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9315B1 - 신호등 지지 구조체 - Google Patents

신호등 지지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9315B1
KR102069315B1 KR1020190109271A KR20190109271A KR102069315B1 KR 102069315 B1 KR102069315 B1 KR 102069315B1 KR 1020190109271 A KR1020190109271 A KR 1020190109271A KR 20190109271 A KR20190109271 A KR 20190109271A KR 102069315 B1 KR102069315 B1 KR 102069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traffic light
vertical support
light box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92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복
Original Assignee
김기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복 filed Critical 김기복
Priority to KR10201901092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9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9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01F9/61Special features of delineator posts, e.g. with parts cantilevered toward the roadway or fixed vertically on a tilted surfac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5Traffic light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 지지대; 및 상기 세로 지지대와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신호등 박스가 설치되는 가로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신호등 지지 구조체 {Structure for supporting traffic light}
본 발명은 신호등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신호등의지주대에 설치되어 신호등을 지지하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호등 지주는 도로상에 설치되어 차량의 통행을 안내하는 신호등이 설치되는 지주이다.
상기한 신호등 지주는 크게 지면에 고정되는 메인 지주와, 상기 메인 지주로부터 수직한 방향을 따라 설치되면서 그 끝단 저면에는 신호등이 설치되는 수평지지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메인 지주의 상측 끝단 부위와 상기 수평지지대의 끝단 부위에는 지지와이어가 서로 간을 연결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와이어에 의해 상기 수평지지대의 흔들림을 방지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종래의 일반적인 신호등용 지주는 상기 수평지지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와이어의 추가 설치를 위한 작업이 추가로 진행되어야 함에 따른 작업상의 곤란함이 있었고, 이로 인한 작업 시간의 증가가 야기되었고, 이러한 작업 시간의 증가로 인해 신호등 지주의 설치를 위한 교통 통제 시간 역시 증가되어 통행 차량의 불편이 클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을 가진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지지와이어로 인해 시각적인 분산을 야기시켜 운전자의 안전에 오히려 역효과를 발생시켰을 뿐 아니라 도시 미관을 저해하는 원인이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상기한 지지와이어를 생략할 수 있도록 등록특허 제10-838710호, 등록특허 제10-1067379, 등록특허 제10-1103563호, 등록특허 제10-1105188호 등과 같은 신호등용 지주의 구조에 대한 각종 기술이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기술들은 수평지지대의 내부를 따라 와이어를 설치함으로써 상기 수평지지대가 처짐을 방지하도록 하였지만, 그 설치 과정의 어려움이 있었을 뿐 아니라, 상기한 와이어로 인해 상기 수평지지대에 설치되는 신호등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의 설치에 따른 어려움이 추가로 발생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래의 신호등 지주는 신호등이 직접 연결되는 가로봉의 방향이 이미 정해져 있어서 신호등 지주 설치후 서로 다른 두개의 가로봉 각도를 새롭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3563호 한국등록특허 제10-1067379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지면과 고정 설치되는 세로 지지대에 다수의 가로 지지대가 설치되는 경우, 설치된 가로 지지대 간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사용 목적에 따라 신호등이 적절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또한, 신호등 박스를 세로 지지대에 고정시키는 가로 지지대가 세로 지지대에 더욱 견고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 지지대; 및 상기 세로 지지대와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신호등 박스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세로 지지대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제1 가로 지지대가 형성된 하부 세로 지지대; 및 상기 하부 세로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2 가로 지지대가 형성된 상부 세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세로 지지대의 상부에는 원판 형상의 상부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세로 지지대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되는 해부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볼트 결합되어 상기 하부 세로 지지대와 상기 상부 세로 지지대가 결합되되,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수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하부 세로 지지대와 상기 상부 세로 지지대가 상기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의해 볼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로 지지대와 상기 제2 가로 지지대의 형성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너비가 원호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볼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단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로 지지대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세로 지지대에 결합되는 U자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기로 지지대는 상기 하우징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신호등 박스를 연결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체결된 상기 신호등 박스의 각도를 실시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 박스의 양 단에는 톱니 형상의 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이 상기 신호등 박스의 일측과 결합되며, 내측면에 이동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신호등 박스에 구비된 톱니기어와 체결되어 상기 신호등 박스가 원호 형상의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등 박스에 구비된 감시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차량 중 상기 신호등 박스와 가장 근접한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주변 시설물 객체를 이용하여 검출된 차량의 위치를 추정하여 검출된 차량이 위치한 방향으로 최적의 광량을 조사하기 위한 신호등 박스의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톱니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두 개의 가로 지지대 간의 설치 각도를 언제든지 