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0342B1 -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 Google Patents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420342B1 KR101420342B1 KR1020120020891A KR20120020891A KR101420342B1 KR 101420342 B1 KR101420342 B1 KR 101420342B1 KR 1020120020891 A KR1020120020891 A KR 1020120020891A KR 20120020891 A KR20120020891 A KR 20120020891A KR 101420342 B1 KR101420342 B1 KR 1014203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layer film
- upper layer
- mulching
- mulching film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6
- 239000010410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1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575 pest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905 agrochemic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009 herbic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98 Poly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2010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573 polyeth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915 polyvinyl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00 polyvinyl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755 prolif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629 sup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8631 Hexa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61217 Infest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07961 Sesam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71 agricultural prod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02 gyps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40 gyps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363 herb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RYZCLUQMCYZBJQ-UHFFFAOYSA-H lead(2+);dicarbonate;di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OH-].[Pb+2].[Pb+2].[Pb+2].[O-]C([O-])=O.[O-]C([O-])=O RYZCLUQMCYZBJQ-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759 maintenance of lo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62 mul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17 pathogen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35 plant grow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6 singl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641 stabili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5 stabil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834 transmitt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3 w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01G13/02—
-
- A01G13/0275—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tec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업용 토지에 멀칭필름을 피복하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시간과 작업량을 효율적으로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개선된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상층필름과 하층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층필름의 일정 위치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나란히 형성되며 상부가 토사에 의하여 덮이는 매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상층필름을 절개선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후 상기 매립부와 덮개부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펼쳐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업용 멀칭필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농업용 토지에 멀칭필름을 피복하는 작업을 행하는 경우 작업시간과 작업량을 효율적으로 감소시켜 줄 수 있도록 개선된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멀칭필름은 작물의 뿌리 보호, 잡초의 생육 억제, 토양 수분의 증발 억제, 지온 유지, 토양의 보비력 향상, 빗물에 의한 토양 유실 방지, 병원균 침입 방지, 진딧물 비래 방지 등을 목적으로 농업의 다양한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그 재질로는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은 인공 합성수지 제품이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종이 등을 이용하여 제조하기도 한다.
특히 밭농사에서는 모종을 양생시키기 위하여 밭에 두둑을 형성하고 멀칭필름을 피복하게 되는데, 최근 들어 농산물의 생산성 향상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병해충 및 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농약의 안전성과 농업 노동인구 감소 문제와 관련하여 농민들의 농약 살포 기피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어 제초제 등과 같은 농약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멀칭필름 피복 재배가 보편화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멀칭필름의 피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수의 둔덕(20)과 고랑(30)으로 이루어지는 농산물 재배지에서 둔덕(20) 부분에만 인력 또는 기계를 이용하여 멀칭필름(10)을 각각 피복한다. 