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824B1 - 제초용 매트 - Google Patents

제초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824B1
KR100983824B1 KR1020080016050A KR20080016050A KR100983824B1 KR 100983824 B1 KR100983824 B1 KR 100983824B1 KR 1020080016050 A KR1020080016050 A KR 1020080016050A KR 20080016050 A KR20080016050 A KR 20080016050A KR 100983824 B1 KR100983824 B1 KR 1009838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mat
soil
weeding
wee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6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0686A (ko
Inventor
채민순
Original Assignee
채민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민순 filed Critical 채민순
Priority to KR1020080016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824B1/ko
Publication of KR200900906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06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8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8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81Protective ground coverings for individual plants, e.g. for plants in po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7/00Botany in general
    • A01G7/06Treatment of growing trees or plants, e.g. for preventing decay of wood, for tingeing flowers or wood, for prolonging the life of pla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2013/006Protecting plants with perforations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제초용 매트는, 토양과 접하며 토양의 통풍이 용이하도록 하는 섬유재질의 제1층, 제1층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지면으로 전달되는 햇빛과 수분을 차단하고 일정 하중을 부과하여 잡초의 발아 및 성장을 억제시키는 고무재질의 제2층, 및 제1층 및 제2층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층 및 제2층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작물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2층의 상부면에는 햇빛을 반사시키는 은색의 반사체가 도포된다. 이에 의하면 토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잡초의 발아 및 성장을 억제시키는 동시에 토양의 통풍이 용이하도록 하여 토양의 오염 및 산성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트의 상부면을 은색의 발광체로 도포하여 햇빛을 반사시켜, 과실의 착색 및 성숙도에 도움을 주어 과실의 품질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제초, 매트, 발광체, 도포, 농작물, 과수, 고무재질, 섬유재질