조절할 수 있어 신호등 제작에 요구되는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으며, 신호등을 지주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어 장치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신호등이 배치되는 각도를 실시간 제어함으로써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신호등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야간에도 신호등 지주의 위치가 식별될 수 있어 교통사고의 위험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형상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하부 세로 지지대와 상부 세로 지지대를 연결하는 상부 플레이트 및 하부 플레이트의 구체적인 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가로 지지대의 구체적인 구조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높이조절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5는 이탈방지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1)는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 지지대(10) 및 세로 지지대(10)와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신호등 박스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지지대(21, 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하나의 세로 지지대에 하나의 가로 지지대가 설치되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 환경에 따라 하나의 세로 지지대(10)에 두 개 이상의 가로 지지대(21, 22)의 결합이 요구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종래에는 신호등이 직접 연결되는 각각각의 가로 지지대(21, 22)의 방향이 이미 정해져 있어서 신호등 지주 설치후 서로 다른 두개의 가로봉 각도를 새롭게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1)의 세로 지지대는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 세로 지지대(21)와, 하부 세로 지지대(21)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부 지지대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는 상부 세로 지지대(22)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세로 지지대(21)에는 제1 가로 지지대가 형성되고, 상부 세로 지지대(22)에는 제2 가로 지지대가 형성됨으로써, 상부 세로 지지대(22)를 소정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경우 제2 가로 지지대 또한 소정 각도만큼 회전됨에 따라 제1 가로 지지대와 제2 가로 지지대가 형성되는 각도를 신호등 지지 구조체(1)의 제작 후에도 사용 환경에 따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세로 지지대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제1 가로 지지대가 형성된 하부 세로 지지대(21) 및 하부 세로 지지대(21)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2 가로 지지대가 형성된 상부 세로 지지대(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부 세로 지지대(21)의 상부에는 원판 형상의 상부 플레이트(15)가 형성되고, 상부 세로 지지대(22)의 하부에는 상부 플레이트(15)의 형상에 대응되는 하부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부 플레이트(15)와 하부 플레이트(13)가 볼트 결합되어 하부 세로 지지대(21)와 상부 세로 지지대(22)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3)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수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13a)가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15)는 돌출부(13a)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15a)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5a)은, 하부 세로 지지대(21)와 상부 세로 지지대(22)가 하부 플레이트(13)와 상부 플레이트(15)에 의해 볼트 결합된 상태에서 제1 가로 지지대와 제2 가로 지지대의 형성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너비가 원호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플레이트(13)와 상부 플레이트(15)가 볼트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 플레이트(15)는 하부 플레이트(13)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상대 회전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5a)의 내측면에는 상부 플레이트(15)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단의 걸림홈(15b)이 형성되고, 하부 플레이트(13)에 구비된 돌출부(13a)에는 걸림홈(15b)에 체결되는 걸림턱(13b)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3b)은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 부재를 통해 돌출부(13a)에 체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걸림홈(15b)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서는 걸림턱(13b)이 돌출부(13a)에 삽입되어 있다가 걸림홈(15b)이 형성된 영역에 돌출부(13a)가 도달하게 되면 걸림턱(13b)이 돌출되어 걸림홈(15b)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1)는 신호등 박스를 세로 지지대(10)에 견고히 고정시키기 위한 가로 지지대(21, 22)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가로 지지대의 구체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가로 지지대(21, 22)는, 상부 프레임(23)과 하부 프레임(24)으로 구성되며, 상부 프레임(23)과 하부 프레임(24)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타단이 세로 지지대에 결합되는 U자 형상의 하우징; 및 상부 프레임(23)과 하부 프레임(24)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25);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종래에 1자형의 가로 지지대의 구성을 대신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가로 지지대는(21, 22)는 U자형상의 하우징과 하우징 내부에 소정 간격마다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25)으로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사다리 형상을 이루게 되어 가로 지지대가 견고하게 세로 지지대(10)에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로 지지대는 지지 프레임(25) 사이에 설치되어 하우징과 신호등 박스를 연결하는 가이드 프레임(26); 상부 프레임(23)에 설치되는 촬영 유닛(미도시) 및 가이드 프레임(26)에 체결된 신호등 박스의 각도를 실시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호등 박스의 양 단에는 톱니 형상의 기어가 형성되고, 가이드 프레임(26)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이 신호등 박스의 일측과 결합되며, 내측면에 이동 레일이 형성되어 신호등 박스에 구비된 톱니기어와 체결되어 신호등 박스가 원호 형상의 가이드 프레임(2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제어부는, 촬영 유닛으로부터 수집되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촬영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차량 중 신호등 박스와 가장 근접한 차량을 검출하고, 촬영 영상에 포함된 주변 시설물 객체를 이용하여 검출된 차량의 위치를 추정하여 검출된 차량이 위치한 방향으로 최적의 광량을 조사하기 위한 신호등 박스의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에 기초하여 톱니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실시간 전송할 수 있다.