그리고, 둔덕(20) 부분을 덮고 있는 멀칭필름(10)을 고정시키기 위하여 멀칭필름(10) 좌우측 양 가장자리를 일일이 토사로 덮어 고정토(40)를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멀칭필름을 이용한 피복 작업은 고랑(30) 부분이 개방되어 있어 고랑(30) 부분에 제초제 등과 같은 농약을 별도로 사용하여 잡초 등을 제거해 주어야 할 경우가 많았고, 농약 살포를 줄이기 위하여 고랑(30) 부분을 멀칭필름(10)으로 피복할 경우에는 개별적으로 일일이 피복작업을 하여야 했으므로 작업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멀칭필름(10)은 앞서 언급하였듯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염화비닐 등과 같은 인공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와 같은 종래의 멀칭필름(10)을 이용하여 농산물 재배지를 피복하는 경우에는 멀칭필름(10) 내외부로 공기와 수분 등이 소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농작물 재배지에 둔덕(20)과 고랑(30)을 형성하기 위하여 경운기나 트랙터 등과 같은 농기계를 이용하여 작업을 하게 되는데, 농작물 재배지의 토양이 어느 정도 건조한 상태이어야만 이와 같은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농산물 재배지의 토양이 건조한 상태에서 둔덕(20)과 고랑(30)을 형성한 후 곧바로 종래의 멀칭필름(10)을 피복하게 되는 경우, 식재된 농산물은 수분이 부족하게 되어 정상적인 생장이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심지어는 고사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농작물 재배지에 멀칭필름을 피복함에 있어서 최소한의 작업시간과 작업량을 소요하면서도 둔덕과 고랑 전부분에 걸쳐 피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피복 작업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초제 등 농약의 사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농작물 재배지에 멀칭필름을 피복함에 있어서 둔덕과 고랑 부분에 각각 다른 종류의 멀칭필름을 피복할 수 있게 함으로써 농작물 재배지의 상태와 식재할 농산물의 종류, 농사 기법 등 여러 조건에 알맞은 멀칭필름을 용이하게 피복할 수 있는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농작물 재배지에 멀칭필름을 피복함에 있어서 멀칭필름의 내외부를 공기와 수분이 용이하게 드나들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멀칭필름 피복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농작물 재배지의 토양을 건강하게 유지시켜 식재한 농산물이 활발히 생장할 수 있는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은 상층필름과 하층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층필름의 일정 위치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좌우측 단부에 각각 나란히 형성되며 상부가 토사에 의하여 덮이는 매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상층필름을 절개선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후 상기 매립부와 덮개부의 경계선을 중심으로 펼쳐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과 상기 덮개부 일측의 매립부와의 경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과 상기 덮개부 타측의 매립부와의 경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접합선이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을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후 접합선을 따라 일방향으로 펼쳐서 확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 중심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과 상기 덮개부 좌우 양측의 매립부와의 경계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접합선이 각각 형성되어,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을 중심부의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후 각각의 접합선을 따라 좌우측 양방향으로 펼쳐서 확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과 하층필름은 각각 다른 종류의 멀칭필름으로 구성하여 각각의 용도를 구별하여 이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과 하층필름을 투명 재질의 멀칭필름과 유색 재질의 멀칭필름 중 어느 한 멀칭필름으로 각각 구성하여 상이한 조합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멀칭필름에는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미세통공을 형성하여 공기와 수분이 드나들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농업용 멀칭필름에 있어서 농작물 재배지의 둔덕 부분을 피복하는 덮개부를 상층필름과 하층필름의 두 겹으로 형성하고 상층필름을 절개한 후 펼쳐서 고랑 부분을 피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한의 작업 시간과 작업량을 소요하면서도 둔덕과 고랑 전부분에 걸쳐 효율적으로 멀칭필름 피복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농작물 재배지 대부분에 멀칭필름을 피복할 수 있어 제초제 등 농약의 사용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업용 멀칭필름에 있어서 농작물 재배지의 둔덕 부분을 피복하는 하층필름과 고랑 부분을 피복하는 상층필름을 각각 다른 종류의 멀칭필름으로 구성함으로써, 수분 함량 등 농작물 재배지의 토양 상태와 둔덕 및 고랑의 활용 방법, 식재할 농작물의 종류 등 여러 상황과 조건에 대응하여 용이하게 멀칭필름 피복 작업을 행할 수 있는 다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농업용 멀칭필름에 있어서 피복한 농작물 재배지와 멀칭필름 외부 간에 공기와 수분 등이 드나들 수 있도록 다수 개의 미세통공을 형성함으로써, 잡초나 유해 생물의 번식을 억제하는 등 멀칭필름 피복의 효과를 유지하면서도 농작물 재배지의 토양에 충분한 수분과 공기를 공급할 수 있어 식재한 농작물이 활발하고 건강하게 생장할 수 있는 또 다른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멀칭필름이 농작물 재배지에 피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의 피복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의 피복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와 도 2(b)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의 정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100)은 상층필름(112)과 하층필름(111)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110)와 상기 덮개부(110)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되는 매립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덮개부(110)의 상층필름(112) 일측과 상기 매립부(120)의 경계선에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직선으로 절개선(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절개선(113)은 작업자가 용이하게 뜯어서 절개할 수 있도록 상기 상층필름(112) 상에 파선이나 점선 형태로 일렬로 미세 절단되어 있는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덮개부(110)의 상층필름(112) 타측과 상기 매립부(120)와의 경계선에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길이 방향으로 길게 일직선으로 접합선(1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합선(114)은 상기 상층필름(112)을 펼칠 때에 상기 매립부(120)를 침범하여서까지 펼쳐지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접합선(114)은 상기 상층필름(112)과 하층필름(111)을 일직선으로 열접합시키거나 일정 너비만큼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합시키는 등 여러 방법을 이용하여 접착하는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부(110)와 우측 매립부(120)의 경계에 상기 절개선(113)이 형성되어 있고 좌측 매립부(120)의 경계에 상기 접합선(114)이 형성되어 있지만, 그 반대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매립부(120)는 상부에 토사가 위치하여 펼침형 멀칭필름(100)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덮개부(110)는 반드시 2겹으로 이루어져야 하지만 상기 매립부(120)는 홑겹의 필름으로 이루어져도 상관이 없다.