Description

제초용 매트{A MAT FOR WEED CONTROL}
본 발명은 매트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잡초의 방제 기능과 흙슬림현상을 방지하고 이와 함께 가뭄으로 인한 토양의 건조화를 방지하는 동시에 겨울철 보온 효과로 농작물의 냉해를 방지할 수 있는 제초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전통적인 벼농사 이외에 과수원, 밭을 이용한 다양한 농작물이 농가의 주요 소득원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으며, 또한 농가 이외의 도시생활자들도 취미생활 또는 주말농장 등의 확산으로 인하여 다양한 농작물을 재배하고 있다.
농작물이 잘 재배되기 위해서는 토양에 포함된 수분과 영양이 적절히 공급되어야 하지만, 농작물의 주변에는 잡초들이 자라 작물의 생육을 방해하기 때문에 이를 제거해야 한다. 제초는 생육 중인 잡초를 제거할 뿐만 아니라 잡초 종자의 발아를 미연에 억제하는 일도 포함되며 이것을 잡초방제라고 한다. 제초는 재배관리작업 중에서 무엇보다 번거로운 작업이다. 제초의 방법에는 발생방지와 살초구제(殺草驅除)가 있다. 발생방지에는 경지를 깊이하고 표토에 많이 있는 잡초종자를 깊이 묻어 버리는 방법, 또는 짚 ·비닐 등으로 지면을 덮는 이른바 멀칭에 의해서 발아를 억제시키는 방법 등이 취해진다. 살초구제법으로서는 손으로 하는 제초를 비롯 하여 표토를 얕게 긁어서 싹이 트는 잡초를 죽이거나 이랑을 갈아서 잡초의 뿌리를 절단시켜 말라죽게 하는 중경제초, 또는 잡초에 흙을 덮어서 죽이는 배토(培土) 등의 방법, 또는 제초기계를 이용하여 잡초를 잘라내는 방법 등이 있다. 한편 이들 기계적 ·물리적 방법을 취하는 대신 제초제에 의한 화학적 방제법이 있다.
그런데, 화학적 방제법은 농약 살포시 그 효과가 즉각적으로 나타나 사용이 편리한 이점이 있으나 그 자체의 독성으로 인해 토양오염, 환경오염 및 인체에 악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최근에는 소비자들이 삶의 질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므로 최근에는 농약을 대신하여 잡초를 제거할 수 있는 친환경농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기계적·물리적 방지방법은 작업자체가 정기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또한 넓은 재배면적 전체를 관리해야 하므로 작업자의 손길이 너무 많이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고 특히 최근의 전체 농가의 인력난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비닐 등의 경우 토양으로부터 제거시 재활용이 안되므로 환경오염 측면에서도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제초기계를 이용하는 방법 역시 매우 수고스러운 단점 이외에 제초작업시 제초기의 날에 의해 농작물이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은 제초작업에 있어서 화학적 방제법을 이용하지 않아 친환경농법을 실현하고, 또한 인건비절감과 작업의 용이성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제초용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제초용 매트는, 토양과 접하며 토양의 통풍이 용이하도록 하는 섬유재질의 제1층; 상기 제1층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지면으로 전달되는 햇빛과 수분을 차단하고 일정 하중을 부과하여 잡초의 발아 및 성장을 억제시키는 고무재질의 제2층; 및, 상기 제1층 및 제2층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층 및 제2층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작물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한다.
상기 제초용 매트는 4~6kg/㎡의 하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층의 상부면에는 햇빛을 반사시키는 은색의 반사체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제1층 및 제2층의 어느 하나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절개면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제초용 매트에 의하면, 토양에 접하는 제1층을 섬유재질로 형성하여 토양의 통풍이 용이하도록 하고 그 위에 일정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제2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토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잡초의 발아 및 성장을 억제시키는 동시에 토양의 통풍이 용이하도록 하여 토양의 오염 및 산성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트의 상부면을 은색의 발광체로 도포하여 햇빛을 반사시켜, 과실의 착색 및 성숙도에 도움을 주어 과실의 품질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의 편리성 및 인건비 절감 측면에서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용 매트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초용 매트(100)는 대략 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하부의 제1층(10)과, 제1층과 접하는 상부의 제2층(20)으로 구성된다.
제1층(10)은 하면이 지면의 토양과 접하며, 토양의 통풍이 용이하도록 섬유재질로 형성된다. 섬유재질은 보통 부직포 또는 카펫 등에 쓰이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어느 특정의 재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섬유재질이 토양에 함유된 수분을 잘 흡수하는 경우 잡초가 살 수 있는 환경을 부여함에 따라 섬유재질상에 잡초가 자라나게 되어 본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없을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하여 토양으로 산소가 제대로 공급이 되지 않아 미생물이 배양하지 못하여 토양자체가 단 단해짐과 함께 미생물이 배양되지 않으며 산소공급이 중단되어 산성화되는 우려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층(10)에 적용되는 섬유재질은 물을 잘 흡수하지 않는 재질을 사용하며 필요에 따라서 원단에 코팅 또는 필름 형태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층(20)은 제1층(1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고무재질로 형성된다. 여기서 고무재질이라 함은 고무로 이루어진 재질을 의미하며 고무는 상온에서 고무상 탄성을 나타내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물질이나 그 원료가 되는 고분자물질을 가리킨다. 