앞선 차량이 정지하는 경우 뒤따르는 차량들도 앞선 차량을 따라 정지하고, 앞선 차량이 출발하는 경우 뒤따르는 차량들도 앞선 차량을 따라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신호등에서 제공되는 신호는 신호등과 가장 가까운 차량에게 가장 잘 보여질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는 가이드 프레임(26)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연결된 신호등 박스를 신호등과 가장 근접한 차량 쪽으로 신호등 박스의 전면이 향하도록 위치 및 각도를 실시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부는 촬영 유닛으로부터 수집되는 교통 영상을 분석하여 촬영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차량들 중 신호등에 가장 근접한 차량(이하 근접 차량)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는 기 공지된 영상 처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촬영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객체 중 차량으로 판단되는 객체를 1차적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차량들 중 영상의 가장 앞쪽에 위치한 차량을 근접 차량으로 검출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는 근접 차량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는 촬영 영상에 포함된 다른 객체를 이용하여 실시간 이동 중인 차량의 위치를 추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는 촬영 영상에 포함된 횡단보도, 건물, 표지판 등과 같이 그 위치가 항상 고정되어 있는 객체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저장하고 있으며, 근접 차량이 이러한 고정 시설물 중 어느 시설물과 근접한지를 분석하여 근접 차량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제어부는, 검출된 차량이 위치한 방향으로 최적의 광량을 조사하기 위한 신호등 박스의 각도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최적의 광량을 조사하기 위한 신호등 박스의 각도는 신호등 박스의 전면부가 근접 차량쪽으로 향하는 각도로 정의될 수 있으며, 산출된 각도에 기초하여 신호등 박스의 톱니 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실시간 전송함으로써 신호등 박스가 가이드 프레임(26)을 따라 원호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근접 차량이 위치한 방향으로 신호등 박스가 실시간 위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1)를 구성하는 세로 지지대(10) 및 가로 지지대(21, 22)의 표면에는 본 발명에 따른 다운컨버전 형광체 분말이 도포될 수 있다.
다운컨버전(down conversion) 형광체는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ite)되어 적색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물질로, 높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빛(광자)을 흡수하여 낮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빛을 발산하는 광자와 매체 간의 상호 작용을 의미한다. 즉, 다운컨버전 형광체는 광이 조사되면 광원 중 높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흡수하며, 흡수된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cite)되어 자외선보다 낮은 에너지 파장을 갖는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형광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운컨버전 형광체는 무기물 형태의 세라믹 형광체 또는 유기물 형광체 소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무기물 형태의 세라믹 형광체는 Y2O2S:Eu 형광체 또는 Y2O3:Eu 형광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받침대 본체(10)는 Y2O2S:Eu 형광체 또는 Y2O3:Eu 형광체 중 어느 하나의 다운컨버전 형광체가 분말 형태로 함유된 안료가 도포될 수 있다.
Y2O2S:Eu 세라믹 형광체는 Y2O2S에 유로퓸(Eu)이 활성제로서 도핑(doping)된 구조체이다. Y2O2S: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약 220~400nm 파장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적색 가시광선(630nm = 1.97eV) 및 적외선(713nm = 1.74eV)을 발산하는 다운컨버전 형광체이다. 그리고, Y2O3: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삼산화이트륨(Y2O3)에 유로퓸(Eu)이 활성제로서 도핑된 구조체이다. 특히, Y2O2S: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형광체에 포함된 유황(S)성분으로 인해 항 박테리아 및 소독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무기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약 360nm 파장의 빛을 매우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으며, 흡수된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cite)되어 약 630nm의 주 발광파장(적색 가시광선)뿐만 아니라 장파장인 713nm 파장(적외선)도 함께 발광함으로써, 적외선 발산 효과가 뛰어나다.
