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352B1 -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 - Google Patents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352B1
KR102069352B1 KR1020180128637A KR20180128637A KR102069352B1 KR 102069352 B1 KR102069352 B1 KR 102069352B1 KR 1020180128637 A KR1020180128637 A KR 1020180128637A KR 20180128637 A KR20180128637 A KR 20180128637A KR 102069352 B1 KR102069352 B1 KR 102069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fabric
silver
hot melt
brus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8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수영
신수범
박민석
김호수
Original Assignee
(주)와이엠테크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와이엠테크,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주)와이엠테크
Priority to KR1020180128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3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3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11/00Surface finishing of leather
    • C14C11/003Surface finishing of leather using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7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made of fibres or fila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00Manufacture of leather; Machines or devices therefor
    • C14B1/30Pressing or rolling leather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BMECHANICAL TREATMENT OR PROCESSING OF SKINS, HIDES OR LEATHER IN GENERAL; PELT-SHEARING MACHINES; INTESTINE-SPLITTING MACHINES
    • C14B1/00Manufacture of leather; Machines or devices therefor
    • C14B1/44Mechanical treatment of leather surfa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4SKINS; HIDES; PELTS; LEATHER
    • C14CCHEMICAL TREATMENT OF HIDES, SKINS OR LEATHER, e.g. TANNING, IMPREGNATING, FINISHING; APPARATUS THEREFOR;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0Tanning; Compositions for tanning
    • C14C3/02Chemical tanning
    • C14C3/04Mineral ta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32B37/1207Heat-activated adhesive
    • B32B2037/1215Hot-melt adhesiv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강도, 투습도, 유연성 및 인열강도가 매우 뛰어나고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A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bric adhered leather by thermal bonding and a fabric adhered leather therefrom}
본 발명은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접착강도, 투습도, 유연성 및 인열강도가 매우 뛰어나고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는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에 관한 것이다.
기존 핸드백, 가방 등을 제조하는데 있어 내피 섬유를 피혁에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재단 후 사이드면을 봉제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 있어 봉제시 작업성이 떨어지고, 최종 제품에서도 피혁과 섬유의 분리 현상이 발생하고, 사용 중에 봉제부분의 풀림 문제 등으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야기 시켜왔다.
또한, 최근 트랜드가 속이 훤히 보이는 생활용품으로 흐르고 있는 추세에서 피혁과 섬유의 분리 현상은 패션성에서나, 시각적인 측면에서 큰 장애 요인으로 대두되어 왔다.
이에 따라서 피혁의 안쪽 면과 섬유원단을 보다 용이하고, 우수한 접착능력을 갖도록 결합시키되, 결합시 야기될 수 있는 피혁의 투습성, 유연성 등의 물성저하가 방지 또는 최소화된 원단이 본딩된 피혁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6037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원단과의 본딩을 함에도 불구하고 피혁이 갖는 투습능력, 유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동시에 뛰어난 접착강도, 인열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는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본딩된 피혁이 뛰어난 물성을 갖고,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거나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되기 따라서 핸드백, 가방, 의류 등에 널리 용도 전개될 수 있고, 패션성이 뛰어난 생활용품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원료피의 은면혁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은면혁의 안쪽 표면 상의 돌출된 기모를 단모화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3) 용융된 핫멜트웹을 통해 기모가 단모화된 은면혁의 일면과 원단을 본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 단계는 2-1) 알루미늄계 탄닝제를 포함하는 탄닝용액으로 은면혁을 처리하는 단계; 및 2-2) 기모가 돌출된 은면혁 일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3) 단계는 3-1) 기모가 단모화된 은면혁의 일면 상에 핫멜트웹 및 원단을 적층시킨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2) 상기 적층체에 열 및 압력을 가해 핫멜트웹을 용융시켜 상기 은면혁과 원단을 본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계 탄닝제는 탄닝용액 내 은면혁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핫멜트웹은 융점이 55 ~ 75℃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핫멜트웹은 평량이 40 ~ 60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핫멜트웹은 폴리우레탄계 핫멜트웹일 수 있다.