고무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로 나뉘고 합성고무의 종류로는 스티렌부타디엔고무(SBR), 폴리클로로프렌고무(CR), 니트릴고무(NBR), 부틸고무(IIR), 부타디엔고무(BR), 이소프렌고무(IR), 실리콘고무, 아크릴고무 등이 있는데,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고무재질은 상기 어느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시중에 유통되는 고무재질이 적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층(20)은 제1층(10)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위치하는데, 제1층과 제2층은 보통 접착체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렇게 제2층(20)이 고무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지면으로 전달되는 햇빛과 수분을 차단하고 토양에 일정 하중을 부과하여 잡초의 발아 및 성장을 억제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초용 매트(100)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층 및 제2층을 관통하는 관통공(30)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30)을 통해 토양에 뿌리가 식재된 작물이 통과하여 자라게 된다. 또한, 제초용 매트(100)의 설치 및 제거의 용이를 위해 상기 관통공(30)으로부터 매트(100)의 어느 하나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절개면(4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초용 매트(100)는 4~6kg/㎡의 하중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초용 매트의 하중은 고무재질인 제2층의 성분이나 두께 등을 조절하여 4~6kg/㎡로 할 수 있다. 하중이 너무 작을 경우 잡초의 발아 및 성장을 억제시키는 본연의 기능에 미흡하고 또한 흙슬림현상을 방지하기에 미흡하며, 하중이 너무 클 경우 토양이 단단해져 통풍이 잘 안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의 반복적 실험에 의하면 상기 제초용 매트(100)의 하중이 4~6kg/㎡ 일 때 가장 바람직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초용 매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초용 매트(100')의 제2층(20) 상부면에는 햇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체(50)가 도포된다. 반사체(50)가 도포된 것 이외에는 도 1의 제초용 매트와 동일하므로 다른 구성요소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도록 한다.
반사체(50)를 제2층(20)의 상부면에 도포시킴으로써 농작물의 과실(특히 과일)의 착색 및 성숙도에 영향을 미쳐 과실의 품질 향상에 매우 효과적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햇빛은 위에서 아래로 조사되므로 대부분 과실의 윗면이나 옆면에 비쳐지게 되며, 아랫면은 상대적으로 햇빛의 조사량이 적어지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매트의 반사체(50)에 의하여 지면에 도달된 햇빛은 반사되어 과실의 아랫면 또는 옆면을 조사하게 되므로 과실의 아랫면 또는 옆면에 조사량이 풍부해지고, 따라서 과실의 착색 및 성숙도를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상기 반사체(50)는 반사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은색을 적용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은색의 시트나 필름지 또는 은박지 등을 상기 제2층(20) 위에 덮거나 까는 등의 방법을 고려해볼 수 있으나, 설치 또는 제거시 깔고 걷어야 하는 작업등이 수고스러울 수 있으며 또한 제2층(20)에 고정하는 작업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반사체는 은색 발광체 도료 등을 제2층(20) 상면에 도색하는 등의 방법으로 도포시키는 것이 작업의 간편성 및 효율성 등에서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제초용 매트에 의하면, 토양에 접하는 제1층을 섬유재질로 형성하여 토양의 통풍이 용이하도록 하고 그 위에 일정 하중을 가할 수 있도록 고무재질의 제2층을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토양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잡초의 발아 및 성장을 억제시키는 동시에 토양의 통풍이 용이하도록 하여 토양의 오염 및 산성화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매트의 상부면을 은색의 발광체로 도 포하여 햇빛을 반사시켜, 과실의 착색 및 성숙도에 도움을 주어 과실의 품질 향상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초용 매트를 깔고 제거하면 되므로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되고 작업자 혼자서도 작업할 수 있으므로 인건비 절감에도 매우 유리한 이점이 있다. 또한,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매트가 토양의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억제시켜 주므로 가뭄으로 인한 토양의 건조화를 방지할 수 있고 겨울철 보온 효과로 농작물의 냉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초용 매트(100')가 과수원에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과수원의 대지에는 제초용 매트(100')가 일정 간격을 이루도록 복수개 배치되며, 나무 한 그루당 제초용 매트(100') 한 개씩이 설치된다. 나무가 식재되어 있는 제초용 매트(100')의 아래 토양에는 상기 제초용 매트로 인해 잡초가 자라지 않게 된다. 한편, 매트들 사이의 토양에는 제초를 위한 수단이 설치되지 않으므로 잡초가 자랄 수 있게 되는데, 이곳에서 자라나는 잡초는 제초용 기계 등을 이용하여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제초용 매트(100') 상부면에 도포된 반사체(50)에 의해 햇빛은 반사되어 과실의 아랫면 또는 옆면을 조사하게 되므로, 과실의 착색 및 성숙도를 향상시키게 된다.
도 3에서의 제초용 매트(100')는 가로와 세로의 길이가 각각 1m 정도로 제작된 것이 설치되며 따라서, 관통공(30)의 중심으로부터 매트의 각 측면까지는 대략 50㎝가 된다. 일반적으로 과수원에서는 각 나무당 대략 3m 정도 이격되게 설치되므 로, 하나의 매트 끝단과 이웃하는 매트의 끝단 간격은 대략 2m정도가 된다. 매트 사이에 노출되는 토양에서 자라나는 잡초는 제초기 등을 이용하여 제거하게 된다.
매트 간의 간격을 너무 짧게 하는 경우 즉, 매트의 크기가 큰 경우 대지의 토양이 외부로 노출되는 면적이 작아 농작물이 자라는데 필요한 수분 공급이 적게 되고, 매트 간의 간격을 너무 넓게 할 경우 즉, 매트의 크기가 작아 관통공(30)으로부터 매트의 한 측면까지의 거리가 너무 짧을 경우, 매트가 없는 토양에 자라나는 제초 제거 작업시 나무 등의 농작물에 직접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초용 매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초용 매트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초용 매트가 과수원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
10. 제1층 20. 제2층
30. 관통공 40. 절개면
50. 반사체 100,100'. 제초용 매트