한편, 유기물 형광체는 PPV(Poly(1,4-phenylene vinylene)), Poly(thiophenes), Poly(2,5-pyridinevinylene), PFO(Polyfluorenes), BODIPY (boron-dipyrromethene) fluorophore, dithienotropylium, ABPX(aminobenzopyrano-xanthene)의 유도구조 및 PPV로부터 유도된 MEH-PPV(poly(2-methhoxy-5-(2-ethylhexyloxy)-1,4-pheneylenevinylene)) 및 MDMO-PPV(Poly[2-methoxy-5-(3
Figure 112019090943335-pat00001
,7′'-dimethyloctyloxy)-1,4-phenylenevinylen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 지지대(10) 및 가로 지지대(21, 22)는 유기물 형광체 또는 무기물 형광체 중 어느 하나의 다운컨버전 형광체가 분말 형태로 함유된 안료가 노출면에 도포될 수 있다. 하지만, 형광체의 종류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색 가시광선 또는 근적외선을 발광하는 다양한 유기물질 또는 무기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 지지대(10) 및 가로 지지대(21, 22)는, Y2O2S:Eu 형광체 또는 Y2O3:Eu 형광체 중 어느 하나의 다운컨버전 형광체가 분말 형태로 도포되며, Y2O2S:Eu 세라믹 형광체 분말 또는 Y2O3:Eu 세라믹 형광체 분말은 비교적 높은 에너지 파장인 자외선을 흡수하여 비교적 낮은 에너지 파장인 적색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 지지대(10) 및 가로 지지대(21, 22)는 광이 조사되면 표면에 도포된 다운컨버전 형광체가 자외선을 흡수하여 적색 가시광선을 방출함으로써, 야간에도 신호등 지주의 위치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야간 교통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몇몇 또 다른 실시예에에 따른 신호등 지지 구조체(1)는, 상부플레이트(15)와 하부 플레이트(13)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15)의 높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길이가 다단으로 조절되는 높이 조절부(500) 및 적어도 하나의 파손방지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조절부(500)는, 하부 플레이트(13)에 설치되어 상부 플레이트(15)를을 지지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 플레이트(15)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하 방향의 길이가 다단으로 조절된다.
즉, 높이 조절부(500)는, 후술하는 하부 프레임(520)에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510)의 깊이를 조절함에 따라 지지높이를 t1, t2 또는 t3(t1 > t2 > t3)로 조절함으로써 회동봉(20)의 회동 각도를 다수 단계로 조절할 수 있다.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높이 조절부(500)는, 상부 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20)을 포함한다. 이때, 도 11에 도시된 상부 프레임(510) 및 하부 프레임(520)은 U자 형상의 하우징을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23) 및 하부 프레임과(24)는 다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상부 프레임(5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파이프에 접촉되어 연결부재(20)를 지지하며, 하부 프레임(520)의 안착홈(530)에 다단으로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부 프레임(510)은, 상부 본체(511), 체결 돌기(512) 및 걸림턱(513)을 포함한다.
상부 본체(511)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어 안착홈(530)에 삽입되며,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의 체결 돌기(512)가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부 외주면을 따라 걸림턱(513)이 연장 형성된다.
체결 돌기(512)는, 상부 본체(511)의 하부 외주면을 따라 다수 개가 설치되며, 안착홈(530)의 벽면을 따라 이동된 후 상부 본체(511)가 더 이상 하강되지 않도록 체결된다.
걸림턱(513)은, 상부 본체(511)가 안착홈(530)을 따라 하강하다 더 이상 하강하지 못하도록(도 13의 (c)의 경우) 상부 본체(511)의 상부 외주면을 일주하고 연장 설치된다.
하부 프레임(520)은, 수평 프레임(250)의 상측에 설치되며, 상부에 상부 프레임(51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510)의 하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의 안착홈(530)이 상부에 형성하며,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안착홈(530)에 삽입되는 상부 프레임(510)의 삽입 깊이가 다단(도 8의 (a), (b) 또는 (c)의 경우)으로 조절된다.
