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0025B1 -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 - Google Patents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0025B1
KR101700025B1 KR1020150019882A KR20150019882A KR101700025B1 KR 101700025 B1 KR101700025 B1 KR 101700025B1 KR 1020150019882 A KR1020150019882 A KR 1020150019882A KR 20150019882 A KR20150019882 A KR 20150019882A KR 101700025 B1 KR101700025 B1 KR 101700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ontrol panel
fixed
main body
elev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198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7726A (ko
Inventor
서규선
Original Assignee
서규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규선 filed Critical 서규선
Priority to KR10201500198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0025B1/ko
Publication of KR20160097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77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0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0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2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mounted on pole, e.g. pole transformer subst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 일측면이 가로등 지주(1)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되어 상하 길이를 가지는 고정레일(10)과; 고정레일(1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레일(20)과; 승강레일(20)에 설치 고정되는 제어반 본체(30)로 구성되고, 일단이 고정레일(10)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며, 타단이 승강레일(20)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탄성 스프링(S)이 구비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가로등용 제어반이 지주에 설치되어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승강 동작되므로 작업자가 사다리나 리프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작업작 제어반을 쉽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Liftable Control Panel for Street lights}
본 발명은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등용 지주에 직접 설치되어 가로등을 제어하는 데에 사용되는 승강식 제어반(분전반)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주변에는 가로등의 점/소등과 함께 전력 공급의 제어를 위하여 분전반(이하 '제어반'이라 한다.)이 설치되는데, 이와 같은 제어반의 내부에는 주차단기, 적산 전력량계, 전자개폐기, 분기 누전 차단기, 무선원격제어장치, 외부전선접속용단자대 등의 다양한 구성들이 설치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GPS 가로등 자동점멸기 등이 더 설치된다.
상기와 같은 가로등용 제어반은 다양한 전기기기 등이 설치되어 있어 주기적인 점검 및 보수가 요구되고, 따라서 점검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대부분 가로등이 설치된 보도 일측에 설치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어반은 사각 함체 형상으로 이루어져 보도에 설치되기 때문에 보행자의 장해물이 되고, 더욱이 제어반이 쉽게 노출되므로 행인 등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중에 매립 설치되는 매립형 제어반이 개시되어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예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8366호(매립형 가로등 분전반)와 등록특허공보 제1210348호(매립형 전기감시제어반)를 들 수 있다.
이들 특허문헌에 개시된 제어반(분전반)은 지중에 수납될 수 있는 적정 크기의 공간이 형성되고, 수납된 제어반의 상부를 커버할 수 있는 커버부재와, 수납된 제어반이 필요에 따라 승강 동작되어 지상으로 인출되기 위한 승강 구조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지중에 제어반이 수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매립 공간을 확보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고, 또한 수납 공간내에 제어반과 함께 승강구조물이 설치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한 문제가 있다.
이에 더해 보행자가 커버부재를 밟고 올라설 수 있기 때문에 커버부재의 강성이 담보되어야 하고, 또한 집중호우나 장마철에 빗물이 매립 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기밀성이 담보되어야 하므로 제어반을 매립 설치하는 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제어반을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켜 가로등의 지주에 직접 고정 설치되고 있으나, 이 경우 제어반을 점검하기 위해 작업자가 리프트나 사다리 등을 타고 올라가야 하므로 점검 및 보수 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또한 리프트나 작업차(고소 작업차)를 보도에 위치시키기 어렵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갓길에 리프트나 작업차를 주차시킨 상태로 작업이 진행되고, 이 때문에 교통이 매우 혼잡해지는 문제도 있다.