또한, 상기 3-2) 단계는 110 ~ 125℃의 열 및 95 ~ 115bar의 압력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열융착을 통해 은면혁과 원단이 본딩된 피혁으로서, 하기의 조건(1) 내지 (5)를 만족하는 원단 본딩된 피혁을 제공한다.
(1) KS M 3601에 의거한 접착강도 1.5㎏f/2㎝ 이상이고, (2) KS M 6886에 의거한 투습도 3000g/㎡/24h 이상이며, (3) KS M ISO 17235에 의거한 유연성 3.2㎜ 이상이고, (4) KS M 6882에 의거한 인열강도 5.2㎏f/㎜ 이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본딩된 피혁이 가공된 생활용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생활용품은 가방, 의류, 지갑, 모자 및 가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원단과 피혁을 본딩 함에도 불구하고 피혁이 갖는 투습능력, 유연성을 저하시키지 않는 동시에 뛰어난 접착강도, 인열강도를 발현시킬 수 있다. 또한, 포름알데하이드, 6가크롬, DMF 등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거나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됨에 따라서 원단 본딩된 피혁은 핸드백, 가방, 의류 등에 널리 용도 전개될 수 있고, 패션성이 뛰어난 생활용품으로 구현되기에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은 (1) 은면혁을 준비하는 단계, (2) 은면혁의 일면 상의 돌출된 기모를 단모화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3) 용융된 핫멜트웹을 통해 기모가 단모화된 은면혁의 일면과 원단을 본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먼저, 본 발명의 (1) 단계로서 은면혁을 준비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은면혁은 원료피(raw hide)를 이용해 통상적인 수적, 탈모공정을 실시한 뒤 할피공정을 통해 분리된 은면층과, 육면층 중 은면층에 해당되는 것으로서, 상기 원료피는 우피, 돈피, 양피, 타조피 등 천연가죽으로 이용되는 공지된 동물의 가죽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은면혁은 목적하는 두께로 다시 할피되기 위하여 쉐이빙 공정을 거친 것일 수 있다. 한편, 쉐이빙 공정 전 상기 은면혁은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 탄닝공정이 수행 것 또는 탄닝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의 피혁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은면혁의 일면 즉, 통상적인 가죽의 외표면의 타면인 반대면에는 기모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기모는 후술하는 (3) 단계의 공정을 어렵게 하거나, 본딩된 원단의 접착성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서 돌출된 기모를 단모화 시키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데, 상기 단모화 시키기 위한 전처리 공정은 통상적으로 당업계에서 수행하는 방식을 따를 수 있다. 일예로 종래의 방법으로서 돌출된 기모를 연마를 통해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를 통해서는 기모가 충분히 단모화되지 않고, 길이가 긴 기모가 군데군데 남아 있거나, 또는 과도한 단모화로 은면혁 일면의 조직의 손상되고 가방 등의 제품으로 구현 중 인장에 의해 손상이 가속화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2) 단계는 2-1) 알루미늄계 탄닝제를 포함하는 탄닝용액으로 은면혁을 처리하는 단계 및 2-2) 기모가 돌출된 은면혁 일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2-1) 단계는 알루미늄계 탄닝제를 포함하는 탄닝용액으로 은면혁을 처리하는 단계로서, 2-1) 단계에 이어서 수행되는 2-2) 단계의 연마공정을 보다 용이하게 하여 은면혁의 일면에 돌출된 기모를 더욱 짧고 균일하게 단모화시키는데 유리하며, 이에 더 나아가 피혁에 대한 염색공정에도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러한 효과는 알루미늄계 탄닝제를 사용하는 것에 기인하는데, 알루미늄계 탄닝제는 은면혁 표면의 더욱 단단히 조임(tight)으로서 연마 시 기모의 단모화를 더욱 쉽게 할 수 있다. 한편, 공지된 식물성 탄닝제나, 크롬계 등의 탄닝제의 경우 후술하는 2-2) 단계의 연마단계를 거치더라도 기모가 매우 길게 남아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2-1) 단계는 준비된 은면혁이 탄닝공정 후 쉐이빙 공정을 거쳐서 두께가 조절된 것이라면 재탄닝 공정일 수 있다. 또한, 만일 (1) 단계에서 준비된 은면혁이 탄닝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에는 2-1) 단계의 1회 처리만으로 기모의 단모화를 위한 화학적 전처리공정과 통상적인 탄닝공정의 효과를 함께 발휘할 수 있다. 또는, (1) 단계에서 준비된 은면혁이 탄닝공정을 수행하지 않은 경우 상기 2-1) 단계 전에 통상적인 탄닝공정이 수행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2-1) 단계는 재탄닝공정일 수 있다.