도 12은 도 11의 하부 프레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520)은, 수직 통로(521), 제1 수평 통로(522), 제1 체결 통로(523), 제2 수평 통로(524) 및 제2 체결 통로(525)를 포함한다.
수직 통로(521)는, 체결 돌기(512)가 상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착홈(530)의 벽면의 상측으로부터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제1 수평 통로(522)가 연장 형성되며,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제2 수평 통로(524)가 연장 형성된다.
제1 수평 통로(522)는, 체결 돌기(512)가 수직 통로(521)를 따라 하강하다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521)의 중간 부분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제1 체결 통로(523)가 연장 형성된다.
제1 체결 통로(523)는, 체결 돌기(5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522)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체결 통로(523)는, 하강 통로(5231), 체결구(5232) 및 탄성 지지판(5235)을 포함한다.
하강 통로(5231)는, 제1 수평 통로(522)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던 체결 돌기(512)가 하강된 후 하부 공간에 안착될 수 있도록 제1 수평 통로(522)의 말단에서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체결구(5232)는, 하강 통로(5231)의 상부 일측 또는 양측 벽면에 함몰 형성되는 설치홈(5233)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5231)로 노출된 전면이 하측으로 갈수록 설치홈(5233)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설치홈(5233)에 삽입된 후단이 탄성체(5234)에 의해 지지되어 체결 돌기(512)가 경사면을 따라 하강하면 탄성체(5234) 방향으로 이동된 후(도 13의 (a)의 경우) 체결 돌기(512)가 경사면을 통과하여 하강 통로(5231)의 하측 공간에 안착되면 탄성체(5234)의 탄성력에 의해 경사면이 설치홈(5233)으로부터 다시 노출되어 전단 하측면으로 체결 돌기(512)의 상측을 체결(도 13의 (b)의 경우)한다.
탄성 지지판(5235)은, 하강 통로(5231)의 하부 공간에 설치되며, 하강 통로(5231)의 하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탄성체(5236)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체결 돌기(512)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한다.
제2 수평 통로(524)는, 체결 돌기(512)가 수평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수직 통로(521)의 하측으로부터 일측 수평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제2 체결 통로(525)는, 체결 돌기(512)가 안착될 수 있도록 제2 수평 통로(524)의 말단에서 하측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2 수평 통로(524)와 제2 체결 통로(525)는, 제1 수평 통로(522)와 제1 체결 통로(523)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체결 돌기(512)가 제1 체결 통로(523)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1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가 t1이 되고, 체결 돌기(512)가 제2 체결 통로(525)에 안착되는 경우에는 도 1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프레임(510)의 지지 높이가 t2이 됨에 따라 지지 높이를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5는 도 10의 파손방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파손방지부(400)는, 파이프 구조체의 전면부에 설치되어 H몰딩을 지지하며, H몰딩으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높이 조절부(500)의 높이 변화 과정에서 H몰딩이 최초 설치 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돌출 과정에서 뒤틀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부캡(410), 상부캡(420) 및 지지기둥(430)을 포함한다.
하부캡(4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캡 본체(411), 및 지지기둥(43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캡 본체(411)의 상부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지지기둥(430)의 하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하부 안착홈(412)을 포함하며, 바닥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부캡(42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상부 본체(421), 지지기둥(43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 본체(421)의 하부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지지기둥(430)의 상부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함몰 형성되는 상부 안착홈(422)이 형성되며, 하부캡(410)의 상측에 이격되어 설치되어 연결부재(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기둥(43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캡(410)과 상부캡(4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캡(420)을 지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파손방지부(400)의 지지기둥(430)은, 4 개의 모듈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상을 이루는데, 각각의 모듈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부 및 상부가 하부캡(410) 또는 상부캡(420)에 의해 체결되는 것이다.
도 16은 도 15의 지지기둥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지지기둥(430)은,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는 4 개의 기둥모듈(431a, 431b, 431c 및 431d)이 서로 연결 설치되어 원기둥 형태를 형성하며, 하부가 하부 안착홈(412)에 삽입되고, 상부가 상부 안착홈(422)에 삽입된다.
여기서, 각각의 기둥모듈(431a, 431b, 431c 및 431d)은, 모듈 본체(4311), 슬라이딩 돌기(4312), 슬라이딩 홈(4313), 지지 돌기(4314) 및 바퀴(4315)를 포함한다.