KR 10-1018366 B1 KR 10-1210348 B1 KR 10-1210349 B1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지중 매립식 제어반의 설치 구조가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로등용 제어반을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켜 지주에 설치되되,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제어반을 하강시켜 쉽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는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일측면이 가로등 지주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되어 상하 길이를 가지는 고정레일과, 고정레일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레일과, 승강레일에 설치 고정되는 제어반 본체로 구성되고, 일단이 고정레일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며 타단이 승강레일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탄성 스프링이 설치되는 승강식 제어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고정레일의 양측면에 각각, 상하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제1가이드홀과; 제1가이드홀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하 길이를 가지며 상단에 안착부가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부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홀이 형성되고, 승강레일의 양측면에 각각, 제1, 2가이드홀을 따라 이동되는 제1, 2돌기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착부와 걸림부에 각각, 제2돌기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호 형상의 안내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은 고정레일의 하부와 승강레일 및 제어반 본체의 상부에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관통공을 따라 전원케이블이 설치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반이 가로등 지주에 설치된 승강레일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승강레일에 의해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 유지되고, 점검 및 보수 작업 시 작업자가 별도로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제어반 본체를 하강시켜 지상에서 안정적으로 제어반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제어반이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설치되므로 제어반이 집중호우나 장마철에도 쉽게 침수되지 않고, 승강레일이 상승된 채 고정레일에 고정 유지되므로 강풍에도 쉽게 제어판이 파손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레일과 승강레일의 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도 4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이 지주에 설치되는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반 본체의 예를 보인 배면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이 하강 동작되는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이 상승 동작되는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에 고정브래킷이 설치되는 예를 보인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로등용 제어반을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시켜 지주에 설치되되,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제어반을 하강시켜 쉽게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는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에 관한 것으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일(10), 승강레일(20) 및 제어반 본체(30)로 이루어지고, 고정레일(10)과 승강레일(20)을 연결하여 한 쌍의 탄성 스프링(S)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고정레일(10)은 일측면이 가로등의 지주(1)에 설치 고정되며, 타측면에 후술하는 승강레일(20)이 설치되어 상하 승강 동작되도록 안내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레일(1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에 설치 고정되기 위해 일측면에 복수 개의 체결공(14)이 형성되고, 이에 더해 지주(1)로부터 각종 전원케이블(L)이 후술하는 제어반 본체(30)로 연결되기 위한 관통공(11)이 그 하부 쪽에 형성된다.
또한 고정레일(10)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하 길이를 가지는 제1가이드홀(12)이 형성되며, 이 제1가이드홀(12)과 일정 간격 수평 이격되어 상하 길이를 가지는 제2가이드홀(13)이 형성된다.
이때 제2가이드홀(13)의 상단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승강레일(20)이 위치된 다음, 고정될 수 있도록 제2돌기(23)가 안착 지지되는 안착부(13B)가 형성되고, 하단에는 승강레일(20)이 하강 동작된 다음, 후술하는 탄성 스프링(S)에 의해 재차 승강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걸림부(13C)가 형성된다.
이때 제2돌기(23)가 안착부(13B) 또는 걸림부(13C)로 위치되기 위해 후술하는 제1돌기(22)를 중심으로 승강레일(20)이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 동작되어야 하고, 이러한 동작은 작업자가 후술하는 제어반 본체(30)의 손잡이(32)를 당기는 것에 의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안착부(13B)와 제2가이드홀(13)의 상단과 걸림부(13C)와 제2가이드홀(13)의 하단에 각각 호 형상의 안내부(13A, 13D)가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레일(10)의 내측 상면에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일정 간격 이격되어 한 쌍의 스프링고정부(15)가 구비되는데, 이 스프링고정부(15)에 탄성 스프링(S)의 상단이 걸림 고정된다.
고정레일(10)에 일측이 상하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측에 후술하는 제어반 본체(30)가 설치 고정되는 승강레일(20)은,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측면에 각각 고정레일(10)의 제1, 2가이드홀(12, 13)을 따라 이동되는 제1, 2돌기(22, 23)가 구비되는데, 이때 제1, 2돌기(22, 23)는 고정레일(10)과 승강레일(20)의 조립성을 위해 체결부재를 이용하여 서로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승강레일(20)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상면이 고정레일(10)의 상면과 반대 반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경사각(A)이 형성되는데, 이 경사각(A)에 의해 승강레일(20)의 상면에 떨어지는 빗물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고정레일(10)과 승강레일(20) 사이의 틈으로 쉽게 유입되지 않고, 이와 동시에 승강레일(20)이 제1돌기(22)를 기준으로 하단이 일정 각도 내에서 회전 동작될 때, 승강레일(20)의 상면이 고정레일(10)의 상부 내벽에 걸리지 않는다.