이때, 재탄닝공정 전 수행되는 통상적인 탄닝공정은 통상적인 크롬계 등의 탄닝제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고, 통상적인 탄닝제 이외에 재탄닝공정에 사용되는 알루미늄계 탄닝제가 탄닝공정에서 함께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알루미늄계 탄닝제는 탄닝공정 및/또는 재탄닝공정에서 사용되는 탄닝용액 내, 처리되는 은면혁(탄닝공정에서는 은면 부분 기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 ~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3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상기 알루미늄계 탄닝제가 1중량부 미만일 경우 기모의 단모화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고, 5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기모가 매우 짧게 되는 것에 나아가 조직까지 연마되어 손상될 수 있는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알루미늄계 탄닝제는 일예로 염화알루미늄이나, 유기 알루미늄염을 포함하는 공지된 탄닝제일 수 있고, pH가 3 ~ 4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닝용액은 탄닝제 이외에 물을 용매로 더 포함할 수 있고, 통상의 탄닝공정에 사용되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2-1) 단계는 20 ~ 40℃의 온도로 30분 ~ 3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2-1) 단계는 1회 이상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2-2) 단계로서 기모가 돌출된 은면혁 일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당해 단계는 기모를 단모화시키는 물리적 공정으로서 기모를 단모화시키는 통상의 연마공정을 통해 수행할 수 있고, 일예로 샌드페이퍼가 장착된 연마장치를 사용해 수행할 수 있다.
(2) 단계를 수행한 은면혁은 세정공정, 가지공정, 염색공정 등의 공정을 더 거칠 수 있으며, 이는 공지된 방법을 채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3) 단계로서, 용융된 핫멜트웹을 통해 기모가 짧게 처리된 은면혁의 일면과 원단을 본딩시키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3) 단계는 바람직하게는 3-1) 기모가 짧게 처리된 은면혁의 일면 상에 핫멜트웹 및 원단을 적층시킨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2) 상기 적층체에 열 및 압력을 가해 핫멜트웹을 용융시켜 상기 은면혁과 원단을 본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할 수 있다.
먼저 3-1) 단계는 은면혁, 핫멜트웹 및 원단을 적층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단계는 수작업을 통하거나 또는 롤투롤 방식으로 순차 또는 동시에 적층되도록 할 수 있는 등 구체적인 방법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핫멜트웹은 은면혁의 단모화된 기모가 형성된 일면 상에 위치하여 그 위에 배치되는 원단을 은면혁과 결합시키기 위한 부재이다. 상기 핫멜트웹은 공지된 핫멜트웹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융점이 55 ~ 75℃,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 65℃인 것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은면혁 및 원단의 접착강도, 은면혁의 투습도, 유연성 및 인열강도를 동시에 달성하기에 매우 유리할 수 있다. 만일 융점이 55℃ 미만일 경우 접착강도가 현저히 저하될 우려가 있으며, 융점이 75℃를 초과할 경우 핫멜트웹을 용융시키는 필요한 열처리 온도가 100℃ 이상으로 상승하여 피혁과 원단의 손상 유발이 가능하다. 특히 은면혁의 단모화된 기모가 있는 면의 타면에 있는 은면세포의 손상, 단백질 변성으로 인해 피혁의 외관품질이 현저히 저하되고 피혁이 딱딱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핫멜트웹은 평량이 40 ~ 60g/㎡,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50 g/㎡인 것이 좋다. 핫멜트웹의 평량이 위의 범위를 만족함에 따라서 투습도, 유연성의 저하를 최소화 또는 방지하는 동시에 더욱 상승된 접착강도와 인열강도 특성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만일 평량이 40g/㎡ 미만일 경우 접착강도의 현저한 상승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평량이 60g/㎡를 초과할 경우 접착강도의 상승이 미미한데 반하여, 투습도 크게 저하될 우려가 있고, 인열강도가 오히려 현저히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핫멜트웹은 상술한 융점특성을 갖는 공지된 재료로 형성된 것일 수 있고, 일예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우레탄계 등의 성분이 1종 이상 포함되어 형성된 