모듈 본체(4311)는, 중심각이 직각인 원호 형상의 기둥 형태로 형성되며,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돌기(4312)가 형성되고, 다른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홈(4313)가 형성된다.
슬라이딩 돌기(4312)는, 모듈 본체(4311)의 일측 평면에 상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4311)의 다른 일측 평면에 형성된 슬라이딩 홈(4313)의 상측으로부터 삽입 체결된다.
슬라이딩 홈(4313)은, 모듈 본체(4311)의 다른 일측 평면에 슬라이딩 돌기(431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하 길이 방향으로 함몰 형성되며, 다른 모듈 본체(4311)의 슬라이딩 돌기(4312)가 삽입 체결되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한다.
지지 돌기(4314)는, 모듈 본체(4311)의 상부에 돌출 형성되어 상부 안착홈(421)의 상측면을 지지하며, 상부에 바퀴(4315)가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된다.
바퀴(4315)는, 모듈 본체(4311)의 상측에 안착된 상부캡(4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돌기(4314)의 상부에 설치된다.
이때, 각각의 바퀴(4315a, 4315b, 4315c 및 4315d)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 안착된 상부캡(420)이 회전할 수 있도록 일측면이 지지기둥(430)의 중심축을 향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기둥(430)은, 상부캡(420)의 일측에만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일측의 하측에 위치하고 있는 기둥모듈(431a, 431b, 431c 또는 431d)만이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른 경사면을 형성하는 상부캡(420)을 이용하여 상부캡(420)의 상측에 안착되는 물체를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8은 도 17의 하부캡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다른 예에 따른 하부캡(410)은, 캡 본체(411), 하부 안착홈(412), 지지 원판(413) 및 회전 원판(415)을 포함한다. 여기서, 캡 본체(411) 및 하부 안착홈(412)은, 도 15의 구성요소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지지 원판(413)은, 하부 안착홈(4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에 안착되는 회전 원판(415)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 개의 탄성체(414)가 하측면에 설치된다.
회전 원판(415)은, 하부 안착홈(412)에 대응하는 형상의 원판 형태로 형성되어 지지 원판(413)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측에 안착된 기둥모듈(431)을 하부 안착홈(412)에서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측면의 각 사방에 바퀴(416)가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캡(410)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각각의 화살표와 같이 승강 또는 하강, 회전함에 따라 회전 원판(415)의 상측에 안착되는 지지기둥(430)이 비틀림에 따라 회전하에 되어 비틀림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기둥(430)을 지지하는 지지 원판(413)을 통해 지지기둥(430)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감쇄시킴으로써 진동이나 충격에 따른 파손 역시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신호등 지지 구조체
10: 세로 지지대
11: 하부 세로 지지대
12: 상부 세로 지지대
13: 하부 플레이트
15: 상부 플레이트
21, 22: 가로 지지대
400: 이탈방지부
500: 높이조절부

Claims (2)

  1. 지면과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세로 지지대; 및
    상기 세로 지지대와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어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신호등 박스가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로 지지대를 포함하되,
    상기 세로 지지대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며 제1 가로 지지대가 형성된 하부 세로 지지대; 및 상기 하부 세로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며 제2 가로 지지대가 형성된 상부 세로 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세로 지지대의 상부에는 원판 형상의 상부 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 세로 지지대의 하부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되는 하부 플레이트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가 볼트 결합되어 상기 하부 세로 지지대와 상기 상부 세로 지지대가 결합되되,
    상기 상부 플레이트는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마다 수나사산이 형성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돌출부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되,
    상기 관통홀은, 상기 하부 세로 지지대와 상기 상부 세로 지지대가 상기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에 의해 볼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 가로 지지대와 상기 제2 가로 지지대의 형성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너비가 원호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볼트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에 대하여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고,
    상기 관통홀의 내측면에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가 소정 각도만큼 회전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다단의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체결되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상기 가로 지지대는, 상부 프레임과 하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의 일단이 서로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세로 지지대에 결합되는 U자 형상의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프레임과 상기 하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의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지지대는 상기 지지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신호등 박스를 연결하는 가이드 프레임; 및 상기 가이드 프레임에 체결된 상기 신호등 박스의 각도를 실시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신호등 박스의 양 단에는 톱니기어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은, 한 쌍으로 마련되어 각각이 상기 신호등 박스의 일측과 결합되며, 내측면에 이동 레일이 형성되어 상기 신호등 박스에 구비된 톱니기어와 체결되어 상기 신호등 박스가 원호 형상의 가이드 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신호등 박스에 구비된 감시 카메라로부터 수집되는 촬영 영상을 분석하여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복수의 차량 중 상기 신호등 박스와 가장 근접한 차량을 검출하고, 상기 촬영 영상에 포함된 주변 시설물 객체를 이용하여 검출된 차량의 위치를 추정하여 검출된 차량이 위치한 방향으로 최적의 광량을 조사하기 위한 신호등 박스의 각도를 산출하고, 산출된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톱니기어를 구동시키는 구동부에 제어 신호를 실시간 전송하며,
    상기 세로 지지대 및 상기 가로 지지대의 표면에는 자외선으로부터 여기(exite)되어 적색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방출하는 다운컨버전(down conversion) 형광체가 분말 형태로 함유된 안료가 도포되는, 신호등 지지 구조체.