그리고 승강레일(20)의 하부에는 스프링고정부(25)가 구비되고, 이 스프링고정부(25)와 고정레일(10)의 스프링고정부(15)를 연결하여 탄성 스프링(S)의 상하부가 각각 연결되며, 이에 의해 승강레일(20)이 하강 동작될 때 탄성 스프링(S)의 탄성력에 제어반 본체(30)가 저속으로 하강 동작될 수 있고, 그 결과 작업자가 제어반 본체(30)를 하강시킬 때, 자중에 의해 빠르게 하강 동작됨으로써 발생하는 제어반 본체(30)의 파손과 작업자의 부상 등의 안전사고가 미연에 방지된다.
또한 작업자가 제어반 본체(30)를 상승시킬 때, 제어반 본체(30)가 탄성 스프링(S)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쉽게 상승되고, 그 결과 작업자가 제어반 본체(30)를 쉽게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승강레일(20)의 상부에는 관통공(21)이 형성되는데, 이에 의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케이블(L)이 고정레일(10)의 하부에 형성된 관통공(11)과 승강레일(20)의 상부에 형성된 관통공(21)을 차례로 통과하여 제어반 본체(30)의 내부로 인입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승강레일(20)이 하강 동작되기 위한 전원케이블(L)의 필요 길이가 고정레일(10)과 승강레일(20)의 관통공(11, 21)의 위치에 의해 자연스럽게 확보되고, 또한 승강레일(20)이 상승된 상태에서 전원케이블(L)의 여유 길이에 의해 고정레일(10)과 승강레일(20)의 사이에서 복합하게 엉키지 않고, 그 결과 전원케이블(L)이 고정레일(10)과 승강레일(20)의 내부 구성에 반복 접촉되거나 끼이면서 손상되는 것이 방지된다.
승강레일(20)에 설치 고정되며, 그 내부에는 주차단기, 적산 전력량계, 전자개폐기, 분기 누전 차단기, 무선원격제어장치, 외부전선접속용단자대 및 GPS 가로등 자동점멸기 등의 다양한 구성이 수용되는 제어반 본체(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는 승강레일(20)의 관통공(21)을 통과한 전원케이블(L)이 제어반 본체(3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도록 승강레일(20)의 관통공(21)에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31)이 형성되고, 또한 승강레일(20)과 제어반 본체(30)에는 서로 체결 고정되기 위한 복수 개의 체결공(24, 34)이 형성되어 승강레일(20)과 제어반 본체(30)가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서로 고정된다.
그리고 제어반 본체(30)의 양측면에는 각각 장공의 통기공(33)이 형성되어 제어반 본체(30)에서 발생하는 열이 외부로 쉽게 방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저면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잡이(32)가 설치되어 작업자가 이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위치된 제어반 본체(30)를 하강시키거나 또는 상승시키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은 작업자가 제어반 본체(30)를 하강시킬 때와 상승시킬 때 제어반 본체(30)를 일정 각도로 회전시킨 다음 승강 동작시키게 되는데, 이하에서는 실시예를 통해 제어반 본체(30)의 승강동작에 따른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강 동작 시>
제어반 본체(30)의 자중에 의해 제2돌기(23)는 안착부(13B)에 위치된 상태로 지상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된 상부 쪽에 위치 고정된 상태에서 제어반 본체(30)를 하강시킬 때에는, 먼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제어반 본체(30)의 손잡이(32)를 이용하여 제어반 본체(30)의 앞쪽으로 하부를 끌어당겨 제2돌기(23)를 안착부(13B)에서 이탈시키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제어반 본체(30)를 아래로 끌어당기면 제1, 2돌기(22, 23)가 제1, 2가이드홀(12, 13)을 따라 각각 하강되면서 제어반 본체(30)가 하강 동작된다.