그러나, 펼침형 멀칭필름(100)의 전체 제조 공정을 고려해 보면 상기 매립부(120)도 2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즉, 먼저 한 겹의 멀칭필름 상에 일렬로 톱날이 부착된 롤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절개선(113)을 형성한 후 다른 한 겹의 멀칭필름 상면에 위치시키고, 겹쳐진 두 겹의 멀칭필름의 좌우측을 열접합시켜 상기 매립부(120)를 형성하도록 하면 간단하게 상기 펼침형 멀칭필름(100)을 제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덮개부(110) 좌우측의 상기 매립부(120) 전체를 열접합하지 않고 상기 덮개부(110)와 좌우측 매립부(120)의 경계 부분만을 일정한 너비의 일직선으로 각각 열접합할 수도 있다.
이때, 어떤 방식으로 열접합하든지 간에 상기 절개선(113)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상층필름(112)과 하층필름(111) 상호간에는 접합되지 않도록 상기 절개선(113) 외측으로 열접합 공정을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다른 형태의 상기 펼침형 멀칭필름(100) 제조 공정도 고려해 볼 수도 있다. 즉, 먼저 상기 덮개부(110)와 매립부(120)를 포함하는 너비의 멀칭필름을 구비한 후 그 상부에 상기 덮개부(110) 너비의 멀칭필름을 위치시키고, 상부에 놓여져 있는 멀칭필름의 일측 단부와 하부에 놓여져 있는 멀칭필름을 일직선으로 접합시키고 상부 멀칭필름의 타측 단부와 하부 멀칭필름 상호 간에 벨크로즈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일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상기 덮개부(110)를 상층필름(112)과 하층필름(111) 2겹으로 구성하고 상기 상층필름(112) 일측을 절개하여 펼칠 수 있는 형태라면 다양한 실시예와 제조공정이 제안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펼침형 멀칭필름(100) 상에는 다수 개의 미세통공(130)을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즉, 상기 펼침형 멀칭필름(100)을 농작물 재배지에 완전히 피복하는 경우에도 상기 미세통공(130)을 통하여 농작물 재배지 토양과 멀칭필름 외부 간에 수분과 공기 등이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미세통공(130)의 크기는 대략 1㎜ 미만의 크기로 구성하여 수분과 공기는 드나들 수 있도록 하되 흙과 같은 입자와 각종 해충 등은 상기 펼침형 멀칭필름(100)을 통과할 수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펼침형 멀칭필름(100) 상에 상기 미세통공(130)을 형성하는 간격은 비가 많이 오는 장마철과 멀칭필름의 강도 확보 등을 고려하여 일반적으로 2~3㎝ 내외를 유지하는 것이 좋은데, 이외에도 농작물 재배지에 식재하는 농작물의 종류 등을 고려하여 조정할 수 있다. 즉, 참깨 등과 같이 수분이 다량으로 공급되는 것이 좋지 않은 농작물의 경우에는 간격을 더 넓혀 상기 미세통공(130)을 형성하도록 한다.
상기 미세통공(130)은 상기 덮개부(110)의 상층필름(112)과 하층필름(111)에는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고 상기 매립부(120)에는 토사에 의하여 덮이는 부분이므로 상기 미세통공(130) 형성 여부가 문제되지 않지만, 상기 펼침형 멀칭필름(100)의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덮개부(110)와 매립부(120) 구분 없이 전체적으로 상기 미세통공(130)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펼침형 멀칭필름(100)이 농작물 재배지에 피복되는 상태를 간단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100)이 둔덕(20)에 피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100)이 둔덕과 고랑(30)에 최종적으로 피복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상기 덮개부(110)와 매립부(120)로 이루어진 상기 펼침형 멀칭필름(100)을 둔덕(20) 부분에 인력이나 기계 등을 이용하여 피복하도록 하고 상기 매립부(120)의 상부를 고정토(40)로 덮어 각각 단단히 고정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110)의 상층필름(112) 일측에 형성된 절개선(113)을 따라 상기 상층필름(112)을 뜯어서 타측 방향으로 천천히 펼치도록 한다.
절개한 상기 상층필름(112)은 상기 접합선(114)까지 완전히 펼쳐서 상기 상층필름(112)이 고랑(30) 부분을 완전히 피복하도록 하고 상기 상층필름(112)의 일측 단부는 고정토(40)를 이용하여 단단히 고정하도록 한다. 고랑(30) 부분에 피복된 상기 상층필름(112)의 타측 단부는 상기 매립부(120)가 고정토(40)에 의하여 이미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별도의 작업이 필요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덮개부(110)의 상층필름(112)과 하층필름(111)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지만 각각 상이한 재질로 구성할 수도 있다. 상기 상층필름(112)과 하층필름(111)을 상이한 재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필름이 피복하는 농작물 재배지의 둔덕(20)과 고랑(30) 부분을 개별적으로 이용하는 경우에 유용할 것이다.