  2. 삭제
KR1020190109271A 2019-09-04 2019-09-04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102069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271A KR102069315B1 (ko) 2019-09-04 2019-09-04 신호등 지지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9271A KR102069315B1 (ko) 2019-09-04 2019-09-04 신호등 지지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9315B1 true KR102069315B1 (ko) 2020-01-22

Family

ID=69368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9271A KR102069315B1 (ko) 2019-09-04 2019-09-04 신호등 지지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93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4038A (zh) * 2020-05-15 2020-08-21 江西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便携式公路路况数据采集仪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616B1 (ko) * 2009-08-21 2010-05-27 신기산업 주식회사 기체 배관용 댐퍼
KR101019734B1 (ko) * 2009-12-29 2011-03-08 (주)한국에스코 송전변전 배전 철탑 기초기둥 위치 및 방향각도 조절장치
KR101067379B1 (ko) 2009-01-19 2011-09-23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103563B1 (ko) 2009-07-15 2012-01-06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1676633B1 (ko) * 2016-05-16 2016-11-16 주식회사 창우 다기능 지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379B1 (ko) 2009-01-19 2011-09-23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지주장치
KR101103563B1 (ko) 2009-07-15 2012-01-06 한국씨티에스주식회사 신호등 지지용 가로보
KR100959616B1 (ko) * 2009-08-21 2010-05-27 신기산업 주식회사 기체 배관용 댐퍼
KR101019734B1 (ko) * 2009-12-29 2011-03-08 (주)한국에스코 송전변전 배전 철탑 기초기둥 위치 및 방향각도 조절장치
KR101676633B1 (ko) * 2016-05-16 2016-11-16 주식회사 창우 다기능 지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64038A (zh) * 2020-05-15 2020-08-21 江西交通职业技术学院 一种便携式公路路况数据采集仪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8196B1 (ko) 태양광 패널이 부착된 안전난간
KR101228669B1 (ko) 횡단 보도의 보행자 안전 구조물
KR102069315B1 (ko)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KR102076574B1 (ko)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101511900B1 (ko) 무선 안전 삼각대
KR100902191B1 (ko) 가로등
CN106605026A (zh) 道路轮廓标和安全系统
KR101594800B1 (ko)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KR102106637B1 (ko) 스마트 방지턱
JP3201743U (ja) 街中監視システムおよびそれ用の街路灯
KR200472572Y1 (ko) Cctv용 카메라 거치대
KR102325556B1 (ko) 태양광발전 및 무선전력전송이 가능한 방수형 엘이디 표지판
KR102031292B1 (ko) 터널진입 차단장치
KR102191526B1 (ko) 터널용 cctv 회전식 승하강장치
KR102221649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0799696B1 (ko) 레일식 승하강 조명타워의 승강 캐리어 안전 고정장치
KR101923685B1 (ko) 충격완화 및 시인성이 향상된 경계석용 완충장치
KR102014862B1 (ko) 통풍구조를 가지는 유니트형 도로전광표지
KR101412035B1 (ko) 조명 장치
KR20210060206A (ko)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승강용 기지국 안테나 폴
KR200484267Y1 (ko) 통합형 보안장치
KR101700025B1 (ko)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
CN110145706B (zh) 一种安装有可滑动机构的隧道照明设施
KR102062119B1 (ko) 실외기 받침대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