그리고 제어반 본체(30)가 완전히 하강되면, 작업자가 제어반 본체(30)를 뒤로 밀면서 제어반 본체(30)를 수직으로 세우면, 제2돌기(23)가 제2가이드홀(13)의 걸림부(13C)에 걸리면서 제어반 본체(30)가 하강된 상태로 고정된다.
이에 의해 작업자가 수직으로 고정 유지된 제어반 본체(30)를 지상에 선 채로 쉽고 안정적으로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다.
<실시예 2: 상승 동작 시>
작업자가 하강된 제어반 본체(30)를 점검 및 보수하고 난 다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반 본체(30)의 손잡이(32)를 잡고 제어반 본체(30)를 하부를 아래로 살짝 끌어당긴 다음, 제어반 본체(30)의 하부를 전방으로 끌어당겨 일정 각도로 회전시키게 되면 제2돌기(23)가 제2가이드홀(13)상에 위치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손잡이(32)를 놓거나 또는 힘을 빼면, 한 쌍의 탄성 스프링(S)에서 가해지는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어반 본체(30)가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탄성 스프링(S)에 의한 탄성 복원력에 더하여 제어반 본체(30)를 가볍게 밀어 올리는 것만으로 제어반 본체(30)를 쉽게 상승시킬 수 있다.
한편, 상승된 제어반 본체(30)는 자중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지면서 제2가이드홀(13)상의 제2돌기(23)가 자연스럽게 안착부(13B)로 위치되어 지지되고, 이에 의해 상부 쪽에 위치된 제어반 본체(30)의 자중이 탄성 스프링(S)에 상시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탄성 스프링(S)의 변형이 방지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레일(10)이 지주(1)의 외주면에 직접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하기 위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의 외주면을 감싸 후, 체결볼트(B)에 의해 고정되는 밴드 형태의 고정브래킷(16)이 더 설치되고, 이 고정브래킷(16)에 고정레일(10)이 설치 고정되는 것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고정레일(10)과 고정브래킷(16)이 일체로 구성된 것으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어반이 가로등 지주에 설치된 승강레일에 설치되어 평상시에는 승강레일에 의해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고정 유지되고, 점검 및 보수 작업 시 작업자가 별도로 사다리를 사용하지 않고 제어반 본체를 하강시켜 지상에서 안정적으로 제어반을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다.
1: 지주 10: 고정레일
11: 관통공 12: 제1가이드홀
13: 제2가이드홀 13A, 13D: 안내부
13B: 안착부 13C: 걸림부
14: 체결공 15: 스프링고정부
16: 고정브래킷 20: 승강레일
21: 관통공 22: 제1돌기
23: 제2돌기 24: 체결공
25: 스프링고정부 30: 제어반 본체
31: 관통공 32: 손잡이
33: 통기공 34: 체결공
A: 경사각 B: 체결볼트
S: 탄성 스프링

Claims (4)

  1. 일측면이 가로등 지주(1)의 외주면에 설치 고정되어 상하 길이를 가지는 고정레일(10)과;
    상기 고정레일(10)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레일(20)과;
    상기 승강레일(20)에 설치 고정되는 제어반 본체(30)로 구성되고,
    일단이 상기 고정레일(10)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며, 타단이 상기 승강레일(20)의 내측 하부에 고정되는 한 쌍의 탄성 스프링(S)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레일(10)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하 길이를 따라 형성되는 제1가이드홀(12)과; 상기 제1가이드홀(12)과 평행을 이루도록 상하 길이를 가지며 상단에 안착부(13B)가 형성되고, 하단에 걸림부(13C)이 형성되는 제2가이드홀(13)이 형성되고,
    상기 승강레일(20)의 양측면에는 각각, 상기 제1, 2가이드홀(12, 13)을 따라 이동되는 제1, 2돌기(22, 2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부(13B)와 걸림부(13C)에는 각각 상기 제2돌기(23)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호 형상의 안내부(13A, 13D)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레일(10)의 하부와 상기 승강레일(20) 및 상기 제어반 본체(30)의 상부에는 각각 관통공(11, 21, 3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 21, 31)을 따라 전원케이블(L)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