특히, 멀칭필름은 색깔에 따라 각각 주로 사용되는 용도가 상이한데, 투명 멀칭필름은 광선 투과율이 높아 지온 상승을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며, 은백색 멀칭필름은 하절기 생장 억제를 위한 광선 반사에 따른 지온 강하 및 진딧물 비래방지와 잡초 생육 억제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흑색 멀칭필름은 잡초 발생 방지 및 광차단에 의한 지온 안정, 시비 효과의 지속, 내후성 증대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며, 녹색 멀칭필름은 투명 및 흑색 멀칭 필름의 장단점을 혼합한 형태로서 지온 상승 및 잡초 발생 억제를 동시에 의도할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흑백 멀칭필름은 고랭지 재배 및 하절기 생장 억제를 위한 지온 강하 및 습기 유지에 의한 작물의 활착률 증대를 목적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각각의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상층필름(112)과 하층필름(111) 중 어느 한 필름은 투명 재질의 멀칭필름으로 다른 한 필름은 유색 재질의 멀칭필름으로 구성하여 사용하거나, 어느 한 필름을 특정 색상의 멀칭필름으로 다른 한 필름은 다른 특정 색상의 멀칭필름으로 구성하여 사용하는 등 다양한 조합의 상기 펼침형 멀칭필름(100)을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펼침형 멀칭필름(100)을 둔덕(20)에 피복한 후 상기 상층필름(112)을 절개하여 펼치지 아니하고 그대로 두고 사용할 수도 있으며, 둔덕(20) 부분과 고랑(30) 부분을 시간적 간격을 두고 각각 피복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둔덕(20) 부분과 고랑(30) 부분에 피복된 멀칭필름을 각각 따로 제거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펼침형 멀칭필름(100)을 이용함으로써 농작물 재배지의 둔덕(20)과 고랑(30) 모두에 멀칭필름을 피복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둔덕(20)과 고랑(30) 각각에 따로 멀칭필름을 피복하고 각각의 멀칭필름을 따로 고정토(40)로 고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탈피하여 둔덕(20)과 고랑(30)의 피복 작업을 일련의 작업으로 마무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이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100)은 상층필름(112)과 하층필름(111)으로 이루어지는 덮개부(110)와 상기 덮개부(110)의 좌우측 단부에 형성되는 매립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덮개부(110)와 매립부(120)의 경계에는 길이방향으로 접합선(114)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덮개부(110)의 상층필름(112) 중심에는 길이방향으로 절개선(1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합선(114)은 열접착이나 양면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절개선(113)은 파선이나 점선 형태로 부분 절단하여 형성할 수 있음은 앞선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이다.
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절개선(113)이 상기 상층필름(112)의 일측 단부가 아니라 중심부에 형성되어 상기 상층필름(112)을 절개하여 이등분한 후 각각 좌우측으로 펼칠 수 있게 하였다.
본 일실시예에 따른 펼침형 멀칭필름(100)은 둔덕(20) 부분에 비하여 고랑(30)이 좁은 경우에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절개선(113)이 상기 상층필름(112)의 중심부에 반드시 위치할 필요는 없으며 둔덕(20)과 고랑(30)의 규격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위치에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앞선 일실시예와 본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덮개부(110)의 하층필름(111)이 둔덕(20) 부분을 피복하고 상층필름(112)이 고랑(30) 부분을 피복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지만, 반대로 사과나 배 등을 키우는 과수원과 같은 경우에는 둔덕(20) 부분이 좁은 반면 고랑(30) 부분이 넓기 때문에 상기 하층필름(111)이 고랑(30) 부분을 피복하고 상기 상층필름(112)을 펼쳐서 둔덕(20) 부분을 피복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멀칭필름 20 - 둔덕
30 - 고랑 40 - 고정토
100 - 펼침형 멀칭필름 110 - 덮개부
111 - 하층필름 112 - 상층필름
113 - 절개선 114 - 접합선
120 - 매립부 130 - 미세통공
30 - 고랑 40 - 고정토
100 - 펼침형 멀칭필름 110 - 덮개부
111 - 하층필름 112 - 상층필름
113 - 절개선 114 - 접합선
120 - 매립부 130 - 미세통공
Claims (6)
- 상층필름과 하층필름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층필름의 일정 위치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층필름과 하층필름의 좌우측 단부가 각각 상호 접착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접착선이 형성되어 있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의 좌우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어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히 형성되며 상부가 토사에 의하여 덮이는 매립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을 절개선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절개한 후 상기 덮개부의 접착선을 기준으로 펼쳐서 토사가 덮여진 상기 매립부 위쪽으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과 