핫멜트웹일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 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유연성을 담보할 수 있고, 충격에 고화된 후 깨지는 것과 같은 손상의 발생 우려가 적은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원단을 붙이기 위한 부재로서 웹 형태의 핫멜트 부재를 사용하는데, 분말 형태의 경우 작업 중 비산될 수 있어서 작업성 등이 매우 좋지 않을 수 있고, 균일한 두께로 배치되기 어려워서 균일한 접착특성, 투습도, 유연성 등을 담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핫멜트 필름의 경우 목적하는 수준으로의 투습도, 유연성 등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단모화 기모가 있는 일면 상에 결합하기에 접착강도 측면에서 웹 형태보다 좋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원단을 은면혁과 공지된 접착제를 통해 붙일 수 있으나 이 경우 유해성분의 발생 우려가 있고, 접착제로 인한 딱딱함으로 유연성, 품질저하의 우려가 매우 높으며, 제품으로 가공시 인장공정에서 피혁에 손상이 가거나 표면품질이 더욱 저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 등 바람직하지 못하다.
한편, 상기 원단은 구현되는 가방 등의 제품에서 안감에 해당하는 부재일 수 있다. 상기 원단은 공지된 원사를 이용해 제직된 직물, 편직된 편물일 수 있고, 본 발명은 상기 원사의 재질, 섬도, 원단의 밀도 등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3-2) 단계로서 적층체를 본딩시키기 위하여 110 ~ 125℃의 열 및 95 ~ 115bar의 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3-2) 단계는 상, 하로 배치되는 2개의 롤 사이를 상기 적층체가 통과하는 방식이나, 프레스 방식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적층체를 가열 및 가압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적층체에 가해지는 열은 105 ~ 125℃,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 120℃일 수 있으며, 만일 열이 105℃ 미만일 경우 접착강도와 인열강도가 현저히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만일 열이 125℃를 초과하는 경우 접착강도 향상이 미미한데 반해 유연성 및 인열강도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압력은 95 ~ 115bar,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 105bar일 수 있는데, 만일 압력이 95bar 미만일 경우 접착강도, 유연성, 투습도 및 인열강도가 모두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압력이 115bar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접착강도, 투습도, 유연성 및 인열강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롤을 통해 열을 처리할 경우 열처리 속도는 10 ~ 15rpm일 수 있고, 이 경우 보다 향상된 접착강도, 유연성, 투습도 및 인열강도를 담보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은면혁과 원단이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은 하기의 조건(1) 내지 (5)를 만족할 수 있다.
(1) KS M 3601에 의거한 접착강도 1.5㎏f/2㎝ 이상이고, (2) KS M 6886에 의거한 투습도 3000g/㎡/24h 이상이며, (3) KS M ISO 17235에 의거한 유연성 3.2㎜ 이상이고, (4) KS M 6882에 의거한 인열강도 5.2㎏f/㎜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강도는 2.9㎏f/2㎝ 이상일 수 있고, 상기 투습도는 3200 g/㎡/24h 이상일 수 있으며, 인열강도는 5.8㎏f/㎜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물성을 만족하면서도 포름알데하이드, 육가 크롬 등의 유해성분이 검출되지 않거나 기준치 미만으로 검출됨에 따라서 이를 사용하는 인체에도 유해하지 않은 이점이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1>
통상의 공정을 통해 수적, 탈회, 침산된 후 육면부분과 분리된 은면 부분을 준비했다. 이후 상기 은면부분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탄닝공정을 수행한 뒤, 쉐이빙 공정을 통해 할피시켜 두께가 1.6㎜인 은면혁을 준비했다. 이후 상기 은면혁을 하기 표 1과 같은 조건으로 재탄닝공정(세정공정 포함) 수행한 뒤 중화공정(배출 및 세정공정 포함) 및 가지공정(배출 및 세정공정 포함)을 거쳤다. 이후 기모가 있는 은면혁의 일면을 샌드페이퍼가 장착된 연마기를 통해 연마시켜 기모를 단모화시켰다. 이후 준비된 전처리된 은면혁 상에 융점이 약 60℃인 폴리우레탄계 핫멜트웹(W50)과, 폴리에스테르 제직물을 순차적으로 적층시킨 뒤 온도가 120℃인 아이언롤을 100bar의 압력, 12rpm/분으로 통과시켜 용융된 핫멜트웹을 통해 하기 표 2와 같은 원단이 본딩된 피혁을 제조하였다.