Claims (4)

  1. 제초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제초용 매트는,
    토양과 접하며 토양의 통풍이 용이하도록 하는 섬유재질의 제1층;
    상기 제1층의 상부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며 지면으로 전달되는 햇빛과 수분을 차단하고 일정 하중을 부과하여 잡초의 발아 및 성장을 억제시키는 고무재질의 제2층; 및,
    상기 제1층 및 제2층을 관통하도록 상기 제1층 및 제2층의 중앙부에 형성되어 작물이 관통하는 관통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층의 상부면에는 햇빛을 반사시키는 은색의 반사체가 도포되고,
    상기 제초용 매트는 4~6kg/㎡의 하중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용 매트.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으로부터 상기 제1층 및 제2층의 어느 하나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절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용 매트.
KR1020080016050A 2008-02-22 2008-02-22 제초용 매트 KR1009838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050A KR100983824B1 (ko) 2008-02-22 2008-02-22 제초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6050A KR100983824B1 (ko) 2008-02-22 2008-02-22 제초용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686A KR20090090686A (ko) 2009-08-26
KR100983824B1 true KR100983824B1 (ko) 2010-09-27

Family

ID=41208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6050A KR100983824B1 (ko) 2008-02-22 2008-02-22 제초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8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499B1 (ko) 2020-07-17 2021-10-15 주식회사 하경 시공설치가 용이한 친환경 제초매트
KR20230050682A (ko) 2021-10-08 2023-04-17 이영미 제초매트 자동 커버 및 고정 장치
KR20230081137A (ko) 2021-11-30 2023-06-07 이승찬 노지 과수 바닥용 멀칭시트 멀칭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958584A (zh) * 2011-09-23 2014-07-30 奇诺维申有限责任公司 一次性尿片再循环及其应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793A (ja) * 1996-09-13 1998-04-07 Toshio Takehara 農業用温度コントロールシート
JP2001251974A (ja) * 2000-03-10 2001-09-18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雑草防止用シート
KR20070007744A (ko) * 2006-12-05 2007-01-16 최근순 수목 관리용 매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84793A (ja) * 1996-09-13 1998-04-07 Toshio Takehara 農業用温度コントロールシート
JP2001251974A (ja) * 2000-03-10 2001-09-18 Ohtsu Tire & Rubber Co Ltd :The 雑草防止用シート
KR20070007744A (ko) * 2006-12-05 2007-01-16 최근순 수목 관리용 매트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3499B1 (ko) 2020-07-17 2021-10-15 주식회사 하경 시공설치가 용이한 친환경 제초매트
KR20230050682A (ko) 2021-10-08 2023-04-17 이영미 제초매트 자동 커버 및 고정 장치
KR20230081137A (ko) 2021-11-30 2023-06-07 이승찬 노지 과수 바닥용 멀칭시트 멀칭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0686A (ko) 2009-08-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3824B1 (ko) 제초용 매트
Marble et al. On-farm evaluations of wood-derived, waste paper, and plastic mulch materials for weed control in Florida container nurseries
Warnick et al. Weed suppression with hydramulch, a biodegradable liquid paper mulch in development
KR200390971Y1 (ko) 농업용 반사합지
JP2000308413A (ja) 栽培装置
KR20110118429A (ko) 잡초제거장치와 그를 이용한 잡초제거방법
McCraw et al. Use of plastic mulch and row covers in vegetable production
JPH048236A (ja) 人工芝生を用いた地被植物もしくは低潅木などの植栽方法
KR200315780Y1 (ko) 잡초성장 방지판
KR200422325Y1 (ko) 작물 및 과수목 보호용 커버
KR200343804Y1 (ko) 육묘용 커버.
JP2008289457A (ja) 植物周囲を覆う土壌シート
KR200408127Y1 (ko)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US20210259166A1 (en) Weed growth control and water and nutrient conservation technology
KR101645386B1 (ko) 피톤 이끼 조경 공법
KR101670009B1 (ko) 잡초 발아억제용 식생 매트 및 그 시공방법
JPH1094336A (ja) 土壌被覆シート
Sorensen et al. Rodent management for surface drip irrigation tubing in corn, cotton, and peanut
JP3042418U (ja) 土壌被覆シート
Courter et al. Mulching vegetables: practices and commercial applications
Dumroese Integrated nursery pest management
JP3241115U (ja) 防草シート
Namdeo et al. Mulch Laying Technology for Horticulture in India: A Review
KR101432255B1 (ko) 막덮기 부직포를 이용한 무농약 농작물 재배용 소터널
KR101420342B1 (ko)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