상기 덮개부 일측의 매립부와의 경계에 형성된 접합선에 인접하여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을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후 상기 덮개부 타측의 매립부와의 경계에 형성된 접합선을 따라 일방향으로 펼쳐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 중심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절개선이 형성되며,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을 중심부의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후 각각의 접합선을 따라 좌우측 양방향으로 펼쳐서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과 하층필름은 각각 다른 종류의 멀칭필름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상층필름과 하층필름은 각각 투명 재질의 멀칭필름과 유색 재질의 멀칭필름 중 어느 한 멀칭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멀칭필름은 상하면을 관통하는 다수 개의 미세통공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0891A KR101420342B1 (ko) | 2012-02-29 | 2012-02-29 |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0891A KR101420342B1 (ko) | 2012-02-29 | 2012-02-29 |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9406A KR20130099406A (ko) | 2013-09-06 |
KR101420342B1 true KR101420342B1 (ko) | 2014-07-16 |
Family
ID=49450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0891A KR101420342B1 (ko) | 2012-02-29 | 2012-02-29 |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42034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044B1 (ko) | 2016-05-21 | 2016-11-02 | 이청용 | 탄성 보강부재가 구비된 경작용 멀칭필름 및 시공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3733A (ko) * | 2004-03-31 | 2006-05-15 | 엠케이브이 플라테크 가부시키가이샤 | 농업용 필름 |
KR100656679B1 (ko) | 2006-02-06 | 2006-12-13 | 이분금 | 마늘 또는 양파 파종용 보온필름 |
KR20100118170A (ko) * | 2009-04-28 | 2010-11-05 | 박용순 | 벼 병해충 침투방지용 시트 |
-
2012
- 2012-02-29 KR KR1020120020891A patent/KR10142034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43733A (ko) * | 2004-03-31 | 2006-05-15 | 엠케이브이 플라테크 가부시키가이샤 | 농업용 필름 |
KR100656679B1 (ko) | 2006-02-06 | 2006-12-13 | 이분금 | 마늘 또는 양파 파종용 보온필름 |
KR20100118170A (ko) * | 2009-04-28 | 2010-11-05 | 박용순 | 벼 병해충 침투방지용 시트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2044B1 (ko) | 2016-05-21 | 2016-11-02 | 이청용 | 탄성 보강부재가 구비된 경작용 멀칭필름 및 시공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9406A (ko) | 2013-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644998A (en) | All purpose mulch system | |
US3955319A (en) | Horticultural sheet mulch | |
KR101420342B1 (ko) | 농업용 펼침형 멀칭필름 | |
KR101522248B1 (ko) | 농업용 펼침 날개형 멀칭시트 | |
JP2000308413A (ja) | 栽培装置 | |
KR100983824B1 (ko) | 제초용 매트 | |
KR200403118Y1 (ko) | 종자가 부착된 직파용 멀칭재 | |
GB2025194A (en) | Mulching sheets | |
US20150368872A1 (en) | Methods for Controlling Weeds and Water Using a Bag Filled with Landscaping Material | |
US20060185230A1 (en) | Vegetation barrier | |
US20140219731A1 (en) | Methods for Controlling Weeds and Water Using a Bag Filled with Landscaping Material | |
KR100656679B1 (ko) | 마늘 또는 양파 파종용 보온필름 | |
JP2008092917A (ja) | マルチング工法及びマルチング構造 | |
KR100737766B1 (ko) |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 |
KR20180001367U (ko) | 농업용에 사용하는 다목적 겸용 멀칭필름 | |
KR20180088043A (ko) | 고추 재배용 방법 | |
JPH1094336A (ja) | 土壌被覆シート | |
KR101168837B1 (ko) | 농작물 순잡이용 베일 네트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034139B1 (ko) | 딸기 및 작물 멀칭용 비닐 | |
KR20180059999A (ko) | 폭 방향으로 연장 가능한 멀칭필름 | |
Namdeo et al. | Mulch Laying Technology for Horticulture in India: A Review | |
JP2008253244A (ja) | 植生シート | |
KR200408127Y1 (ko) | 농작물 재배용 토양덮개 | |
RU226190U1 (ru) | Посевная пленка | |
JP3042418U (ja) | 土壌被覆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4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