공정 성분함량(중량부) 성분명 처리
시간(min)
온도(℃) 비고
탄닝공정
100 25
4.0 크롬-파우더 60
1.0 유제간가지제 30
3.0 알루미늄계 탄닝제(Nobatan Al) 60
0.8 MgO 60
재탄닝공정 100 5 30
3.0 알루미늄계 탄닝제(Nobatan Al) 15
3.0 페놀 합성탄닝제 60
중화공정 100 20 35
3.0 미모사 30
2.0 중화 신탄 20 pH 6.3∼6.5
2.0 Sodium bicarbonate 120
1.0 Sodium formate
가지공정 100 50
9.0 Lipoderm
Liquor CMG
40
1.0 Formic acid(1:10) 20
이때, 상기 표 1에서 각 공정상의 성분함량 중량부는 처리되는 은면부분 또는 은면혁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 중량부이다. 또한, 각 공정별 사용되는 성분 중 표의 윗 성분부터 아래 성분까지 순차적으로 해당 성분을 성분별 처리시간 동안 처리하여 공정을 완료하였다. 예를들어 재탄닝공정은 은면혁 100 중량부에 대해 물을 100 중량부를 준비한 뒤, 가죽을 물에 넣고 이후 알루미늄계 탄닝제를 3중량부 투입한 뒤 15분 경과 후 다시 페놀합성탄닝제를 투입 후 60분 경과로서 재탄닝공정이 완료되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2 ~ 20 >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수행하되, 하기 표 2 및 표 3과 같이 탄닝제의 종류, 함량, 핫멜트웹이 융점, 평량, 본딩공정의 온도 또는 압력을 변경하여 하기 2 및 표 3과 같은 원단 본딩된 피혁을 제조하였다.
<실험예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원단 본딩된 피혁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여 표 2 및 표 3에 나타내었다.
한편, 실시예 1 내지 6에 대해서는 접착강도와 인열강도만 측정하였다.
1. 접착강도
KS M 3601에 의거하여 평가했다.
2. 투습도
KS M 6886에 의거하여 평가했다.
3. 유연성
KS M ISO 17235에 의거하여 평가했다.
4. 인열강도
KS M 6882에 의거하여 평가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재탄닝공정 탄닝제
함량
(중량부)
3 0.5 1.1 4.9 5.5 3 3 3 3 3
탄닝제
종류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크롬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핫멜트웹 재질 폴리우레탄
융점(℃) 60 60 60 60 60 60 50 85 60 60
평량
(g/㎡)
15 15 15 15 15 15 15 15 15 15
본딩공정 온도(℃) 110 110 110 110 110 110 105 140 100 106
압력(bar)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물성 접착강도
(㎏f/2㎝)
1.85 1.20 1.65 1.85 1.85 1.00 1.25 1.75 0.09 1.55
투습도(g/㎡/24h) 3450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3560 2126 3480 3462
유연성
(㎜)
4.1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미측정 4.5 3.8 4.3 4.2
인열강도
(㎏f/㎜)
6.3 5.2 5.8 6.0 5.3 5.0 5.2 4.8 5.5 5.8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실시예19 실시예20
재탄닝공정 탄닝제
함량
(중량부)
3 3 3 3 3 3 3 3 3 3
탄닝제
종류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알루미늄
핫멜트웹 재질 폴리우레탄
융점(℃) 60 60 60 60 60 60 60 60 60 60
평량(g/㎡) 15 15 15 15 15 15 30 45 58 65
본딩공정 온도(℃) 124 128 110 110 110 110 120 120 120 120
압력(bar) 100 100 90 96 114 120 100 100 100 100
물성 접착강도
(㎏f/2㎝)
1.85 1.85 1.75 1.83 1.80 1.75 2.55 3.45 3.45 3.48
투습도(g/㎡/24h) 3350 3208 3429 3445 3390 3327 3230 3200 3050 2437
유연성
(㎜)
3.9 3.2 3.9 4.1 4.1 4.0 3.7 3.4 3.0 2.2
인열강도
(㎏f/㎜)
5.9 5.6 5.2 6.2 5.8 5.4 5.8 6.9 6.0 5.2