KR1020150019882A 2015-02-10 2015-02-10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 KR101700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882A KR101700025B1 (ko) 2015-02-10 2015-02-10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19882A KR101700025B1 (ko) 2015-02-10 2015-02-10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726A KR20160097726A (ko) 2016-08-18
KR101700025B1 true KR101700025B1 (ko) 2017-01-25

Family

ID=56874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19882A KR101700025B1 (ko) 2015-02-10 2015-02-10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002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1573B1 (ko) 2006-06-30 2006-08-10 (주)유원건축사사무소 방수 콘센트
JP2007329145A (ja) * 2006-06-06 2007-12-20 Kawamura Electric Inc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KR200454041Y1 (ko) 2009-04-07 2011-06-14 유빈스 주식회사 전후 개폐가 가능한 가로등 단자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4098Y1 (ko) * 2010-10-28 2012-12-11 웰컨트롤 (주) 가로등 단자함이 포함된 가로등주 및 이를 포함하는 가로등기구
KR101018366B1 (ko) 2010-12-03 2011-03-04 대신파워텍 (주) 매립형 가로등 분전반
KR101210348B1 (ko) 2012-05-10 2012-12-11 비콤시스템주식회사 매립형 전기감시제어반
KR101210349B1 (ko) 2012-06-28 2012-12-11 비콤시스템주식회사 매립형 감시제어반을 포함하는 원격감시제어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29145A (ja) * 2006-06-06 2007-12-20 Kawamura Electric Inc 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KR100611573B1 (ko) 2006-06-30 2006-08-10 (주)유원건축사사무소 방수 콘센트
KR200454041Y1 (ko) 2009-04-07 2011-06-14 유빈스 주식회사 전후 개폐가 가능한 가로등 단자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7726A (ko) 2016-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835B1 (ko) Cctv카메라 등의 승·하강 장치
KR101594800B1 (ko) 지주에 결합되는 폐쇄회로 텔레비전용 조립체
KR101700025B1 (ko) 가로등용 승강식 제어반
KR20070101740A (ko) 불빛이 발광 되는 휀스용 안전캡
KR200403447Y1 (ko) 상하조절식 볼라드
CN210530495U (zh) 一种市政道路夜间施工用防护栏
KR101006727B1 (ko) 가로등
KR20120000620A (ko) 자전거 주차용 리프트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자전거 주차장치
KR101043601B1 (ko) 식별램프가 구비된 난간
KR101036237B1 (ko) 도로 환경 개선구조를 갖는 도로 시설물용 지주장치
KR101724253B1 (ko) 충격흡수와 각도조절이 가능한 난간
KR102076574B1 (ko)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101067013B1 (ko) 전자장비 이동을 위한 암을 구비한 지주
KR101193373B1 (ko) 방향 안내장치를 미리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 승하강장치
KR102221649B1 (ko) 횡단보도용 보행자 안전장치
KR100914327B1 (ko) 철도차량 정비용 옥상 안전망장치
KR20210060206A (ko) 작업자의 안전 확보가 가능한 승강용 기지국 안테나 폴
CN212612072U (zh) 一种道路智慧斑马线
KR102069315B1 (ko) 신호등 지지 구조체
KR101810101B1 (ko) 기능성 가로등
KR100508259B1 (ko) 영상 정보 수집 시스템 설치용 설치대
KR101197134B1 (ko) 계단용 자전거레일
KR20110129002A (ko) 가로등의 지주 결합구조
KR101408368B1 (ko) 스크린 도어 장치
KR0131733Y1 (ko) 자동차용 주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07

Year of fee payment: 4