농기계의 동력회전축(PTO)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여 외주면에 일정간격으로 블레이드가 구비된 블레이드회전축을 회전시키는 출력축과; 상기 입력축의 후측에 결합되는 입력축베벨기어와, 상기 입력축베벨기어와 치합되도록 상기 출력축의 타측에 결합되는 출력축베벨기어가 구비되는 기어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로서,
    상기 입력축의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는 키홈과, 상기 키홈에 삽입되고 하부 타측에 상부방향으로 함몰되는 단차홈으로 이루어진 단차부가 형성되는 걸림돌편과, 상기 단차부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키홈에 삽입되어 상기 걸림돌편의 하부 타측을 탄성지지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탄성부재와, 상기 입력축베벨기어의 내주면에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편이 걸림고정되는 걸림고정홈으로 구성되어 상기 입력축과 상기 입력축베벨기어 사이에 구비되는 원웨이 클러치;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상부회전체와, 상기 상부회전체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블레이드회전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하부회전체와, 상기 상부회전체와 상기 하부회전체에 각각 상부와 하부가 감겨지는 감김부재로 구성되어 상기 출력축의 회전력을 상기 블레이드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측면기어박스가 구비되고,
    상기 측면기어박스의 상부회전체의 내측 및 하부회전체의 내측에 삽입되고, 내주면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의 외측방향에 복수의 체결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후측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고정링과;
    상기 고정링의 내측에 삽입되고, 외주면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일측에 복수의 관통공이 등간격으로 형성되고, 후측에 절개부가 형성되는 고정플랜지부와;
    상기 고정플랜지부의 복수의 관통공을 관통하여 상기 고정링의 체결공에 체결고정되는 체결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
  3. 삭제
  4. 삭제
KR1020170155872A 2017-11-21 2017-11-21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 KR102070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72A KR102070398B1 (ko) 2017-11-21 2017-11-21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5872A KR102070398B1 (ko) 2017-11-21 2017-11-21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155A KR20190058155A (ko) 2019-05-29
KR102070398B1 true KR102070398B1 (ko) 2020-04-01

Family

ID=66672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5872A KR102070398B1 (ko) 2017-11-21 2017-11-21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039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1952A (ja) * 2001-04-06 2002-10-15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
JP4240434B2 (ja) 2000-03-14 2009-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管理機
JP4743808B2 (ja) 2001-03-22 2011-08-10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コンバイン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43330A (en) * 1987-02-24 1989-01-09 Tsubakimoto Chain Co Fastener for shaft and rotor
KR0127016Y1 (ko) 1995-12-27 1998-09-15 김웅길 승용관리기용 제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40434B2 (ja) 2000-03-14 2009-03-1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管理機
JP4743808B2 (ja) 2001-03-22 2011-08-10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コンバイン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JP2002301952A (ja) * 2001-04-06 2002-10-15 Matsuyama Plow Mfg Co Ltd 農作業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155A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82774B1 (en) Brushcutter blade
US20080245539A1 (en) Soil Tilling Device
KR100601585B1 (ko) 양파 수확기
KR102070398B1 (ko) 승용관리기 부착용 제초기
KR100809175B1 (ko) 구근작물의 줄기 분쇄장치
KR100809832B1 (ko) 땅속작물 수확기
KR100983824B1 (ko) 제초용 매트
KR200476252Y1 (ko) 농업용 휴립 비닐피복기
KR20200056248A (ko) 수목 보호판
KR102272400B1 (ko) 복토장치
JP2022059623A (ja) 耕耘方法、および、それに利用する農業機械
KR200486652Y1 (ko) 소형 관리기용 벨트 커버
KR200410334Y1 (ko) 퇴비 살포기
KR100724107B1 (ko) 동력기계 부착형 제초기
KR100900651B1 (ko) 트랙터용 로터리기계에 탈부착 사용하는 제초기
CN112273117A (zh) 一种自动完成地膜栽培技术种植准备的农业机械
CN201657607U (zh) 旋耕刀总成
KR20100054059A (ko) 예초기용 커터
KR200440469Y1 (ko) 해로우 칼날 조립장치
KR200221937Y1 (ko) 경운기용 제초기
KR200357857Y1 (ko) 예취기에 장착되는 로터리
CN102577666A (zh) 无漏耕链条传动抛土灭茬深松旋耕机
KR20190108704A (ko) 잡초 성장억제용 덮개
KR100724108B1 (ko) 관리기 부착형 제초기
RU2695864C1 (ru) Косилка роторна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