구체적으로 표 2 및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알루미늄계 탄닝제를 사용한 실시예 1의 경우 실시예 6에 대비해 우수한 접착강도 및 인열강도를 수득할 수 있었다. 이는 균일하고 짧게 단모화된 기모에 기인한 것으로 사료되며, 다만, 알루미늄계 탄닝제의 함량이 과소한 실시예 2는 실시예3에 대비해 접착강도 및 인열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었고, 과도한 실시예5는 실시예4보다 인열강도가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과도한 연마에 의한 조직손상 등으로 기인한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핫멜트웹의 융점이 50℃ 미만으로 너무 낮은 실시예7는 실시예1에 대비해 접착강도, 인열강도가 현저히 저하되었고, 85℃로 높은 실시예8의 경우 용융에 필요한 열이 140℃ 이상으로서 과도한 열이 피혁에 가해짐에 따라서 투습도, 인열강도, 유연성이 실시예1 대비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딩공정에서의 온도가 과소한 실시예9, 과도한 실시예12는 실시예1, 10 및 11에 대비해 접착강도, 투습도, 유연성 및 인열강도를 모두 동시에 현저히 발휘할 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나아가 본딩 압력이 과소한 실시예 13, 과도한 실시예16은 실시예 1, 14 및 15에 대비해 접착강도, 투습도, 유연성 및 인열강도를 모두 동시에 현저히 발휘할 수 없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더불어, 핫멜트 웹의 평량에 있어서 실시예 18, 19는 실시예 17 및 20에 대비해 접착강도, 투습도, 유연성 및 인열강도를 모두 동시에 현저히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1 ~ 22>
실시예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핫멜트웹의 종류를 하기 표 4와 같이 변경하고, 피혁에 열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110℃로 본딩하여 표 4와 같은 원단 본딩된 피혁을 제조하였다.
<실험예2>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원단 본딩된 피혁에 대해 실험예1의 방식으로 접착강도 물성을 평가하여 표 4에 나타내었다. 또한, 가로, 세로 10㎝×10㎝인 피혁을 가로 세로 각각 4등분되도록 접었다 피는 과정을 10회 반복한 뒤 접착강도를 재평가한 2차 접착강도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1
핫멜트웹 재질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융점(℃) 80 85 60
평량(g/㎡) 15 15 15
본딩공정 온도(℃) 110 110 110
압력(bar) 100 100 100
물성 접착강도(㎏f/2㎝) 0.9 1.45 1.85
투습도(g/㎡/24h) 3060 3134 3450
2차 접착강도(㎏f/2㎝) 0.4 1.00 1.75
표 4를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1에 따라서 폴리우레탄인 재질의 핫멜트웹이 접착강도, 2차접착강도 측면에서 실시예21 및 실시예22보다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1. (1) 원료피 중 은면혁을 준비하는 단계;
    (2) 상기 은면혁의 일면 상의 돌출된 기모를 단모화하기 위한 전처리 공정을 수행하는 단계; 및
    (3) 용융된 핫멜트웹을 통해 기모가 단모화된 은면혁의 일면 상에 원단을 본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을 제조하되,
    상기 (2) 단계는 2-1) 상기 은면혁 100 중량부에 대해서 1 ~ 5 중량부의 함량으로 알루미늄계 탄닝제를 포함하는 탄닝용액으로 은면혁을 처리하는 단계 및 2-2) 기모가 돌출된 은면혁 일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3) 단계는 3-1) 기모가 단모화된 은면혁의 일면 상에 융점이 55 ~ 75℃이고 평량이 40 ~ 50g/㎡인 폴리우레탄 핫멜트웹 및 원단을 적층시킨 적층체를 제조하는 단계 및 3-2) 상기 적층체에 110 ~ 125℃의 열 및 95 ~ 115bar의 압력을 가해 핫멜트웹을 용융시켜 상기 은면혁과 원단을 본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제조된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은 하기의 조건 (1) 내지 (4)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1) KS M 3601에 의거한 접착강도 2.9㎏f/2㎝ 이상
    (2) KS M 6886에 의거한 투습도 3000g/㎡/24h 이상
    (3) KS M ISO 17235에 의거한 유연성 3.2㎜ 이상
    (4) KS M 6882에 의거한 인열강도 5.8㎏f/㎜ 이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80128637A 2018-10-26 2018-10-26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 KR1020693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37A KR102069352B1 (ko) 2018-10-26 2018-10-26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8637A KR102069352B1 (ko) 2018-10-26 2018-10-26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352B1 true KR102069352B1 (ko) 2020-01-22

Family

ID=69368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8637A KR102069352B1 (ko) 2018-10-26 2018-10-26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35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978B1 (ko) * 2006-03-08 2006-08-28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숫소 원피를 이용한 암소 유사 육면가죽의 제조방법
KR101275715B1 (ko) * 2013-03-12 2013-06-20 (주)신도레더 은면혁을 이용한 리버스 피혁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피혁
KR101360376B1 (ko) 2013-07-19 2014-02-21 홍종희 육면에 인쇄층이 형성된 가죽원단 및 가죽원단의 육면 인쇄방법
KR20180045204A (ko) * 2016-10-25 2018-05-04 (주)와이엠테크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 기술이 적용된 가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978B1 (ko) * 2006-03-08 2006-08-28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숫소 원피를 이용한 암소 유사 육면가죽의 제조방법
KR101275715B1 (ko) * 2013-03-12 2013-06-20 (주)신도레더 은면혁을 이용한 리버스 피혁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피혁
KR101360376B1 (ko) 2013-07-19 2014-02-21 홍종희 육면에 인쇄층이 형성된 가죽원단 및 가죽원단의 육면 인쇄방법
KR20180045204A (ko) * 2016-10-25 2018-05-04 (주)와이엠테크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 기술이 적용된 가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54631B2 (ja) 基体に仕上材が設けられた基材
TWI491503B (zh) 含有聚烯烴組合物之層壓織物結構
CN112771119A (zh) 生物制造皮革制品及其方法
AU2011206786A1 (en) Restoring leather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CN110592956A (zh) 一种水性直涂超纤沙发革
CN110831755B (zh) 使皮革层压体具有纹理表面的方法
KR101275715B1 (ko) 은면혁을 이용한 리버스 피혁 제조 방법 및 그에 따른 피혁
DE102017001299A1 (de) Lederverbundwerkstoff
KR102069352B1 (ko) 열융착을 통해 원단 본딩된 피혁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구현된 원단 본딩된 피혁
CN100364765C (zh) 一种丝绸皮革的制作方法
KR20180045204A (ko) 패션용 가죽에 원단을 라미네이팅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과, 이 기술이 적용된 가방
KR101825554B1 (ko) 악어가죽의 가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가방 제조방법
JP2004209830A (ja) 伸縮性皮革加工品の製造方法
CN111850179B (zh) 一种头层牛皮制皮工艺和头层牛皮制皮皮鞋
US20220258528A1 (en) Vegetable components, dehydrated, sealed and waterproofed, applied for decorative purpose on garments, objects and furnishing components and its method of implementation/manufacturing procedures
US3619275A (en) Fibrous sheet material
CN210125522U (zh) 一种用于水性牛纤皮基布后处理的生产系统
KR101920234B1 (ko) 경량화 천연피혁 제조방법
CN108284651B (zh) 复合层材料及其制备方法
CN219153892U (zh) 一种pu覆膜再生皮复合面料
KR20220079513A (ko) 적층체
JPH02169777A (ja) 合成皮革の製造方法
JPH02307987A (ja) 合成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US3542910A (en) Method of making fibrous sheet material
CN103194546A (zh) 鳄鱼皮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